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379A -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379A
KR20120057379A KR1020100119081A KR20100119081A KR20120057379A KR 20120057379 A KR20120057379 A KR 20120057379A KR 1020100119081 A KR1020100119081 A KR 1020100119081A KR 20100119081 A KR20100119081 A KR 20100119081A KR 20120057379 A KR20120057379 A KR 20120057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auxiliary
gui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422B1 (ko
Inventor
장혁수
연춘식
Original Assignee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filed Critical 장혁수
Priority to KR102010011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창문 폐쇄 시 상기 레일의 상부를 창짝 상, 하부에 결합된 호차가 구름접촉하면서 창짝이 직선이동되게 하며, 폐쇄단계에서는 창짝이 측면거동하도록 안내하여 창틀을 폐쇄시키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서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창짝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보조호차와; 상기 창짝이 폐쇄되는 단계에서 보조호차가 레일의 측면을 따라 지정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레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창짝이 폐쇄단계에서 측면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하게 될 때, 레일의 양측면에서 보조호차가 밀착된 상태로 창짝이 이동하게 되어 이동 시 흔들림을 잡아줌으로써, 흔들림이 방지되고, 개방된 상태에서도 다수 개의 보조호차가 레일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풍압이나 외력에 의해서도 창짝이 흔들리지 않게 되며, 아울러, 창짝의 측면거동 시에도 호차가 레일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창짝의 하중을 호차에서 균일하게 지지하게 되어 호차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Guiding structure of Windows system}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창문 폐쇄 시 상기 레일의 상부를 창짝 상, 하부에 결합된 호차가 구름접촉하면서 창짝이 직선이동되게 하며, 폐쇄단계에서는 창짝이 측면거동하도록 안내하여 창틀을 폐쇄시키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레일선상에서의 레일을 중심으로 사선 또는 직각 방향으로 마주 보는 한쌍의 보조 로울러를 이용해 창짝 좌우 거동을 완벽히 제어함으로서 풍압 또는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창짝이 좌우 이동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시스템은, 창틀의 상단 하부면과 하단 상부면에 각각 가이드레일이 한 쌍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돌출성형되어 있으며, 이 레일을 따라 창문틀이 슬라이딩되어 좌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창문틀의 프레임 상단과 하단에 호차(도르래)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창호시스템은 미닫이식이라고 하며, 이러한 미닫이식에서는 상기 호차가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해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창문을 기립보관 및 적재할 때, 호차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창문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홈형태의 구조을 형성하여 호차가 은폐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창호시스템에서는 레일의 상부에서 호차가 굴러가는 구름접촉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호차와 레일, 창짝과 레일 또는 어느 하나의 창짝과 다른 창짝 사이에 이격 공간 또는 틈새가 형성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 때문에 실내에서 냉, 난방기구를 가동하여 냉, 난방을 하여도 열손실이 크며, 이에 따라, 냉, 난방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개인 사생활이 중요시되고 있는 요즈음에는 이러한 틈새들을 통하여 외부의 소음이 실내에서도 들리거나, 실내의 소음이 외부에서도 들리게 되므로 사생활 보호에도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창호시스템에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격 공간 및 틈새를 최소화하고 완전 차단함으로써, 냉, 난방 시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소음을 차단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창호시스템이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창호시스템 중에는 창짝이 폐쇄될 때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창짝끼리 상호 밀착되도록 한 기술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창호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될 필요수단 즉, 레일과 호차간의 이탈방지와 창짝이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도록 호차와 레일간의 요홈선을 구성하여 좌우 밀림 방지기능을 완벽히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서의 창짝을 측면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보면 , 창짝 이동선상 좌우 측면에 부착된 돌기물 등의 방향 전환 수단에 의한 창짝과 호차의 동시 이동 방식과 창짝과 호차가 분리되어 거동 할 수 있도록 힌지방식, 베어링방식 및 스프링 등에 의한 가변장치를 호차와 결합하므로서 호차는 직선 이동을 유지하면서 창짝만이 좌우 이동하면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하는 2가지 방식으로 크게 분리된다.
창짝과 호차의 동시 이동 방법 중 대표적인 사례를 보면 "광폭레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좌우거동 시 호차의 직선 이동선을 변경하여 하므로 반드시 레일과 호차를 전체적으로 평면 구성해야 되는데, 레일을 광폭으로 제작하여 좌우 거동 시 레일과 호차의 이탈은 방지되나, 창짝의 직선 이동 수단 즉 레일과 호차간의 요홈을 구현 할 수 없어 창호 이동 시 필요한 인력의 작용 방향에 의해 불필요한 좌우 거동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열림 상태에서는 좌우 밀림을 제어 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풍압등의 외력에의해 강압적 좌우 밀림이 지속적으로 발생됨으로써 호차와 레일의 접촉 부분의 집중적 마모 등으로 구름접촉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창착의 강제적 밀림 진동에 의한 조립 연결부간의 유격현상이 발생되므로서 창짝의 장기적 내구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호차와 창짝이 분리 거동 되도록하는 기술들이 제안 되고 있는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9-009079호가 그 예이다.
이러한 기술들의 공통점은 호차와 창짝간의 조립면 중간에 베어링 또는 힌지 등의 유격 이동수단을 장착하여 호차의 이동 방향과 창짝의 이동 방향을 달리하여 이동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은 호차의 직선 이동 및 레일간의 이탈이 방지 수단인 요홈의 구현이 용이하고, 또한 닫힘에 의한 창짝의 고정 이전 단계 즉 열림 상태에서의 흔들림 방지 수단으로 스프링 등 탄성체를 고정장착하여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작용되는 닫힘 및 열림에 필요한 인력 및 풍압 등의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장기간 사용 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면 정밀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창문 닫힘 시 스프링의 반발력이 오히려 닫힘을 방해하는 문제 , 탄성력 이상의 풍압이 작용될 경우 불규칙적인 압축과 신장에 의한 떨림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완전 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창짝의 좌 우 거동 시 호차와 레일의 중심선상에서 창짝이 이탈되어 편심이 발생되므로서 생기는 문제점도 여전한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측면거동하면서 창문을 폐쇄하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 첫째, 불규칙적 방향으로 작용되는 외력 즉, 인력 및 풍압 등에 의한 창짝의 불필요한 거동을 완벽히 제어하는 기술과 둘째 측면 거동시 발생되는 편심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호차의 파손 및 마모문제를 해결하고, 측면거동과 같이 창짝이 방향을 전환하게 될 경우 창짝과 레일이 서로 좌우흔들림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외력 및 충격에도 견고성을 유지하게 하고, 레일에 구름 접촉하는 호차의 구름방향에 따라 회전 및 사선방향으로의 창짝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상기 창짝 상, 하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차가 구름접촉하면서 창짝이 직선이동되게 하며, 폐쇄단계에서는 창짝이 측면 거동하도록 안내하여 창틀을 폐쇄시키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서 구름 접촉할 수 있도록 창짝의 상,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보조 로울러와 ; 상기 창짝이 폐쇄되는 단계에서 보조 로울러가 레일의 측면에 접촉되어 직선 이동하다가 일정 구간에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구름 접촉할 수 있도록 레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로울러는 사선 또는 직각 방향으로 마주보며, 레일의 측면부와 접촉되어 구동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창문 폐쇄 시 상기 레일의 상부를 창짝 상, 하부에 결합된 호차가 구름접촉하면서 창짝이 직선이동되게 하며, 폐쇄단계에서는 창짝이 측면 거동하도록 안내하여 창틀을 폐쇄시키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짝이 측면 거동하는 방향의 레일 측면에 설치되는 보조레일과; 상기 보조레일 상부에서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창짝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보조호차와; 상기 보조레일 개방부의 상, 하단에 형성되어 보조호차가 보조레일의 궤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걸림턱과; 상기 창짝이 폐쇄되는 단계에서 보조호차가 보조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다 지정된 측면방향으로 거동 될 수 있도록 지정된 구간의 레일의 측면에서 돌출 또는 함몰되게 구현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창짝의 직선 이동 또는 좌우 거동 시에도 마주보는 한쌍의 보조로울러가 레일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동며, 또다른 방법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로울러가 보조레일에 삽입되어 이탈 방지턱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한 좌우 거동 방식에서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창호와 호차의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좌우 거동하는 방식에 적용된 경우, 보조레일에 의해 호차의 이탈이 방지되므로서 광폭의 레일을 적용 할 필요가 없으며, 좌우 이동 후에도 호차가 레일을 상부와 동일 평면선상으로 구성된 가이드돌기의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창짝의 하중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편심의 문제를 해결 하였다. 또한 창짝에 부착된 보조로울러가 레일의 좌우측면에서 긴밀하게 지지하거나, 레일 측면에 설치된 보조레일에 삽입고정되므로서, 창짝이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에서도 풍압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으며, 창짝의 이동을 위해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창호와 호차의 이동 방향을 각각 달리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창짝에 부착된 보조로울러가 레일의 좌우측면에서 긴밀하게 지지하거나, 레일 측면에 설치된 보조레일에 삽입 고정 된 상태로 이동되므로서 외력에 의한 불필요한 좌우 거동이 방지되며, 창짝이 좌우 거동된 이후 호차와 레일의 중심선상에서 창짝이 벗어나 편심이 발생된 경우에도 호차와 레일 양쪽에 설치 고정된 보조 로울러 또는 레일 측면에 설치된 보조레일 및 이곳에 삽입되어 구름 이동을하는 보조로울러에 창짝의 하중을 분산 시켜 창짝을 지지하게 하므로서 편심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시스템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시스템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창호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창호시스템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가이드밀접부재(G)와 관련된 레일과의 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창호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직선 레일(103)이 창틀(10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레일(103)을 따라 직선이동하도록 된 창짝(102)이 각각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창짝(102)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10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호차(104)는 레일(103)의 상부에서 구름접촉하면서 창짝(102)이 외력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창짝(102)과 레일(103)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역할과 더불어 창짝(102)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창짝(102)이 레일(103)을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폐쇄단계에서는 측면으로 이동, 즉, 맞은 편 창짝(102) 또는 맞은 편 레일(103)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창호시스템을 폐쇄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창짝(102)이 측면으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임과 동시에 창짝(102)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외력이나 풍압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3)의 양측면에 보조호차(105)가 접촉된 상태에서 구름동작을 할 수 있도록 창짝(102)의 상,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상, 하부 모두에 보조호차(105)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보조호차(105)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레일(103)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103)의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채택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3)은 직선레일과 가이드밀접레일(G)로 형성되어있다. 직선레일은 창틀(101)에 설치된 통상적인 레일이다. 가이드밀접레일(G)은 창틀(101)의 직선레일에다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레일이다. 가이드밀접레일(G)의 역할은 창짝(102)과 창짝(102)의 틈새간격과, 그리고 창짝(102)과 레일(103)사이의 틈새간격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레일(103)은 호차(104)가 이동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가이드밀접레일(G)의 위치는 2개의 창짝(102)이 닫힌 상태에서 호차(104)가 위치되는 곳에 설치되어있다.
2개의 창짝(102)이 닫힌 상태에서 2개의 창짝(102)이 겹친 곳은 레일(103)의 중앙부이다. 이때 각 레일(103)위에 위치된 2개의 호차(104)도 서로 겹쳐있는 상태이다. 가이드밀접레일(G)은 가이드돌기(106)와 가이드홈(107)이 형성된 형상이다. 창짝(102)에 설치된 2개의 보조호차(105)가 가이드밀접레일(G)의 가이드돌기(106)와 가이드홈(107)을 타고 통과하게 된다. 2개의 보조호차(105)가가이드밀접레일(G)을 통과하게 되면, 가이드홈(107)에 의하여 창짝(102)이 가이드돌기(106)쪽으로 밀리게 된다. 만약 가이드홈(107)이 직선레일과 같이 직선으로 형성되었다면 창짝(102)이 가이드돌기(106)쪽으로 밀리지 않는다. 2개의 창짝(102)이 겹치는 곳의 틈새간격을 최소화하기위하여 가이드밀접레일(G)의 밀접에 의해 외부의 유입이나 내부의 열에너지를 유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바로 여기에 가이드밀접레일(G)의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2개의 창짝(102)이 닫힌 상태에서 중앙부는 2개의 창짝(102)이 서로 겹치는 곳이고, 창짝(102)의 양측부는 겹침이 없기 때문에 하나의 창짝(102)만 설치되어있다.
첫째, 겹친 중앙부근처에는 2개의 호차(104)도 서로 겹쳐진 곳이다. 가이드밀접레일(G)에 의하여 서로 겹쳐진 2개의 창짝(102)의 틈새밀착, 즉 창짝(102)의 세로부재와 세로부재사이의 틈새밀착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가이드밀접레일(G)의 가이드돌기(106)는 2개의 창짝(102)이 서로 접면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있다. 2개의 레일(103)위에 설치된 가이드밀접레일(G)의 가이드돌기(106)는 가까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이다. 2개의 레일(103)위에 설치된 가이드밀접레일(G)의 가이드홈(107)은 서로 멀리 떨어져있는 형태이다.
가이드밀접레일(G)의 가이드돌기(106)에 의하여 창짝(102)이 가이드돌기(106)쪽으로 밀리게 되므로 중앙부에서는 2개의 창짝(102)이 서로 밀접되게 접면되게 된다.
둘째, 창짝(102)의 양측부에는 겹침이 없기 때문에 하나의 창짝(102)만 설치되어있다.
하나의 창짝(102)만 설치되어있으므로 창짝(102)이 설치된 레일(103)에만 가이드밀접레일(G)를 설치되어있다. 이때 창짝(102)이 설치된 레일(103)에만 가이드밀접레일(G)를 설치하되 겹친 중앙부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밀접레일(G)의 가이드돌기(106)가 2개의 창짝(102)이 서로 접면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있다.
가이드밀접레일(G)은 레일(103)의 압출과 함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삽입홈이 형성된 레일(103)에 가이드밀접레일(G)를 조립할 수도 있다.
한편, 2개의 보조호차(105)는 레일(103)을 중심으로 레일(103)의 양측면에 접면되게 형성되어있다. 가이드돌기(106)와 가이드홈(107)도 레일(103)과 같이 가이드밀접레일(G)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있다.
하나의 보조호차(105)는 가이드돌기(106)에, 다른 하나의 보조호차(105)는 가이드홈(107)에 접면되어있고, 그리고 2개의 보조호차(105)는 가이드돌기(106)와 가이드홈(107)을 동시에 접면되어있다.
2개의 보조호차(105)가 동시에 접면되는 가이드돌기(106)와 가이드홈(107)의 곡률은 동일하다. 만약 곡률이 동일하지 않으면 2개의 보조호차(105)가 동시에 접면된 상태에서 창짝(102)의 세로부재를 최대로 밀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2개의 창짝(102)의 열고 닫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돌기(106)의 정점을 기준으로 올라가는 가이드돌기(106)와 가이드홈(107)의 곡률과, 그리고 내려가는 가이드돌기(106)와 가이드홈(107)의 곡률이 서로 동일하다.
2개의 보조호차(105)는 창짝(102)내부에 서로 마주본 상태로 설치되어있다. 레일(103)을 중심으로 레일(103)의 양 측면에 접면되도록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03)의 측면 소정위치에는 창짝(102)이 직선이동을 하면서 폐쇄단계에 돌입하게 될 때, 창짝(102)이 폐쇄방향으로 측면 거동할 수 있도록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3)의 측면으로부터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돌기(106)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106)가 형성된 레일(103)의 반대편 레일(103) 측면에는 가이드돌기(106)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구조로서의 가이드홈(10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103)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호차(104)와 어느 하나의 보조호차(105)가 가이드돌기(106)를 따라 돌출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측면거동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보조호차(105)도 가이드홈(107)을 따라 안내되어 가이드홈(107)으로 삽입되는 작동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어느 하나의 보조호차(105)가 가이드돌기(106)에 의하여 돌출되면, 다른 하나의 보조호차(105)는 가이드홈(107)으로 삽입됨으로써, 보조호차(105)간의 간격이 유지되며, 보조호차(105)들이 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3)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구름접촉하던 호차(104)가 도 4와 같이 측면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측면으로 이동하는 호차(104)는 레일(103)의 궤도에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이탈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3)에서 이탈하는 호차(10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06)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돌기(106)도 레일(103)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호차(104)는 레일(103)에서 일부 이탈된 상태이지만 호차(104)의 바닥면은 레일(103)과 가이드돌기(106)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창짝(102)이 측면으로 거동함에 따라 레일(103)로부터 호차(104)가 일부 이탈하여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은 본 발명에 의하여 완전하게 해소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상기 호차(104)가 레일(103)로부터 일부 이동하여 창짝(102)의 하중을 편중되게 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호차(104)에 작용하는 편중된 하중에 의하여 호차(104)를 장기간 사용하게 될 경우 호차(104)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호차(104)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부자연스러운 작동상의 문제가 일시에 해소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조호차(105)가 레일(103)의 양측면에서 레일(103)에 밀착되어 레일(103)을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며, 창짝(102)이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보조호차(105)가 항상 레일(103)에 밀착된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에 외력이나 풍압에 의해서도 창짝(102)이 흔들리거나 미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호차(105)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차(104)의 수직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창짝(102)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단계로 이동하게 되면, 자칫 폐쇄방향으로 가장 근접하게 설치된 보조호차(105)가 개방방향으로 가장 근접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106) 또는 가이드홈(107)을 경유하면서 소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보조호차(105)를 호차(104)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호차(104)와 보조호차(105)는 창짝(102)의 양단에 근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호차(104) 와 보조호차(105)의 설치위치를 한정하지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직선 레일(103)의 측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레일(109)을 'ㄷ'자로 형성하는 바, 상기 보조레일(109)은 창짝(102)이 측면거동하고자 하는 방향의 레일(103) 측면에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보조레일(109)의 상부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102)의 상, 하부에 보조호차(105)를 설치하여 보조레일(109) 상부에서 구름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레일(109) 개방부 상, 하단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08)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레일(109)에 결합된 보조호차(105)가 보조레일(109)의 궤도에서 탈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창짝(102)이 폐쇄되는 단계에서 보조호차(105)가 보조레일(109)을 따라 지정된 측면방향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보조레일(109)이 돌출되게 하여 가이드레일(110)을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단면구조도 보조레일(109)의 구조와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걸림턱(108)도 형성되도록 하여 도 6과 같이 보조호차(105)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돌출 또는 측면거동할 때 보조호차(105)가 가이드레일(110)로부터 탈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호차(105)가 가이드레일(110)에 의하여 가이드됨과 동시에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보조호차(105)와 결합되어진 구조를 갖는 창짝(102)도 보조호차(105)가 측면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측면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103)은 직선 레일(103) 그대로이며, 가이드레일(110)만이 직선
레일(103)의 측면에 결합되어 보조호차(105)를 가이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01 : 창틀 102 : 창짝
103 : 레일 104 : 호차
105 : 보조호차 106 : 가이드돌기
107 : 가이드홈 108 : 걸림턱
109 : 보조레일 110 : 가이드레일
G : 가이드밀접레일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창문 폐쇄 시 상기 레일의 상부를 창짝 상, 하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차가 구름접촉하면서 창짝이 직선이동되게 하며, 폐쇄단계에서는 창짝이 측면거동하도록 안내하여 창틀을 폐쇄시키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서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창짝의 상,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조호차와;
    상기 창짝이 폐쇄되는 단계에서 보조호차가 레일의 측면을 따라 지정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레일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호차는,
    상기 호차의 수직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창문 폐쇄 시 상기 레일의 상부를 창짝 상, 하부에 결합된 호차가 구름접촉하면서 창짝이 직선이동되게 하며, 폐쇄단계에서는 창짝이 측면거동하도록 안내하여 창틀을 폐쇄시키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짝이 측면거동하는 방향의 레일 측면에 설치되는 보조레일과;
    상기 보조레일 상부에서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창짝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 개의 보조호차와;
    상기 보조레일 개방부의 상, 하단에 형성되어 보조호차가 보조레일의 궤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걸림턱과;
    상기 창짝이 폐쇄되는 단계에서 보조호차가 보조레일을 따라 지정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레일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며, 보조레일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보조호차를 안내하도록 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KR1020100119081A 2010-11-26 2010-11-26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KR10171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081A KR101710422B1 (ko) 2010-11-26 2010-11-26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081A KR101710422B1 (ko) 2010-11-26 2010-11-26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379A true KR20120057379A (ko) 2012-06-05
KR101710422B1 KR101710422B1 (ko) 2017-02-27

Family

ID=4660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081A KR101710422B1 (ko) 2010-11-26 2010-11-26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641A1 (ko) * 2012-08-01 2014-0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미서기 창호
KR101462889B1 (ko) * 2013-02-06 2014-11-19 주식회사 글로윈스 시스템 창호의 단열구조
KR102032341B1 (ko) * 2019-02-11 2019-10-15 조정민 기밀 미서기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975Y1 (ko) * 2002-11-14 2003-03-04 비멕 주식회사 방음 및 방풍용 창문
JP2010065448A (ja) * 2008-09-11 2010-03-25 Kurogane Kosakusho Ltd 引戸の全開ストッパー装置
KR20100044323A (ko) * 2008-10-22 2010-04-30 장혁수 창문시스템
KR101088778B1 (ko) * 2009-11-27 2011-12-02 장혁수 창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975Y1 (ko) * 2002-11-14 2003-03-04 비멕 주식회사 방음 및 방풍용 창문
JP2010065448A (ja) * 2008-09-11 2010-03-25 Kurogane Kosakusho Ltd 引戸の全開ストッパー装置
KR20100044323A (ko) * 2008-10-22 2010-04-30 장혁수 창문시스템
KR101088778B1 (ko) * 2009-11-27 2011-12-02 장혁수 창문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641A1 (ko) * 2012-08-01 2014-0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미서기 창호
KR101462889B1 (ko) * 2013-02-06 2014-11-19 주식회사 글로윈스 시스템 창호의 단열구조
KR102032341B1 (ko) * 2019-02-11 2019-10-15 조정민 기밀 미서기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422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656B2 (en) Slid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ing door guide frame having separable segment structure
US8984810B2 (e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with co-planar closure, particularly for furniture and the like
US9157264B2 (e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with co-planar closure, particularly for furniture and the like
JPH0228660B2 (ko)
US20110197515A1 (en) Sliding window or sliding glass door
KR102431616B1 (ko)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KR20160144601A (ko) 폴딩도어
KR20120057379A (ko) 좌우 거동의 제어가 용이한 창호시스템의 창짝 가이드구조
EP1741861A1 (en) Derailment- and uncoupling-prevention safety system comprising corresponding guides for sliding doors and similar
JP2008002061A (ja) 移動式間仕切装置
KR101945087B1 (ko) 창호 조립체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20120069168A (ko) 창호의 창짝 밀폐장치
EP2584131B1 (en) Sliding door with reversible sliding system
KR101197455B1 (ko) 창문시스템
JP4941105B2 (ja) 可動間仕切り装置
KR102099674B1 (ko) 벨트창호
CN101864885B (zh) 一种无吊轨、无下轨推拉门
KR101967866B1 (ko) 밀폐 일자형 창호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KR101654926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회전장치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CN112681935B (zh) 一种四联动吊轨推拉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