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692A - 침전저감형 하수관 - Google Patents
침전저감형 하수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9692A KR20120059692A KR1020100121078A KR20100121078A KR20120059692A KR 20120059692 A KR20120059692 A KR 20120059692A KR 1020100121078 A KR1020100121078 A KR 1020100121078A KR 20100121078 A KR20100121078 A KR 20100121078A KR 20120059692 A KR20120059692 A KR 201200596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arc
- pipe
- sewer pipe
- sewage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를 내부 통로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 상부에 호형 단면구조의 호형부분과, 호형부분의 양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수직부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침전 저감형 하수관에 의하면, 바닥부분이 통수 단면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유속을 높일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 와류 형성에 의한 퇴적물의 상승을 유도하여 침전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를 내부 통로를 통해 이송시키는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침전량을 저감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침전저감형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오수나 우수를 배제하여 하수 처리장이나 하천으로 이송시키는 암거로서, 지하 1미터(m) 정도의 깊이 또는 이보다 더 깊게 배설된다.
이러한 하수관거중 유속이 느린 하수관에서는 바닥에 오니나 토사가 퇴적되어 유수의 소통을 방해하거나 폐쇄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침전물이 부패하거나 유수가 역류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하수관거의 침전은 하수관거를 매설시 경사가 완만하여 충분한 유속을 확보할 수 없거나, 유량이 적은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대부분의 하수관거는 지형을 따라 매설될 수 밖에 없어 이러한 침전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려워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고, 침전된 토사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하수관 내에서의 침전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침전저감형 하수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전저감형 하수관은 하수를 내부 통로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은 내측 상부에 호형 단면구조의 호형부분과, 상기 호형부분의 양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상기 수직부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부분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수관의 내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된 와류 형성 돌기;를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류 형성 돌기는 상기 하수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도 상호 이격되어 상기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저감형 하수관에 의하면, 바닥부분이 통수 단면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유속을 높일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 와류 형성에 의한 퇴적물의 상승을 유도하여 침전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전 저감형 하수관을 나타내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침전 저감형 하수관을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침전 저감형 하수관을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전 저감형 하수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전 저감형 하수관을 나타내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수관(100)은 지하에 매설되어 하수를 내부 통로(112)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수관(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고, 단면형상을 구분하면, 호형부분(114), 수직부분(116) 및 수평부분911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하수관(110)은 내측 상부에 호형 단면구조로 된 호형부분(114)의 양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수직부분(116)이 연장되어 있고, 수직부분(116)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119)을 형성하는 수평부분(11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수관(110)을 통해 이송되는 유수의 유량은 단면적과 유속의 곱에 비례하고, 본 하수관(110)은 호형부분(114)의 양단에서 호형부분과 동일한 곡률로 하부가 연장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조에 비해 호형부분(114)의 양단에서 수직부분(116)과 수평부분(118)에 의해 바닥면(119)을 형성하는 구조가 하부 통수단면을 줄일 수 있어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수관(110)은 호형부분(114) 하부에 사각 형태로 형성된 수직부분(116)과, 수평부분(118)에 의해 통수단면을 줄일 수 있어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유속증가에 의해 침전량을 줄일 수 있은 장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수직부분(116)은 수평부분(118)에 대해 직각, 예각 또는 둔각 형태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하수관(110)을 통해 이송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시간경과 또는 일시적인 유량감소에 따라 바닥면(119)에 침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수를 통해 이송되는 하수가 와류를 일으켜서 바닥면(119)에 침전된 침전물을 간섭하여 원할하게 이송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수관(110)의 내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된 와류 형성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하수관(110)에 형성되는 와류 형성돌기(122)는 링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형성돌기(122)는 이송되는 유수가 부딪치면서 유수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를 일으켜 바닥면(119)에 침전된 침전물을 간섭하여 부상하게 하는 부상력을 발생시켜 침전을 억제시킨다.
110: 하수관 114: 호형부분
116: 수직부분 118: 수평부분
122: 와류발생돌기
116: 수직부분 118: 수평부분
122: 와류발생돌기
Claims (3)
- 하수를 내부 통로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은 내측 상부에 호형 단면구조의 호형부분과, 상기 호형부분의 양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상기 수직부분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 저감형 하수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의 내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된 와류 형성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 저감형 하수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 돌기는 상기 하수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도 상호 이격되어 상기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 저감형 하수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078A KR20120059692A (ko) | 2010-12-01 | 2010-12-01 | 침전저감형 하수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078A KR20120059692A (ko) | 2010-12-01 | 2010-12-01 | 침전저감형 하수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9692A true KR20120059692A (ko) | 2012-06-11 |
Family
ID=4661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1078A KR20120059692A (ko) | 2010-12-01 | 2010-12-01 | 침전저감형 하수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5969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298B1 (ko) * | 2013-11-08 | 2015-07-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슬러깅 방지 장치 |
-
2010
- 2010-12-01 KR KR1020100121078A patent/KR2012005969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298B1 (ko) * | 2013-11-08 | 2015-07-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슬러깅 방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12777B2 (en) | Stormwater dispensing chamber | |
US7892425B2 (en) | Stormwater plug flow separation system | |
US10655318B2 (en) | Stormwater drain baffle | |
JP7164303B2 (ja) | 排水システム | |
KR101111302B1 (ko) |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 |
KR101515104B1 (ko) | 팽이형 관로 단면 구조를 갖는 노견겸용 프리캐스트 배수구조물 | |
KR20120059692A (ko) | 침전저감형 하수관 | |
JP2008267023A (ja) | 雨水貯留システム | |
US6837652B1 (en) | Nestable catch basin with integral debris trap | |
CN209975299U (zh) | 一种市政用路面快速排水装置 | |
KR101394129B1 (ko) | 다단식 지하유입구 | |
KR101675310B1 (ko) | 다단식 나선 지하유입구 | |
KR200405377Y1 (ko) | 맨홀 | |
KR101741014B1 (ko) |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 |
KR101668220B1 (ko) |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 |
KR101464204B1 (ko) | 나선식 지하유입구 | |
CN216566637U (zh) | 一种可浮动城市道路下水道井盖装置 | |
CN210395588U (zh) | 雨水口检查井 | |
US10604927B2 (en) | Prerotation basin for pumping fluids from a wet well | |
KR100973298B1 (ko) |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 |
KR101010204B1 (ko) |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 |
KR20180006078A (ko) | 우수와 오수의 분리 배제형 하수암거 | |
JP2007186861A (ja) | 雨水排水装置 | |
KR20060106097A (ko) | 환경 친화적인 연약지반 하수로용 암거구조 | |
KR200378243Y1 (ko) | 시공성과 배수성이 향상된 맨홀바닥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