KR20120060461A -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461A
KR20120060461A KR1020100121982A KR20100121982A KR20120060461A KR 20120060461 A KR20120060461 A KR 20120060461A KR 1020100121982 A KR1020100121982 A KR 1020100121982A KR 20100121982 A KR20100121982 A KR 20100121982A KR 20120060461 A KR20120060461 A KR 2012006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connector
cable
voltage c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483B1 (ko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박스(1)에서 360도 회전과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한 케이블소켓(2)과, 상기 케이블소켓(2)에 연결되어 360도 회전과 상하로 움직이는 고전압케이블(5)로 구성됨으로써, 고전압박스(1)에 결합된 고전압케이블(5)의 움직임 불가에 따른 레이아웃의 악영향 제거와 충돌시 대시패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단전위험도 회피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High Voltag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전압 케이블을 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량에는 고전압을 위한 고전압박스와 이에 연결되어진 고전압케이블이 배선되어진다.
도 3(가)는 일반적인 고전압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케이블(50)은 케이블(60)의 끝에 구비된 커넥터(70)를 고전압박스(10)의 소켓부위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고전압박스(10)의 측면부위로 다수의 고전압케이블(50)이 연결되고 레이아웃을 고려해 함께 묶여져 고정되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고전압케이블(50)이 고전압박스(10)의 측면부위로 연결됨으로써 충돌시 단전 등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이 있을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충돌로 인해 고전압박스(10)가 밀려나면 도 3(나)와 같이, 고전압박스(10)의 측면부위로 연결된 고전압케이블(50)의 커넥터(70)부위가 대시패널(100)에 부딪힘으로써 단전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을 더욱 높일 수밖에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위험을 해소하려면 고전압케이블(50)의 위치를 옮겨야 하지만 고전압박스(10)와 고정된 구조로 인해 불가능하고, 단전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보강을 많은 부위에 추가해줌으로써 중량 및 비용도 상승되는 한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고전압케이블(50)의 레이아웃 구성의 어려움은 전체 구조에 적응하기 위한 무리한 레이아웃을 가져와 일정부분에서 성능 저감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고전압케이블을 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고전압박스와 연결시켜줌으로써, 레이아웃 구성에 대한 위치 제한 없이 고전압케이블을 레이아웃할 수 있는 편리함과 충돌시 대시패널과 부딪힘에 따른 소켓부위 단전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도 낮출 수 있는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는 고전압박스의 상면에 체결되어 360도 회전과 상하로 움직이는 케이블소켓과,
상기 케이블소켓에 요철구조로 결합되어 360도 회전과 상하로 움직이는 고전압케이블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소켓은 360도 회전되는 회전연결체와, 상기 회전연결체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메일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고전압케이블은 케이블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결합되는 요철구조를 갖춘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를 눌러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조임너트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회전연결체에는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일연결단이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메일커넥터에는 상기 메일커넥터와 결합되는 요철구조의 반대쪽에서 상기 메일연결단과 끼워지고 고정되는 개구된 슬롯을 갖춘 형성된 피메일연결단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메일커넥터의 외주면 둘레를 파내어 단차구조를 이루는 결합강화홈과,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한쪽을 개구시킨 중공의 연결공간의 내면에서 돌출되어진 결합강화돌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전압박스에 연결된 고전압케이블의 전방향 회전으로 레이아웃을 적합하게 구성하는 편리함이 있고, 충돌시 대시패널과 부딪힘에 따른 소켓부위 단전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가)내지 (다)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의 조립 및 결합도이며, 도 3은 종래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의 연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는 360도 회전과 상하움직임이 가능한 케이블소켓(2)을 갖춘 고전압박스(1)와, 상기 케이블소켓(2)에 연결되어 360도 회전과 상하움직임이 가능한 고전압케이블(5)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케이블소켓(2)은 고전압박스(1)에서 360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진 회전연결체(3)와, 상기 회전연결체(3)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메일커넥터(4)로 구성되어지다.
상기 회전연결체(3)는 고전압박스(1)에 끼워져 결합되고 360도 회전가능한 원형의 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중앙부위에는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일연결단(3a)이 일체로 돌출되어진다.
상기 메일커넥터(4)는 한쪽에서 중간에 개구된 슬롯(Slot)이 형성된 피메일연결단(4a)과, 상기 피메일연결단(4a)의 반대쪽에서 외주면 둘레를 파내어 단차구조를 이루는 결합강화홈(4b)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연결체(3)의 메일연결단(3a)에 상기 메일커넥터(4)의 피메일연결단(4a)이 끼워져 결합되며, 서로간의 고정력을 위해 용접이나 납땜 또는 핀이나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도 1(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전압케이블(5)은 케이블(6)의 끝에 연결되어진 피메일커넥터(7)와, 상기 피메일커넥터(7)를 눌러 피메일커넥터(7)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조임너트(8)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피메일커넥터(7)에는 한쪽을 개구시킨 중공의 연결공간(7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7a)의 내면에는 돌출되어 직경을 축소시키는 결합강화돌기(7b)가 돌출되어진다.
상기 조임너트(8)의 내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진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의 조립 및 결합과정을 나타낸다.
도 2(가)와 같이, 고전압박스(1)에 360도 회전되도록 결합된 케이블소켓(2)에 고전압케이블(5)을 위치시켜 준다.
이때, 케이블소켓(2)은 고전압박스(1)에서 360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진 회전연결체(3)와 상하로 움직이는 메일커넥터(4)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며, 이를 위해 상기 회전연결체(3)의 메일연결단(3a)에 상기 메일커넥터(4)의 피메일연결단(4a)이 끼우고 고정하여 조립하여 준다.
또한, 고전압케이블(5)은 조임너트(8)을 최대한 뒤로 빼내어 피메일커넥터(7)의 연결공간(7a)이 최대한 벌려진 상태로 만들어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2(나)와 같이 피메일커넥터(7)를 메일커넥터(4)에 끼워 피메일커넥터(7)의 연결공간(7a)에 돌출된 결합강화돌기(7b)가 메일커넥터(4)의 결합강화홈(4b)에 맞물린 상태로 만들어 준다.
상기와 같이 피메일커넥터(7)와 메일커넥터(4)가 결합되면, 도 2(다)와 같이 조임너트(8)를 피메일커넥터(7)쪽으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켜 줌으로써, 상기 조임너트(8)가 가하는 조임력으로 연결공간(7a)의 직경을 축소시켜 준다.
이로 인해 단면도 와 같이 연결공간(7a)의 내면에 돌출된 결합강화돌기(7b)가 메일커넥터(4)의 결합강화홈(4b)에 끼워져 강하게 맞물린 상태를 형성하면서 조립되고, 이러한 조립 구조로 고전압케이블(5)은 고전압박스(1)의 위쪽에서 360도 회전 및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고전압박스(1)에 연결된 다수의 고전압케이블(5)은 함께 묶여 지더라도 회전과 상하움직임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고전압케이블(5)의 움직임으로 레이아웃을 고려한 깔끔한 배선 처리가 가능하고 특히, 충돌로 인한 고전압박스(1)의 밀림시 고전압케이블(5)의 연결부위가 대시패널에 부딪힘으로써 단전되거나 감전의 위험을 높이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케이블 연결장치는 고전압박스(1)에 결합된 고전압케이블(5)에 360도 회전과 상하움직임을 부여해줌으로써, 레이아웃에 끼치는 악영향을 제거하고 충돌시 대시패널과의 접촉에 의한 단전위험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1 : 고전압박스 2 : 케이블소켓
3 : 회전연결체 3a : 메일연결단
4 : 메일커넥터 4a : 피메일연결단
4b : 결합강화홈
5 : 고전압케이블 6 : 케이블
7 : 피메일커넥터 7a : 연결공간
7b : 결합강화돌기 8 : 조임너트

Claims (4)

  1. 고전압박스의 상면에 체결되어 360도 회전과 상하로 움직이는 케이블소켓과, 상기 케이블소켓에 요철구조로 결합되어 360도 회전과 상하로 움직이는 고전압케이블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소켓은 360도 회전되는 회전연결체와, 상기 회전연결체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메일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고전압케이블은 케이블의 끝에 연결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결합되는 요철구조를 갖춘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를 눌러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직경을 축소시키는 조임너트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체에는 두께와 폭을 갖는 메일연결단이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메일커넥터에는 상기 메일커넥터와 결합되는 요철구조의 반대쪽에서 상기 메일연결단과 끼워지고 고정되는 개구된 슬롯을 갖춘 형성된 피메일연결단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메일커넥터의 외주면 둘레를 파내어 단차구조를 이루는 결합강화홈과,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한쪽을 개구시킨 중공의 연결공간의 내면에서 돌출되어진 결합강화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KR1020100121982A 2010-12-02 2010-12-02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KR10165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982A KR101655483B1 (ko) 2010-12-02 2010-12-02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982A KR101655483B1 (ko) 2010-12-02 2010-12-02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61A true KR20120060461A (ko) 2012-06-12
KR101655483B1 KR101655483B1 (ko) 2016-09-08

Family

ID=4661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982A KR101655483B1 (ko) 2010-12-02 2010-12-02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4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077Y1 (ko) * 1996-12-31 2000-02-01 정몽규 자동차용 축전지 커넥터
US6443774B1 (en) * 2001-06-04 2002-09-03 Jack Ou Extending cigar-lighting seat
KR100691205B1 (ko) * 2005-12-08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JP3935935B2 (ja) * 1995-04-19 2007-06-2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医用装置に取り付けるための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935B2 (ja) * 1995-04-19 2007-06-2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医用装置に取り付けるための電気コネクタ
KR200168077Y1 (ko) * 1996-12-31 2000-02-01 정몽규 자동차용 축전지 커넥터
US6443774B1 (en) * 2001-06-04 2002-09-03 Jack Ou Extending cigar-lighting seat
KR100691205B1 (ko) * 2005-12-08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483B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295B2 (en) Rotatable and concealable electrical power receptacle
JP6157732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6349345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電源回路遮断装置
JP653780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40368069A1 (en) Electric connector capable of selecting a type of engagement, and electric motor including the same
US9721735B2 (en) Multi-function charger
JP2011060522A (ja) アー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ワイヤハーネス
JP5973865B2 (ja) 触指防止コネクタ
JP2013073743A (ja) コネクタ
CN104919660A (zh) 电缆连接器系统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US9373913B2 (en) Lever type connector
CN104917018B (zh) 一种方向可选的高压大电流连接器
KR20120060461A (ko)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JP6249849B2 (ja) アース端子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KR101431411B1 (ko) 레버식 커넥터
CN204793532U (zh) 一种方向可选的高压大电流连接器及其插头、插座
US7241154B1 (en) Junction block assembly with cam levers
JP6458116B1 (ja) 後付コネクタ
KR200416265Y1 (ko) 전기자동차용 파워케이블의 고정구조
JP6707285B2 (ja) コネクタ
JP6727756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203607655U (zh) 双向旋转二脚插头
CN103378452B (zh) 具有保护板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