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298B1 - 슬러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298B1
KR101540298B1 KR1020130135221A KR20130135221A KR101540298B1 KR 101540298 B1 KR101540298 B1 KR 101540298B1 KR 1020130135221 A KR1020130135221 A KR 1020130135221A KR 20130135221 A KR20130135221 A KR 20130135221A KR 101540298 B1 KR101540298 B1 KR 10154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turbulence
fossil resources
slugg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027A (ko
Inventor
정현수
서장훈
유영목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2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정에서 생산된 원유 및 가스의 생산물에 난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파이프 라인과 라이저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슬러깅을 방지하는 슬러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깅 방지 장치는 화석 자원이 이동하는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화석 자원의 흐름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생성부 및 상기 난류 생성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과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러깅 방지 장치{Slugging prev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슬러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정에서 생산된 원유 및 가스의 생산물에 난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파이프 라인과 라이저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슬러깅을 방지하는 슬러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 매장된 화석 자원을 채굴하여 원유 및 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시스템(10)은 크게 유정(11), 파이프 라인(12), 라이저(13) 및 해상 플랫폼(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 1은 이를 나타내고 있다.
유정(11)은 해저면에 삽입된 강관을 통해 화석 자원을 채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파이프 라인(12)은 채취된 화석 자원이 해저면을 따라 해상 플랫폼(14)이 있는 지점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경로 역할을 수행하며, 라이저(13)는 파이프 라인(12)에 연결되어 파이프 라인(12)을 통해 이동된 화석 자원을 수직 이동시켜 해상 플랫폼(14)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경로 역할을 수행한다.
유정(11)에 의하여 채취된 화석 자원은 원유, 가스 및 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해상 플랫폼(14)은 전달된 화석 자원을 액체와 기체로 분리하고 물을 제거하여 원유를 추출하거나, 가스를 고압으로 압축시켜 고압 가스를 생산할 수도 있다.
파이프 라인(12)은 해저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라이저(13)는 파이프 라인(12)의 일단에 연결되어 해상 플랫폼(13)까지 연장되는데, 결국 파이프 라인(12)과 라이저(13)는 직각 또는 이에 유사한 각도를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화석 자원은 원유, 가스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화석 자원의 흐름이 다상 유동(multi phase flow)인 경우 파이프 라인(12)과 라이저(13)가 연결된 부분에서 슬러깅(slugg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화석 자원이 액체 및 기체로 구성됨에 따라 파이프 라인(12)의 하단은 액체로 채워지고 파이프 라인의 상단은 기체로 채워지는데, 이에 따라 액체 및 기체가 불균형을 이루면서 라이저(13)를 통해 상승하기 때문에 원활한 화석 자원의 이송이 수행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정(11)에 의하여 생산된 생산물의 흐름이 다상 유동임에 따라 파이프 라인(12)과 라이저(13)의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슬러깅 현상을 방지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482호 (2011.12.21)
본 발명은 유정에서 생산된 원유 및 가스의 생산물에 난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파이프 라인과 라이저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슬러깅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깅 방지 장치는 화석 자원이 이동하는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화석 자원의 흐름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생성부 및 상기 난류 생성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과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러깅 방지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 라인과 라이저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슬러깅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화석 자원의 이송을 구현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유 및 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깅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슬러깅 방지 장치가 파이프 라인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류 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난류 생성부가 파이프 라인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나타내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라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라인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깅 방지 장치에 의하여 화석 자원 혼합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석 자원 혼합체가 파이프 라인 및 라이저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유정에서 채취된 화석 자원은 원유, 가스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화석 자원은 원유, 가스 및 물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거나 혼합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유 및 가스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화석 자원을 구성할 수 있으며, 원유 및 물이 서로 혼합된 상태로 화석 자원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원유 및 가스와 같이 서로 다른 상태로 구성되어 다상 유동(multi phase flow)으로 화석 자원이 이동하는 경우 파이프 라인(200)과 라이저(300)가 연결된 부분에서 슬러깅(slugg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슬러깅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화석 자원의 이송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파이프 라인(200)을 통하여 이동 중인 화석 자원에 난류를 발생시켜 액체와 기체가 골고루 섞인 상태로 라이저(300)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에는 난류를 발생시키는 수단(41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난류 발생 수단(410)으로 인하여 화석 자원의 난류가 발생되고 원유 및 물로 구성된 액체와 가스로 구성된 기체가 서로 섞여 혼합체의 형태로 라이저(300)를 통해 수직 이동하게 된다.
슬러깅 현상은 액체 및 기체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파이프 라인(200)을 통해 수평 이동하다가 라이저(300) 하부에 밀도가 큰 액체가 쌓이게 되고 누적된 액체 뒤쪽의 압력이 높이지면 순간적으로 액체가 빠른 속도로 라이저(300) 출구로 배출되는 현상으로서, 본원발명과 같이 액체와 기체를 골고루 섞은 혼합체가 라이저(300)를 통해 상승되도록 하는 경우 슬러깅 현상의 발생은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체 및 기체로 구성된 화석 자원이 파이프 라인(200)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액체가 파이프 라인(200)의 하단에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기체가 파이프 라인(200)의 상단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파이프 라인(200)의 상단 및 하단을 통해 이동하는 액체 및 기체가 보다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난류 발생 수단(410)은 파이프 라인(200)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깅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에 복수의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는 난류 생성부(411, 421) 및 결합부(415, 4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난류 생성부(411, 421)는 화석 자원이 이동하는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배치되어 화석 자원의 흐름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결합부(415, 425)는 난류 생성부(411, 421)의 일측에 구비되어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과 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난류 생성부(411, 421)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어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때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은 중력 방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에서 지구 중심 쪽이 하측이고 그 반대쪽이 상측인 것이다. 따라서, 파이프 라인(200)에 접한 해저면의 위치와 무관하게 파이프 라인(200) 내부의 상측 및 하측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난류 생성부(411, 421)가 배치되는 이유는 액체 및 기체로 구성된 화석 자원을 골고루 섞기 위함이다. 즉, 파이프 라인(200)의 하단을 통해 액체가 이동하고 상단을 통해 기체가 이동하는데,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난류 생성부(411, 421)를 배치함으로써 액체 및 기체의 충돌 회수를 증가시켜 골고를 섞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파이프 라인(200)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의 상측에 구비된 난류 생성부(411)와 하측에 구비된 난류 생성부(421)는 파이프 라인(200)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서로 엇갈려서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상태의 화석 자원이 난류 생성부(411, 421)에 부딪히는 수평 위치가 서로 상이함에 따라 혼합 효율이 더욱 상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석 자원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그 속도로 인하여 액체 및 기체가 서로 부딪히면서 자연적으로 혼합되어 이동할 수 있는데,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 생성부(411, 421)가 배치되면 불필요하게 혼합체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즉, 난류 생성부(411, 421)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액체 및 기체가 혼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난류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석 자원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난류 생성부(411, 421)는 일정 속도 이상을 갖는 화석 자원의 흐름에 의하여 결합부(415, 425)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구비된 수용 공간(511, 521)에 수용될 수 있는데 도 4는 이를 나타내고 있다.
화석 자원의 속도에 따라 난류 생성부(411, 421)가 수용 공간(511, 521)에 수용되는지 여부는 결합부(415, 425)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합부(415, 425)는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과 결합되어 난류 생성부(411, 421)가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결합부(415, 425)를 축으로 난류 생성부(411, 421)가 회전할 수 있는데, 결합부(415, 425)에 구비된 탄성 수단(미도시)으로 인하여 난류 생성부(411, 421)가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난류 생성부(411, 421)의 말단이 파이프 라인(20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이동 중인 화석 자원이 난류 생성부(411, 421)에 부딪히는 경우 그 힘에 의하여 난류 생성부(411, 421)가 결합부(415, 425)를 축으로 회전하여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화석 자원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임에 따라 화석 자원이 난류 생성부(411, 421)에 작용하는 힘이 결합부(415, 425)의 탄성력을 초과하면 난류 생성부(411, 421)가 결합부(415, 425)를 축으로 회전하여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까지 밀릴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결합부(415, 425)를 축으로 회전하여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까지 밀린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파이프 라인(200)에 구비된 수용 공간(511, 521)에 수용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화석 자원과 난류 생성부(411, 421)간의 충돌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석 자원의 흐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힘이 난류 생성부(411, 421)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판형일 수 있다. 즉, 난류 생성부(411, 421)는 그 일면이 화석 자원의 흐름과 부딪히도록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고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난류 생성부(411, 421)가 판형임에 따라 화석 자원의 흐름에 의한 힘으로 인하여 난류 생성부(411, 421)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난류 생성부(411, 421)에 부딪힌 화석 자원의 혼합도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난류 생성부(411, 421)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난류 생성부(412, 422)는 그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는데, 도 5는 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의 난류 생성부(412, 422)가 파이프 라인(200)의 수용 공간(512, 522)에 수용되는 것을 나타내 도면으로서, 난류 생성부(412, 422)의 길이가 서로 상이함에 따라 수용 공간(512, 522)도 대응하는 난류 생성부(412, 4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결정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난류 생성부 모두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일부는 동일하고 일부는 상이할 수 있으며, 복수의 난류 생성부 모두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 복수의 난류 생성부 모두가 동일한 길이를 가진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라인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은 난류 생성부(411, 421)가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난류 생성부(411, 421)가 수용 공간(511, 521)에 수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판형일 수 있는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 생성부(411, 421)가 판형임에 따라 화석 자원의 흐름에 의한 힘으로 인하여 난류 생성부(411, 421)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난류 생성부(411, 421)에 부딪힌 화석 자원의 혼합도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 생성부(411, 421)가 수용 공간(511, 521)에 수용되는 경우 파이프 라인(200) 내에서 화석 자원이 이동할 수 있는 보다 큰 단면적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라인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 9는 난류 생성부(411, 421)가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난류 생성부(411, 421)가 수용 공간(511, 521)에 수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배치되는데, 그 각도는 90도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난류 생성부(411, 421)와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간의 각도는 난류 생성부(411, 421)와 수용 공간(511, 521)간의 각도를 의미한다. 즉, 난류 생성부(411, 421)가 수용 공간(511, 521)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는 그 각도가 0도이고, 난류 생성부(411, 421)가 결합부(415, 425)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수용 공간(511, 521)에서 이탈하여 수용 공간(511, 521)과 이루는 각도가 전술한 난류 생성부(411, 421)와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면간의 각도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는 화석 자원의 이동 방향이 고려되어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5)의 장 방향이 파이프 라인(20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도록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가 배치되어,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파이프 라인(200)의 장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와 같이 난류 생성부(411, 421)가 회전하여 수용 공간(511, 521)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화석 자원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에 큰 무리가 발생하여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9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화석 자원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깅 방지 장치에 의하여 화석 자원 혼합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화석 자원이 파이프 라인(200)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라이저(300)를 통하여 수직 상승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액체(910) 및 기체(920)로 구성된 화석 자원이 파이프 라인(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액체(910)는 파이프 라인(200)의 하단을 따라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기체(920)는 파이프 라인(200)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상태의 화석 자원이 그대로 라이저(300)를 통하여 수직 상승하게 되면 슬러깅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라인(200)은 라이저(300)와 연결된 부위에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의 난류 생성부(411, 421)가 수용 공간(511, 521)에서 이탈하여 파이프 라인(200)의 내부쪽으로 향하여 산개되어 있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상태의 화석 자원은 난류 생성부(411, 421)와 부딪히면서 난류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파이프 라인(200)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상측에 구비된 난류 생성부(411, 421)에 의하여 기체(920)가 부딪히고, 하측에 구비된 난류 생성부(411, 421)에 의하여 액체(910)가 부딪힘에 따라 난류의 발생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난류가 발생함에 따라 잘게 부서진 액체(911) 및 기체(921)가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액체(911) 및 기체(921)가 골고루 섞임으로써 혼합체(930)가 형성되고, 그 혼합체(930)가 라이저(300)를 통해 수직 상승하게 된다.
슬러깅 현상은 액체와 기체가 서로 분리되어 라이저(300)를 통해 수직 상승한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본 발명과 같이 액체 및 기체의 혼합체(930)가 라이저(300)를 통해 수직 상승하는 경우 슬러깅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석 자원 혼합체가 파이프 라인 및 라이저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석 자원의 이동 속도가 낮은 경우 액체와 기체로 분리되어 파이프 라인(200)을 통과할 수 있지만, 그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자체적으로 난류를 발생시켜 혼합체(940)의 형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난류 생성부(411, 421)가 산개된다면 이는 혼합체(940)의 이동을 방해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러깅 방지 장치(430, 440)의 결합부(415, 425)는 탄성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는데, 화석 자원 혼합체(940)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를 넘어서게 되면 화석 자원 혼합체(940)가 난류 생성부(411, 421)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탄성력을 초과하게 되고, 그에 따라 난류 생성부(411, 421)는 파이프 라인(200)의 수용 공간(511, 521)에 수용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0: 파이프 라인 300: 라이저
430, 440: 슬러깅 방지 장치 411, 412, 421, 422: 난류 발생부
415, 425: 결합부 511, 512, 521, 522: 수용 공간

Claims (11)

  1. 화석 자원이 이동하는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화석 자원의 흐름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생성부; 및
    상기 난류 생성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과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난류 생성부는 일정 속도 이상을 갖는 상기 화석 자원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에 구비된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슬러깅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난류 생성부가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는 슬러깅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난류 생성부는 상기 파이프 라인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슬러깅 방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난류 생성부는 그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한 슬러깅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생성부는 판형인 슬러깅 방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난류 생성부가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슬러깅 방지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생성부는 그 일면이 상기 화석 자원의 흐름과 부딪히도록 상기 파이프 라인의 내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고 배치되는 슬러깅 방지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석 자원은 유정에 의하여 채취된 원유, 가스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슬러깅 방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석 자원은 상기 원유, 가스 및 물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거나, 혼합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슬러깅 방지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깅 방지 장치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상기 파이프 라인의 일단에 연결되어 해상 플랫폼으로 연장되는 라이저와의 연결부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슬러깅 방지 장치.
KR1020130135221A 2013-11-08 2013-11-08 슬러깅 방지 장치 KR10154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221A KR101540298B1 (ko) 2013-11-08 2013-11-08 슬러깅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221A KR101540298B1 (ko) 2013-11-08 2013-11-08 슬러깅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027A KR20150054027A (ko) 2015-05-20
KR101540298B1 true KR101540298B1 (ko) 2015-07-31

Family

ID=5339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221A KR101540298B1 (ko) 2013-11-08 2013-11-08 슬러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937B1 (ko) * 2017-05-16 2019-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교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260533B1 (ko) * 2019-11-28 2021-06-04 강원도 유체의 흐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549A (ja) * 2003-03-07 2004-09-30 Auto Advance Aizawa:Kk スロットルバルブの弁開閉構造
KR20110136482A (ko) * 2010-06-15 2011-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난류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20120059692A (ko) * 2010-12-01 2012-06-11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침전저감형 하수관
KR101153202B1 (ko) * 2009-05-08 2012-06-18 나상철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549A (ja) * 2003-03-07 2004-09-30 Auto Advance Aizawa:Kk スロットルバルブの弁開閉構造
KR101153202B1 (ko) * 2009-05-08 2012-06-18 나상철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6482A (ko) * 2010-06-15 2011-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난류 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20120059692A (ko) * 2010-12-01 2012-06-11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침전저감형 하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027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83425A1 (en) Inline non-targeted component removal
KR101540298B1 (ko) 슬러깅 방지 장치
PL227097B1 (pl) Kompaktowy, inercyjny układ rozdzielajacy mieszaninygaz -ciecz
CN106522853B (zh) 一种立管柱群振动防碰与发电装置及方法
CN103883268A (zh) 一种筛孔喷气式涡激振动抑制装置及方法
JP2015086675A (ja) 高波津波を防災減災するために特定海域を気泡充満海域にするシステム
AU2018406438B2 (en) Wave capturing and attenuating structure
CN108860475A (zh) 一种安装时锚身四周可喷气泡的鱼雷锚
KR101162441B1 (ko) 부유식 구조물
CN102644446A (zh) 一种抑制海洋立管及管道涡激振动的装置及方法
KR20010072869A (ko) 스파저의 위상 상호 작용을 사용하는 풀 압력 완화 방법및 장치
US20180230759A1 (en) Shock mitigation devices
CN102966313A (zh) 海洋立管海流响应表面附加层
Mardani et 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installing blocks on performance of stilling basins
Suroor et al. Effect of torsion on suction piles for subsea and mooring applications
Arifien et al. Scrubbing lines in geo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s
KR101873981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분리 장치
US20160040505A1 (en) High efficiency nozzle
CN206368688U (zh) 一种球网式海洋立管涡激振动抑制与防碰撞装置
Esmaeili Simulation of a sub-sea gas pipeline in persian gulf to estimate the physical parameters
WO2020127451A1 (en) Hydrocyclone and its use in separation of fluidic phases
Majed et al. High Fidelity Dropped Object Nonlinear Simulations of a Turning Point System for TOTAL Girassol Installation Campaign
Fantoft et al. Compact subsea separation system with integrated sand handling
Zhou et al. Transients in gas-condensate natural gas pipelines
KR101750962B1 (ko) 해저 프로세스를 위한 원통형 강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