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828A -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828A
KR20120052828A KR1020100114150A KR20100114150A KR20120052828A KR 20120052828 A KR20120052828 A KR 20120052828A KR 1020100114150 A KR1020100114150 A KR 1020100114150A KR 20100114150 A KR20100114150 A KR 20100114150A KR 20120052828 A KR20120052828 A KR 2012005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oud
centrifugal fan
trailing edge
blow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550B1 (ko
Inventor
김현주
서응렬
이상진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1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550B1/ko
Priority to US13/373,092 priority patent/US9261107B2/en
Publication of KR2012005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날개의 외곽 상단을 연결하는 메인 쉬라우드와, 복수개의 날개 외곽 상단 부근에서 날개의 압력면 쪽에서 부압면 쪽으로 날개 상단을 넘어가는 유동을 방지하는 서브 쉬라우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풍량 증대 및 소음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CIRCULAR FAN FOR AIR-BLOWING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음을 줄임과 함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용 원심팬은 고효율이며, 저소음이어서 냉장고, 공기조화기 및 조리기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송풍용 원심팬은 모터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허브를 구비한 원판형태의 베이스와, 베이스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날개를 구비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송풍용 원심팬의 소음을 줄임과 함께 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소음 저감 및 풍량 증가를 구현할 수 있는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은 모터축이 결합되는 원판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각각 공기를 밀어내는 압력면, 상기 압력면 반대편의 부압면, 상기 모터축 쪽의 리딩 엣지 및 상기 베이스 외주측의 트레일링 엣지를 구비한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외접원에서 상기 베이스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메인 쉬라우드;와, 상기 압력면 쪽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 부근을 넘어 상기 부압면 측으로 흐르는 공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서브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가 연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압력면 쪽으로 소정 면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안쪽 둘레가 접하는 접점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압력면 상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를 따라 연장된 제2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직경(D)에 대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반경방향 폭(W)은 4~6%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에 인접한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직선거리(Td)에 대한 상기 제2부분의 직선거리(Sw)는 35~45%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딩 엣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까지의 직선거리인 코드길이(CL)에 대한 상기 제1부분의 직선거리(Sh)는 11~17%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쉬라우드 및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제1부분과 마주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마주하는 제4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3부분과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가 만나는 접점 및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C)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s)과 상기 제3부분 사이의 제1엇갈림각(α)은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C)과 상기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b)과 상기 리딩 엣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코드길이(CL) 사이의 제2엇갈림각(β)의 +5° ~ -10°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송풍용 원심팬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의 후벽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공급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 내로 송풍하는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송풍용 원심팬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송풍용 원심팬은 원판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압력면, 부압면, 리딩 엣지 및 트레일링 엣지를 구비한 복수개의 날개,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링 형상의 메인 쉬라우드를 구비한 송풍용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 쪽에서 상기 부압면 쪽으로 넘어가는 난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가 접하는 상기 압력면 쪽의 모서리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서브 쉬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링 엣지는 상기 베이스의 외주와 일치하고, 상기 메인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가 접하는 접점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압력면 상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를 따라 연장된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마주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마주하는 제4부분을 구비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직경에 대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반경방향 폭은 4~6%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의 코드길이(CL)에 대한 상기 제1부분의 직선거리(Sh)는 11~17%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에 인접한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직선거리(Td)에 대한 상기 제2부분의 직선거리(Sw)는 35~45%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의 엇갈림각(α)은 상기 날개의 엇갈림각(β)의 +5° ~ -10° 이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은 원판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압력면, 부압면, 리딩 엣지 및 트레일링 엣지를 구비한 복수개의 날개,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메인 쉬라우드를 구비한 송풍용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외경부를 갖는 평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직경(D)에 대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반경방향 폭(W)은 4~6%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경부와 상기 트레일링 엣지가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압력면 쪽으로 연장 형성된 평판 형태의 서브 쉬라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와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하면과 상기 서브 쉬라우드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서브 쉬라우드와 대응하는 형상의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용 원심팬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내경부가 접하는 접점에서 상기 날개 상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내경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마주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마주하는 제4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리딩 엣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까지의 직선거리인 코드길이(CL)에 대한 상기 제1부분의 직선거리(Sh)는 11~17%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에 인접한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직선거리(Td)에 대한 상기 제2부분의 직선거리(Sw)는 35~45%의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쉬라우드의 엇갈림각(α)은 상기 날개의 엇갈림각(β)의 +5° ~ -10° 이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는 팬 취출구 근방에서 발생하는 박리류를 억제함으로써 풍량 증대 및 소음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인 쉬라우드 및 서브 쉬라우드가 없는 상태의 원심팬의 공기 유동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의 공기 유동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의 각 설계인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단열격벽(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실(15,16)을 구비한 본체(10)와, 저장실(15,16)의 전방에 배치되어 저장실(15,16)을 개폐하는 도어(17,18)와, 저장실(15,16)의 후벽에 배치되어 저장실(15,16)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13), 응축기(미도시), 팽창기(미도시) 및 증발기(14) 등의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실(15,16)은 상부의 냉장실(15)과, 하부의 냉동실(16)을 포함하고, 도어(17,18)는 냉장실(15)을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도어(17)와, 냉동실(16)을 개폐하기 위한 서랍식 도어(1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15,16)의 후벽에 설치되는 송풍장치(20)는 증발기(14)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15,16)에 각각 공급한다.
송풍장치(20)는 냉기유로에 설치되어 증발기(14)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용 원심팬(30)과, 원심팬(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모터(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송풍용 원심팬(30)은 모터축(23)이 결합되는 원판형태의 베이스(40)와, 베이스(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날개(50)와, 복수개의 날개(50)의 출구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방지하는 메인 쉬라우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40)의 중앙부에는 모터축(23)을 고정하도록 돌출된 허브(41)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날개(50)는 베이스(40)의 가장자리부에서 베이스(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된다.
메인 쉬라우드(60)는 베이스(40)와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날개(50) 외곽 상단을 연결하는 내경부(61)와, 내경부(61)에서 베이스(4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외경부(63)를 구비하여 소정의 폭(W)을 가지는 환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날개(50) 외곽은 베이스(40)의 외주와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메인 쉬라우드(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날개(50) 외곽 상단에서 베이스(4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소정의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쉬라우드(60)는 날개(50)의 출구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함으로써 날개(50)의 출구측 상부에서 발생하는 와류 발생에 따른 소음 발생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메인 쉬라우드(60)는 베이스(40)의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베이스(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풍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 쉬라우드(60)가 복수개의 날개(50) 외곽 상단에서 베이스(4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그 연장된 폭 만큼 베이스(40)의 영역을 감소시킴에 따라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풍량의 유로저항이 증가되게 되어 풍량 저하가 발생하나, 본 실시예의 메인 쉬라우드(60)는 베이스(4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동일한 치수를 가진 팬에 비하여 풍량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원심팬(30)이 회전하는 경우 베이스(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날개(50) 사이로 진행하여 원주방향으로 방출되고, 복수개의 날개(50) 끝단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메인 쉬라우드(6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와류발생에 의한 소음은 저감됨과 동시에 풍량은 증가하게 된다.
복수개의 날개(50)는 각각 공기를 밀어내는 압력면(51)과, 압력면(51)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부압면(53)을 구비한다.
또한, 복수개의 날개(50)는 각각 베이스(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하는 리딩 엣지(55)와, 베이스(40)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는 트레일링 엣지(57)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일링 엣지(5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0)의 외주와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송풍용 원심팬(30)은 메인 쉬라우드(70)에 의하여 날개(50)의 외곽 상단쪽 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안내됨으로써 와류 발생에 따른 소음이 저감되게 되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유동이 날개(50)의 출구로 토출되지 못하고 날개(50)의 상단 부근에서 압력이 낮은 부압면(53)측 공간으로 넘어가는 유동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도록 본 실시예의 송풍용 원심팬(30)은 복수개의 날개(50)와 메인 쉬라우드(60)가 접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서브 쉬라우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쉬라우드(70)는 복수개의 날개(50)와 메인 쉬라우드(60)의 내경부(61)가 접하여 형성되는 압력면(51) 쪽의 모서리 부분을 소정 면적 덮도록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쉬라우드(70)는 트레일링 엣지(57)와 메인 쉬라우드(60)의 내경부(61)가 접하는 압력면(51) 쪽의 접점(P)에서 압력면(51) 상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71)과, 접점(P)에서 메인 쉬라우드(60)의 내경부(61)를 따라 연장된 제2부분(72)과, 제1부분(71)과 마주하는 제3부분(73) 및 제2부분(72)과 마주하는 제4부분(74)을 구비한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브 쉬라우드(70)는 메인 쉬라우드(6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브 쉬라우드(70)의 상면 및 하면은 각각 메인 쉬라우드(60)의 상면 및 하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큰 단차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서브 쉬라우드(70)는 베이스(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날개(50)의 압력면(51)을 지나 트레일링 엣지(57)로 토출되는 경우 트레일링 엣지(57) 부근에서 공기의 일부가 토출되지 못하고 압력면(51) 쪽에서 날개(50)의 상단 부근을 넘어 압력이 낮은 부압면(53) 쪽으로 넘어가는 와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메인 쉬라우드(60)와 서브 쉬라우드(7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날개(50)의 압력면(51)에서의 일부 유동이 원심팬(30)의 출구로 토출되지 못하고, 날개(50)의 트레일링 엣지(57) 상단 부근에서 압력이 낮은 날개(50)의 부압면(53)쪽 공간으로 넘어가는 강한 난류가 발생하며 각 날개(50) 사이로 유동하게 됨에 따라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날개(50)에서 발생된 풍량이 모두 원심팬(30)의 출구로 토출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풍량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메인 쉬라우드(60)와 서브 쉬라우드(70)를 구비한 원심팬(30)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팬(30)의 회전시 날개(50) 사이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형태는 와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원심팬(30)의 출구를 통해 토출됨에 따라, 와류 발생에 따른 소음 및 풍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원심팬(30)은 동일한 조건의 풍량 및 소음 발생을 구현할 수 있는 원심팬(30)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게 되므로, 이를 유로 내에 설치한 경우 슬림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송풍용 원심팬(30)은 메인 쉬라우드(60), 서브 쉬라우드(70), 날개(50) 및 베이스(4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서브 쉬라우드(70)와 마주하는 베이스(40) 부분에는 서브 쉬라우드(70)와 상응하는 형상의 절개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사출성형을 통하여 메인 쉬라우드(60) 및 서브 쉬라우드(70)가 일체로 성형된 원심팬(30)을 취출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송풍용 원심팬(30)의 각 설계인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날개, 메인 쉬라우드 및 서브 쉬라우드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40)의 직경(D)에 대한 메인 쉬라우드(60)의 반경방향 폭(W)은 4~6%의 백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날개(50) 외곽 부근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영역 부분만을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 가이드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메인 쉬라우드(60)가 차지하는 불필요한 공간을 줄일기 위함이다.
또한, 날개(50)의 리딩 엣지(55)와 트레일링 엣지(57) 까지의 직선거리인 코드길이(CL)에 대한 서브 쉬라우드(70)의 제1부분(71)의 직선거리(Sh)는 11~17%의 백분율을 갖도록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날개(50)의 각 트레일링 엣지(57)를 연결하는 직선거리(Td)에 대한 제2부분(72)의 직선거리(Sw)는 35~45%의 백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 내에서는 서브 쉬라우드(70)가 차지하는 면적에 의한 풍량 손실 보다는 와류의 억제 및 유효 풍량화를 통한 풍향 이익이 더 크게 된다.
또한, 메인 쉬라우드(60)의 내경부(61)와 제3부분(73)이 접하는 접점(Ps)과 베이스(40)의 축 중심(C)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s)과 제3부분(73) 사이의 제1엇갈림각(α)(서브 쉬라우드의 엇갈림각)은 베이스(40)의 축 중심(C)과 트레일링 엣지(57)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b)과 코드길이(CL) 사이의 제2엇갈림각(β)(날개의 엇갈림각)의 +5°~ -10°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날개(5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그에 따른 공기의 유동 가이드 효과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서브 쉬라이드(70)의 제2엇갈림각(β)이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원심팬(30)의 소음은 증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송풍용 원심팬(30)은 기존의 원심팬에 비하여 소음 감소 및 풍량 증대를 이루게 됨을 알수 있다.
아래의 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팬과 종래 기술에 따른 원심팬의 비교 실험 결과치를 도표화 한 것이다.
사양 풍량 풍량변화율 소음
종래팬 0.77 CMM 기준 41.5dBA
메인 쉬라우드 0.81 CMM + 5.2% 40.5dBA
메인 쉬라우드 + 서브 쉬라우드 0.86 CMM + 10.9% 40.5dBA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메인 쉬라우드(60)를 구비한 원심팬(30)은 종래의 원심팬에 비하여 풍량이 5.2% 정도 증가되고, 소음은 1dB 정도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인 쉬라우드(60)와 서브 쉬라우드(70)를 모두 구비한 원심팬(30)은 종래의 원심팬에 비하여 풍량이 10.9% 정도 증가되고, 소음은 1dB 정도 낮아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20: 송풍장치,
21: 모터, 30: 원심팬,
40: 베이스, 41: 허브,
50: 날개, 51: 압력면,
53: 부압면, 55: 리딩 엣지,
57: 트레일링 엣지, 60: 메인 쉬라우드,
70: 서브 쉬라우드, 71: 제1부분,
72: 제1부분, 73: 제3부분,
74: 제4부분.

Claims (22)

  1. 모터축이 결합되는 원판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각각 공기를 밀어내는 압력면, 상기 압력면 반대편의 부압면, 상기 모터축 쪽의 리딩 엣지 및 상기 베이스 외주측의 트레일링 엣지를 구비한 복수개의 날개;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기 복수개의 날개 외접원에서 상기 베이스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메인 쉬라우드;
    상기 압력면 쪽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 부근을 넘어 상기 부압면 측으로 흐르는 공기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가 연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압력면 쪽으로 연장 형성된 서브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안쪽 둘레가 접하는 접점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압력면 상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를 따라 연장된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직경(D)에 대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반경방향 폭(W)은 4~6%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딩 엣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까지의 직선거리인 코드길이(CL)에 대한 상기 제1부분의 직선거리(Sh)는 11~17%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에 인접한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직선거리(Td)에 대한 상기 제2부분의 직선거리(Sw)는 35~45%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 및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제1부분과 마주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마주하는 제4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3부분과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가 만나는 접점 및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C)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s)과 상기 제3부분 사이의 제1엇갈림각(α)은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C)과 상기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분(Lb)과 상기 리딩 엣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코드길이(CL) 사이의 제2엇갈림각(β)의 +5° ~ -1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팬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8. 저장실의 후벽에 설치되어 증발기에서 공급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 내로 송풍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풍용 원심팬을 구비한 냉장고.
  9. 원판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압력면, 부압면, 리딩 엣지 및 트레일링 엣지를 구비한 복수개의 날개,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메인 쉬라우드를 구비한 송풍용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압력면 쪽에서 상기 부압면 쪽으로 넘어가는 난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날개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가 접하는 상기 압력면 쪽의 모서리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서브 쉬라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는 상기 베이스의 외주와 일치하고, 상기 메인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와 접하는 접점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압력면 상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내경부를 따라 연장된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마주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마주하는 제4부분을 구비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직경(D)에 대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반경방향 폭(W)은 4~6%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코드길이(CL)에 대한 상기 제1부분의 직선거리(Sh)는 11~17%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에 인접한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직선거리(Td)에 대한 상기 제2부분의 직선거리(Sw)는 35~45%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쉬라우드의 엇갈림각(α)은 상기 날개의 엇갈림각(β)의 +5° ~ -1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5. 원판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축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압력면, 부압면, 리딩 엣지 및 트레일링 엣지를 구비한 복수개의 날개,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메인 쉬라우드를 구비한 송풍용 원심팬에 있어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의 상단을 연결하는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외경부를 갖는 평판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직경(D)에 대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반경방향 폭(W)은 4~6%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부와 상기 트레일링 엣지가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압력면 쪽으로 연장 형성된 평판 형태의 서브 쉬라우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와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쉬라우드의 하면과 상기 서브 쉬라우드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쉬라우드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서브 쉬라우드와 대응하는 형상의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용 원심팬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쉬라우드는 상기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내경부가 접하는 접점에서 상기 날개 상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접점에서 상기 내경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마주하는 제3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마주하는 제4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리딩 엣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엣지까지의 직선거리인 코드길이(CL)에 대한 상기 제1부분의 직선거리(Sh)는 11~17%의 백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날개에 인접한 다른 날개의 트레일링 엣지를 연결하는 직선거리(Td)에 대한 상기 제2부분의 직선거리(Sw)는 35~45%의 백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쉬라우드의 엇갈림각(α)은 상기 날개의 엇갈림각(β)의 +5° ~ -1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용 원심팬.
KR20100114150A 2010-11-16 2010-11-16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48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4150A KR101486550B1 (ko) 2010-11-16 2010-11-16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3/373,092 US9261107B2 (en) 2010-11-16 2011-11-04 Centrifugal fan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4150A KR101486550B1 (ko) 2010-11-16 2010-11-16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28A true KR20120052828A (ko) 2012-05-24
KR101486550B1 KR101486550B1 (ko) 2015-01-23

Family

ID=4604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4150A KR101486550B1 (ko) 2010-11-16 2010-11-16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1107B2 (ko)
KR (1) KR101486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16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에스 씨디 송풍용 원심팬
KR102000258B1 (ko) * 2018-12-20 2019-07-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단 원심형 블로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7073B (zh) * 2012-09-14 2016-04-13 海信(北京)电器有限公司 离心风机冰箱的风道设计方法
WO2015190077A1 (ja) * 2014-06-11 2015-1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温度調和ユニット、温度調和システムおよび温度調和ユニットを備えた車両
KR102289384B1 (ko) * 2014-12-18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팬 어셈블리
US20200127345A2 (en) * 2015-07-24 2020-04-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emperature conditioning unit, temperature conditioning system, and vehicle
WO2017047046A1 (ja) * 2015-09-14 2017-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温度調和ユニット、温度調和システム、車両
KR102403728B1 (ko) * 2015-10-07 2022-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용 터보팬
CA2966053C (en) * 2016-05-05 2022-10-18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Mixed flow fan
CN107781213A (zh) * 2017-10-19 2018-03-09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循环风机及其扇叶结构
CN110594173A (zh) * 2019-09-23 2019-12-20 郑州市锦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热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907A (en) * 1966-03-11 1967-12-05 Gen Motors Corp Multiple compartiment refrigerator
FI75652C (fi) * 1984-08-16 1988-07-11 Sarlin Ab Oy E Loephjul vid en pump, saerskilt vid en virvelstroempump.
JP2000145690A (ja) 1998-11-09 2000-05-26 Hitachi Ltd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WO2005073562A1 (fr) * 2003-10-24 2005-08-11 Junhao Lin Dispositif d'aspiration multifonction a fort debit de type a reflux
JP3879764B2 (ja) * 2004-07-14 2007-02-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遠心送風機
KR20060026343A (ko) * 2004-09-20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팬-모터의 가이드 베인 구조
US20070009353A1 (en) * 2005-07-07 2007-01-11 Chiang-Cheng Huang Airflow generating structure and the apparatus thereof
JP2007040210A (ja) 2005-08-04 2007-02-15 Hitachi Ltd 遠心ポンプと該遠心ポンプ用インペラの製造方法及び遠心ポンプ用インペラ
US20070116576A1 (en) * 2005-11-18 2007-05-24 Bor-Haw Chang Fan blade unit in a centrifugal fan
JP5267343B2 (ja) 2008-06-14 2013-08-21 日本電産株式会社 インペラおよび遠心ファ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16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에스 씨디 송풍용 원심팬
KR102000258B1 (ko) * 2018-12-20 2019-07-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단 원심형 블로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61107B2 (en) 2016-02-16
US20120121422A1 (en) 2012-05-17
KR101486550B1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2828A (ko) 송풍용 원심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257480B1 (ko) 원심팬
KR100550529B1 (ko) 냉장고용 원심팬
KR102489427B1 (ko) 팬 가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외기
KR100404117B1 (ko) 냉장고의 냉기 유동 발생구조
US20150184663A1 (en) Centrifugal fan for devices including refrigerators
KR100471444B1 (ko) 송풍팬
KR10048482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축류팬
US6343484B1 (en) Air blow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US20100205997A1 (en) Cool air supplying apparatus used i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584268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구조
KR100584269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
KR102645031B1 (ko) 냉장고용 송풍팬
JP6529613B2 (ja) ファンおよび冷蔵庫
KR100421392B1 (ko) 냉장고의 축류팬
CN110741207A (zh) 空调器
EP3591234A1 (en) Air blower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40050481A (ko) 냉장고의 송풍장치
KR200463339Y1 (ko) 원심송풍기
KR100613497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용 송풍장치
US20070256439A1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WO2005040686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101234889B1 (ko) 냉장고의 벨마우스
KR20220095968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30164454A (ko) 송풍팬 및 송풍팬이 구비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