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846A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846A
KR20120059846A KR1020100121322A KR20100121322A KR20120059846A KR 20120059846 A KR20120059846 A KR 20120059846A KR 1020100121322 A KR1020100121322 A KR 1020100121322A KR 20100121322 A KR20100121322 A KR 20100121322A KR 20120059846 A KR20120059846 A KR 2012005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led display
eye image
hea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철
김윤석
박현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9846A/ko
Publication of KR2012005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하여, 상기 OLED를 윈드실드에 부착 또는 삽입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운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자동차의 운행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OLED의 이미지의 결상거리를 늘려 운전자가 외부사물과 OLED 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를 확인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안전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피치에 따라 교대로 배치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한 화소로부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피치로 형성된 반원주형 렌즈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렌티큘라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피치에 따라 교대로 배치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한 화소로부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피치를 두고 슬릿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시차장벽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주파수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주파수와 동기화되어, 좌우측 안경부가 순차적으로 차단되는 셔터 글래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로부터의 취득된 주행 정보를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와; 상기 영상 변환부에서 변환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미리 설정된 픽셀 열로 일정한 주기로 교대로 송출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대한 픽셀 열을 입체 영상으로 출력하는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고정된 영상에 관한 고정 이미지부와 함께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 표시부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진 윈드 실드와;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 이를 접합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접합 필름과; 상기 접합 필름 내부를 향해 주행 정보에 관한 이미지를 송출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합 필름 내부에 설치되는 전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필름은 상기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송출되는 이미지에 관한 반사경로이며, 상기 접합필름 내를 통과한 이미지는 상기 전반사판에 의하여 윈드 실드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 up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OLED 디스플레이를 윈드실드에 부착 또는 삽입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운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자동차의 운행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석 전면의 크래시 패드상에는 차속, RPM, 연료 상태, 실내온도 등과 같은 각종 차량 정보를 나타내는 클러스터 게이지나 센터 패시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는 주행중 클러스터 게이지나 센터 패시아 등을 보면서 각종 차량 정보를 확인하거나 판단할 수 있다.
최근, 운전자의 편의 등을 위해 차량에 점차 많은 기능들이 부가되면서 늘어나는 차량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수단의 필요성과 이것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요구되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다.
현재 개발된 투사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조사부에서 출사되는 정보를 윈드실드에 반사시켜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투사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표시하는 LCD, LED로 표현해주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서 출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주는 반사경, 그리고 3차원 곡면의 윈드실드에 올바른 정보표시가 되게 이미지 왜곡을 보정해주는 반사경 및 여러 부대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사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이외에도 많은 광학계가 필요하므로 부피가 크고 가격이 고가이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크레시 패드에 삽입되게 되는데, 크레시패드부의 여유공간이 많지 않아 삽입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중형 이하의 크기가 작은 차량의 크레시 패드에는 여유공간이 더욱 많지 않아, 실질적으로 투사형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삽입이 어려운 구조적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투사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운전자의 안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었므로, 기존의 투사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부피가 작으며, 저가로 제작이 가능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한편, 상기 투사형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또 다른 형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를 자동차의 윈드실드에 직접 부착 및 삽입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는 LCD, OLED, PDP와 같은 평면디스플레이가 사용이 가능하지만 윈드실드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기에는 투명하고 유연한 형태로 제작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가 가장 적합하다. OLED 디스플레이는 자기발광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MP3, 핸드폰, PMP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LCD와 PDP와 비교하였을 때 투명화와 박형화가 가능하다.
일반 전기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자동차용 윈드실드에 고정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의 OLED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최소한 50%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한 특성이 필요하다. 투명도가 낮은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외부 사물의 식별이 어려워진다.
또한 자동차용 윈드실드가 3차원 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윈드실드에 부착 및 삽입하기 위해서는 유연한(flexible)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는 투사형 헤드업디스플레이에 비하여 부피가 매우 작고 낮은 제조원가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윈드실드에 직접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결상거리가 짧아 원하는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초점이 근거리 초점에 맞추어져 정보의 판독시간을 길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의 이미지의 결상거리를 늘려 운전자가 외부사물과 OLED 디스플레이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를 확인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안전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피치에 따라 교대로 배치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한 화소로부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피치로 형성된 반원주형 렌즈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렌티큘라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윈드 실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는 이를 접합하기 위한 내외측 접합 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내외측 접합 필름 사이에서 80 ~ 200℃의 온도와 2 ~ 20bar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피치에 따라 교대로 배치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한 화소로부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피치를 두고 슬릿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시차장벽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윈드 실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는 이를 접합하기 위한 내외측 접합 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내외측 접합 필름 사이에서 80 ~ 200℃의 온도와 2 ~ 20bar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주파수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주파수와 동기화되어, 좌우측 안경부가 순차적으로 차단되는 셔터 글래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윈드 실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는 이를 접합하기 위한 내외측 접합 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내외측 접합 필름 사이에서 80 ~ 200℃의 온도와 2 ~ 20bar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에 암상태 영상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차량의 주행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로부터의 취득된 주행 정보를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와; 상기 영상 변환부에서 변환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미리 설정된 픽셀 열로 일정한 주기로 교대로 송출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대한 픽셀 열을 입체 영상으로 출력하는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고정된 영상에 관한 고정 이미지부와 함께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 표시부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정보 표시부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일정한 위상차 및 시차를 가지고 교대로 표시됨에 따라 이미지의 흔들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진 윈드 실드와;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 이를 접합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접합 필름과; 상기 접합 필름 내부를 향해 주행 정보에 관한 이미지를 송출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합 필름 내부에 설치되는 전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필름은 상기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송출되는 이미지에 관한 반사경로이며, 상기 접합필름 내를 통과한 이미지는 상기 전반사판에 의하여 윈드 실드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윈드 실드의 글래스 내측면과 접합 필름 간의 경계면에는 반사향상 코팅층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티큘라 시트, 시차장벽필름, 셔터 글래스,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부 및 전반사판과 같은 외부결상수단에 의하여,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이미지가 보다 원거리 이미지로 인식이 되어 결상거리가 길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운전자가 속도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OLED 이미지를 윈드실드상의 정보가 아닌 윈드실드 바깥쪽의 이미지로 인식 할 수 있게 되므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클러스터에 고개를 돌리거나 눈을 돌리는것이 아니라 정보의 입체감을 두어 운전자의 정보 인식의 혼란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달리,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렌티큘라 시트를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OLED 디스플레이를 윈드실드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렌티큘라 시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렌티큘라 시트가 윈드실드 면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렌티큘라 시트를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렌티큘라 시트를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인식되는 이미지 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시차장벽필름을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시차장벽필름이 윈드실드 면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시차장벽필름을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좌우안 영상의 교차 신호 및 셔터 글래스를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일정 주파수로 좌안 영상, 암상태, 우안 영상을 번갈아 교차시켜 구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OLED 디스플레이와 셔터 글래스가 공통된 주파수 및 주기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 및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 및 OLED 디스플레이에서의 신호 흐름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15은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와 연동된 OLED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고,
도 16은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의 이미지 처리에 관한 흔들림 위상 및 간격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반사경로인 접합필름 및 전반사판을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OLED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되, 상기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이미지에 대한 결상 거리를 늘려, 운전자가 윈드실드 외측의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되, 운전자가 외부의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결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외부결상수단으로 렌티큘라 시트, 시차장벽필름, 셔터 글래스,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전반사판을 제공하고, 각각의 구성을 OLED 디스플레이와 조합함으로써, OLED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윈드실드 외부에 형성되는 것처럼 운전자가 인식하도록 이미지의 결상 거리를 증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외부결상수단 및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결상수단으로 OLED 디스플레이와 함께, OLED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한 외부결상수단으로 렌티큘라 시트를 사용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서는 렌티큘라 시트를 OLED 디스플레이 외측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OLED 이미지에 대하여 결상거리의 증가에 따른 이미지의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렌티큘라 시트를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서의 OLED 디스플레이(100)는 윈드 실드에 고정되어 있으며 윈드 실드에 OLED 디스플레이(1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중구조의 윈드 실드에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윈드실드(200)의 외측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도 있다.
도 2는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100)를 윈드실드(2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2중 구조의 글래스(210, 220)에 삽입되는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 내에 OLED 디스플레이(100)를 위치시키고 특정 온도(80~200도)와 특정 압력(2~20bar)을 가하여 접합시켜 고정한다.
상기 OLED 디스플레이(100)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은 PVB, EVA와 같은 필름을 일종 또는 이종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외측 글래스(210, 220)의 내부 구조는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얼보임과 기포의 방지를 위하여 2장 이상의 접합필름(230, 240)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100) 이미지의 입체화 및 결상 거리 증가를 위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분리 송출하는 OLED 디스플레이(100)부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집속하여 양안 시차를 발생시키는 렌티큘라 시트(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윈드 실드에 삽입된 OLED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좌우영상의 2분류로 세로로 교대로 배치한 후 OLED 디스플레이가 삽입된 부분의 윈드실드(200) 상부면에 반원통형의 렌티큘러 렌즈가 밀집되어 형성된 렌티큘라 시트(110)를 부착하면 렌즈 각도에 따라 좌우영상이 분리돼 해당 눈에 보이게 되고 양안시차가 발생하여 OLED 이미지를 입체감 있게 느낄 수 있다.
랜티큘라 시트는 반원주형의 투명 렌즈 다수를 평행하게 줄지어 판상으로 배열하여 붙여 놓은 것이며 도 3과 같이 반구 형태의 복수개의 랜즈가 배열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반구의 간격(P)와 반구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랜티큘라 시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랜티큘라 시트는 기재가 되는 필름에 반원주형태의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기재 필름 없이 자체로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도 4와 같이 내측 글래스(220) 외측에 랜티큘라 시트를 배치하였지만, 내측 글래스(220)의 내측에 이러한 랜티큘라 시트를 배치하여도 유사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OLED 디스플레이(100)에는 좌안영상을 분할하는 화소(L1 ~ LN) 및 우안영상을 분할하는 화소(R1 ~ RN)의 다수의 페어가 되어 OLED 디스플레이(100)부의 화소를 구성한다.
이러한 L1, R1, L2, R2,...Ln, Rn...LN, RN 의 화소는 교대로 배열되어야 하고, 그 위에 디스플레이 렌즈로써 만들어진 렌티큘러 스크린인 반원주형 렌즈의 피치는, 정확히 L1과 R1, L2와 R2...의 피치와 같게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좌안영상에 관한 분할 화소 및 우안영상에 관한 분할 화소가 일정 피치에 따라 교대로 배열된 OLED 디스플레이(100) 및 상기 OLED 디스플레이(100)의 화소 간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된 렌티큘라 시트(110)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안에 해당 영상이 독립적으로 인식됨에 따라 양안 시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 영상으로 분리된 OLED 디스플레이(100) 이미지를 상기 렌티큘라 시트(110)를 통하여 운전자가 인식하게 되면, 양안시차의 원리에 의해 원거리 이미지(P)로 인식되어 결상 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운전자가 상기 OLED 디스플레이(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윈드 실드 바깥쪽의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결상수단으로 OLED 디스플레이(100)부와 함께, OLED 디스플레이(100) 이미지에 대한 외부결상수단으로 시차장벽 필름을 사용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서는 시차장벽필름을 OLED 디스플레이 외측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OLED 이미지에 대하여 결상거리의 증가에 따른 이미지의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시차장벽 필름을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윈드 실드에 고정되어 있으며, 윈드 실드에 OLED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중구조의 윈드 실드에 삽입을 할 수도 있고 윈드실드(200)의 외측에 부착하여 고정 할 수 있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를 윈드실드(2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앞서 실시예 1에 관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2중 구조의 글래스(210, 220)에 삽입되는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 내에 OLED 디스플레이를 위치시키고 특정 온도(80~200도)와 특정 압력(2~20bar)을 가하여 접합시켜 고정한다.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은 PVB, EVA 등의 필름을 일종 또는 이종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외측 글래스(210, 220)의 내부 구조는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얼보임과 기포의 방지를 위하여 2장 이상의 접합 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구현예에 따라 OLED 디스플레이의 상부 측에 시차장벽필름은 배치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시차장벽필름은 OLED 디스플레이로의 시선에 따라 각 채널이 보이지 않도록 다수의 장벽(또는 슬릿)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다수의 장벽들은 일정 시점에서 운전자의 오른쪽 눈에 왼쪽 영상을 가려주고, 왼쪽 눈에 오른쪽 영상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윈드 실드에 삽입된 OLED 디스플레이의 영상을 좌우영상의 2분류로 세로로 교대로 배치한 후 OLED 디스플레이가 삽입된 부분의 윈드실드(200)상부면에 시차장벽필름을 부착하면 렌즈 각도에 따라 좌우영상이 분리돼 해당 눈에 보이게 되고 양안시차가 발생하여 OLED 이미지를 입체감있게 느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구현예에서의 시차장벽필름은 도 9에서와 같이, 슬릿 상의 광학적인 배리어에 의해 좌우 영상을 분리 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시차장벽필름의 작은 구멍 혹은 배리어를 사이에 놓고 2점 좌안영상(L)과 우안영상(R)을 들여다보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양안의 위치에서 보면 우안에서는 점 R만을 좌안에서는 점 L만을 볼 수 있다. 또 배리어의 크기를 제한하여 우안에서는 점 L을 볼 수 없도록 한 것은 그림에서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원리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에 관한 2개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합성한 통합이미지를 시차장벽필름을 통해 보았을 때 좌안은 좌안영상의 이미지만을 보게 되고 우안은 우안영상의 이미지만을 관찰 할 수 있다. 좌안과 우안이 관찰한 독립된 이미지는 뇌에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깊이감을 느끼게 된다.
점 L, R을 좌우 영상의 한 화소라고 가정하고 이 위치에 액정 등의 평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며 도 9와 같이 등간격의 다수의 슬릿을 가지는 패널을 놓는 것으로 입체감을 형성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결상수단으로 OLED 디스플레이와 함께, OLED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한 윈드실드(200) 외부 결상을 위하여 OLED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좌우안 영상의 교차 신호 및 운전자용 셔터 글래스를 적용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서는 셔터 글래스를 운전자가 착용함에 따라, 좌안과 우안에서의 시야가 교대로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운전자가 교대로 인식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OLED 이미지에 대한 입체감 및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좌우안 영상의 교차 신호 및 셔터 글래스를 적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윈드 실드에 고정되어 있으며, 윈드 실드에 OLED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중구조의 윈드 실드에 삽입을 할 수도 있고 윈드실드(200)의 외측에 부착하여 고정 할 수 있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를 윈드실드(2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앞서 실시예 1에 관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2중 구조의 글래스(210, 220)에 삽입되는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 내에 OLED 디스플레이를 위치시키고 특정 온도(80~200도)와 특정 압력(2~20bar)을 가하여 접합시켜 고정한다.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은 PVB, EVA 등의 필름을 일종 또는 이종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외측 글래스(210, 220)의 내부 구조는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얼보임과 기포의 방지를 위하여 2장 이상의 접합 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이미지를 입체화하고, 결상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외부 결상 수단으로서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표시되는 이미지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분하는 한편,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일정 주기에 따라 교대로 송출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구현예에서는 윈드실드(200)에 고정된 OLED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서로 다른 2개의 독립적인 영상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신호가 교대로 송출되게 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선명도를 높이고 교차영상의 잔상효과를 줄이고자 암상태의 영상을 삽입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주파수로 좌안 영상, 암상태, 우안 영상을 번갈아 교차시켜 구동시킬 경우, 더욱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의 셔터 글래스는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의 교차 신호와 연동되어, 좌우 안경이 교대로 개폐 구동이 되며, 이 교차 주기는 디스플레이에서 영상을 교차시키는 주파수와 연동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상기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셔터 글래스가 공통된 주파수 및 주기로 연동되어 동작함에 따라, 운전자는 좌안을 통하여 좌안 영상을, 우안을 통하여 우안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즉, 좌안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때는 셔터글래스의 좌측 안경부만 빛을 통과시키고 우안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때는 셔터글래스의 반대편 우측 안경부에서 빛이 통과하기 때문에 좌우안에서는 독립적으로 1개의 영상 신호만을 관찰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셔터글래스와 디스플레이의 교차된 영상 신호는 정확하게 동조화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지만 그 통신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본 구현예에 다르면, 윈드실드(200)에 고정되어 있는 OLED 이미지에 양안 시차를 느낄 수 있게 3D영상으로 처리된 OLED이미지를 좌우안에 독립적으로 번갈아 구동되는 셔터글래스를 착용한 운전자가 이미지를 보면 뇌는 이미지에서 원근감과 입체감을 느껴 결상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결상수단으로 OLED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OLED 디스플레이로 입체 영상으로 변환된 신호를 전달하는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를 적용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로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입체 영상 신호로 변환되는 일련의 구성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OLED 이미지에 대하여 결상거리의 증가에 따른 이미지의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윈드 실드에 고정되어 있으며, 윈드 실드에 OLED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중구조의 윈드 실드에 삽입을 할 수도 있고 윈드실드(200)의 외측에 부착하여 고정 할 수 있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를 윈드실드(2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앞서 실시예 1에 관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2중 구조의 글래스(210, 220)에 삽입되는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 내에 OLED 디스플레이를 위치시키고 특정 온도(80~200도)와 특정 압력(2~20bar)을 가하여 접합시켜 고정한다.
내외측 접합필름(230, 240)은 PVB, EVA 등의 필름을 일종 또는 이종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외측 글래스(210, 220)의 내부 구조는 접합시 발생할 수 있는 얼보임과 기포의 방지를 위하여 2장 이상의 접합 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 및 OLED 디스플레이에서의 신호 흐름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는 크게 정보 수신부, 부가 정보 획득부, 영상 변환부 및 영상 처리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는 차량의 속도와 위치 정보 등과 같이 표시하여야 할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 수신부는 GPS와 같은 위치 추적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 획득부에서는 보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영상이란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 영상으로는 좌안 영상, 우안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영상 획득에 필요한 부가 정보는 시차 정보(parallax information)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차 정보(parallax information)란, 입체의 깊이감을 부여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위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 변환부에서는 상기 부가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에 관한 기준 영상을 보조 영상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렇게 변환된 보조 영상은 영상 처리부를 통해 이미지 변환 비율에 따라 픽셀 열로 주기적으로 교차하여 송출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교차 송출된 보조 영상은 O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보조 영상의 픽셀 열을 입체 영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15는 본 구현예에 따라 제작된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와 연동된 OLED 디스플레이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고정 이미지부(310)와 정보 표시부(320)로 구성된다.
고정 이미지부(310)는 모노스코픽영상으로 좌우 흔들림이 있는 정보 표시부(320)과 비교하였을때 단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즉, 상기 정보 표시부(320)는 영상 변화부와 영상 처리부에 의해 이미지의 좌우 흔들림이 있는 영상으로 처리가 되어 고정 이미지부(310)와 동시에 관찰하였을 때 3D 구현을 위한 복잡한 구성품 없이도 간단하게 원거리감 착시를 일으키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은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의 이미지 처리에 관한 흔들림 위상 및 간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6에서의 위상이란, 입체감 형성을 위한 보조 영상, 즉,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각각 형성하는 이미지 간의 거리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고, 간격은 이러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갖는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구현예의 바람직한 예에 따른 이미지의 좌우 흔들림은 1mm ~ 20mm의 흔들림 위상 및 0.1ms ~ 30ms의 흔들림 간격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수득된 속도 정보에 관한 기준 영상에 흔들림 위상 및 간격을 부여함으로써, 이미지의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시차의 원리에 의하여 OLED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운전자가 원거리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므로, 결상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윈드실드(200) 외부의 이미지로 인식하게 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결상수단으로 윈드 실드 내부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함께, 상기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이미지가 전반사로 통과되는 윈드 실드 내부의 광통로 및 상기 광통로에 형성된 전반사판을 적용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되는 이미지가 윈드 실드 내외측 글래스 내부에 형성된 광통로를 따라 전반사되면서 이동하되, 상기 광통로 상에 형성된 전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이미지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OLED 이미지에 대하여 결상거리의 증가에 따른 이미지의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구현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전반사판에 도달하는 반사경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결상길이가 길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도 16에서와 같이 OLED 디스플레이를 윈드실드(200)의 에지에 삽입 또는 부착시키고 글래스(210, 220)와 접합필름(250)을 OLED 디스플레이(100)에서 출사된 이미지의 통로로 사용하여 이미지를 전달 시키면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된 이미지는 광통로를 통해 전반사를 일으키며 전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OLED 디스플레이를 접합 필름 내부를 향해 주행 정보에 관한 이미지를 송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윈드실드(200)를 통해 전달된 이미지는 이미지 출사를 원하는 지점에 전반사를 유도하는 전반사판(140)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보이게 된다.
실제 디스플레이의 이미지가 운전자에게 전달될 때 이동한 거리인 반사경로의 길이(A)는 글래스면을 통해서 OLED 디스플레이의 상이 형성되는 결상거리와 동일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반사경로만큼 길어진 결상거리를 통해, 이미지가 관찰되는 거리(A)만큼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본 구현예에서는 글래스(210, 220)와 접합필름(250)의 경계면이 광반사를 발생시키는 면으로 작용한다. 접합필름과 글래스(유리)의 굴절율이 상이하기 대문에 반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사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래스(210, 220)와 접합필름(250)의 경계면에 반사향상 코팅층을 삽입할 수 있다. 반사향상 코팅층은 굴절율이 높은 재질이 유리하며 고굴절 석영 및 고분자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반사판(140)은 반사경로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출사 기능을 한다. 전반사판(140)은 윈드실드(200)의 접합필름(250) 내에 위치하여 반사경로로 반사되는 빛의 도출을 위한 것으로 접합필름(250)과 굴절율이 상이하여야 하며, 상기 접합필름(250)의 굴절율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진 것이 유리하다.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전반사판(140)까지의 반사경로는 도 17에서와 같이, 많은 경로를 가지며 광이 전달 될 수 있다. 반사경로를 통해 반사되는 빛은 운전자 안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특정 각도로 기울어져 삽입되어 있어 운전자에게 효율적으로 빛과 이미지를 전달 시킨다. 상기 전반사판(140)은 광출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개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로 사용하였지만 디스플레이는 LCD, PDP, 레이저 등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OLED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윈드실드(200)의 에지면에 위치하거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윈드 실드의 글래스면 사이의 접합필름을 광통로인 반사경로로 이용할 수 있다면, 도 17에서처럼 윈드 실드의 에지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티큘라 시트, 시차장벽필름, 셔터 글래스, 입체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전반사판과 같은 외부결상수단을 OLED 디스플레이와 조합함으로써, 상기 OLED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대한 결상 거리를 증가시켜 운전자가 외부의 주행 정보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처럼 구성하여운전자의 운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100: OLED 디스플레이 110: 렌티큘라 시트
120: 시차장벽필름 130: 셔터 글래스
140: 전반사판 200: 윈드실드
210, 220: 내외측 글래스 230, 240: 내외측 접합필름
250: 접합필름

Claims (11)

  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피치에 따라 교대로 배치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한 화소로부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피치로 형성된 반원주형 렌즈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렌티큘라 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드 실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는 이를 접합하기 위한 내외측 접합 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내외측 접합 필름 사이에서 80 ~ 200℃의 온도와 2 ~ 20bar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피치에 따라 교대로 배치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대한 화소로부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피치를 두고 슬릿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시차장벽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윈드 실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는 이를 접합하기 위한 내외측 접합 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내외측 접합 필름 사이에서 80 ~ 200℃의 온도와 2 ~ 20bar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5.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주파수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순차적으로 분리 송출하도록 구성되며, 윈드 실드 상에 설치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주파수와 동기화되어, 좌우측 안경부가 순차적으로 차단되는 셔터 글래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윈드 실드는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는 이를 접합하기 위한 내외측 접합 필름이 삽입되고,
    상기 O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내외측 접합 필름 사이에서 80 ~ 200℃의 온도와 2 ~ 20bar의 압력을 가하여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에 암상태 영상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8.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로부터의 취득된 주행 정보를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와;
    상기 영상 변환부에서 변환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미리 설정된 픽셀 열로 일정한 주기로 교대로 송출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대한 픽셀 열을 입체 영상으로 출력하는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고정된 영상에 관한 고정 이미지부와 함께 입체 영상에 관한 정보 표시부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OLED 디스플레이의 정보 표시부에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일정한 위상차 및 시차를 가지고 교대로 표시됨에 따라 이미지의 흔들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2중 구조의 글래스로 이루어진 윈드 실드와;
    상기 2중 구조의 글래스 내에 이를 접합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접합 필름과;
    상기 접합 필름 내부를 향해 주행 정보에 관한 이미지를 송출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합 필름 내부에 설치되는 전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필름은 상기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송출되는 이미지에 관한 반사경로이며, 상기 접합필름 내를 통과한 이미지는 상기 전반사판에 의하여 윈드 실드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윈드 실드의 글래스 내측면과 접합 필름 간의 경계면에는 반사향상 코팅층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21322A 2010-12-01 2010-12-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9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322A KR20120059846A (ko) 2010-12-01 2010-12-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322A KR20120059846A (ko) 2010-12-01 2010-12-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846A true KR20120059846A (ko) 2012-06-11

Family

ID=4661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322A KR20120059846A (ko) 2010-12-01 2010-12-0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984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4A1 (ko) * 2012-09-24 2014-03-27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450673B1 (ko) * 2013-04-11 2014-10-16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아이콘 방식 및 도트 방식의 투명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9503B1 (ko) * 2013-04-11 2015-01-08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외부 정보 음성 출력이 가능한 투명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04685404A (zh) * 2012-09-24 2015-06-03 娜我比可隆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
WO2015199339A1 (ko) * 2014-06-27 2015-12-30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 및 내비게이션정보 표시방법
USD797628S1 (en) 2015-03-09 2017-09-19 Samsung Display Co., Ltd. Automotive sun visor having display device
WO2019022517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크레모텍 차량용 삼차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2043389B1 (ko) * 2018-06-21 2019-11-1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아이박스의 공액면에서 영상을 분리해 양안시차를 생성하는 3차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1051229A (ja) * 2019-09-25 2021-04-01 京セラ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移動体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設計方法
EP3001238B1 (en) * 2014-09-29 2022-12-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ransmittance eyewear for head-up displays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4A1 (ko) * 2012-09-24 2014-03-27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4685404A (zh) * 2012-09-24 2015-06-03 娜我比可隆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
KR101450673B1 (ko) * 2013-04-11 2014-10-16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아이콘 방식 및 도트 방식의 투명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9503B1 (ko) * 2013-04-11 2015-01-08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외부 정보 음성 출력이 가능한 투명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EP3163355A4 (en) * 2014-06-27 2018-03-07 Kolonauto Co., Ltd Head-up display system, head-up display device, and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WO2015199339A1 (ko) * 2014-06-27 2015-12-30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 및 내비게이션정보 표시방법
CN106605165A (zh) * 2014-06-27 2017-04-26 可隆奥托株式会社 平视显示系统、平视显示设备和导航信息显示方法
EP3001238B1 (en) * 2014-09-29 2022-12-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transmittance eyewear for head-up displays
USD797628S1 (en) 2015-03-09 2017-09-19 Samsung Display Co., Ltd. Automotive sun visor having display device
USD805980S1 (en) 2015-03-09 2017-1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automotive dashboard
WO2019022517A1 (ko) * 2017-07-26 2019-01-31 주식회사 크레모텍 차량용 삼차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2043389B1 (ko) * 2018-06-21 2019-11-1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아이박스의 공액면에서 영상을 분리해 양안시차를 생성하는 3차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1051229A (ja) * 2019-09-25 2021-04-01 京セラ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移動体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設計方法
EP3988990A4 (en) * 2019-09-25 2022-10-12 Kyocera Corporation HEAD-UP DISPLAY, HEAD-UP DISPLAY SYSTEM, MOBILE OBJECT AND METHOD OF DESIGNING HEAD-UP DISPLAY
US20220334389A1 (en) * 2019-09-25 2022-10-20 Kyocera Corporation Head-up display, head-up display system, moving object, and method of designing head-up display
CN113016178A (zh) * 2019-09-25 2021-06-22 京瓷株式会社 平视显示器、平视显示器系统、移动体以及平视显示器的设计方法
CN113016178B (zh) * 2019-09-25 2023-05-26 京瓷株式会社 平视显示器、平视显示器系统、移动体以及平视显示器的设计方法
US11874464B2 (en) 2019-09-25 2024-01-16 Kyocera Corporation Head-up display, head-up display system, moving object, and method of designing head-up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9846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11991345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ed display using same
CN106257321B (zh) 3d抬头显示系统和方法
EP2905649B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WO2009066408A4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head-up display
US10148942B2 (en) Mirror display system
KR20220006046A (ko) 동심 라이트 필드 및 단안 대 양안 혼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JPWO2007116910A1 (ja) 画像表示装置
US11272169B2 (en) Viewpoint controllabl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CN108761802A (zh) 一种裸眼3d-hud显示装置
US20140293024A1 (en) Foldabl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84166B2 (en) Motor vehicle and display of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object
CN107870428B (zh) 图像显示装置
US11119335B2 (en) Display panel, controlling metho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1164631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101467192B1 (ko) 영상분리표시장치
TWI438493B (zh) 利用聲光效應、具焦距可調功能的立體影像顯示裝置
JP4627334B1 (ja) 立体画像表示装置
CN112526748A (zh) 一种抬头显示设备、成像系统和车辆
JP4927208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200017832A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4595485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4198629A (ja) 表示装置
CN210666207U (zh) 一种抬头显示设备、成像系统和车辆
US20240001761A1 (en) In-vehicle display with stereoscopic and monocular depth program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