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490A -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하프 미끄럼베어링 - Google Patents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하프 미끄럼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490A
KR20120055490A KR1020117003197A KR20117003197A KR20120055490A KR 20120055490 A KR20120055490 A KR 20120055490A KR 1020117003197 A KR1020117003197 A KR 1020117003197A KR 20117003197 A KR20117003197 A KR 20117003197A KR 20120055490 A KR20120055490 A KR 20120055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ositioning member
sliding bearing
tool
half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800B1 (ko
Inventor
미치토시 이나가키
츠요시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다이도 메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도 메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도 메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a pair of essentially semicircular bearing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08Attachment of brasses, bushes or linings to the bearing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2Crankshaf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4Connecting-rod bearings; Attach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40Shaping by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80Shaping by separating parts, e.g. by severing, cracking
    • F16C2220/82Shaping by separating parts, e.g. by severing, cracking by cu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43Rotary bearing
    • Y10T29/49647Plain b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신규 구성의 위치 결정부재를 가지는 하프 미끄럼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공구의 폭을 좁혀 가압한 베어링 본체(13)의 형성재료의 일부가 공구의 외측으로 물러나도록 하면, 베어링 본체(13)의 원주방향에서의 형성 재료의 변형량을 억제하면서, 위치 결정부재(20)가 그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필요한 돌출량(베어링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위치 결정부재(20)는 평탄부(21a)와 돌출부(22)를 구비하고, 평탄부(21a)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하여 돌출부(22)의 선단이 맞댐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하프 미끄럼베어링{MANUFACTURING METHOD OF HALF PLAIN BEARING AND HALF PLAIN BEARING}
본 발명은,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하프 미끄럼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하프 미끄럼베어링은, 예를 들면 자동차용 엔진의 커넥팅 로드에 조립되고, 커넥팅 로드에 삽입된 크랭크 샤프트의 크랭크핀을 커넥팅 로드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베어링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프 미끄럼베어링을 베어링 하우징(예를 들면 커넥팅 로드 등)에 조립할 때에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 결정부재를 형성함과 함께, 베어링 하우징에 감합(嵌合)홈(오목부)을 형성하여 두고, 감합홈에 위치 결정부재를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에 대한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베어링 하우징에 대한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축선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여 위치 결정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위치 결정부재의 돌출량을, 베어링 하우징의 감합홈의 치수에 맞추어,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하프 미끄럼베어링은, 반원통형의 베어링 본체와, 당해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재를 구비한다. 위치 결정부재는 맞댐면으로부터 베어링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치우쳐 이동한(오목해진) 평탄부를 구비하고, 당해 평탄부로부터 베어링 본체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한다. 돌출부의 상면은 평탄부와 하나의 면이고, 양자는 동일한 가상 평면 상에 존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하프 미끄럼베어링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반원통형의 베어링 본체를 준비한다. 이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하프면)의 외주측 일부에 공구의 평탄한 가공면을 할당하고(도 8 참조), 이것을 가압하여 맞댐면의 외주측 일부와 함께 베어링 본체의 외주면 측의 형성 재료를 소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는 공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부재의 상면(공구 맞닿음면)은 공구의 가공면을 따른 형상, 즉 평탄면이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도 참조하고 싶다.
일본국 특개소59-5022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210064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5-536696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은 위치 결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위치 결정부재의 돌출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위치 결정부재를 형성하면, 위치 결정부재의 돌출량의 증대에 따라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의 변형량도 증대한다.
그 결과, 베어링 본체에 예기하지 않은 변형이 생기거나 하여 베어링 성능에 악영향을 주거나, 또한 베어링 본체의 재료 선택에 제한이 생기거나 하여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설계 자유도를 제한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방법으로 위치 결정부재를 형성하면, 공구에 인가되는 응력 증대에 기인하는 공구의 내구성 저하도 염려되고, 제조 효율이 낮아진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공구의 폭을 좁혀 가압한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의 일부가 공구의 외측으로 릴리프되도록 하면, 베어링 본체의 원주방향에서의 형성 재료의 변형량을 억제하면서, 위치 결정부재가 그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필요한 돌출량(베어링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 1의 국면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반원통형의 베어링 본체와, 당해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의 외주측 일부에 공구를 가압하여, 상기 맞댐면의 외주측 일부와 함께 상기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재를 구비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맞댐면의 외주 측 일부에 상기 공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를 상기 공구의 바깥쪽 면에 근접하도록 소성 변형시켜 상기 위치 결정부재를 형성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 방법.
제 1의 국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베어링 본체의 외주면 측의 형성 재료를 공구의 바깥쪽 면에 근접하도록, 바꾸어 말하면 돌아 들어가도록 소성 변형시키기 때문에, 당해 돌아들어감의 양에 대응하여 베어링 본체에서의 변형, 특히 원주방향으로의 변형이 억제된다.
공구의 바깥쪽 면으로 돌아 들어간 재료에 의해, 베어링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벌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재에 요구되는 위치 결정 기능도 확보할 수 있다.
베어링 본체의 재료를 공구의 바깥쪽 면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얇은 공구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에 맞닿는 공구의 면(제 1 면)은 가압 방향으로 대략 수직한 면으로서, 그 폭(베어링 본체의 반경방향에 대한)은 베어링 본체의 재질, 구조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나,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의 바깥 가장자리(베어링 본체의, 맞댐면과 외주면과의 교차선)의 관계에서, 공구의 바깥쪽 면(제 2 면)의 상기 제 1 면측의 선단 위치는, 베어링 본체의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하거나, 또는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할 때의 제 1 면의 폭의 ±30% 이내의 길이의 범위에서 베어링 본체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치우쳐 이동하여 있는 것으로 한다. 제 2 면의 선단 위치가,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할 때의 제 1 면의 폭보다 30% 이내에서 베어링 본체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치우쳐 이동(제 1 면의 폭이,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할 때의 제 1 면의 폭보다도 긴)하여 있으면,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가 공구의 바깥쪽 면 측으로 돌아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면의 선단 위치가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할 때의 제 1 면의 폭보다 30% 이내에서 베어링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 측으로 치우쳐 이동(제 1 면의 폭이,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할 때의 제 1 면의 폭보다도 짧은)하여 있으면, 돌출부에 충분한 돌출량이 용이하게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공구는, 가공면(제 1 면)과 바깥쪽 면(제 2 면)의 끼인각이 직각 내지 둔각으로 하는 것이 공구의 내구면에서 바람직하다. 공구의 바깥쪽 면(제 2 면)에는, 공구를 맞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도중에,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가 접촉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공구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는 가공면과 그것에 이어지는 바깥쪽 면의 부분을 각각 평탄면으로 하여, 양자를 직교시킨다. 또한, 가공면에 이어지는 내측면의 부분도 평탄면으로 하여 양자를 직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재는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 있다. 즉, 반원통형의 베어링 본체와, 당해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재를 구비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맞댐면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본체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치우쳐 이동한 평탄부와 당해 평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탄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상기 맞댐면 측에 위치하고 있는 하프 미끄럼베어링.
이와 같이 규정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에 있어서, 공구의 바깥쪽 면으로 돌아 들어간 베어링 본체의 재료가 돌출부가 되고, 이와 같은 돌출부는 평탄부로부터 윗쪽(맞댐면 측)으로 굴절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베어링 본체의 원주방향에서의 형성 재료의 변형량이 억제되면서, 위치 결정부재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필요한 돌출량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하프 미끄럼베어링을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쉽고, 또한, 내피로성 등의 베어링 성능의 향상에 공헌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에 형성하는 감합홈을 더욱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프 미끄럼베어링에 의하면, 그 위치 결정부재가 평탄부와 이 평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고, 그 돌출부의 선단은 평탄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으로부터 상측, 즉 맞댐면 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의 선단 측을 맞댐면 측으로 치우쳐 이동시킴으로써, 맞댐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돌출부의 선단과의 거리가 작아진다. 이에 의하여,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하우징에 덮도록 조립되는 상대 측 하우징에 간섭하기 쉬워지고, 상대 측 하우징의 피간섭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요부 평면도,
도 1(B)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측면도,
도 2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로서, 도 1에 나타내는 α-α선 단면도,
도 3은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4에 나타내는 β-β선 단면도,
도 6은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특허문헌 2의 도 1?도 3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본 실시형태(도 3 참조)와 종래 기술(도 8 참조)에서의 백메탈층(12)의 재질과 치수 Y, Z, X, W(Y', Z', X', W') 및 Y/Z(Y'/Z')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도 10은 본 실시형태(도 3 참조)와 종래 기술(도 8 참조)에서의 치수 Z와 치수 Y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실시형태(도 3 참조)와 종래기술(도 8 참조)에서의 치수 X와 가압 공구(33, 33')가 백메탈층(12)을 가압할 때의 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가압 공구(33)의 저면부(33a)의 두께 U와, 치수 V, Y, T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
도 13(A)는, 위치 결정부재(20)을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
도 13(B)는,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베어링 하우징(40)에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예의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베어링 하우징(40)에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의 하프(half) 미끄럼베어링(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구성]
도 1(A)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B)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한 종단면도로서, 도 1에 나타내는 α-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위치 결정 포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은, 2층 구조(바이메탈 타입)의 경우, 슬라이딩층(11)의 외주면에 백메탈층(12)이 겹쳐져 일체적으로 되어 있고, 전체가 반원통 형상으로 만곡하여 베어링 본체(13)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층(11)은, 미끄럼베어링에 적합한 성질(예를 들면, 저마찰성, 내마모성, 내피로성, 비용착성, 융합성 등)을 가지는 예를 들면 Al합금이나 Cu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백메탈층(12)은,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강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직경이 약 40?80 mm이고, 슬라이딩층(11)과 백메탈층(12)을 합한 두께가 약 1.5?3.0 mm인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예로서 들었다.
베어링 본체(13)의 만곡된 양 가장자리가 각각 맞댐면(분할면, 맞닿음면면)(14a, 14b)이 되고,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축방향에서의 맞댐면(14a)의 대략 중간위치에 1개의 위치 결정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 위치 및 형성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용도나 형상에 따라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위치 결정부재(20)는, 오목부(21) 및 돌출부(22)로 구성되고, 백메탈층(12)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1)는 백메탈층(12)[베어링 본체(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면 コ자 형상의 오목부이고, 오목부(21)는 맞댐면(14a)에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21)의 저면 측에는, 평탄한 저면부(평탄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와 슬라이딩층(11) 사이의 백메탈층(12)에는, 대략 일정 두께의 배벽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배벽부(23)는, 오목부(21)와 베어링 본체(13)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배벽부(23)의 배후에 위치하는 슬라이딩층(11)에는 변형이 없고, 슬라이딩층(11)의 내주면은 전체적으로 평활하다.
돌출부(22)는, 백메탈층(12)[베어링 본체(13)]의 외주면 측의 형성 재료가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이다.
돌출부(22)의 내면 측에는, 약간 불룩해진 대략 평탄형상의 내면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내면부(22a)는 오목부(21)의 평탄부(21a)에 연속되어 있고, 내면부(22a)는 평탄부(21a)에 대하여 예각의 경사각도 θ를 이룬 경사면이다.
이 경사각도 θ는 임의로 설계 가능하나, 10?5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도이다.
여기서, 위치 결정부재(20)의 각 부의 치수에 대하여,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반경방향에서의 오목부(21)의 평탄부(21a)의 폭을 「치수 V」, 맞댐면(14a)과 돌출부(22)의 선단부분과의 거리를 「치수 W」, 맞댐면(14a)과 평탄부(21a)와의 거리를 「치수 X」, 평탄부(21a)와 돌출부(22)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반경방향으로의 돌출부(22)의 돌출량을 「치수 Y」, 맞댐면(14a)으로부터 위치 결정부재(20)의 아래 가장자리(22b)까지의 상기 반경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의 거리를 「치수 Z」라 표기한다.
[본 실시형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 방법]
도 4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방법(제조 방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4에 나타내는 β-β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위치 결정부재(2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이스(30), 고정구(스토퍼)(31a, 31b, 32), 가압 공구(33)를 사용한다.
다이스(30)는, 내주면(30a), 상면(30b, 30c), 성형 오목부(30d)가 형성된 블럭재이다.
각 고정구(31a, 31b)는, 동일 치수의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블럭재이다.
고정구(32)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블럭재이다.
가압 공구(33)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금속제 블럭재이고, 가압 공구(33)의 저면 측에는, 평탄형상의 가공면(제 1 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공구(33)의 바깥쪽 면(제 2 면)(33b)은 평탄형상으로 형성되고, 가공면(33a)과 바깥쪽 면(33b)은 직교하고 있다. 또한, 바깥쪽 면(33b)에서 적어도 가공면(33a)과 연속되는 부분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바깥쪽 면(33b)과 가공면(33a)의 끼인각(양자가 이루는 각)은 직각 또는 둔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공구(33)에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가공면(33a)과 가압 공구(33)의 내측면(33c)과의 끼인각은 직각이다.
다이스(30)의 내주면(30a)은,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외형에 대응한 종단면 반원형상의 만곡면을 이루고 있다.
다이스(30)의 상면(30b, 30c)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다이스(30)의 내주면(30a)에 세트하면, 베어링 본체(13)의 외주면은 내주면(30a)에 대하여 간극없이 밀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다이스(30)에 대하여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회전시켜,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 14b)이 각각, 다이스(30)의 상면(30b, 30c)과 하나의 면 상태가 되도록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다이스(30)의 상면(30b)에 각 고정구(31a, 31b)를 설치하여 고정함으로써, 각 고정구(31a, 31b)의 하면 측과,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을 맞닿게 한다.
또한, 다이스(30)의 상면(30c)에 고정구(32)를 설치하여 고정함으로써, 고정구(32)의 하면 측과,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b)을 맞닿게 한다.
그 결과, 다이스(30)의 내주면(30a)과 각 고정구(31a, 31b, 32)에 의하여, 다이스(30)에 대하여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이 끼워 유지되어 고정된다.
다이스(30)의 성형 오목부(30d)는, 상면(30b)에 형성된 단면 コ자 형상의 오목홈(절결)이고,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위치 결정부재(20)를 성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각 고정구(31a, 31b)는, 다이스(30)의 성형 오목부(30d)를 피하는 위치에서, 또한,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가 형성되는 부분을 피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고정한다.
그 결과, 각 고정구(31a, 31b)의 사이로부터, 성형 오목부(30d)와,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가 형성되는 부분이 노출된다.
그리고, 도 4?도 7의 화살표 γ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스(30)의 윗쪽으로부터 성형 오목부(30d)를 향하여 가압 공구(33)을 하강시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의 백메탈층(12)의 외주 측의 일부에 대하여, 가압 공구(33)의 평탄한 가공면(33a)를 맞닿게 한다.
계속해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공구(33)를 맞댐면(14a)에 수직한 방향[베어링 본체(13)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하강시키고,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의 백메탈층(12)의 외주 측의 일부를 가압 공구(33)의 가공면(33a)에 의해 가압하면, 가압된 백메탈층(12)에 소성 변형이 생기고, 위치 결정부재(20)의 오목부(21) 및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이 때, 백메탈층(12)에서, 가압 공구(33)의 가공면(33a)에 맞닿아 있는 부분(외주 측 일부)이 오목부(21)의 평탄부(21a)가 되고, 가압 공구(33)의 내측면(33c)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 배벽부(23)가 되며, 각각 가압 공구(33)의 각 면(33a, 33c)의 형상을 따른 것이 된다.
한편, 가압 공구(33)와의 접촉이 없어진 부분, 즉 백메탈층 (12)의 형성 재료에서 가압 공구(33)의 가압에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온 부분은, 도 6(B),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공구(33)의 바깥쪽 면(33b) 측으로 말려들어 온다.
그리고,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공구(33)를 더욱 하강시켜, 가압 공구(33)에 의한 백메탈층(12)의 가압을 계속하면, 맞댐면(14a)과 평탄부(21a)의 치우침 이동량(치수 X)이 커져 가는 것에 따라, 평탄부(21a)와 돌출부(22)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반경방향으로의 돌출부(22)의 돌출량(치수 Y), 맞댐면(14a)으로부터 위치 결정부재(20)의 아래 가장자리(22b)까지의 상기 반경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의 거리(치수 Z), 맞댐면(14a)과 돌출부(22)의 선단부분과의 거리(치수 W), 경사각도 θ[돌출부(22)의 내면부(22a)가 오목부(21)의 평탄부(21a)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모두 커져 간다.
그 후, 용도에 따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공구(33)를 더욱 하강시켜, 가압 공구(33)에 의한 백메탈층(12)에 대한 가압을 계속하면, 치수 X, Y, Z, W가 커져 가서, 돌출부(22)의 선단부분이 다이스(30)의 성형 오목부(30d)의 수직 내주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면, 치수 Y의 증대가 정지하고 그 이상으로는 커지지 않는다.
즉, 치수(Y)는, 다이스(30)의 성형 오목부(30d)의 수직 내주면과, 평탄부(21a)와 돌출부(22)의 접속 부분과의 거리에 의해 규정된다.
도 6(C) 또는 도 7의 상태가 된 시점에서, 가압 공구(33)에 의한 가압을 정지시키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위치 결정부재(20)가 완성된다.
위치 결정부재(20)가 완성되면, 경사각도 θ는, O보다 크고 60도 이하가 된다(0 <θ≤60도).
상기한 설명에서는, 1개의 가압 공구(33)를 동일 방향(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나, 돌출부(22)를 임의로 부형(附形)하기 때문에, 가압 공구(33)를 베어링 본체(13)의 반경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면의 폭이 다른 복수의 가압 공구를 사용하여 돌출부의 형상을 갖출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 공구에 의한 가압량(도면에서 상하 방향의 이동량)이 소정의 길이를 초과하였을 때에 가압 공구를 더욱 폭이 넓은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가압 공구에서 가공면(33a)과 바깥쪽 면(33b)과의 교차 부분을 모따기(곡면, 또는 평면)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따기함으로써, 가압 공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종래 기술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구성]
도 8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8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서, 도 1?도 7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재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부호를 같게 함과 함께, 부호의 말미에 「'」를 붙이고 있다.
종래 기술의 위치 결정부재(20')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 결정부재(20)와 다른 것은, 오목부(21')의 평탄부(21a')에 대하여 돌출부(22')의 내면부(22a')가 경사져 있지 않고, 평탄부(21a')와 내면부(22a')가 하나의 면 상태로 되어 있는 점이다.
특허문헌 1에는, 돌출부(22')의 형성방법에 대하여, 단지 「외측의 돌기[돌출부(22')]가 베어링 셸[베어링 본체(13')]의 분할면[맞댐면(14a')]에 강한 힘을 작용시거나 베어링의 내측을 대응 받침으로 지지함으로써 국부적으로 압출 성형되어 있다」라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으로, 돌출부(22')를 가압 형성하기 위한 가압 공구(33')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일체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실험을 반복한 결과, 도 8에 나타내는 돌출부(2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치수 V'와 치수 Y'의 가산값 V'+Y'에 대하여, 저면부(33a')의 두께 U'가 충분히 큰 가압 공구(33')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U'>V'+Y'). 즉,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가압 공구(33')는 넓은 가공면(33a')을 가지기 때문에, 베어링 본체의 재료는 가압 공구(33')의 바깥쪽 면(33b')까지 돌아들어가는 일 없이, 모두 그 가공면(33a')의 간섭 하에 있다. 그 결과, 돌출부의 상면형상은 평탄부와 하나의 면인 평탄형상이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공구(33)의 가공면(33a)의 두께 U와 치수 V가 동일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형태(도 3 참조)와 종래 기술(도 8 참조)에서의 백메탈층(12)의 재질과 치수 Y, Z, X, W(Y',Z',X',W') 및 Y/Z(Y'/Z')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실시예품 1과 비교예품 1(도 8의 방법으로 형성한 물건)을 비교하면, 치수 X, X'는 동등함에도 불구하고, 치수 Y, Y'를 치수 Z, Z'로 제산한 Y/Z, Y'/Z'값이, 실시예품 1은 0.21 , 비교예품 1은 0.19 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11%나 크게 할 수 있다.
실시예품 2는, 실시예품 1보다 X를 크게 한 실시예이었으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Y/Z값이 0.2 이상을 나타낸다.
백메탈층(12)의 재질이 경도 200(HV)을 초과하는 경질재인 실시예품 3은, 실시예품 1과 비교하면, 치수 X는 대략 동일한 것에 대하여, 치수 Y가 커지고, 치수 Z가 작아지며, Y/Z 값이 0.28로 크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는 경질재료에 대하여 특히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도 3 참조)와 종래 기술(도 8 참조)에서의 치수 Z와 치수 Y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치수 Z, Z'에 대한 치수 Y, Y'(Y/Z, Y'/Z'값)를 크게 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에 대한 하프 미끄럼베어링(10, 10')의 축선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여 위치 결정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수 Y, Y'[평탄부(21a, 21a')와 돌출부(22, 22')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하프 미끄럼베어링(10, 10')의 반경방향으로의 돌출부(22)의 돌출량]를, 베어링 하우징의 감합홈의 치수에 맞추어,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어링 하우징의 감합홈이 커지면, 감합홈을 절삭 가공하기 위한 제조 비용이 증대하는 데다가, 베어링 하우징의 강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베어링 하우징의 감합홈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치수 Z, Z'[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원주방향으로의 돌출부(22)의 길이]를, 돌출부(22)의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한 다음에,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수 Z, Z'가 커지면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 자체의 변형량이 커지기 때문에, 공구에 의해 큰 하중이 요구됨과 함께 베어링 본체의 형상에 왜곡이 생길 가능성도 커진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Y/Z값은 이것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Y/Z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한 Y/Z 값은 0.2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이다. Y/Z 의 상한은 위치 결정부재에 요구되는 강도 등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백메탈층(12)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위치 결정부재(20)의 위치 결정 기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베어링 하우징의 감합홈을 작게 하여, 베어링 하우징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킴과 함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백메탈층(12)의 형성재료에서 소성 변형된 체적은, 가압 공구의 하프 미끄럼베어링 축선방향 길이를 소정 치수로 한 경우, 가압 공구의 스트로크량[치수 X]과 가압 공구에 의해 변형되는 폭[치수 V]으로 정의된다. 후자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와 도 8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을 비교하면(특히 실시예품 1 및 비교예품 1 참조), 치수 X, X'가 동일한 경우에는[즉, 소성 변형되는 백메탈층(12)의 형성 재료의 체적이 동일한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치수 Z가 종래 기술의 치수 Z'에 비하여 작아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백메탈층(12)의 성형재료에서 그 원주방향으로 변형되는 성분이 더욱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백메탈층(12)의 형성 재료를 효율적으로 돌출부의 형성에 기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백메탈층(12)에서 그 원주방향으로의 변형량이 작아지면, 베어링 본체(13)에 발생하는 응력이 작아져, 그 변형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도 3 참조)와 종래 기술(도 8 참조)에서의 치수 X와 가압 공구(33, 33')가 백메탈층(12)을 가압할 때의 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압 공구(33, 33')가 백메탈층(12, 12')을 가압하는 하중이 커지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 예기하지 않는 변형이 생길 염려가 있으나, 특히,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미끄럼베어링(1O)의 외주면에서의 돌출부(22)의 주변 부분 P에 소성 변형이 생겨 형상이 무너지기 쉬워진다.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형상이 무너지면, 예를 들면 베어링 하우징에 대하여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정상으로 조립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가압 공구(33, 33')가 백메탈층(12, 12')을 가압하는 하중은,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X를 충분히 크게 한 경우에, 가압 공구(33)가 백메탈층(12)을 가압하는 하중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외주면에서의 돌출부(22)의 주변 부분 P의 형상을 무너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외주면을 평활하게 하여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공구(33, 33')가 백메탈층(12, 12')을 가압하는 하중이 커지면, 가압 공구(33, 33')의 구동장치(도시 생략)가 대형화하는 데다가, 가압 공구(33, 33')의 공구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압 공구(33)가 백메탈층(12)을 가압하는 하중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압 공구(33)의 구동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데다가, 가압 공구(33)의 공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에서의 반경방향에서의 오목부(21)의 폭을 「치수 T」라고 표기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T와 치수 V[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반경방향에서의 오목부(21)의 평탄부(21a)의 폭]가 같게 되어 있다.
도 12는, 가압 공구(33)의 가공면(33a)의 두께 U와, 치수 V, Y, T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다.
또한, 두께 U와 치수 V는 같아진다.
도 12(A)는, 치수 T에 대하여 치수 U(=V)가 30%만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B)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고, 치수 U(=V)와 치수 T가 같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C)는, 치수 T에 대하여 치수 U(=V)가 30%만 큰 경우를 나타낸다.
치수 U(=V)에 대한 치수 T의 치수범위는, -30%[도 12(A)참조]?+30%[도 12(C)참조]의 범위 내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20%의 범위 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도 12(B)참조]이다.
치수 T에 대하여 치수 U(=V)가 상기 범위 내이면, 백메탈부(12)의 재료가 가압 공구(33)의 바깥쪽 면으로 더욱 돌아 들어가기 쉽다. 돌출부(22)에 충분한 돌출량을 더욱 부여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메탈층(12)의 배벽부(23)의 배후에 위치하는 슬라이딩층(11)에는 변형이 없고, 슬라이딩층(11)의 내주면은 전체적으로 평활하다.
즉, 위치 결정부재(20)의 배후에 위치하는 베어링 본체(13)의 내주면은 평활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a)으로부터 오일이 새어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오일 누출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딩층(11)의 내주면에 오일의 캐비테이션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슬라이딩층(11)의 내주면의 손상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부재(20)를 가압 형성하는 데,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가압 공구(33)를 사용한다.
백메탈층(12)을 가압하는 가압 공구(33)의 선단부분인 가공면(33a)은, 두께를 가진 평탄형상이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 파손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생산성이 높아져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 삽입된 회전축(예를 들면, 크랭크핀 등)의 회전에 따라,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돌면, 미끄럼베어링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위치 결정부재(20)를,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실시예의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가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서의 위치 결정부재(20)의 근방을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다.
백메탈층(12)의 배벽부(23) 및 슬라이딩층(11)에서, 치수 W에 대응하는 부분을 절단선 K을 따라 절삭 제거한다.
그렇게 하면, 원래의 맞댐면(14a)은 제거되고, 절단선 K을 따른 새로운 맞댐면(14c)이 형성된다.
도 13(B)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베어링 하우징(40)에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베어링 하우징(40)의 맞댐면(40a)에는, 감합홈(41)이 형성되어 있다.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베어링 하우징(40)에 조립할 때에는, 감합홈(41)에 위치 결정부재(20)을 감합시킴으로써, 베어링 하우징(40)에 대한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이 때,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는 절단선 K를 따른 맞댐면(14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맞댐면(14c)과 베어링 하우징(40)의 맞댐면(40a)은 동일 평면형상에 위치하게 된다.
하프 미끄럼베어링(10)과 쌍을 이루는 하프 미끄럼베어링(50)은, 베어링 하우징(60)에 조립되어 있고, 하프 미끄럼베어링(50)과 베어링 하우징(60)의 양자의 맞댐면은 하나의 면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베어링 하우징(40)에 베어링 하우징(60)을 조립하면, 하프 미끄럼베어링(10)과 하프 미끄럼베어링(50)의 맞댐면끼리가 밀착함과 함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위치 결정부재(20)의 돌출부(22)의 선단부분이, 베어링 하우징(60)의 맞댐면에 맞닿아, 위치 결정부재(20)는 걸어멈춤부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각 하프 미끄럼베어링(10)에 삽입된 회전축(도시 생략)의 회전에 따라,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도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도 8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과 도 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를 비교하면, 치수 Y, Y'가 동일한 경우에는, 종래 기술의 치수 W'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치수 W쪽이 작아진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수 W에 대응하는 부분을 절단선 K를 따라 절삭 제거할 때에는, 치수 W가 작을수록 절삭량이 적어져 절삭가공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수 W가 작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절삭가공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아져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베어링 하우징(40)에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을 절삭 가공하지 않고, 베어링 하우징(60)의 맞댐면에 뚫어 설치한 설치구멍(61)에 대하여, 핀(62)을 삽입 고정하고, 핀(62)의 선단부분과 위치 결정부재(20)의 돌출부(22)의 선단부분을 맞닿게 함으로써,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치수 W가 작을수록, 핀(62)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하여 부품 비용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치수 W가 작기 때문에, 위치 결정부재(20)를 걸어멈춤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핀(62)이 더욱 소형이어도 되기 때문에 부품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지고, 도 14에 나타내는 베어링기구 전체의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와 같이 구체화하여도 되고, 그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은 2층 구조이나, 백메탈층(12)을 생략한 1층 구조(솔리드 타입)로 하여도 되고, 그 경우에는, 슬라이딩층(11)이 되는 부재에 위치 결정부재(2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은, 2층 구조에 더하여 오버레이를 실시한 3층 구조(트리메탈 타입)로 하여도 되고, 또한 4층 구조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축방향에서의 대략 중간위치에 위치 결정부재(20)를 1개만 형성하고 있으나, 대략 중간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맞댐면(14a)의 어느 부분에 위치 결정부재(20)을 형성하여도 되고, 맞댐면(14a)의 적당한 부분에 2개 이상의 위치 결정부재(20)를 형성하여도 된다. 맞댐면(14a)과 맞댐면(14b)과 같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원주방향 양 단부에, 위치 결정부재(20)를 각각 형성하여도 된다. 위치 결정부재(20)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위치 결정부재(20)를 예를 들면 하프 미끄럼베어링(10)의 축선방향 단부에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국면 및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상하여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 중에서 명시한 공개특허공보 등의 내용은, 그 모든 내용을 원용에 의해 인용하는 것으로 한다.
10 : 하프 미끄럼베어링 11 : 슬라이딩층
12 : 백메탈층 13 : 베어링 본체
14a, 14b, 14c : 맞댐면 20 : 위치 결정부재
21 : 오목부 21a : 평탄부
22 : 돌출부 22a : 내면부
23 : 배벽부 30 : 다이스
30a : 내주면 30b, 30c : 상면
30d : 성형 오목부 31a, 31b, 32 : 고정구
33 : 가압 공구 33a : 가공면
40 : 베어링 하우징 40a : 맞댐면
41 : 감합홈 50 : 하프 미끄럼베어링
60 : 베어링 하우징 61 : 설치구멍
62 : 핀

Claims (6)

  1. 반원통형의 베어링 본체와,
    당해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의 외주(外周) 측 일부에 공구를 가압하여, 상기 맞댐면의 외주 측 일부와 함께 상기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재를 구비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맞댐면의 외주 측 일부에 상기 공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베어링 본체의 형성 재료를 상기 공구의 바깥쪽 면에 근접하도록 소성 변형시켜 상기 위치 결정부재를 형성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상기 맞댐면의 외주 측 일부에 맞닿는 제 1 면과, 당해 제 1 면과 연속하는 제 2 면으로서 상기 베어링 본체에 대하여 외주 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의 끼인각은 직각 내지 둔각이고,
    상기 제 2 면의 상기 제 1 면 측의 선단의 위치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하거나, 또는 바깥 가장자리와 일치할 때의 제 1 면의 폭의 ±30% 이내의 길이의 범위에서 베어링 본체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치우쳐 이동하여 있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은 모두 평탄하고, 또한 양자의 끼인각은 직각인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4. 반원통형의 베어링 본체와,
    당해 베어링 본체의 맞댐면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부재를 구비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으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맞댐면에서 상기 베어링 본체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치우쳐 이동한 평탄부와 당해 평탄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탄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상기 맞댐면 측에 위치하여 있는 하프 미끄럼베어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맞댐면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선단까지의 반경방향의 거리 Y와, 상기 맞댐면으로부터 상기 위치 결정부재의 아래 가장자리까지의 상기반경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의 거리 Z와의 비(Y/Z)가 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미끄럼베어링.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외주 측 단부(端部)는, 상기 베어링 본체의 외주면과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평탄부의 내주 측 단부를 상기 베어링 본체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맞댐면까지 치우쳐 이동한 곳과 그 맞댐면의 바깥 가장자리와의 거리의 ±30% 이내의 길이의 범위에서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치우쳐 이동하여 있는 하프 미끄럼베어링.
KR1020117003197A 2010-07-30 2010-07-30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하프 미끄럼베어링 KR101336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2942 WO2012014323A1 (ja) 2010-07-30 2010-07-30 半割すべり軸受の製造方法および半割すべり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490A true KR20120055490A (ko) 2012-05-31
KR101336800B1 KR101336800B1 (ko) 2013-12-04

Family

ID=4454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197A KR101336800B1 (ko) 2010-07-30 2010-07-30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하프 미끄럼베어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00335B2 (ko)
EP (1) EP2520816B1 (ko)
JP (1) JP4746155B1 (ko)
KR (1) KR101336800B1 (ko)
WO (1) WO2012014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6515A1 (en) * 2011-12-05 2014-11-06 Smith International, Inc. Rotating cutting elements for pdc bits
GB2508216A (en) 2012-11-26 2014-05-28 Mahle Int Gmbh A bearing shell for a sliding bearing
US9322437B2 (en) * 2012-12-28 2016-04-26 Sunpower Corporation Support for solar energy collection
US11035591B2 (en) * 2015-10-13 2021-06-15 Corosolar Llc Bearing assembly for solar trackers
WO2017100555A1 (en) * 2015-12-09 2017-06-15 Ggb, Inc. Plain bearing shell with anti-rotation features
WO2019126091A1 (en) * 2017-12-21 2019-06-27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Adjustable crankshaft eccentric for bodymaker ram stroke change
US11286986B2 (en) 2019-11-08 2022-03-2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plit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3404780B (zh) * 2021-05-12 2022-06-28 湖南崇德科技股份有限公司 轴瓦止动装置
JP2023030707A (ja) * 2021-08-24 2023-03-08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半割軸受およびすべり軸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0700C2 (de) 1982-08-18 1985-04-25 Glyco-Metall-Werke Daelen & Loos Gmbh, 6200 Wiesbad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adialen Haltevorsprungs an einer Gleitlagerschale
JP3114785B2 (ja) * 1993-12-28 2000-12-04 大豊工業株式会社 すべり軸受装置
JP3056998B2 (ja) * 1996-01-31 2000-06-26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半割すべり軸受
AT412812B (de) 2002-08-27 2005-07-25 Miba Gleitlager Gmbh Gleitlagerschale
DE10246976A1 (de) * 2002-10-09 2004-04-22 Ks Gleitlager Gmbh Gleitlagerscha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ltevorsprungs bei einer Gleiterschale
DE10314435B8 (de) * 2003-03-31 2006-08-24 Federal-Mogul Wiesbaden Gmbh & Co. Kg Lagerschale mit mindestens einem Haltenock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4323A1 (ja) 2012-02-02
US8500335B2 (en) 2013-08-06
EP2520816A1 (en) 2012-11-07
JPWO2012014323A1 (ja) 2013-09-09
JP4746155B1 (ja) 2011-08-10
EP2520816A4 (en) 2013-01-23
KR101336800B1 (ko) 2013-12-04
US20120027328A1 (en) 2012-02-02
EP2520816B1 (en)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800B1 (ko) 하프 미끄럼베어링의 제조방법 및 하프 미끄럼베어링
US8393792B2 (en) Bearing device
US10907683B2 (en) Half thrust bearing for crankshaf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27885A (en) Sliding bearing half shell
EP2294325B1 (en) Flange for a flanged bearing
JP5220725B2 (ja) ラジアルピストンを有する液圧モータ用ピストンおよび該ピストンの製造方法
JPWO2007077880A1 (ja) 焼結部品が接合された軸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内燃機関用カムシャフト
US11035408B2 (en) Half thrust bearing for crankshaf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019217A2 (en) Split bearing
KR101355142B1 (ko) 슬라이딩 부재, 이것을 사용하는 하프 슬라이딩 베어링, 및 하프 슬라이딩 베어링의 제조 방법
KR101462122B1 (ko) 하프 슬라이딩 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
JP6032552B2 (ja) 半割スラスト軸受
US8635942B2 (en) Lifter structure
GB2525734A (en) Bearing device
JP5966554B2 (ja) 波形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205508B2 (ja) 滑り軸受および滑り軸受の製造方法
WO2016203912A1 (ja) 滑り軸受
JP4483803B2 (ja) スラスト円筒ころ軸受
JP2012031991A (ja) 半割すべり軸受の製造方法および半割すべり軸受
JP5897625B2 (ja) すべり軸受
JP6873819B2 (ja) クランクワッシャ
JP2000352423A (ja) 保持器付きころ
US20090080821A1 (en) Plain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