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572A -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572A
KR20120056572A KR1020100118177A KR20100118177A KR20120056572A KR 20120056572 A KR20120056572 A KR 20120056572A KR 1020100118177 A KR1020100118177 A KR 1020100118177A KR 20100118177 A KR20100118177 A KR 20100118177A KR 20120056572 A KR20120056572 A KR 20120056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panel
substrate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민
이계윤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572A/ko
Publication of KR2012005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기판, 상기 소자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부 및 상기 유기발광부의 상부에 배치된 다층 봉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봉지기판은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다층 봉지기판을 구비하고 있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면서도 수분 및 산소 차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etho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다층 봉지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ed Diode, OLED)는 형광 또는 인광 유기층에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 자체 발광 소자이다. 유기발광소자를 디스플레이로 구현하였을 경우, 백라이트 등의 광원이 필요 없으며, 다른 디스플레이에 비해 응답속도가 현저히 빠르고, 시야각에 제한이 없으며, 구동 전압이 낮고, 휘어질 수 있는 기판 위에 제작이 가능하며, 온도에 의해 구동 특성이 영향을 받지 않는 등의 기존의 디스플레이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고 있어 CRT(Cathode Ray Tube)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뒤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자기판(101), 소자기판(101) 상부에 형성된 유기발광부(102), 수분 및 산소에 매우 취약한 유기발광부(102)를 보호하기 위한 수분-산소 제거제(103), 및 봉지기판(104)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자기판(101)과 봉지기판(104)은 실링재(105)로 밀봉되어 있으며 소자기판(101)에 연결된 FPC(Flexable Printed Circuit)(106)는 외부의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유기발광부를 구성하는 유기발광소재와 금속 음극은 수분 및 산소에 매우 취약해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로 일정 수준 이상의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할 경우 쉽게 열화되어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흑점 및 다크픽셀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흑점 불량은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의 일부가 발광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검은점이 보이는 현상을 말하며, 다크픽셀 불량은 다수의 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가 발광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분 및 산소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질소(N2) 또는 아르곤(Ar) 등의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소자기판과 봉지기판을 실링재로 밀봉시킨다. 또한, 밀봉과정에서 불가항력적으로 제거되지 못한 수분 및 산소와 밀봉 이후 소자기판, 실링재 및 봉지기판을 투과하여 유입되는 소량의 수분과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수분-산소 제거제를 함께 밀봉한다.
일반적으로 봉지기판으로는 유리 재질의 기판이 사용된다. 그러나 유리기판은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 유리기판으로 봉지기판이 사용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봉지기판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수분 및 산소에 노출되게 되면 유기발광부의 산화 및 열화를 유발하여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 대형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0065367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봉지기판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따르면 봉지기판으로서 기존 유리소재보다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재질의 봉지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강화된 봉지기판을 제공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재질이 단독으로 사용된 봉지기판을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할 경우 외부 충격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플라스틱 재질 자체는 유리나 금속 재질에 수분 및 산소 침투 특성이 상대적으로 큰 문제점이 있어, 이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수분 및 산소 침투를 억제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 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다층 봉지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면서도 수분 및 산소 차단이 가능한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자기판, 상기 소자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부 및 상기 소자기판을 밀봉하는 다층 봉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봉지기판은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심재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페닐렌 설피드(polyphenylsulf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크릴로 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비닐에스테르(vinylester), 불포화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페놀(phenol), 폴리이미드 (polyimide), 비스말레이미드(bismaleimide), 및 시아네이트 에스테르(cyanate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심재는 강화 섬유 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심재의 두께는 10 ㎛ 내지 5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표면재는 금(Au), 은(Ag), 구리(Cu), 크롬(Cr), 백금(Pt), 알루미늄(Al), 및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표면재의 두께는 50 nm 내지 1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소자기판 사이에 실링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발광부와 다층 봉지기판 사이에 수분-산소 제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박을 접착 또는 금속을 코팅하여 다층 봉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자기판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소자기판을 실링재로 접착시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금속 코팅은, 상기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을 증착,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도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단계에서 밀봉은,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유기발광부 사이에 수분-산소 제거제를 첨가하여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봉지기판으로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다층 봉지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면서도 수분 및 산소가 차단되어 유기발광부의 수명 저하를 최소화하여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유리 재질의 봉지기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자기판, 상기 소자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부 및 상기 소자기판을 밀봉하는 다층 봉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봉지기판은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자기판(101), 유기발광부(102), 다층 봉지기판(201), 수분-산소 제거제(103) 및 실링재(105)를 구비한다.
상기 소자기판(101)은 소다 라임 유리(soda-lime glass)와 같은 투명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부(102)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301),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상부에 평탄화막(302), ITO 전극(303), 유기발광소재(304), 및 금속 음극(30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층 봉지기판(201)은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203)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플라스틱 심재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페닐렌 설피드(polyphenylsulf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크릴로 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일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비닐에스테르(vinylester), 불포화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페놀(phenol), 폴리이미드 (polyimide), 비스말레이미드(bismaleimide), 및 시아네이트 에스테르(cyanate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polyimide)일 수 있다.
또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에 강화섬유 또는 무기충전제가 첨가된 플라스틱 심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강화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보론섬유, 파졸트섬유, 단섬유를 사용한 컴파운딩 형태의 섬유 및 장섬유를 사용한 프리프레그 형태의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로는 탈크, 실리카, 규사, 몬모릴로나이트 및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심재의 두께는 10 ㎛ 내지 5 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 mm일 수 있다. 플라스틱 심재의 두께가 10 ㎛ 미만일 경우 봉지기판의 내구성 저하될 수 있고, 외부 충격을 가할 시 봉지기판이 발광소자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 mm를 초과할 경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가 증가하여 이로 인해 패널의 무게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금속 표면재(203)는 금(Au), 은(Ag), 구리(Cu), 크롬(Cr), 백금(Pt), 알루미늄(Al) 및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심재(202)의 수분-산소 침투 특성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금속 표면재(203)는 수분 및 산소를 충분히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두께로 형성되어야 하며, 그 두께는 50 nm 내지 1 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내지 200 ㎛m일 수 있다. 금속 표면재(203)의 두께가 50 nm 미만일 경우 금속 표면재(203)의 결함에 의헤 수분 및 산소 투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 mm 를 초과할 경우 금속 표면재(203)의 두께가 증가하여 플라스틱 심재(202)의 유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다층 봉지기판(201)으로 소자기판(101)을 밀봉하며, 상기 다층 봉지기판(201)과 소자기판 사이에 실링재(105)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재(105)는 소자기판(101)과 다층 봉지기판(201)을 접착하여 외부의 수분과 산소가 내부의 유기발광부(102)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링재(105)로는 수분 및 산소의 차단효과가 좋으면서도 소자기판(101)과 다층 봉지기판(201)의 금속 표면재(203)와 접착력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소재는 아크릴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계 수지,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셀룰로오즈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유기발광부(102)와 다층 봉지기판(201) 사이에 수분-산소 제거제(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소 제거제(103)로는 실리카겔, 산화칼슘 또는 탄산칼슘 등의 무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유기계 및 무기계 바인더(binder)와 함께 혼합된 시트(sheet)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산소 제거제(103)는 시트(sheet)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FPC(106)를 통해 구동전압과 입력 신호가 박막트랜지스터(301)로 인가됨에 따라 ITO 전극(303)과 금속 음극(305)간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유기발광소재(304)에서 빛이 방출되어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로써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a)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박을 접착 또는 금속을 코팅하여 다층 봉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자기판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소자기판을 실링재로 접착시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에 따르면, 우선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박을 접착 또는 금속을 코팅하여 다층 봉지기판을 제조한다. 상기 플라스틱 심재(202)와 금속 표면재(203)는 견고하게 밀착되어야 한다. 금속 표면재(203)와 플라스틱 심재(202)는 금속박을 접착제로 접착시키거나 플라스틱 심재 자체의 접착성을 이용하여 용융 접착함으로써 일체화 성형이 가능하다. 플라스틱 심재 자체의 접착성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플라스틱 심재는 열경화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화 성형방법으로는 압출성형, 사출성형, 또는 오토클레이브 성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심재와 금속 표면재를 밀착시키기 위해 금속을 증착, 스퍼터링(sputtering)하여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건식 코팅 방법 또는 도금을 통해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습식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소자기판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한 뒤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유기발광부 사이에 수분-산소 제거제를 첨가한 뒤 상기 소자기판과 다층 봉지기판을 실링재로 밀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스틱 심재에 금속 표면재가 접착 또는 코팅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면서도 우수한 수분 및 산소 차단 특성을 가지는 다층 봉지기판을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부의 수명 저하를 최소화하여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기판의 소재로 플라스틱 심재 및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유리 봉지기판을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해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플라스틱 특유의 성형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봉지기판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1: 소자기판
102: 유기발광부
103: 수분-산소 제거제
104: 봉지기판
105: 실링재
106: FPC(Flexible Printed Circuit)
201: 다층 봉지기판
202: 플라스틱 심재
203: 금속 표면재
301: 박막트랜지스터
302: 평탄화막
303: ITO 전극
304: 유기발광소재
305: 금속 음극

Claims (13)

  1. 소자기판;
    상기 소자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부; 및
    상기 소자기판을 밀봉하는 다층 봉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층 봉지기판은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 표면재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심재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페닐렌 설피드(polyphenylsulf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크릴로 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비닐에스테르(vinylester), 불포화폴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 페놀(phenol), 폴리이미드 (polyimide), 비스말레이미드(bismaleimide), 및 시아네이트 에스테르(cyanate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심재는 강화 섬유 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심재의 두께는 10 ㎛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표면재는 금(Au), 은(Ag), 구리(Cu), 크롬(Cr), 백금(Pt), 알루미늄(Al), 및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표면재의 두께는 50 nm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소자기판 사이에 실링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부와 다층 봉지기판 사이에 수분-산소 제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11. (a)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박을 접착 또는 금속을 코팅하여 다층 봉지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자기판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소자기판을 실링재로 접착시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금속 코팅은,
    상기 플라스틱 심재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을 증착,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도금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밀봉은,
    상기 다층 봉지기판과 유기발광부 사이에 수분-산소 제거제를 첨가하여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KR1020100118177A 2010-11-25 2010-11-25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6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77A KR20120056572A (ko) 2010-11-25 2010-11-25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77A KR20120056572A (ko) 2010-11-25 2010-11-25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572A true KR20120056572A (ko) 2012-06-04

Family

ID=4660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77A KR20120056572A (ko) 2010-11-25 2010-11-25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5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19B1 (ko) * 2012-07-04 2014-06-25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US9000666B2 (en) 2012-10-04 2015-04-07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a sheet with a metal layer in between a base substrate and an encapsulation substrate
CN105679962A (zh) * 2016-01-26 2016-06-15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封装方法与光电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19B1 (ko) * 2012-07-04 2014-06-25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US9000666B2 (en) 2012-10-04 2015-04-07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a sheet with a metal layer in between a base substrate and an encapsulation substrate
CN105679962A (zh) * 2016-01-26 2016-06-15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封装方法与光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29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44609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8458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070290609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TW200417281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46221A (ja) 平板表示装置用のシール材及びそれを備えた平板表示装置
JP2010055918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9199979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59309A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2007042367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312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56572A (ko)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8711308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1128462A (ja) 表示パネルユニット
JP4798671B2 (ja) 両面発光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照明装置
JP4796363B2 (ja)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2150B1 (ko) 양면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작 방법
JP2007080711A (ja) 有機el素子の封止方法
KR101023132B1 (ko) 평판표시장치
JP2002216949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封止方法及び封止構造
KR1009223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24558B1 (ko) 광추출효율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기판
KR2017001366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12943A (ko) 광추출 효율이 개선된 유기전계 발광장치
US20220102477A1 (en) Display device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