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982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982A
KR20120056982A KR1020100118499A KR20100118499A KR20120056982A KR 20120056982 A KR20120056982 A KR 20120056982A KR 1020100118499 A KR1020100118499 A KR 1020100118499A KR 20100118499 A KR20100118499 A KR 20100118499A KR 20120056982 A KR20120056982 A KR 2012005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riable
nct
transmission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수
조동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982A/ko
Priority to US13/305,248 priority patent/US8447247B2/en
Publication of KR2012005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송신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송신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는, 송신 경로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생성하는 송신 이득 제어기와, 상기 송신 단의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이용하여 NCT(Nonlinear Compensate Table)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하는 송신 전력 제어기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이용하여 NCT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보정 값으로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는 NCT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X GAI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는 고(high), 중(mid), 저(low)의 세 가지 레벨로 조절된다.
전력 증폭기는 모드 변화에 따라 이득(gain)이 변한다. 이에 따라, 송신 경로의 이득을 제어하는 송신 자동 이득 제어기(TX Automatic Gain Control)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의 최종 송신 전력의 변화가 없도록 NCT(Nonlinear Compensate Table)를 이용하여 송신 경로의 이득을 조절한다.
하지만, 상기 전력 증폭기는 온도 및 주파수에 따라 특성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송신 단은 온도 및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NCT를 갱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NCT는 온도 및 주파수 변화에 따라 하기 도 1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파수와 온도 변화에 따른 NCT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를 도시고 있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도 1의 (a)는 주파수 변환에 따른 NCT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도 1의 (b)는 온도 변화에 따른 NCT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도 1의 (a)는 밴드 1을 기준으로 총 277개의 채널들 중 하기 <표 1>의 UARFCN을 샘플로 주파수 변환에 따른 NCT 특성을 나타낸다.
F0 F1 F2 F3 F4
9612 9675 9750 9825 9888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는 NCT를 이용하여 송신 경로의 이득을 조절하여도 중 레벨(100)과 고 레벨(110)에서 주파수 변환에 따라 정확한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
상기 도 1의 (b)는 하기 <표 2>와 같은 5개의 온도에서의 NCT 특성을 나타낸다.
T0 T1 T2 T3 T4
-20˚C 0˚C 20˚C 40˚C 60˚C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는 NCT를 이용하여 송신 경로의 이득을 조절하여도 중 레벨(120)과 고 레벨(130)에서 온도 변화에 따라 정확한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력 증폭기에서의 최종 송신 전력의 변화가 없도록 온도 및 주파수 변화에 따라 송신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송신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주파수와 온도 변화 및 전력 증폭기의 모드를 고려하여 송신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라 NCT 제어 정보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송신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는, 송신 경로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생성하는 송신 이득 제어기와, 상기 송신 단의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이용하여 NCT(Nonlinear Compensate Table)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하는 송신 전력 제어기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이용하여 NCT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보정 값으로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는 NCT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송신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송신 단의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전력 증폭기의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단의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전력 증폭기의 모드를 고려하여 NCT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 값으로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주파수와 온도 변화와 전력 증폭기의 모드에 따라 NCT 제어 정보를 보상함으로써, RFIC와 전력 증폭기를 구성하는 부품들 간 편차 및 상기 송신 단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편차 등을 보정하여 송신 단의 전력 제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파수와 온도 변화에 따른 NCT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PA 제어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전력의 위상 및 오프셋을 보정하는 그래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와 온도 변화에 따라 송신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단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단은 송신 모듈(Tx Modulator)(20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Digital/Analog convertor)(203), RFIC(Radio Frequency Intergrated Circuit)(205),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207), 듀플렉서(209), 송신 이득 제어기(Tx AGC: Tx Aotomatic Gain Control)(211), NCT(Nonlinear Compensate Table)제어기(213), TPA(Tx Power Adjust) 제어기(215) 및 파형 변환기(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신 모듈(201)은 상기 송신 단에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 및 부호화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3)는 상기 송신 모듈(201)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IC(205)는 상기 파형 변환기(217)로부터 제공받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파형 정보에 따라 상기 다지털/아날로그 변환기(20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207)는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RFIC(205)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상기 듀플렉서(209) 및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는 송신 경로의 이득에 대한 제어 값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는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제어 정보(PA_MODE) 및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정보(TX_POW)를 생성한다.
상기 TPA제어기(215)는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로부터 제공받은 모드 제어 정보와 송신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CT 제어기(213)의 NCT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한다. 즉, 상기 TPA 제어기(215)는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상기 전력 증폭기(207)에서의 최종 송신 전력이 일정하도록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TPA 제어기(215)는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adjust point), 기울기 제어 변수(slop adjust) 및 오프셋 제어 변수(linear adjust) 값을 저장한다. 상기 TPA 제어기(215)는 상기 송신 단이 구동되는 주파수와 온도 및 상기 모드 제어 정보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TPA 제어기(215)는 상기 변수들을 이용하여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 전력 정보를 변환하여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한다.
상기 NCT제어기(213)는 송신 경로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로부터 제공받은 모드 제어 정보와 송신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NCT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NCT 제어기(213)는 상기 RFIC(205)의 이득을 고려하여 NCT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NCT 제어기(213)는 가산기(219)를 이용하여 상기 NCT 제어 정보와 상기 TPA 제어기(215)로부터 제공받은 보정 값을 결합하여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NCT 제어기(213)는 상기 TPA 제어기(215)로부터 제공받은 보정 값을 상기 NCT 제어 정보의 해상도가 높은 부분에 추가하여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NCT 제어기(213)는 NCT 제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NCT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가산기(2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형 변환기(217)는 상기 RFIC(205)와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NCT 제어기(213)로부터 제공받은 보정된 NCT 제어 정보를 SPI 파형 또는 PWM 파형으로 변환하여 상기 RFIC(205)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PA 제어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A 제어기(215)는 변수 결정부(301), 기준점 제어부(303), 기울기 제어부(305) 및 오프셋 제어부(3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수 결정부(301)는 송신 단이 구동되는 주파수와 온도 및 상기 모드 제어 정보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변수 결정부(301)는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adjust point), 기울기 제어 변수(slop adjust) 및 오프셋 제어 변수(linear adjust)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수 결정부(301)는 상기 테이블에서 송신 단이 구동되는 주파수와 온도 및 상기 모드 제어 정보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송신 단의 초기 제조 시, 주파수와 온도 변화 별 송신 경로 이득 특성을 측정하여 결정한 변수들의 포함한다.
상기 기준점 결정부(303)는 상기 변수 결정부(301)로부터 제공받은 기준점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저 레벨인 경우, 상기 기준점 결정부(303)는 도 4의 제 1 기준점(400)을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중 레벨인 경우, 상기 기준점 결정부(303)는 상기 도 4의 제 2 기준점(410)을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결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고 레벨인 경우, 상기 기준점 결정부(303)는 상기 도 4의 제 3 기준점(420)을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결정한다.
상기 기울기 제어부(305)는 상기 기준점 결정부(303)에서 결정한 기준 점을 기준으로 상기 변수 결정부(301)로부터 제공받은 기울기 제어 변수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저 레벨인 경우, 상기 기울기 제어부(305)는 상기 도 4의 제 1 기준점(400)을 기준으로 상기 기울기 제어 변수(402)만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 값을 보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중 레벨인 경우, 상기 기울기 제어부(305)는 상기 도 4의 제 2 기준점(410)을 기준으로 상기 기울기 제어 변수(412)만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 값을 보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고 레벨인 경우, 상기 기울기 제어부(305)는 상기 도 4의 제 3 기준점(420)을 기준으로 상기 기울기 제어 변수(422)만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 값을 보정한다. 이때, 상기 기울기 제어부(305)는 상기 보정한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에 맞추어 128로 나누어 줄 수도 있다.
상기 오프셋 제어부(307)는 상기 변수 결정부(301)로부터 제공받은 오프셋 제어 변수에 따라 상기 기울기 제어부(305)에서 기울기가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저 레벨인 경우, 상기 오프셋 제어부(305)는 상기 변수 결정부(301)로부터 제공받은 오프셋 제어 변수(404)에 따라 기울기 값이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중 레벨인 경우, 상기 오프셋 제어부(305)는 상기 변수 결정부(301)로부터 제공받은 오프셋 제어 변수(414)에 따라 기울기 값이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고 레벨인 경우, 상기 오프셋 제어부(305)는 상기 변수 결정부(301)로부터 제공받은 오프셋 제어 변수(424)에 따라 기울기 값이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와 온도 변화에 따라 송신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송신 단은 501단계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화 별 송신 경로 이득 특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단은 상기 도 3의 변수 결정부(301)에 저장된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adjust point), 기울기 제어 변수(slop adjust) 및 오프셋 제어 변수(linear adjust)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송신 단의 초기 제조 시, 주파수와 온도 변화 별 송신 경로 이득 특성을 측정하여 결정한 변수들의 포함한다.
이후, 상기 송신 단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단이 초기 구동되는 경우, 상기 송신 단은 초기 구동시 요구되는 주파수 및 온도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송신 단은 구동에 따른 현재 주파수 및 온도를 확인하여 주파수 및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단은 505단계에서 전력 증폭기의 모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단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에서 생성한 모드 제어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송신 단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송신 단의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상기 모드 제어 정보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 변수들을 확인한 후, 상기 송신 단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준점 제어 변수와 상기 기울기 제어 변수를 이용하여 송신 전력 정보의 위상을 보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에서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저 레벨인 경우, 상기 송신 단의 기준점 결정부(303)와 기울기 제어부(305)는 제 1 기준점(400)을 기준으로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 값을 보정한다. 이때, 상기 기울기 제어부(305)는 상기 보정한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에 맞추어 128로 나눌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 전력 정보는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에서 생성된다.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위상을 보정한 후, 상기 송신 단은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오프셋 제어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이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에서 전력 증폭기(207)의 모드가 저 레벨인 경우, 상기 송신 단의 오프셋 제어부(305)는 상기 오프셋 제어 변수(404)에 따라 상기 위상이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한다.
이후, 상기 송신 단은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상 및 오프셋을 보정한 송신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 단의 NCT 제어기(213)는 송신 경로의 비선형성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211)로부터 제공받은 모드 제어 정보와 송신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NCT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NCT 제어기(213)는 가산기(219)를 이용하여 상기 NCT 제어 정보와 상기 위상 및 오프셋을 보정한 송신 전력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한다.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한 후, 상기 송신 단은 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보정된 NCT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송신 단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송신 단은 주파수 및 온도에 따른 제어 변수들을 선택하여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따른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한다. 이때, 상기 송신 단은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전력 증폭기 모드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확인되는 경우 새로운 제어 변수들을 선택하여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송신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송신 경로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생성하는 송신 이득 제어기와,
    상기 송신 단의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이용하여 NCT(Nonlinear Compensate Table)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하는 송신 전력 제어기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이용하여 NCT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보정 값으로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는 NCT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는, 송신 전력 정보와 전력 증폭기의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제어기는,
    상기 송신 단이 구동되는 주파수 및 온도변화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모드 제어 정보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변수 결정부와,
    상기 변수 결정부로부터 제공받은 기준점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점을 결정하는 기준점 결정부와,
    상기 기준점 결정부에서 결정한 기준 점을 기준으로 상기 변수 결정부로부터 제공받은 기울기 제어 변수만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기울기 제어부와,
    상기 변수 결정부로부터 제공받은 오프셋 제어 변수에 따라 상기 기울기가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의 오프셋을 보정하여 NCT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하는 오프셋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 결정부는, 상기 송신 단의 초기 제조 시, 주파수와 온도 변화 별 송신 경로 이득 특성을 측정하여 결정하여 저장하는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들 중 상기 송신 단이 구동되는 주파수 및 온도변화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모드 제어 정보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점 결정부에서 결정한 기준 점을 기준으로 상기 변수 결정부로부터 제공받은 기울기 제어 변수만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를 보정하고,
    상기 기울기를 보정한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에 맞추어 128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CT 제어기는,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값을 이용하여 NCT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NCT 제어 정보 생성부와,
    상기 송신 전력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보정 값과 상기 NCT 제어 정보를합하는 가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C와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보정된 NCT 제어 정보를 SPI 파형 또는 PWM 파형으로 변환하는 파형 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단에서 송신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의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전력 증폭기의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단의 구동에 따른 주파수 및 온도 변화와 전력 증폭기의 모드를 고려하여 NCT(Nonlinear Compensate Table)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 값으로 상기 NCT 제어 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는,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점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단의 송신 전력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 점을 기준으로 상기 기울기 제어 변수만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오프셋 제어 변수에 따라 상기 기울기가 보정된 송신 전력 정보의 오프셋을 보정하여 NCT 제어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를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점을 기준으로 상기 기울기 제어 변수만큼 상기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울기를 보정한 송신 전력 정보의 기울기에 맞추어 128로 나누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 단의 초기 제조 시, 주파수와 온도 변화 별 송신 경로 이득 특성을 측정하여 결정된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들 중 상기 송신 단이 구동되는 주파수 및 온도변화와 상기 송신 이득 제어기로부터 제공받은 모드 제어 정보에 따른 기준점 제어 변수, 기울기 제어 변수 및 오프셋 제어 변수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NCT 제어 정보는, 송신 이득 제어기에서 생성된 모드 제어 정보와 송신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RFIC와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보정된 NCT 제어 정보를 SPI 파형 또는 PWM 파형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118499A 2010-11-26 2010-11-2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56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99A KR20120056982A (ko) 2010-11-26 2010-11-2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305,248 US8447247B2 (en) 2010-11-26 2011-11-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x gai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99A KR20120056982A (ko) 2010-11-26 2010-11-2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982A true KR20120056982A (ko) 2012-06-05

Family

ID=4612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499A KR20120056982A (ko) 2010-11-26 2010-11-2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47247B2 (ko)
KR (1) KR201200569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5659B2 (en) * 2012-10-25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Two-dimensional transmit power compensation
CN104813711A (zh) * 2012-11-22 2015-07-29 美国博通公司 用于新载波类型移动性的辅助信息
US20140167842A1 (en) * 2012-12-13 2014-06-19 Mediatek Inc. Power circuit and method thereof
EP3166353A1 (en) * 2015-11-06 2017-05-1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network components and self-organizing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351A (ko) * 2007-09-18 2009-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102010038482B4 (de) * 2009-07-31 2014-07-24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Digitale Vorverzerrung und Kompensation einer Betriebsbedingungsauswir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47247B2 (en) 2013-05-21
US20120135697A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9802B2 (en)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method
US78697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transmitted power in multi-ra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3889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ransmitter power efficiency
KR1004140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파워 보상장치 및 방법
EP0824784A1 (en) Temperature compensated automatic gain control
KR2012005698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이득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134025A1 (en) Noise optimized envelope tracking system for power amplifiers
US780939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958275B2 (ja) 携帯端末機の出力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5126364B2 (ja) 送信装置および調整値測定方法
US8699976B2 (en) Transmitter with hybrid closed loop power control
US73337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code channel power in a transmitter
US8626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code channel power in a transmitter
US11165516B2 (en) Calibration system, radio frequency system, and output power linearization method thereof
JP5250326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送信制御方法
WO2003039010A1 (fr) Appareil d&#39;emission et procede de commande automatique de gain
US7760043B2 (en) Polar modulation apparatus
JP2005229535A (ja) 送信電力制御回路および送信電力制御回路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KR200600322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에프 송신 전력 보상 장치 및 방법
JP5349279B2 (ja) 送信電力制御装置
JP2021052316A (ja) 伝送装置
JP2004236047A (ja)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JP2010263417A (ja) 送信出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