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339Y1 - 원심송풍기 - Google Patents

원심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339Y1
KR200463339Y1 KR2020070006779U KR20070006779U KR200463339Y1 KR 200463339 Y1 KR200463339 Y1 KR 200463339Y1 KR 2020070006779 U KR2020070006779 U KR 2020070006779U KR 20070006779 U KR20070006779 U KR 20070006779U KR 200463339 Y1 KR200463339 Y1 KR 200463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ing
centrifugal blower
air inlet
centrifu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990U (ko
Inventor
김현주
신대식
서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33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3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01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 F05D2270/11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prolong engine life
    • F05D2270/116Purpose of the control system to prolong engine life by preventing reverse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풍량은 증가시키고 소음은 저감할 수 있는 원심송풍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기는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공기유입구 측에 마련되는 벨마우스와,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원심팬을 포함하는 원심송풍기에 있어서, 벨마우스에 케이싱의 공기배출구 내부를 순환 유동하는 토출 공기가 공기유입구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가 마련됨으로써, 공기유입구로 역류되는 토출 공기가 감소되어 풍량은 증가되고, 역류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 간의 난류 발생이 적어져 소음은 저감된다.

Description

원심송풍기{CENTRIFUGAL BLOW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팬이 설치된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팬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팬의 풍량과 소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본체 11...저장실
15...열교환실 16...천장
20...도어 30...냉기발생장치
31...압축기 32...증발기
33...덕트 40...원심송풍기
41..케이싱 42..원심팬
43..구동모터 45..공기유입구
47..공기배출구 48..벨마우스
49..역류방지부재
본 고안은 원심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에어컨 등의 공조기에 냉기 순환을 위해 사용되는 원심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송풍기는 공기의 송풍안내를 위한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설치된 원심팬을 포함한다. 케이싱은 공기 흡입을 위해 전면에 마련되는 공기유입구와, 공기의 송풍을 위해 흡입구와 교차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한다. 케이싱의 공기유입구에는 공기의 흡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벨마우스가 형성되어 되어 있다. 케이싱 내부의 원심팬은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판과, 회전판 외주부의 양 측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배치되고 각 일단이 회전판에 고정된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심송풍기는 케이싱 내부의 원심팬이 회전하면서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원심팬 중심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케이싱 내부의 원심팬 둘레방향으로 송풍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원심송풍기에는 케이싱의 벨마우스와 그와 근접하는 원심팬의 각 날개 단부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이격 공간을 통해 원심팬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 공기의 일부가 공기유입구 측으로 재유입되어 순환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순환 유동하는 공기는 공기배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저하시키게 되며, 공기배출구 내에 난류를 형성하여 소음 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싱의 공기배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순환 유동하여 공기유입구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심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기는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공기유입구 측에 마련되는 벨마우스와,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원심팬을 포함하는 원심송풍기에 있어서, 벨마우스에는 케이싱의 공기배출구 내부를 순환 유동하는 토출 공기가 공기유입구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가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기의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벨마우스로부터 링 형태로 돌출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기의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벨마우스의 상면보다 높게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기의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원심팬의 외경보다 크고 원심팬 외경의 140%보다 작으며, 역류방지부재의 높이는 원심팬의 높이의 2/3 보다 낮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기가 채용된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원심송풍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전방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저장실(11)이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시키는 도어(20)와, 저장실(11)과 구분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설치공간에 마련되는 냉기발생장치(30)와, 냉기발생장치(30)에서 발생된 냉기를 저장실(11)로 가이드하기 위해 본체(10) 내부 후방에 마련되는 덕트(33)를 포함한다.
본체(10)와 도어(20)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단열을 위한 발포성 폼이 개재되어 이루어진다. 본체(10) 내부의 저장실(11)에는 각종 음식물이 놓일 수 있는 선반(12)과 각종 저장용기(13)가 설치되고, 도어(20)의 안쪽면에는 밑면적이 작은 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도어 바스켓(21)이 설치된다.
냉기발생장치(30)는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기계실(14)에 설치되는 압축기(31)와, 본체(10)의 내부 후방에 덕트(33)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열교환실(15)에 설치되는 증발기(32) 및 원심송풍기(40)와, 응축기(미도시) 및 감압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압축기(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 및 감압장치를 거쳐 증발기(32)로 공급되고, 저장실(11)에서 열교환실(15)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32)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이렇게 열교환실(15)에서 발생된 냉기는 원심송풍기(40)에 의해 덕트(33)를 따라 저장실(11)로 송풍된다.
원심송풍기(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과,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원심팬(42)과, 원심팬(42)을 구동하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한다.
케이싱(41)의 전면에는 회전축(44)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45) 및 가이드(46)가 형성되고, 케이싱(31) 좌우측면(원심팬의 원주 방향)에는 공기의 토출을 위한 공기배출구(47)가 형성된다.
원심팬(42)은 케이싱(41)의 전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팬이다. 이 원심팬(42)은 회전축(44)에 결합된 회전판(42a)과, 회전판(42a)에 고정된 다수의 날개(42b)를 포함한다. 날개(42b)는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날개(42b)의 일단부는 개방된 형태이고, 날개(43) 타단부는 회전판(42a)에 의해 고정된 형태이다.
구동모터(43)는 본체(10)의 내측 후면부에 고정되고, 원심팬(42)은 구동모터(43)로부터 케이싱(41) 내부로 연장된 회전축(44)에 결합된다.
케이싱(41)의 공기유입구(45)에는 케이싱(4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케이싱의 내측 방향으로 만곡된 벨마우스(48)가 마련된다. 즉, 구동모터(43)의 동작에 의해 원심팬(42)이 회전하면, 공기유입구(45)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벨마우스(50)에 의해 원심팬(42)의 중심부분으로 안내된 후 날개(42b)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반경방향 외측의 공기배출구(47)로 송풍된다.
이러한 벨마우스(48)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팬(40)의 공기배출구(47)와 공기유입구(45)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49)가 마련된다.
역류방지부재(49)는 벨마우스(48)의 상면보다 높게 수직으로 돌출 마련된 링 형태이며, 원심팬(42)의 외경보다는 크고 외경의 140% 보다는 작게 마련된다. 역류 방지부재(49)의 높이가 벨마우스(48)의 상면과 같거나 낮게 되면 벨마우스(48)와 날개(42b)의 끝단 사이로 순환 유동 하는 토출 공기의 역류를 막을 수 없다. 또한, 역류방지부재(49)가 원심팬(42)의 외경보다 작게 되면 규격화되어 있는 케이싱(41)의 높이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벨마우스(48)와 날개(42b)의 끝단 사이로 역류하는 토출 공기와, 날개(42b)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역류에 대해서는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즉, 공기배출구(47) 내부를 순환 유동하는 토출 공기의 일부만을 차단하기 때문에 소음은 저감되지만 풍량은 증가되지 않는다. 역류방지부재(49)의 크기가 외경의 140%를 넘게 되면, 역류방지부재(49)가 오히려 토출 공기를 더욱 순환 유동시키게 된다.
또한, 역류방지부재(49)의 높이는 원심팬(42) 높이(H)의 2/3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이는 원심팬(42)의 흡입 및 토출 정압차를 나타내는 ΔP가 균일해지는 것으로, 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흡입압에 비해 토출압이 작아져서 송풍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역류방지부재(49)가 마련된 원심송풍기를 냉장고에 설치하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로 역류되는 토출 공기가 감소되면서 풍량은 종래 대비 7%가 증가되며, 역류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 간의 난류 발생이 적어져 소음은 1.5dB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송풍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것을 일례로 예시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심송풍기는 공기배출구 내부를 순환 유동하는 토출 공기가 공기유입구로 재유입하지 못하도록 역류방지부재를 벨마우스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유입구로 역류되는 토출 공기가 감소되어 풍량은 증가되고, 역류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 간의 난류 발생이 적어져 소음은 저감된다.

Claims (5)

  1.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공기유입구 측에 마련되는 벨마우스와,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원심팬을 포함하는 원심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스에는 상기 케이싱의 공기배출구 내부를 순환 유동하는 토출 공기가 공기유입구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벨마우스로부터 링 형태로 돌출 마련되며, 높이는 원심팬 높이의 2/3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송풍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벨마우스의 상면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송풍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원심팬의 외경보다 크고, 원심팬 외경의 14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송풍기.
  5. 삭제
KR2020070006779U 2007-04-24 2007-04-24 원심송풍기 KR200463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79U KR200463339Y1 (ko) 2007-04-24 2007-04-24 원심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79U KR200463339Y1 (ko) 2007-04-24 2007-04-24 원심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90U KR20080004990U (ko) 2008-10-29
KR200463339Y1 true KR200463339Y1 (ko) 2012-10-30

Family

ID=4132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779U KR200463339Y1 (ko) 2007-04-24 2007-04-24 원심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3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370A (ko) * 2020-09-09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944A (ja) * 2000-12-28 2002-07-19 Toyo Radiator Co Ltd 軸流ファ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944A (ja) * 2000-12-28 2002-07-19 Toyo Radiator Co Ltd 軸流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90U (ko)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014B1 (ko) 공기조화기용 송풍기
KR20160114357A (ko) 원심팬
US10473339B2 (en) Guide blad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150075934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00041278A (ko)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TW200530539A (en) Integral air conditioner
WO2018121564A1 (zh) 冰箱及其压缩机仓导风装置
JP2006090297A (ja) シロッコ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3082453B2 (ja) 空気調和機
KR10136232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2006001089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0463339Y1 (ko) 원심송풍기
KR1004684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82363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15400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00765163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74373A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84269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
US7930897B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N109891101B (zh) 螺旋桨风扇、室外机和制冷循环装置
KR20090041806A (ko) 천정형 에어컨
KR100789817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WO2005040686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100556436B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584268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