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074A -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074A
KR20120059074A KR1020100120687A KR20100120687A KR20120059074A KR 20120059074 A KR20120059074 A KR 20120059074A KR 1020100120687 A KR1020100120687 A KR 1020100120687A KR 20100120687 A KR20100120687 A KR 20100120687A KR 20120059074 A KR20120059074 A KR 2012005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omposite
capsule
phase change
magnetic particles
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168B1 (ko
Inventor
고원건
김중현
정인우
정연재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1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09K5/063Materials absorbing or liberating heat during crystallisation; Heat storag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adapted for magnetic entropy change by magnetocaloric effect, e.g. used as magnetic refrigerating material
    • H01F1/015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전이 물질의 나노캡슐화 과정 시 자성 입자를 첨가하여 고분자 중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자성 입자가 상기 나노복합캡슐의 내, 외부에 고정되어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열 저장능력이 우수하고 자성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phase change material nanocapsule with magnetic nature and heat storage capac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전이 물질을 이용한 코어-쉘 구조의 캡슐화 방법으로 특허문헌 1에 PCM 입자의 직경이 0.1 ~ 10 mm이고 고분자 코팅층의 1개당 두께가 2.5 ~ 50 ㎛이며 마이크로캡슐의 직경이 0.1 ~ 10 mm인 구형의 축열캡슐이 개시되어 있으나, 액체질소와 같은 냉매를 필요로 하며 제조 공정시 용융상태의 무기 수화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리기 때문에 대량 생산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용융된 무기 수화물의 고형화를 위해서는 낙하 경로를 길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냉매를 담은 용기의 크기가 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왁스를 PCM으로 사용하여 고분자의 계면중합으로 축열재의 마이크로캡슐화한 잠열 축열재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잠열 축열재는 축열물질을 가장자리가 곡선인 알약모양으로 제조한 후, 이를 여러 종류의 고분자 물질로 캡슐화하는 것으로 상기 무기염 수화물의 문제점과 기계적 강도는 개선되었으나 구형으로 캡슐화한 것에 비하여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작아 열응답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에멀젼법을 이용한 상전이 물질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원활한 미세입자의 형성과 안정화, 조-계면활성제의 사용을 통한 상전이 물질의 1단계 마이크로캡슐화 단계와 탄젠셜 스프레이 코터(tangential spray coater)를 이용한 2단계 마이크로 캡슐화 공정으로 이루어진 2단계 공정을 이용하여 1단계로 이루어진 공정보다는 불편한 공정을 거치므로, 제조공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또한 생성된 캡슐의 크기가 10 ~ 100 ㎛이므로 크기를 줄여 힘을 분산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에는 부족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전이 물질의 나노캡슐화 과정 시에 금속입자를 첨가하여 고분자 중합시키는 단일공정을 통해 금속입자가 상기 나노복합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되어 열 전달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공정을 개발하였고,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하여 그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 단일공정을 이용하여 나노복합캡슐의 내?외부에 금속입자 이외의 다양한 나노입자들을 필러로써 도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열 저장능력 향상 이외의 추가적인 기능을 가진 기능성 나노복합캡슐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한, 자성입자를 첨가하여 나노복합캡슐를 제조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84192호 특허문헌 2: 미국 특허 제4,513,053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81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전이 물질을 고분자 쉘이 둘러싸는 나노캡슐의 열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자성입자를 도입함에 있어서, 상전이 물질의 나노캡슐화 시 자성입자를 도입하는 일단계 공정을 통해 제조된 나노캡슐의 내?외부에 자성입자가 고정된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전이 물질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고분자 쉘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상기 나노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된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전이 물질, 고분자 단량체 및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과 사슬연장제를 혼합하여 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나노복합캡슐을 포함하는 열저장소재, 태양열소재, 자동차부품, 또는 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전이 물질을 고분자 쉘이 둘러싸는 나노복합캡슐에 자성입자를 도입함에 있어서, 상전이 물질의 나노캡슐화 시 자성입자를 도입하는 일단계 공정을 통해 나노복합캡슐의 내?외부에 자성입자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열 저장능력을 높이고 자성이 있는 기능성 나노복합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캡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내?외부에 자성 입자가 고정된 나노복합캡슐의 TEM 사진이다.
도 3은 캡슐의 내?외부에 자성 입자가 고정된 나노복합캡슐을 마이크로톰(micro-tome)한 후에 찍은 TEM 사진이다.
도 4는 캡슐의 내?외부에 자성 입자가 고정된 나노복합캡슐임을 증명하기 위해 측면에 자석을 두고 찍은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전이 물질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고분자 쉘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상기 나노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된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캡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전이 물질"은 잠열의 큰 열 흡수 및 방출 효과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뜻하는 것으로 "잠열저장물질", 또는 "상변화 물질"이라고도 한다. 상기 "잠열"이란 어떤 물질이 상전이될 때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을 의미하는데, 잠열은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변화에 따라 흡수나 방출되는 열보다 매우 크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캡슐의 코어부를 이루는 상전이 물질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상전이 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온에서 상전이되는 물질"이란 체내 온도를 포함하는 통상의 실온의 범위, 예를 들어 20 내지 40 ℃에서 상전이 되는 상기에서 정의한 상전이 물질을 뜻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파라핀, 테트라데칸, 에이코산, 옥타데칸, 헥사데칸, 프로피온아미드, 나프탈렌, 아세트아미드, 스테아르산, 왁스,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리그노세레이트, 캄펜, 3-헵타네카논,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데칸, 시안아미드, 라우르산, 카르폴론, 트리미리스트린, 헥사데카논, 카프르산, 카프릴산, 또는 폴리글리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쉘은 나노캡슐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고분자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멜라민 수지, 젤라틴, 또는 셀룰로오스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성입자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캡슐의 상전이 물질과 외부환경의 열 전달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자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외벽을 이루는 고분자 쉘과의 상호작용으로 완전히 고정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성 물질 또는 자성 합금로서, 상기 자성 물질은 Co, Mn, Fe, Ni, Gd, Mo, MM'2O4, 및 MxOy (M 및 M'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Fe, Ni, Mn, Zn, Gd, 또는 Cr을 나타내고, 0 < x ≤3, 0 < y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자성 합금은 CoCu, CoPt, FePt, CoSm, NiFe 및 NiFeC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Fe계 자기성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자철석, 적철석,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전이 물질은 소수성을 띄므로 자성입자 역시 소수성을 가지도록 제조하여 고분자 중합 공정 시에 자성입자가 나노복합캡슐의 내ㆍ외부에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상기 코어-쉘 구조의 나노복합캡슐은 직경이 50 내지 1000 n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00 내지 60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캡슐은 내ㆍ외부에 자성입자가 고정되어 있어 상전이 물질과 외부 환경의 온도 차이에 의한 열 전달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성을 지니고 있음으로써 기능성 나노복합캡슐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복합캡슐은 시차주사열량곡선에서 80 내지 150 J/g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전이 물질, 고분자 단량체 및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과 사슬연장제를 혼합하여 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성입자가 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된 코어-쉘 구조의 상전이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전이 물질의 나노캡슐화 과정 시 자성입자가 도입되어 캡슐의 내?외부에 자성입자가 고정되는 일단계 공정을 통해 나노복합캡슐이 제조된다.
상기 에멀젼은 상전이 물질, 고분자 단량체 및 자성입자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멀젼은
상전이 물질 및 고분자 단량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나노미터 크기로 균질화 하는 단계; 및
상기 균질화 용액, 유화제 및 자성입자를 혼합하여 강제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전이 물질은 테트라데칸, 에이코산, 옥타데칸, 헥사데칸, 프로피온아미드, 나프탈렌, 아세트아미드,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콜, 왁스,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리그노세레이트, 캄펜, 3-헵타네카논,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데칸, 시안아미드, 라우르산, 카르폴론, 트리미리스트린, 헥사데카논, 카프르산, 카프릴산, 또는 폴리글리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쉘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단량체는 이후 단계에서 중합반응에 의한 코어-쉘 구조의 캡슐 제조 시 중합반응, 보다 구체적으로 축합 중합을 일으킬 수 있는 단량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좋다.
상기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l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또는 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Octamethylene diisocyanate)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전이 물질 및 고분자 단량체는 5:1 내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경우, 고분자 쉘의 물리적 강도가 견고하게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물리적으로 나노미터 크기로 파쇄하여 균질화하는 단계는 균질화기(Homogenizer) 등의 물리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액적을 나노미터 크기로 파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균질화는 5000 내지 20,000 rpm에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멀젼은 나노미터 크기로 파쇄한 상전이 물질 및 고분자 단량체의 혼합용액과 유화제 및 고분자의 분산용액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단량체와의 중합반응이 가능하고, 상전이 물질을 유화시켜 작은 크기의 안정한 액적을 제조하고, 중합반응을 위한 고분자 단량체의 반응기와의 화학적 결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고분자 단량체의 반응기와 반응성을 갖는 반응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술폰산-말레산 공중합체(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또는 스티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경우 제조된 나노복합캡슐의 분산 안정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자성입자는 열 전달이 좋고, 외벽을 이루고 있는 고분자 쉘과의 상호작용으로 완전히 고정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전이 물질은 소수성을 띄므로 자성입자 역시 소수성을 가지도록 제조하여 고분자 중합 공정 시에 자성입자가 나노복합캡슐의 내ㆍ외부에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상기 자성입자는 통상의 자성 나노입자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입자는 염화철헥사하이드레이트와 염화철테트라하이드레이트를 60℃에서 질소퍼징 하에 증류수에 혼합하고 25% 희석된 암모니아 용액과 올레익에시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자성입자는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경우 열전달 효율이 가장 크고 그 기능을 발휘하기 적절하기 때문이다.
상기 에멀젼은 사슬연장제와 혼합되어 60 내지 80 ℃에서 3 내지 12시간 동안 축합반응(condensation polymerization)을 통해 상전이 물질을 고분자 쉘이 둘러싸는 나노캡슐의 내?외부에 자성입자가 고정된 구조의 나노복합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말단에 2개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말단에 2개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에틸디아민 (Ethyldiamine), 프로판디아민(Propanediamine), 헥산디아민 (Hexanediamine), 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비스-아민(Polyoxyethylene bis-amine)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경우 고분자 쉘의 물리적 강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되지 않은 미반응 자성입자를 원심분리하여 분리하는 과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는 500 내지 2000 rpm 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좋다. 500 rpm 미만인 경우에는 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되지 않은 자성입자를 펠렛 형태로 분리하기 어렵고, 2000 r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노캡슐도 함께 가라앉아 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되지 않은 자성입자를 별도로 분리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나노복합캡슐을 포함하는 열저장 소재, 태양열소재, 자동차 부품, 또는 섬유 소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캡슐은 상전이 나노캡슐의 내?외부에 자성입자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상전이 물질을 이용한 캡슐 대비 코어부의 상전이 물질과 외부환경의 온도 차이에 의한 열 전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상기 나노복합캡슐은 시차주사열량곡선에서 80 내지 150 J/g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노복합캡슐은 열저장 소재, 태양열 소재, 자동차 부품 등에 적용할 수 있고, 상온에서 열에너지를 흡수, 방출 및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약물전달체, 기능성 의복 등의 생의학적(biomedical)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성입자를 필러로 도입한 다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의 제조
축합 중합에 의한 캡슐막 소재로 중합될 수 있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Sigma-Aldrich, 미국] 3 g, 캡슐 코어 물질로 상전이 물질인 파라핀[Sigma-Aldrich, 미국] 9 g, 아세톤[㈜덕산, 대한민국] 5 g을 80 g의 물에 첨가한 후, 균질화기[T25 basic ULTRA-TURAX, IKA, 독일]를 이용하여 약 10분간 8000 rpm으로 교반하여 강제 유화시켜 제 1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폴리스티렌 술폰산-말레산 공중합체(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Sigma-Aldrich, 미국] 0.6 g과 제조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 0.9 g[에멀젼 약 140 g 대비]을 물 60 g에 분산시킨 제 2 용액을 600 rpm으로 교반하고, 상기 강제 유화시킨 제 1 용액을 교반 중인 제 2 용액에 혼합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염화철헥사하이드레이트(FeCl3ㆍ6H2O) 2.32 g과 염화철테트라하이드레이트(FeCl2ㆍ4H2O) 0.86 g을 60 ℃에서 질소퍼징 하에 증류수 100 mL에 혼합시킨 후 25% 희석된 암모니아 용액 3 g을 혼합하고 올레익에시드(oleic acid) 1.8 g을 혼합하여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폴리스티렌 술폰산-말레산 공중합체(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0.005 g, 에틸디아민(Ethyldiamine)[Junsei Chemical, 일본] 5 g 및 물 5 g을 혼합한 용액을 상기 제 3 용액에 서서히 혼합시키고, 60 ℃에서 600 rpm으로 교반하면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캡슐 내?외부에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가 고정된 코어-쉘 상전이 나노복합캡슐을 제조하였다[입자 직경: 100 내지 600 nm, 도 2 내지 4 참조].
나노복합캡슐을 제조 후, 12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기[Hanil Science Industry, MF80]를 통하여 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되지 않은 미반응 자성 입자를 분리하였다.
DSC를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생성된 고체상태의 나노복합캡슐에 대한 열 저장 능력을 평가한 결과, 94.34 J/g이라는 값을 얻었다.

Claims (18)

  1. 상전이 물질을 함유하는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고분자 쉘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상기 나노캡슐의 내?외부에 고정된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캡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전이 물질은 파라핀, 테트라데칸, 에이코산, 옥타데칸, 헥사데칸, 프로피온아미드, 나프탈렌, 아세트아미드, 스테아르산, 왁스,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리그노세레이트, 캄펜, 3-헵타네카논,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데칸, 시안아미드, 라우르산, 카르폴론, 트리미리스트린, 헥사데카논, 카프르산, 카프릴산 및 폴리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캡슐.
  3. 제 1 항에 있어서,
    고분자 쉘은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멜라민 수지, 젤라틴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캡슐.
  4. 제 1 항에 있어서,
    자성 입자는 자성 물질 또는 자성 합금인 나노복합캡슐.
  5. 제 4 항에 있어서,
    자성 물질은 Co, Mn, Fe, Ni, Gd, Mo, MM'2O4 및 MxOy (M 및 M'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Fe, Ni, Mn, Zn, Gd, 또는 Cr을 나타내고, 0 < x ≤3, 0 < y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캡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합금은 CoCu, CoPt, FePt, CoSm, NiFe 및 NiFeC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캡슐.
  7. 제 1 항에 있어서,
    직경이 50 내지 1000 nm인 나노복합캡슐.
  8. 제 1 항에 있어서,
    시차주사열량곡선에서 80 내지 150 J/g의 값을 갖는 나노복합캡슐.
  9. 상전이 물질, 고분자 단량체 및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과 사슬연장제를 혼합하여 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전이 물질 및 고분자 단량체는 5:1 내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고분자 단량체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l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및 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Octamethyle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자성입자는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사슬연장제는 말단에 2개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말단에 2개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에틸디아민(Ethyldiamine), 프로판디아민(Propanediamine), 헥산디아민(Hexanediamine), 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 및 폴리옥시에틸렌 비스-아민(Polyoxyethylene bis-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사슬연장제는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중합반응은 혼합용액을 60 내지 80℃에서 3 내지 12시간 동안 축합중합(condensation polymerization)을 실시하는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나노복합캡슐을 포함하는 열저장소재, 태양열소재, 자동차부품, 또는 섬유소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100120687A 2010-11-30 2010-11-30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687A KR101229168B1 (ko) 2010-11-30 2010-11-30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687A KR101229168B1 (ko) 2010-11-30 2010-11-30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074A true KR20120059074A (ko) 2012-06-08
KR101229168B1 KR101229168B1 (ko) 2013-02-01

Family

ID=4661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687A KR101229168B1 (ko) 2010-11-30 2010-11-30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1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599A (ko) * 2013-03-19 2014-09-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착력과 열저장 능력을 갖는 복합 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1617A (ko) * 2014-08-18 2016-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효율이 향상된 나노유체
CN106440419A (zh) * 2016-08-31 2017-02-22 中海阳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集热储热磁性介质及其输运装置、输运方法
CN106916573A (zh) * 2017-03-06 2017-07-04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金属及合金相变储能微胶囊及其制备方法
CN108048039A (zh) * 2017-12-26 2018-05-1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纳米氧化锌改性的微胶囊复合相变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473581A (zh) * 2020-11-23 2021-03-12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有机-无机双层复合壁材磁性相变微胶囊的制备方法
CN115651263A (zh) * 2022-10-21 2023-01-31 睿惢思工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隔热相变储能材料的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25B1 (ko) 2013-02-26 2014-08-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코어-쉘 나노섬유 구조의 열전재료의 제조방법
KR101494961B1 (ko) * 2013-06-13 2015-03-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상변이 물질을 함유한 복합 캡슐이 분산된 고분자 섬유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843A (ja) 2002-12-10 2004-07-08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蓄熱用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蓄熱材
CN101678307A (zh) * 2007-06-12 2010-03-24 巴斯夫欧洲公司 微胶囊,它们的用途和它们的制造方法
KR101083817B1 (ko) * 2008-11-26 2011-11-18 김중현 나노 캡슐화된 상변화물질 혼성 폴리우레탄 에멀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599A (ko) * 2013-03-19 2014-09-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착력과 열저장 능력을 갖는 복합 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1617A (ko) * 2014-08-18 2016-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효율이 향상된 나노유체
CN106440419A (zh) * 2016-08-31 2017-02-22 中海阳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集热储热磁性介质及其输运装置、输运方法
CN106916573A (zh) * 2017-03-06 2017-07-04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金属及合金相变储能微胶囊及其制备方法
CN108048039A (zh) * 2017-12-26 2018-05-1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纳米氧化锌改性的微胶囊复合相变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473581A (zh) * 2020-11-23 2021-03-12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有机-无机双层复合壁材磁性相变微胶囊的制备方法
CN112473581B (zh) * 2020-11-23 2022-01-11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有机-无机双层复合壁材磁性相变微胶囊的制备方法
CN115651263A (zh) * 2022-10-21 2023-01-31 睿惢思工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隔热相变储能材料的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168B1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168B1 (ko) 자성과 열 저장능력이 있는 기능성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Huang et al. Encapsulation methods for phase change materials–A critical review
Park et al. Magnetic nanoparticle-embedded PCM nanocapsules based on paraffin core and polyurea shell
Ma et al. Hydrophilic dual‐responsive magnetite/PMAA core/shell microspheres with high magnetic susceptibility and ph sensitivity via distillation‐precipitation polymerization
AU2006203016B2 (en) Preparation of composite nano/microcapsules comprising nanoparticles
KR101054370B1 (ko) 쉘에 금속나노입자가 고정된 상전이 나노캡슐 및 그 제조방법
Cho et al. Microencapsulation of octadecane as a phase-change material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in an emulsion system
Schoth et al. Surfactant-free polyurethane nanocapsules via inverse pickering miniemulsion
KR20180057440A (ko) 축열 마이크로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JP5759194B2 (ja) 熱膨張性微小球、中空微粒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CN107286596B (zh) 基于苯乙烯的聚合物涂布的银纳米颗粒-磺化聚酯复合粉末及其制备方法
Parvate et al. Copper nanoparticles interlocked phase-change microcapsules for thermal buffering in packaging application
Karthikeyan et al. Review of thermal energy storage of micro-and nan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Liu et al. Multilayer magnetic composite particles with functional polymer brushes as stabilizers for gold nanocolloids and their recyclable catalysis
Konuklu Microencapsulation of phase change material with poly (ethylacrylate) shell for thermal energy storage
Jiang et al.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magnetic phase change microcapsules with organic-inorganic double shell
Zeng et al. Preparation, morphology and thermal properties of microencapsulated palmitic acid phase change material with polyaniline shells
KR101233610B1 (ko) 단일공정을 통한 캡슐의 내·외부에 금속입자가 고정된 상전이 나노복합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101461320B1 (ko) 자성과 전도성을 갖는 자가치유 복합 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Álvarez-Bermúdez et al. Magnetic polyurethane microcarriers from nanoparticle-stabilized emulsions for thermal energy storage
Ma et al. Preparation of polyaniline (PANI)-coated Fe 3 O 4 microsphere chains and PANI chain-like hollow spheres without using surfactants
Bilalis et al. Multi‐responsive polymeric microcontainers for potential biomedical applications: synthesis and functionality evaluation
Bakeshlou et al. Thermoregulating papers containing fabricated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through Pickering emulsion templating
KR101215440B1 (ko) 금속이온의 환원공정과 캡슐화 공정의 융합을 통한 캡슐의 내?외부에 금속입자가 고정된 상전이 나노복합캡슐의 제조방법
Yang et al. Hollow superparamagnetic PLGA/Fe 3O 4 composite microspheres for lysozyme adsor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