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258A -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258A
KR20120053258A KR1020100114436A KR20100114436A KR20120053258A KR 20120053258 A KR20120053258 A KR 20120053258A KR 1020100114436 A KR1020100114436 A KR 1020100114436A KR 20100114436 A KR20100114436 A KR 20100114436A KR 20120053258 A KR20120053258 A KR 20120053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treated
water
inorganic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전
심민경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3258A/ko
Publication of KR2012005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2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안료 성분으로 사용되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무기안료 대신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를 사용하여 분산성과 은폐력이 우수하고, 밀착력이 높은 탄화수소 계열 오일을 함유하여 무기안료의 피부 밀착과 내수성을 증진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Oil in 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ticky hydrocarbon oil and inorganic pigments coated with alkyl silane}
본 발명은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안료 성분으로 사용되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무기안료 대신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를 사용하여 분산성과 은폐력이 우수하고, 밀착력이 높은 탄화수소 계열 오일을 함유하여 무기안료의 피부 밀착과 내수성을 증진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는 대부분 무기안료를 수상에 분산하는데, 이 경우 수상에 무기안료를 장시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쉽지 않으며, 은폐력과 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피부 결점 및 잡티를 가려주는 역할의 은폐력은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이며, 내수성이 없는 화장료는 빨리 무너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때문에 은폐력과 내수성이 떨어지는 메이크업 화장료는 바람직한 조성물이 되지 못한다. 은폐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무기안료의 함량을 높이는 방법이 보편적인데, 무기안료의 함량이 높을 경우 분산이 용이하지 않으며 도포 균일도가 낮아지게 되고 사용감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수화 표면 처리한 무기안료를 사용한다. 그러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소수화 표면 처리한 무기안료를 사용하더라도 외상이 물이므로 쉽게 지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무기안료의 분산성을 높이고 은폐력 및 내수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와 밀착력이 우수한 탄화수소 계열 오일을 함유할 때 안정도, 내수성 및 은폐력이 우수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도, 은폐력 및 내수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를 이용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 처리하지 않은 무기안료에 비해 유상에의 분산이 용이하며, 소수성이 강하여 우수한 내수성을 가진다. 또한, 밀착력이 높은 탄화수소 계열 오일을 함께 사용하여 무기안료의 피부 밀착을 도와 은폐력을 향상시키고, 오일의 내수성을 이용하여 조성물의 소수성을 더욱 강화시킨다.
본 발명은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알킬실란으로는 트리메톡시이소부틸실란, 트리메톡시옥틸실란, 트리메톡시데실실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 및 분산, 내수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는 통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기상에 의한 반응이나 유기 슬러리에 의한 표면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무기 안료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알킬실란 화합물을 유기 용매 또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액으로 녹인 실란 용액을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무기 안료 혼합액을 80~90℃로 건조하고, 110~160℃로 가열 처리하여 알킬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안료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킬 실란의 처리량이 무기 안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무기 안료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산화티탄,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는 80중량% 이상이 알킬실란으로 코팅 처리된 무기안료이다. 80중량% 미만으로 알킬실란 처리된 무기안료는 분체를 충분히 분산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 처리된 산화티탄 및 표면 처리된 산화철을 혼합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산화티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은폐력이 미미하고, 2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산화티탄의 배합한도를 초과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산화철은 색에 따라 그 함량이 결정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색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색이 과도하게 진해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고밀착성 탄화수소 오일은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부텐(Hydrogenated polybuten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고밀착성 탄화수소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무기안료의 피부 밀착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10중량% 초과일 경우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외상이 수상인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어렵고,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특유의 수분감이 나타나지 않아 사용감이 나쁘며, 9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물 함량이 너무 많아 무기안료나 오일 등 다른 원료 배합에 차질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를 함유한 수중유형 메이크업 베이스 및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겠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와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비교예 1~2 및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의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는 시판 처리되는 제품(Daito Kasei社)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수상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0.00 10.00 10.00
페녹시에탄올 0.30 0.30 0.30
분체 산화티탄(titanium oxide) 8.00 - -
황색산화철(iron oxide) 0.80 - -
적색산화철(iron oxide) 0.30 - -
흑색산화철(iron oxide) 0.20 - -
알킬실란 표면처리 산화티탄 - 8.00 8.00
알킬실란 표면처리 황색산화철 - 0.80 0.80
알킬실란 표면처리 적색산화철 - 0.30 0.30
알킬실란 표면처리 흑색산화철 - 0.20 0.20
유상 폴리소르베이스 80 1.50 1.50 1.5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0.30 - -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 0.30 0.3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5.00 5.00 5.00
디메치콘 5.00 5.00 -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 - 5.00
스테아릭애씨드 1.00 1.00 1.00
점증제 10.00 10.00 10.0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20 0.20 0.20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상기 수상성분 및 분체를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2) 유상성분을 모두 혼합하였다.
3) 상기 1)의 혼합물에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한 후, 점증제와 중화제를 시간을 두고 투입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완전 탈기하여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제조방법>
1) 상기 수상성분을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2) 유상성분을 모두 혼합한 후, 분체를 추가하여 분산시켰다.
3) 상기 1)의 혼합물에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한 후, 점증제와 중화제를 시간을 두고 투입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완전 탈기하여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상기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및 은폐력, 내수성에 대한 평가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1] 안정도 비교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을 각각 10g씩 취해 55℃ 고온 항온조, -10℃ 내지 45℃를 24시간 순환하는 사이클 챔버 및 4℃ 저온 항온조에 시료를 각각 넣은 후, 일주일간 제형의 변화를 관찰하여 안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고온 안정도 X
저온 안정도
사이클 안정도 X
<안정도 평가 기준> X: 매우 안 좋음, △: 약간 안 좋음, ○: 좋음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비교예 1보다 비교적 안정도가 우수하여 표면 처리되지 않은 무기안료를 수상에 분산시키는 것보다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안료를 유상에 분산시키는 것이 안정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안료와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함께 함유하는 실시예 1의 안정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의 영향으로 비교예 2보다 무기안료 분산성이 더 좋기 때문에 고온 및 사이클 안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은폐력 및 내수성 비교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은폐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흑색 인조 피혁(5x5cm2)에 비교예 1~2 및 실시예 1을 각각 25㎎ 도포하고 10분간 방치한 후 도포 부위 중 5곳을 임의로 선택하여 색차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흑색 인조 피혁에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후로 3회 반복 측정하여 명도(L*) 변화값을 측정하였다. 동시에 내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은폐력을 측정한 인조 피혁을 물을 채운 초음파 발생 장치에 담그고 20분간 처리하였다. 인조 피혁을 꺼내어 10분간 방치한 후 도포 부위 중 5곳을 임의로 선택하여 색차계로 3반복 측정하여,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여 명도(L*) 변화값을 측정하였다. 은폐력과 내수성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은폐력 △L 12.21 19.66 23.12
내수성 초음파발생장치
처리 후 △L
4.48 11.10 20.94
상기 표 3의 은폐력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무기안료를 수상에 분산시킬 경우 물과 함께 무기안료가 쓸리면서 피부에 빨리 부착되지 않고 퍼짐으로써 피부에서의 무기안료 밀도가 낮아져서 은폐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비교예 2의 은폐력이 비교예 1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실시예 1의 은폐력이 가장 높았다. 이는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이 무기안료의 피부 부착을 도와 은폐력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이다.
내수성 시험 결과에서는 비교예 1은 수상에 무기안료를 분산하여 초음파발생장치 처리 후 조성물이 많이 씻겨 나갔다. 실시예 1은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의 영향으로 비교예 2보다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여 무기안료가 물에 많이 씻겨 나가지 않고 유지되어 L*값이 높게 나타났다.

Claims (7)

  1.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실란은 트리메톡시이소부틸실란, 트리메톡시옥틸실란, 트리메톡시데실실란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는 표면처리된 산화티탄과 표면처리된 산화철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산화티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로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산화철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고말착 탄화수소 오일은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부텐(Hydrogenated polybuten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14436A 2010-11-17 2010-11-17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3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36A KR20120053258A (ko) 2010-11-17 2010-11-17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36A KR20120053258A (ko) 2010-11-17 2010-11-17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258A true KR20120053258A (ko) 2012-05-25

Family

ID=4626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36A KR20120053258A (ko) 2010-11-17 2010-11-17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32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14366A1 (en) * 2017-01-31 2018-08-02 L 'oréal Long-wear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acrylate copolymer and silicone elastomer resin
KR20240034626A (ko) 2022-09-06 2024-03-14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알루미늄이 포함되지 않은 지방산이 코팅된 이산화티탄 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14366A1 (en) * 2017-01-31 2018-08-02 L 'oréal Long-wear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acrylate copolymer and silicone elastomer resin
US11058625B2 (en) * 2017-01-31 2021-07-13 L'oreal Long-wear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acrylate copolymer and silicone elastomer resin
KR20240034626A (ko) 2022-09-06 2024-03-14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알루미늄이 포함되지 않은 지방산이 코팅된 이산화티탄 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794B2 (en) Inorganic powder coated with biocompatible polymer,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20170151135A9 (en) Highly water repellent and highly oil absorbent boron nitride pow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smetic
KR20130086779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9433565B2 (en) Hydrophilic and highly oil absorbent boron nitride pow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smetic
EP2236125A1 (en) Cosmetic powder coated with alkoxy silicones
KR101284426B1 (ko) 에탄올, 물, 및 글리세린의 혼합 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KR101023535B1 (ko) 파우더 성상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7322287B2 (ja) 高疎水性、にじみの少ない着色澱粉粉末とその調製方法及び応用
KR20120090231A (ko)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3258A (ko) 알킬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안료 및 고밀착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BR112014027027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cosmético para clarear e uso de uma combinação
WO2020229005A1 (de) Mittel zur behandlung von keratinischen fasern enthaltend silane bestimmter formeln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03137A (ko) 실리카로 캡슐화된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89867B1 (ko) 화장품용 실리콘 프리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30047555A (ko) 자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70142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JP6063561B2 (ja) 血色が良く見える化粧料組成物
KR10106134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174528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EP4349317A1 (en) Stable dispersions of titanium dioxide and/or zinc oxide
KR20120053259A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6067B1 (ko) 화장료용 무기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657A (ko) 화장료용 표면개질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