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335A -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335A
KR20120053335A KR1020100114555A KR20100114555A KR20120053335A KR 20120053335 A KR20120053335 A KR 20120053335A KR 1020100114555 A KR1020100114555 A KR 1020100114555A KR 20100114555 A KR20100114555 A KR 20100114555A KR 20120053335 A KR20120053335 A KR 20120053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icon
fold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3961B1 (ko
Inventor
심정현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961B1/ko
Priority to US13/250,243 priority patent/US9710149B2/en
Priority to PCT/KR2011/008396 priority patent/WO2012067369A2/en
Priority to EP11841378.0A priority patent/EP2641157B1/en
Publication of KR2012005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고, 폴더의 편집 또는 열람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화면을 입체감있게 축소한 제1 영역 및 상기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intuitive editing and inspecting folder}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폴더 및 아이콘이 모두 존재하는 환경에서 폴더 및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디바이스들의 증가와 함께 작은 화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이 이슈가 되고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직관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충분히 심미적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특히, 하드웨어 성능의 향상 및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의 개선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들의 수가 증가하였고,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에 대한 아이콘의 정리를 위해 아이콘 폴더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더 및 아이콘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폴더의 편집 또는 열람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을 축소한 제1 영역 및 상기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크기를 상기 제1 화면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의 상부에 위치한 아이콘이 하부에 위치한 아이콘보다 더 작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에서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1 영역을 표시되도록 상기 제1 화면의 높이를 축소시킨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변경하여 생성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1 영역의 하부의 너비는 상기 제1 화면이 너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상기 제1 영역의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정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및 상기 제1 영역은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생성하고, 폴더의 편집 또는 열람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을 축소한 제1 영역 및 상기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크기를 상기 제1 화면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폴더 및 아이콘을 쉽게 선택, 열람 및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 및 폴더의 내용이 하나의 화면에 입체감있게 표현되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를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의 내용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를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화면들을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생성하고, 폴더의 편집 또는 열람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화면을 축소한 제1 영역 및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생성한다.
제1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으로서, 아이콘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일 수도 있고, 소정의 폴더에 대한 아이콘일 수도 있다. 제2 화면에 포함된 제1 영역은 제1 화면을 축소한 화면으로서 화면을 보는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축소된 화면일 수도 있다.
제1 영역을 축소함과 동시에 소정의 명함 효과를 적용하거나, 제1 화면에서의 위치에 따라 아이콘의 축소 정도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2차원 화면에서 3차원 공간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10)로부터 생성된 화면들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구비된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부(110)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20)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스크린으로서, 화면의 표시 및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210)이 제어부(110)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된다. 화면(210)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일 수도 있고, 소정의 폴더에 대한 아이콘일 수 있다. 사용자가 도 2a의 화면(210)에서 화면(210)의 편집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면, 도 2b의 또 다른 화면(220)이 표시된다. 도 2b의 화면(220)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기는 하나, 아이콘의 삭제 또는 폴더의 생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2a의 화면(210)에서 소정의 아이콘을 터치(touch)한 상태로 소정 시간을 유지하면, 도 2b의 화면(220)이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을 터치한 채 소정 시간을 유지하는 것은 화면(210)의 편집을 위한 제어 동작의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 화면(210)의 편집을 위한 도 2b의 화면(220)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즉, 터치 스크린과 별도로 구비된 버튼을 누르거나, 별토로 구비된 터치 센서를 터치하면, 도 2b의 화면(220)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소정의 동작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디바이스를 움직여, 도 2b의 화면(220)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를 흔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도 2b의 화면(220)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화면(210)의 편집을 위한 도 2b의 화면(220)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삭제를 위한 "x"가 표시되며, 화면(220)의 상단에는 폴더 생성 기능과 관련된 영역(222)이 표시된다. 폴더 생성 기능과 관련된 영역(222)의 위치는 반드시 화면(220)의 상단일 필요는 없으며, 화면의 하단, 좌측 또는 우측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화면(220)의 상단에 위치한 영역(222)을 선택(예를 들어, 터치)하면, 도 2c에 도시된 화면(230)이 표시된다. 영역(222)을 1회 또는 복수회 터치하거나, 영역(222)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2c의 화면(230)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2c의 화면(230)은 도 2b의 화면(220)을 축소한 제1 영역(232) 및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234)을 포함한다. 입체감을 발생하도록 소정의 원근법(perspective)에 따라 도 2b의 화면(220)을 축소한다. 화면(2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가상의 소실점을 설정하고, 화면(220)이 소실점과 화면(230)의 하부 경계가 이루는 평면에 제1 영역(232)이 포함되도록 화면(220)을 축소한다.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화면(220)이 축소되기 때문에 화면(220)의 높이만 축소되는 것이 아니라, 화면(220)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화면(220)에서의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변경된다. 도 2c의 화면(230)과 같이 소실점이 화면(230)의 상부 방향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화면(220)의 상부에 위치한 아이콘을 화면(220)의 하부에 위치한 아이콘보다 더 작은 크기로 변경한다.
소정의 소실점을 설정하고, 도 2b의 화면(220)을 축소하기 때문에, 도 2b의 화면(220)을 축소한 제1 영역(232)은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이고, 그 안에 포함된 아이콘들도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로 변경된다. 제1 영역(232)의 하부 너비는 화면(220)의 너비와 동일하게 유지되고,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변경된다.
도 2b에서 선택된 영역(222)이 폴더의 생성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므로, 도 2c의 화면(230)에서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234)에는 표시되는 내용이 없다. 새로운 폴더의 생성이므로, 폴더의 이름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New Folder"가 표시된다.
도 2c의 화면(230)에서 사용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에 포함될 아이콘을 선택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2)의 소정의 아이콘(236)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제2 영역(234)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폴더에 포함될 아이콘(236)을 선택할 수 있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이 아니라 도 2c의 화면(230)에서 제1 영역(232)의 아이콘을 한번 터치하면, 터치된 아이콘이 제2 영역(234)으로 이동하도록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e는 도 2d에 도시된 바에 따라 폴더에 포함될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250)을 도시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에 따라 소정의 아이콘(236)이 폴더에 포함될 아이콘으로 선택되면, 아이콘(236)은 제2 영역(234)에 표시되고, 제1 영역(232)에서 선택된 아이콘(236)이 있던 위치에는 새로 생성된 폴더에 대한 아이콘(242)이 표시된다. 새로 생성된 폴더에 대한 아이콘(242)은 반드시 선택된 아이콘(236)이 있던 위치에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위치에 표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236)이 선택되어 제2 영역(234)에 표시되면, 다른 아이콘들이 전부 한 칸씩 이동하여 선택된 아이콘(236)의 위치를 채우고, 화면(240)의 우측 하단에 빈 공간이 생성되어, 빈 공간에 폴더에 대한 아이콘(242)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f는 폴더에 포함될 아이콘을 추가로 선택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e의 화면에서 추가로 아이콘(238)이 선택되면 제2 영역(234)에 표시되고, 선택된 아이콘(238)이 있던 위치는 빈 공간이 된다.
폴더의 편집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폴더의 편집을 완료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면, 도 2g의 화면(250)이 표시된다. 화면과 별개로 디바이스에 구비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폴더의 편집이 완료되고, 도 2g의 화면(25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g의 화면(250)은 새로 생성된 폴더에 대한 아이콘(242)을 포함한다. "App 6"에 대한 아이콘(236)이 위치했던 자리에 새로 생긴 폴더에 대한 아이콘(242)이 위치하고, "App 12"에 대한 아이콘(238)이 위치했던 자리는 빈 공간이 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를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3c는 제1 화면에서 폴더에 대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2g의 화면(250)에서 폴더에 대한 아이콘(242)이 선택(예를 들어, 터치)되면, 화면(250)이 입체감이 발생하도록 축소된 제1 영역(310) 및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320)을 포함하는 화면(300)이 표시된다.
이때, 폴더의 내용 즉, 폴더에 포함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의 개수에 기초해 적응적으로 제2 영역의 크기가 결정된다. 도 3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에 포함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제2 영역(322 또는 324)은 더 넓어지며, 이에 따라, 화면(300)에서 제1 영역(312 또는 314)은 더 좁아진다.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가 많아져 제2 영역(322 또는 324)의 크기가 커지면, 화면(250)을 더 높은 축소 비율로 축소하여 더 좁은 제1 영역(312 또는 314)을 화면(300)에 표시한다. 전술한 소실점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더 좁은 제1 영역(312 또는 314)을 화면(3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a, 3b 또는 3c에 표시된 화면 즉, 폴더의 내용을 열람하기 위한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2 영역(320, 322 또는 324)의 아이콘을 선택(예를 들어, 터치)하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그러나, 반대로 사용자가 제2 영역(320, 322 또는 324) 이외의 영역을 선택(예를 들어, 터치)하면, 폴더의 열람을 위한 화면 표시를 종료하고, 폴더에 대한 아이콘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250)이 다시 표시된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 및 폴더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400)에서 사용자는 폴더의 내용을 편집하기 위한 수행한다. 폴더의 내용 편집은 폴더 이름의 변경을 포함한다. 폴더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400)에서 폴더에 대한 아이콘(402)을 터치하고, 터치한 상태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면, 도 4b의 폴더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4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b의 화면(410)은 폴더의 이름은 물론 폴더의 내용을 모두 편집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도 4a의 화면(400)이 입체감이 발생하도록 축소된 제1 영역(412) 및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414)을 포함하는 화면이다.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는 화면(410) 상단의 폴더 이름이 표시된 영역(416)을 선택한다. 폴더 이름이 표시된 영역(416)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영역(416)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영역(416)을 선택함에 따라, 도 4c의 화면(420)이 표시된다. 도 4c의 화면(420)은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입력 장치(422)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입력 장치(422)를 통해 폴더의 이름을 "Game"에서 "Ent"로 변경하여 입력이 완료되면, 도 4d에 도시된 입력의 완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24)를 선택한다.
입력의 완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24)가 선택되면, 다시 도 4b와 같이 폴더의 편집을 위한 화면(430)이 다시 표시된다. 다만, 도 4b의 화면(410)에서 표시된 폴더의 이름 즉, "Game"이 "Ent"로 변경되었다는 점이 상이하며, 이러한 이름의 변경은 이름을 표시하는 영역(432)에 반영된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의 내용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 및 폴더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500)에서 사용자는 폴더의 내용을 편집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폴더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500)에서 폴더에 대한 아이콘(502)을 터치하고, 터치한 상태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면, 도 5b의 폴더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5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b의 화면(510)은 폴더의 이름은 물론 폴더의 내용을 모두 편집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도 5a의 화면(500)이 입체감이 발생하도록 축소된 제1 영역(512) 및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514)을 포함하는 화면이다. 폴더 내용의 편집은 아이콘의 추가 및 아이콘의 삭제를 포함한다.
폴더에 아이콘을 추가하기 위해 도 2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폴더에 포함될 아이콘을 제1 영역(512)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아이콘을 폴더에서 삭제하여, 제1 영역(512)에 다시 표시하기 위해 제2 영역(514)에서 삭제할 아이콘 선택할 수 있다. 제2 영역(514)의 소정의 아이콘(516)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제1 영역(512)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폴더에서 삭제할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소정 아이콘(516)이 폴더에서 삭제됨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에서 삭제된 아이콘(516)은 다시 제1 영역(512)에 표시되고, 제2 영역(514)은 하나의 아이콘만 포함한다.
또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c의 화면(520)에서 폴더에 포함되어 있는 마지막 아이콘(522)을 더 삭제하여 제1 영역(512)에 표시할 수 있다. 아이콘(522)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제1 영역(512)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때, 폴더에 대한 아이콘(502)이 위치한 자리에 이동시킬 수 있다.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들(516 및 522)이 모두 제1 영역(512)으로 이동함에 따라, 폴더도 삭제되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512)에서 폴더에 대한 아이콘(520)도 삭제된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를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 및 폴더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도 6a의 화면(600)에서 사용자가 폴더에 대한 아이콘(602)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제1 화면을 축소한 제1 영역(612) 및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제2 영역(614)을 포함하는 도 6b의 화면(610)이 표시된다. 도 3a 내지 3c는 하나의 소실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하나의 소실점을 기초로 화면(250)을 축소하여 제1 영역(310 또는 312 또는 314)이 생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6b 및 6c는 아이콘의 행별로 소실점을 결정하고,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행별로 축소한다. 다시 말해, 첫 번째 행에 포함된 "Call", "Contact", "SMS" 및 "Search" 응용 프로그램들에 대한 아이콘을 제1 소실점에 따라 입체감이 느껴지도록 사다리꼴 모양으로 축소하고, 두 번째 행에 포함된 "Setting", "Juke box", "Media box" 및 "web browser" 응용 프로그램들에 대한 아이콘을 제2 소실점에 따라 입체감이 느껴지도록 사다리꼴 모양으로 축소할 수 있다.
첫 번째 행 및 두 번째 행을 제외한 다른 복수의 행에 대해서도 각각 소실점을 설정하고, 설정된 소실점에 기초해 아이콘들을 축소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화면(600)의 상부에 위치한 행에 포함된 아이콘의 높이가 화면(600)의 하부에 위치한 행에 포함된 아이콘의 높이보다 작다. 행 별로 아이콘을 축소함과 동시에, 화면(600)에서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상이하게 축소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입체감이 증대된다.
도 6c는 제2 영역(624)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가 도 6b의 제2 영역(614)보다 많은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영역(624)의 크기가 도 6b의 제2 영역(614)보다 커짐에 따라, 화면(600)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제1 영역(622)의 크기가 더 작아진다.
도 6b 및 6c는 폴더의 내용을 열람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폴더의 내용을 편집하기 위해 표시되는 화면도, 도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별로 소실점을 설정하고, 축소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한다. 화면에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 및 폴더에 대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화면은 도 2a의 화면(210), 도 4a의 화면(400), 도 5a의 화면(500) 또는 도 6a의 화면일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100)는 폴더의 편집 또는 열림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화면을 축소한 제1 영역 및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한다.
새로운 폴더의 생성을 위한 도 2c의 화면(230) 또는 폴더의 열람을 위한 도 3a 내지 3c의 화면(300) 또는 폴더의 편집을 위한 도 5b의 화면(510)이 표시될 수 있다. 폴더의 열람을 위한 도 6b의 화면(610) 또는 도 6c의 화면(620)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제2 화면이 표시되면, 제2 영역에 표시된 폴더의 내용을 편집하거나, 제2 영역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폴더의 편집 또는 열람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을 축소한 제1 영역 및 상기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크기를 상기 제1 화면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의 상부에 위치한 아이콘이 하부에 위치한 아이콘보다 더 작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에서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1 영역을 표시되도록 상기 제1 화면의 높이를 축소시킨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변경하여 생성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1 영역의 하부의 너비는 상기 제1 화면이 너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정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및 상기 제1 영역은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생성하고, 폴더의 편집 또는 열람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을 축소한 제1 영역 및 상기 폴더의 내용을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크기를 상기 제1 화면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의 상부에 위치한 아이콘이 하부에 위치한 아이콘보다 더 작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변경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에서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1 영역을 표시되도록 상기 제1 화면의 높이를 축소시킨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변경하여 생성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1 영역의 하부의 너비는 상기 제1 화면이 너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폴더에 포함된 아이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2 화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은 정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및 상기 제1 영역은 상부의 너비가 하부의 너비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114555A 2010-11-17 2010-11-17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8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555A KR101783961B1 (ko) 2010-11-17 2010-11-17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250,243 US9710149B2 (en) 2010-11-17 2011-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intuitively editing and browsing folder
PCT/KR2011/008396 WO2012067369A2 (en) 2010-11-17 2011-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intuitively editing and browsing folder
EP11841378.0A EP2641157B1 (en) 2010-11-17 2011-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intuitively editing and browsing f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555A KR101783961B1 (ko) 2010-11-17 2010-11-17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335A true KR20120053335A (ko) 2012-05-25
KR101783961B1 KR101783961B1 (ko) 2017-10-10

Family

ID=4604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555A KR101783961B1 (ko) 2010-11-17 2010-11-17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10149B2 (ko)
EP (1) EP2641157B1 (ko)
KR (1) KR101783961B1 (ko)
WO (1) WO201206736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8066A (zh) * 2016-03-15 2016-07-2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图标管理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756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374385B1 (ko) * 2012-03-07 2014-03-14 주식회사 팬택 단축 아이콘 제공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단축 아이콘 제공방법
KR102020345B1 (ko) * 2012-08-22 2019-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2115397B1 (ko) * 2013-04-01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재생목록 표시 방법
CN103425394B (zh) * 2013-08-13 2016-05-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触摸屏的变换图标位置的方法及其装置
TWI514241B (zh) * 2013-10-31 2015-12-21 Synology Inc 在螢幕上管理圖式之方法
AU2015236102A1 (en) 2014-03-25 2016-11-03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CN104978104B (zh) * 2014-04-14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656784B2 (en) * 2014-06-16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rranging ic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270953B1 (ko) * 2014-08-22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4571852B (zh) * 2014-12-12 2018-09-0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图标的移动方法及装置
US10222979B2 (en) * 2015-12-04 2019-03-05 Datalogic Usa, Inc. Size adjustable soft activation trigger for touch displays on electronic device
CN106055243A (zh) * 2016-05-23 2016-10-26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图标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681607A (zh) * 2016-12-06 2017-05-1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文件夹的管理方法及移动终端
CN110502162B (zh) * 2019-07-08 2021-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夹的创建方法及终端设备
CN110489029B (zh) * 2019-07-22 2021-07-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0413168B (zh) * 2019-07-23 2021-06-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标管理方法及终端
CN111045559A (zh) * 2019-10-18 2020-04-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排布应用图标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015A (en) * 1995-09-01 1997-10-14 Silicon Graphics, Inc. Four-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5880733A (en) * 1996-04-30 1999-03-0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indows of an operating system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workspace for a computer system
US6577330B1 (en) * 1997-08-12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ndow display device with a three-dimensional orientation of windows
US6983424B1 (en) * 2000-06-23 2006-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scaling icons to fit a display area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7158962B2 (en) * 2002-11-27 2007-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inking items with multiple attributes to multiple levels of folders with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ATE493698T1 (de) 2005-03-03 2011-01-15 Nokia Corp Benutzeroberflächenkomponente
US7730418B2 (en) * 2005-05-04 2010-06-01 Workman Nydegger Size to content windows for computer graphics
CN101300621B (zh) * 2005-09-13 2010-11-10 时空3D公司 用于提供三维图形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EP1847924A1 (en) * 2006-04-20 2007-10-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al display of multiple windows within a computer display
KR20070107892A (ko) 2006-05-04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폴더내용 관리방법
KR101524572B1 (ko) 2007-02-15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8176466B2 (en) * 2007-10-01 2012-05-08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pplication fragment
US20090158186A1 (en) * 2007-12-17 2009-06-18 Bonev Robert Drag and drop glads
TWI361376B (en) 2007-12-31 2012-04-01 Htc Corp Method for oper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touch interface apparatus and storage media using the same
KR101526965B1 (ko) 2008-02-29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2770B1 (ko) 2008-11-21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82686B1 (ko) * 2009-03-02 2016-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37657A (ko) * 2009-10-07 2011-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을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007393B2 (en) * 2010-01-19 2018-06-26 Apple Inc. 3D view of file structure
US8826164B2 (en) * 2010-08-03 2014-09-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new fol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8066A (zh) * 2016-03-15 2016-07-2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图标管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1157A2 (en) 2013-09-25
WO2012067369A2 (en) 2012-05-24
EP2641157A4 (en) 2016-08-17
WO2012067369A3 (en) 2012-07-12
US20120124513A1 (en) 2012-05-17
EP2641157B1 (en) 2019-06-26
US9710149B2 (en) 2017-07-18
KR101783961B1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3335A (ko)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85352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US1052111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6662964B (zh) 应用窗口的动态联合划分器
JP4557058B2 (ja) 情報表示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13480B1 (ko) 계층적 콘텐츠에 대한 보기 가능 영역의 순항 가능한 계층화
KR101380968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70482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537318B (zh) 应用窗口的辅助呈现
KR102266198B1 (ko) 이종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그룹을 나타내는 탭 윈도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5474974B2 (ja) 内部スクロールのアクティブ化およびカーソルの装飾
EP2592542A2 (en)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JP5679169B2 (ja)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76776A (ja) タッチ式タグ・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関連装置
CN103197827A (zh) 用于提供用户界面的方法
JP6106357B2 (ja) 携帯型装置のメニューアイテム用のマルチページソート
US109698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data navigation and manipulation interface
JP5254399B2 (ja)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010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575081B2 (ja)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16798B2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92848B1 (ko) 호버링을 이용하는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JP6270109B2 (ja) オブジェクト操作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