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923A -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923A
KR20120058923A KR1020100120452A KR20100120452A KR20120058923A KR 20120058923 A KR20120058923 A KR 20120058923A KR 1020100120452 A KR1020100120452 A KR 1020100120452A KR 20100120452 A KR20100120452 A KR 20100120452A KR 20120058923 A KR20120058923 A KR 20120058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hin film
dielectric thin
substr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855B1 (ko
Inventor
이용희
김종재
주성현
박병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2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8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a hologram or diffraction g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색소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어려운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과 편광에 따른 컬러 제어 특성을 자연계에 존재하는 구조색의 모사를 통해 위변조가 어렵고 식별이 용이한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기판(substrate)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배치되는 금속-유전체 박막을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BIOMIMETIC SECURIT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apilio 나비 날개 구조를 모사한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과 편광에 따른 컬러 제어 특성을 가지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보안 요소 중에서 광학적인 특성을 이용한 보안 요소로는 thin 필름구조나 grating을 이용한 홀로그램, 색소를 이용한 color change device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자는 빛의 흡수, 간섭, 회절을 이용한 것으로 오늘날 첨단 복사 기술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스캐닝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점점 더 쉽게 위변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color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색소에 의한 빛의 흡수와 thin 필름을 주기적으로 쌓아서 만든 광 결정 구조, 일명 구조색이라는 방법이 있다. 색소에 의한 color구현방식은 비교적 제작이 쉬운 장점이 있으나, 색소의 종류를 알면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color특성 이외에 다른 보안 요소가 없어 위변조가 쉽다.
하지만 구조색을 이용한 color구현 방식은 색소를 사용하지 않고, 구조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위변조가 쉽지 않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색은 자연계에 여러 물질이나 생명체가 색을 내는 방식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구조를 살펴보면 나노 크기의 광 결정(photonic crystal) 구조로 빛을 제어하여 색을 구현한다. 예로는 Morpho 나비 날개의 푸른색이 대표적인 구조색으로 날개 부위에 수십~수백 나노미터의 tree-like한 구조를 이용하여 푸른색의 빛을 반사하여 색을 구현한다.
이러한 생체 모사의 보안기술 응용에 대한 시도는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적용된 예는 없으며, 논문을 통해 가능성만이 제시되었다.
대표적인 연구들을 살펴보면 먼저 S.Berthier외 2명이 Applied physics A에 Lepidoptera 나비 날개의 bi-reflectivity 구조색 특성을 V-groove형태로 구현하여 은행권 등에 응용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으나 실제 제작을 하지는 못하였다(S.Berthier외 2명 “Multiscaled polarization effects in Suneve coronata(Lepidoptera) and other insects: application to anti-counterfeiting of banknotes", Appl.Phys.A 86, p123-130(2007)).
또한, 2010년에는 Nature Nanotechnology에 Papilio 나비 날개 구조를 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과 nanoimprint 방식으로 실제 제작하여 발표하였다(Mathias Kolle외 7명 “Mimicking the colourful wing scale structure of the Papilio blumei butterfly", Nature Nanotechnology 5, p511 - p515 (2010)). 하지만 이 경우 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은 양산을 진행하기 힘들고, 연구에서 적용된 다층 박막의 경우 유전체 물질을 사용하여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층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양산에 적용하기에는 쉽지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2가지 색을 반사하는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을 이용하여 거시적으로는 하나의 색을 나타내지만, 미시적으로는 2가지 색을 가지는 패턴을 구현하여 위변조가 어렵고 식별이 용이한 새로운 개념의 보안 소자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색소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어려운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과 편광에 따른 컬러 제어 특성을 자연계에 존재하는 구조색의 모사를 통해 위변조가 어렵고 식별이 용이한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기판(substrate)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배치되는 금속-유전체 박막을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형상은 구형, 반 원통 기둥 구조, 사다리꼴 기둥 구조 등 이중 반사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strate)은 필름, 유리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strate)이 필름인 경우, 그 재질은 폴리머(polyme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strate)은 입사되는 파장의 1/2 광학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은 금속-유전체 층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금속은 Cr, Mo, 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금속은 그 두께가 수 nm에서 수백 n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유전체는 SiO2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는 복수의 V자홈이 형성된 기판(substrate)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배치되는 금속-유전체 박막을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판(substrate)은 필름, 유리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판(substrate)이 필름인 경우, 그 재질은 폴리머(polymer)일 수 있으며, 상기 기판(substrate)은 입사되는 파장의 1/2 광학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은 금속-유전체 층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금속은 Cr, Mo, 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되, 그 두께가 수 nm에서 수백 nm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유전체는 SiO2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부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master)의 상부면을 도금처리하여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제작하는 단계와,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적층하여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상에 상기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임프린트(imprint)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부면에 복수의 V홈이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master)의 상부면을 도금처리하여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제작하는 단계와,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적층하여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상에 상기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임프린트(imprint)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substrate) 상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코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substrate) 상에 복수의 V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색소를 이용하여 구현하기 어려운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과 편광에 따른 컬러 제어 특성을 자연계에 존재하는 구조색의 모사를 통해 위변조가 어려운 보안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안 분야 뿐만 아니라 신 개념의 컬러 제어 기술로 컬러를 사용하는 광산업 전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조명, 디자인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Papilio 나비 날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
도 1b는 Papilio 나비 날개의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을 보여주는 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금속-유전체 층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금속-유전체 박막 구조를 보여주는 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전체 박막의 층수에 따른 반사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블록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a는 Papilio 나비 날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1b는 Papilio 나비 날개의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을 보여주는 도이다.
일반적으로, Papilio 나비 날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십 ㎛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오목부(concave)가 주기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 단면은 유전체-유전체 다층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concave)의 가운데 부분은 노란색이 반사되고, 테두리 부분은 파란색이 반사되어 거시적으로는 두 색이 합쳐져 초록색으로 보이는 반면, 미시적으로는 두 가지 색이 특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테두리 부분의 파란색은 역반사(retro-reflection)에 의해 편광이 90도 회전하는 특성을 가지게 되어 편광자를 놓고 그 편광자를 돌리면서 보면 패턴모양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모사하여 종래의 색소 방식으로는 구현하기 힘든 구조색에 의한 보안 소자를 개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구조는 이 모양을 유전체-유전체 다층 박막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유전체 다층 박막으로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금속-유전체 층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금속-유전체 박막 구조를 보여주는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평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1)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기판(substrate,10) 및 상기 기판(substrate,10) 상에 배치되는 금속-유전체 박막(20)을 포함함으로써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목부의 형상은 구형, 반 원통 기둥 구조, 사다리꼴 기둥 구조 등 이중 반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substrate,10)은 필름, 유리(glass)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기판(substrate,10)이 필름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재질은 폴리머(polymer)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substrate,10)은 입사되는 파장의 1/2 광학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20)은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유전체 층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층수를 높임으로써 스펙트럼의 반치 폭을 감소시켜 컬러 순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20)을 구성하는 금속(21)은 유전상수의 real값과 imaginary값이 비슷한 Cr, Mo, 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으로써 원하는 파장영역에서 깨끗한 반사 스펙트럼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20)을 구성하는 금속(21)은 반사율과 스펙트럼을 고려하여 그 두께가 수 nm 에서 수백 nm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20)을 구성하는 유전체(22)는 SiO2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전체 박막의 층수에 따른 반사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전체 박막(20)은 중심 파장이 550nm가 되도록 4층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ansfer matrix method 를 이용한 금속-유전체 박막의 반사 특성 및 층수 증가에 따른 스펙트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1)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V자홈이 형성된 기판(substrate,10) 및 상기 기판(substrate,10) 상에 배치되는 금속-유전체 박막(20)을 포함함으로써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substrate,10) 및 금속-유전체 박막(2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기판(substrate) 및 금속-유전체 박막과 그 구성 및 내용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기판(substrate,10)은 입사되는 파장의 1/2 광학두께로 형성되되, 필름, 유리(glass)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판(substrate,10)이 필름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재질은 폴리머(polyme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20)은 금속-유전체 층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20)을 구성하는 금속(21)은 그 두께가 수 nm 에서 수백 nm 로 형성되되, Cr, Mo, 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20)을 구성하는 유전체(22)는 SiO2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master) 제작 단계(S11)와, 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S12)와,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S13) 및 보안 소자 제작 단계(S14)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터(master) 제작 단계(S1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S12)는 도 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master)의 상부면을 도금처리하여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S13)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적층하여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S13)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소자 제작 단계(S14)는 도 6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상에 상기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임프린트(imprint)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master) 제작 단계(S21)와, 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S22)와,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S23) 및 보안 소자 제작 단계(S24)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터(master) 제작 단계(S21)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면에 복수의 V홈이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한편, 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S22)와,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S23) 및 보안 소자 제작 단계(S2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S12)와,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S13) 및 보안 소자 제작 단계(S14)와 그 구성 및 내용이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기 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S22)와,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S23) 및 보안 소자 제작 단계(S24)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마스터(master) 제작 단계(S11,S21)와, 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S12,S22)와,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S13,S23) 및 보안 소자 제작 단계(S14,S24)를 포함함으로써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형성 단계(S31) 및 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S32)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 형성 단계(S31)는 기판(substrate) 상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S32)는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S32)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코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홈 형성 단계(S41) 및 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S42)를 포함한다.
상기 V홈 형성 단계(S41)는 기판(substrate) 상에 복수의 V홈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S4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의 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S32)와 그 구성 및 내용이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S42)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은 오목부 형성 단계(S31) 또는 V홈 형성 단계(S41) 및 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S32,S42)를 포함함으로써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생체 모사 보안 소자
10:기판(substrate)
11:오목부
12:V자홈
20:금속-유전체 박막
21:금속
22:유전체
S11,S21:마스터(master) 제작 단계
S12,S22:마스터(master) 몰드(mold) 제작 단계
S13,S23: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제작 단계
S14,S24:보안 소자 제작 단계
S31:오목부 형성 단계
S41:V홈 형성 단계
S32,S42:금속-유전체 박막 코팅 단계

Claims (16)

  1.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기판(substrate);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배치되는 금속-유전체 박막;을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2. 복수의 V자홈이 형성된 기판(substrate);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배치되는 금속-유전체 박막;을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형상은 구형, 반 원통 기둥 구조, 사다리꼴 기둥 구조 등 이중 반사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strate)은 필름, 유리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strate)이 필름인 경우, 그 재질은 폴리머(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strate)은 입사되는 파장의 1/2 광학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은 금속-유전체 층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금속은 Cr, Mo, Ni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금속은 그 두께가 수 nm 내지 수백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의 유전체는 SiO2 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
  11. 상부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master)의 상부면을 도금처리하여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제작하는 단계;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적층하여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상에 상기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임프린트(imprint)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
  12. 상부면에 복수의 V홈이 형성된 마스터(master)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master)의 상부면을 도금처리하여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제작하는 단계;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적층하여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 상에 상기 마스터(master) 몰드(mold)를 임프린트(imprint)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 샘플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
  14. 기판(substrate) 상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
  15. 기판(substrate) 상에 복수의 V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중 반사율(bi-reflectivity) 특성과 편광(polarization)에 따른 컬러 특성을 가지는 보안 소자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
  16.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유전체 박막을 상기 기판(substrate) 상에 다층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모사 보안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00120452A 2010-11-30 2010-11-30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2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52A KR101222855B1 (ko) 2010-11-30 2010-11-30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452A KR101222855B1 (ko) 2010-11-30 2010-11-30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23A true KR20120058923A (ko) 2012-06-08
KR101222855B1 KR101222855B1 (ko) 2013-01-16

Family

ID=4661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452A KR101222855B1 (ko) 2010-11-30 2010-11-30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327B1 (ko) * 2013-12-04 2015-07-07 한국조폐공사 이중 색변환 보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제품
KR20170112902A (ko) * 2016-03-31 2017-10-12 (주)쓰리에스엠케이 다층 다색의 색변환 입체 보안필름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353B1 (ko) 2020-11-30 2023-02-06 한국조폐공사 시인성이 개선된 보안요소 식별 기능을 갖는 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2892C (zh) * 2003-06-10 2008-08-20 克瑞尼股份有限公司 改进的保密装置
JP5320779B2 (ja) 2007-03-09 2013-10-23 東洋製罐株式会社 構造体、構造体の形成方法、構造体形成装置、構造色及び/又は回折光読み取り方法、及び、真贋判定方法
GB2456500B (en) * 2007-10-23 2011-12-28 Rue De Int Ltd Improvements in security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327B1 (ko) * 2013-12-04 2015-07-07 한국조폐공사 이중 색변환 보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제품
KR20170112902A (ko) * 2016-03-31 2017-10-12 (주)쓰리에스엠케이 다층 다색의 색변환 입체 보안필름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855B1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lle et al. Mimicking the colourful wing scale structure of the Papilio blumei butterfly
US7755835B2 (en) Nano-structured zero-order diffractive filter
US9004540B2 (en) Security element
Jiang et al. Scalable inkjet-based structural color printing by molding transparent gratings on multilayer nanostructured surfaces
US10155408B2 (en) Optical anti-counterfeiting element, product u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A2938326C (en) Plasmonic optical security component, production of such a component and a secure document equipped with such a component
US7787182B2 (en) Diffractive optical security device
TW567343B (en) Achromatic multilayer diffractive pigments and foils
US7864424B2 (en) Zero order pigments (ZOP)
EP1990661B1 (en) Isotropic zero-order diffractive filter
Jiang et al. Molding inkjetted silver on nanostructured surfaces for high-throughput structural color printing
CN102501500A (zh) 一种光学防伪元件
CN103448411A (zh) 一种光学防伪元件及其制备方法
WO2015079652A1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KR101222855B1 (ko) 생체 모사 보안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743446A (zh) 具有滤色光栅的安全元件
JP2012078447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6500943B2 (ja) 発色構造体、モールドおよびモールドを用いた発色構造体の製造方法
US20100177393A1 (en) Reflective structur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flective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JP6176290B2 (ja) 発色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511571B (zh) 带有二维纳米结构的防伪元件和该防伪元件的制造方法
JP6379547B2 (ja) 画像表示体および情報媒体
CN113270037A (zh) 一种石墨烯超像素显示器、其制备方法及石墨烯超像素彩色显示系统
JP2018092059A (ja) 光学デバイス、および光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477795B2 (ja) 発色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