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172A -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172A
KR20120051172A KR1020100112465A KR20100112465A KR20120051172A KR 20120051172 A KR20120051172 A KR 20120051172A KR 1020100112465 A KR1020100112465 A KR 1020100112465A KR 20100112465 A KR20100112465 A KR 20100112465A KR 20120051172 A KR20120051172 A KR 2012005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quality
product
pattern
qual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687B1 (ko
Inventor
오용희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6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생산설비에 의해 제품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및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System and method for quality management using sound detection}
본 발명은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향의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생산 공정을 거친 제품의 품질 상태를 파악하고, 소정의 품질관리 및 오류수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제품의 복잡화로 인해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야만 하나의 최종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단계 공정을 거치는 생산라인에서는 그 중 어느 하나의 공정에서라도 불량이 발생하면 이는 최종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기존에는 생산라인의 작업자의 목시 검사 및 수작업 검사로 최종 제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여 왔기 때문에 불량 제품의 출고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그에 따라 불량 제품 처리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제품의 신뢰도나 회사의 브랜드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최근 생산라인에서는 인건비 감소를 위한 생산공정의 자동화 및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품질 검사 공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산라인에서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여 이를 통해 자동으로 특정한 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고, 품질에 오류가 있는 제품을 오류 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는 등의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생산설비에 의해 제품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및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감지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하는 마이크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공정이 진행되는 상기 제품의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품을 상기 공정의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상기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에 따라 소정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에게 소정의 알림신호를 전달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소정의 알림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에 오류를 표시하는 오류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에 오류를 표시하도록 상기 오류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품질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제품들 전부 또는 일부의 품질상태에 대해 통계를 내는 통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산설비에 의해 제품의 공정이 특정 위치에서 진행되고, 상기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서 다음 공정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제품이 이동되는 생산공정의 품질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특정 위치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여 상기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및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서로 연속하는 제 1공정 및 제 2공정을 포함하는 생산공정의 품질을 관리하고, 상기 제 1공정에 상응하는 제 1 품질관리 모듈, 상기 제 2공정에 상응하는 제 2 품질관리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 및 상기 제 2 품질관리 모듈 각각은 생산설비에 의해 상기 각각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각각의 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및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에 포함된 음향패턴 분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공정을 마친 제품을 상기 제 2공정으로 진행시킬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 1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의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류처리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소정의 생산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제품 품질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류제품 품질관리 모듈은 상기 오류처리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상기 생산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품질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품질관리 시스템이 생산설비에 의해 제품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상기 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과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품질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품질관리 시스템이 제 1공정에 의한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을 제 2공정으로 진행시킬지 또는 상기 제1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으로 진행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품의 상기 제 1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상기 제1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과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품을 상기 오류처리 공정으로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소정의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은 생산라인에서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자동으로 특정한 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수동으로 제품의 품질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비용 내지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여 특정 공정이 일어나는 위치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는 경우, 다른 공정 또는 기타 다양한 노이즈를 줄일 수 있어서 해당 공정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만으로 품질 및 생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한 공정을 거친 경우에 만족해야만 하는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오류 제품이 생산 라인의 전 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을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별도의 오류처리 공정으로 운반함으로써 생산된 제품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발생한 경우 관리자에게 알림신호를 보내거나 오류 표시를 함으로써 손쉽게 오류가 난 제품을 구분할 수 있으며, 특정 공정이 완료된 제품의 오류 빈도 등에 대한 통계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공정에 사용되는 생산설비 자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특정 공정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것에 비해 음향센서(예컨대, 마이크로 폰)을 이용하는 경우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특정 공정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자동화된 기계에 의해 공정처리시 고정된 음향이 발생하는 공정에 특히 저렴하고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감지부가 빔을 형성하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생산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에 기초하여 추출된 음향패턴으로부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품질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음향감지부(110), 음향신호 분석부(120), 및 음향패턴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 생산라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정 각각에 의해 진행된 제품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생산라인은 복수의 공정을 거쳐서 하나의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정은 제1공정 및 제2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1공정 또는 상기 제2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 각각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종래의 육안 또는 비젼(vision) 인식 기반의 품질관리 방법과는 달리 음향인식 기반의 품질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음향 감지부(110)는 상기 공정에 상응하는 생산설비가 구동되면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생산설비는 각 공정별로 별도로 갖추어질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생산설비가 복수의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생산설비는 각 공정을 마친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이동수단(예컨대, 컨베이어 벨트 등) 및/또는 상기 각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소정의 제조설비(예컨대, 로봇 암(robot a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공정은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되는 공정일 수도 있지만, 기계적 제조설비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는 공정일 수도 있다.
상기 음향 감지부(110)는 상기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소리 즉, 음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향 감지부(110)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폰(microph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감지부(110)는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음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인 음향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향신호는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화한 신호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음향 감지부(110)는 적어도 두 개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하는 마이크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정 방향으로 빔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빔을 형성하기 위한 빔 포머(beam former)가 상기 음향 감지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감지부가 빔을 형성하는 경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의 음향 감지부(110)는 마이크 어레이(예컨대, 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감지부(110)는 생산 라인의 각각의 공정마다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어레이(10-1)는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이크 어레이(10-1)는 4개의 마이크로 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어레이(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빔(1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빔(11)은 상기 마이크 어레이(10-1)가 담당하는 공정(제1공정)이 일어나는 위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1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 어레이(10-1)에 포함된 각각의 게인(gain) 값을 조절하기 위한 빔 포머(미도시)가 상기 음향 감지부(1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빔(1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 어레이(10-1)는 다수의 방향으로 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수음할 수 있지만 상기 빔 방향에서 입력되는 소리에 강인한 특성을 갖게 된다. 즉, 상기 빔(11)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는 상쇄되거나 매우 약화되게 된다.
이러한 빔을 형성하기 위한 빔 포머에 대해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 포머(미도시)는 협대역 또는 광대역 빔 형성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는 상기 공정(제1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리의 대역폭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정이 고정된 특정 위치(20)에서만 수행되는 경우에는 고정된 빔(11)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빔 포머(미도시)는 적응형 빔 포머(adaptive beam form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 상응하는 방향으로의 적응적 빔 형성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적응형 빔 포머의 경우 GSC(Generald sidelobe Canceller)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GSC의 구조 역시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음향 감지부(110)는 하나의 음향센서(마이크로 폰)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마이크 어레이(10-1)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마이크 어레이(10-1) 및 빔 포머(미도시)는 상기 공정(제1공정)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20)로 빔(11)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 생산라인에선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품질관리 또는 생산관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주요한 이유는, 보통의 생산라인이 다수의 공정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소리로 인해 어느 하나의 특정 공정에서만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기 어려웠던 점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특정 공정(예컨대, 제1공정)에서 수행된 제품의 품질을 상기 공정(예컨대, 제1공정)이 수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하면서, 다른 인근 공정(예컨대, 제2공정)에서 발생하는 소리 및/또는 기타 생산라인에서의 다양한 노이즈에 강인한 효과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1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품은 생산설비(예컨대, 컨베이어 벨트 등)에 의해 제2공정을 위한 제2위치(21)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공정을 위한 마이크 어레이(10-2)는 상기 제2위치(21) 방향으로 형성되는 빔(1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는 상기 공정에 의한 제품의 품질상태와 그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와 그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은 상기 공정이 진행되기 이전에 미리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는 각각의 공정이 정상적인 공정일 때 발생하는 음향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 중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음향만을 모아서 소정의 샘플링(sampling) 과정을 거쳐서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때마다 발생하는 음향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 있지만, 이때에도 소정의 샘플링 또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때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소정의 패턴을 상기 음향신호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추출된 신호가 상기 음향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정 또는 상기 공정의 세부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생산설비나 제품에서 발생하게 되는 음향신호는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와 상응하는 일정한 음향신호의 패턴을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음향패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상기 제품의 품질 상태는 예컨대, '정상 품질' 및 '비정상 품질'로 나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는 별도의 품질상태에 대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각 공정별 음향패턴만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음향패턴은 정상공정이 진행되었을 때 발생하는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이하, 정상 음향패턴)일 수 있다. 물론, 정상적으로 상기 공정이 진행되었을 때 발생하는 음향에 따른 음향패턴과 적어도 하나의 비정상적(불량)으로 공정이 진행되었을 때 발생하는 음향에 따른 음향패턴(이하, 비정상 음향패턴)이 함께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정상적 공정에 따른 음향패턴이 복수 개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정상 음향패턴 각각에 따라 불량의 종류가 파악될 수도 있다. 즉, 특정 공정이 진행될 때 자주 발생하는 불량의 종류가 몇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불량의 종류에 따른 비정상 음향패턴이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는 각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진행된 경우 어떤 종류의 불량이 존재하였는지 여부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품질 상태는 소정의 품질등급(예컨대, 상급/중급/하급)으로 나뉘어 질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각각의 공정별로 다수의 음향을 센싱하고, 센싱된 음향에 따라 각 공정을 거친 제품의 품질이 결정될 수 있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이 사용하는 음향패턴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상기 음향패턴을 디지털화한 신호의 패턴으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음향신호는 P1과 같은 특정한 음향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이 실패 또는 비정상적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P2와 같은 특정한 음향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비정상 음향패턴은 P2와 같은 음향패턴만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한편, 상기 공정이 적어도 하나의 세부공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경우, 상기 세부공정 중 어느 하나인 세부공정 1이 성공한 경우에는 또 다른 특정한 음향신호패턴인 P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신호가 P1패턴, P2패턴 또는 P3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공정완료(또는 정상 품질), 공정실패(또는 비정상 품질) 또는 세부공정 1의 완료 또는 실패(또는 중급 품질)와 같은 상기 공정을 마친 제품의 품질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는 상기 음향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테스트 음향패턴은 제품의 공정이 진행될 때 상기 음향 감지부로(110)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가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패턴 중 상기 공정에 의한 제품의 품질상태를 파악함에 있어 유의미한 신호패턴으로써,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에서 추출되는 음향패턴을 의미한다. 즉, 상기 음향신호는 소음 기타의 원인으로 다양한 음향신호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 음향신호의 모든 패턴이 상기 제품의 품질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는 상기 음향신호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 중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된 음향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은 상기 음향신호에서 소정의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ing) 방식으로 노이즈가 캔슬된 신호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공정에서 정상적인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은 동일한 특정 시간대역에서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은 상기 음향신호(또는 상기 음향신호에서 노이즈가 캔슬된 신호)의 특정 시간대역을 추출한 신호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은 소정의 음향신호가 디지털화된 신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기 위해 소정의 게인(gain) 값 또는 스케일링(scaling) 값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종래의 다양한 신호분석 방법 등을 통해 소정의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할 수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상기 음향신호 감지부(110)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로부터 미리 저장된 음향패턴과 비교할 수 있을만한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할 수 있기만 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가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과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을 비교하는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음향패턴(예컨대, P11~P14) 및 상기 공정이 진행되면서 생산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기초로 추출되는 일련의 테스트 음향패턴(예컨대, P21~P23)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어느 하나의 공정이 4 개의 세부공정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나타내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는 상기 음향신호로부터 특정 시간대역(즉, 세부공정이 수행되는 시간대역)에서 순서대로 테스트 음향패턴 1(P21), 테스트 음향패턴 2(P22), 테스트 음향패턴 3(P23), 및 테스트 음향패턴 4(P24)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테스트 음향패턴(P21~24)을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각의 대응되는 음향패턴과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세부공정이 정상(성공)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는 테스트 음향패턴 1(P21)과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된 세부공정 1에 대응되는 음향패턴(P11)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동일성이 있는 패턴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세부공정 1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는 테스트 음향패턴 2(P22)와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된 세부공정 2에 대응되는 음향패턴(P12)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동일성이 있는 패턴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세부공정 2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세부공정에 대응되는 테스트 음향패턴(P21~P24)이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세부공정 각각에 대응되는 음향패턴(P11~P14)와 모두 동일성이 있는 패턴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부공정을 모두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공정은 정상(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정은 복수의 세부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공정만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이때에는 상기 공정에 대응되는 음향패턴은 하나만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에 의하여 판단된 특정 공정을 거친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정상 또는 중급 이상 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품을 오류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도록 생산설비(20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품의 품질 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라 함은 상기 제품의 품질이 정상 품질이 아님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공정 중 특히 중요도가 높은 특정 세부공정이 실패한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제품을 오류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이 오류를 가진 경우에는 상기 오류를 수정한 후 이후 공정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라인의 전 공정을 거친 완성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고, 완성 제품에서 오류를 가진 제품을 다시 분류하는 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에 따라 소정의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소정의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상기 소정의 알림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알림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미도시)는 통신망(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을 통해 상기 관리자의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소정의 알람신호를 전송하거나 램프를 작동시켜 시각적 신호를 발산하거나 호출벨 등을 이용하여 소리신호를 발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품질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제품들 전부 또는 일부의 품질상태에 대해 통계를 내는 통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 상기 공정이 처리된 제품에 대한 품질 통계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관리자가 상기 공정에 상응하는 생산설비 자체가 올바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은 특정 공정을 거친 제품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품에 오류가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오류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류표시부(미도시)는 상기 제품에 직접 소정의 정보를 마킹하거나 부착하기 위한 소정의 설비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품의 일련번호 등을 인식하고 소정의 DB 또는 리스트에 상기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제품이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했음을 기록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에 오류를 표시하도록 상기 오류표시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120)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품을 상기 공정의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상기 생산설비(예컨대, 컨베이어 벨트 등)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공정이 완료된 제품을 정상적인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거나 또는 상기 오류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소정의 생산설비(예컨대, 컨베이어 벨트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류처리 공정이라 함은, 미리 설정된 상기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품이 운반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오류처리 공정으로 운반된 제품은 폐기처분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류처리 공정을 통해 이전의 공정에서의 오류(예컨대, 비정상 또는 특정 등급 이하 등)가 복구되어 정상적 생산라인 공정으로 복귀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품질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품질관리 시스템(1000)은 제1품질관리모듈(100-1), 제2품질관리모듈(100-2),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1000)은 오류제품 품질관리모듈(10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품질관리 모듈(100-1) 및 상기 제2품질관리모듈(100-2) 각각은 제1 공정(300-1) 및 제2공정(300-2)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은 복수 개로 구성된 일련의 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느 두 개의 연속된 공정 즉, 제 1공정(300-1) 및 제 2공정(300-2)만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공정(예컨대, 제1공정)이 완료된 제품은 컨베이어 벨트 등을 통해 다음 공정(예컨대, 제2공정)으로 운반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정(예컨대, 제1공정)이 완료된 제품은 소정의 오류처리 공정으로 운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는 생산라인에서 제품의 운반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생산설비(예컨대, 컨베이어 벨트)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품질관리모듈(100-1) 및 상기 제 2 품질관리모듈(100-2) 각각은 는 도 1에 도시된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품질관리모듈(100-1) 및 상기 제 2 품질관리모듈(100-2) 각각은 생산설비에 의해 상기 각각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각각의 공정에 의한 제품의 소정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상기 음향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음향감지부, 음향패턴 저장부, 및 음향신호 분석부 각각의 기능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100-1)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 1공정(300-1)을 마친 제품의 품질상태에 따라 상기 제품을 다음 공정인 제 2공정(300-2)으로 운반할지 또는 소정의 오류처리 공정(300-3)으로 운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1공정(300-1)을 마친 제품의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공정(300-1)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300-3)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소정의 생산설비(예컨대, 컨베이어 벨트)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류처리 공정(300-3)은 상기 제 1공정(300-1)을 거쳤으나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제품이 더 이상 다음 공정(즉, 제2공정(300-2))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도록 소정의 위치 또는 장소로 단순히 상기 제품을 운반하는 공정일 수도 있고,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제품을 상기 제 2공정으로 보내기 위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공정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오류 공정(300-3)에 상응하는 오류제품 품질관리 모듈(10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류 제품 품질관리 모듈(100-3)은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100-1) 및 상기 제 2 품질관리 모듈(100-2)과 마찬가지로 음향 감지부, 음향패턴 저장부, 및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오류처리 공정에서도 미리 저장된 소정의 음향패턴과 상기 오류처리 공정의 진행시에 발생하는 음향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처리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류제품 품질관리모듈(100-3)에 의해 상기 오류처리 공정의 진행이 정상적이지 못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또 다른 소정의 공정(예컨대, 폐기 공정)으로 상기 제품이 운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오류처리 공정(300-3)을 마친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한 경우(예컨대 '정상 품질') 상기 제 2공정(300-2)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상기 오류처리 공정(300-3)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품은 다시 원래의 생산라인에 포함된 공정인 상기 제2공정(300-2)으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종래의 인력에 의한 품질관리 또는 비젼인식 기반의 품질관리 방법을 이용하는데에 비해 훨씬 저렴한 비용이 드는 마이크로 폰 등의 음향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품질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정 공정을 통한 제품의 품질이 소정의 기준에 미치지 못함에도 계속하여 다음 공정이 진행되는 비효율성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의 오류처리 공정을 통해 특정 공정을 통해 제품이 불량이 난 경우에도 전체 생산라인이 멈출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폐기되거나 공정의 특성에 따라 오류를 수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라인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생산설비에 의해 제품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및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감지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하는 마이크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 어레이는 공정이 진행되는 상기 제품의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품을 상기 공정의 다음 공정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상기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에 따라 소정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에게 소정의 알림신호를 전달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소정의 알림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에 오류를 표시하는 오류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에 오류를 표시하도록 상기 오류표시부를 제어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품질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을 거친 제품들 전부 또는 일부의 품질상태에 대해 통계를 내는 통계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8. 생산설비에 의해 제품의 공정이 특정 위치에서 진행되고, 상기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위치에서 다음 공정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제품이 이동되는 생산공정의 품질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특정 위치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여 상기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및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9. 서로 연속하는 제 1공정 및 제 2공정을 포함하는 생산공정의 품질을 관리하는 품질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 1공정에 상응하는 제 1 품질관리 모듈, 상기 제 2공정에 상응하는 제 2 품질관리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 및 상기 제 2 품질관리 모듈 각각은,
    생산설비에 의해 상기 각각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각각의 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및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에 포함된 음향패턴 분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공정을 마친 제품을 상기 제 2공정으로 진행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품질관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 1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품질관리 모듈의 음향신호 분석부에 의하여 판단된 상기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류처리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소정의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품질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은,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제품 품질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류제품 품질관리 모듈은,
    상기 오류처리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감지부;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와 상기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음향패턴 저장부;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상기 음향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음향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음향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상기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품질관리 시스템.
  12. 품질관리 시스템이 생산설비에 의해 제품의 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상기 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과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품질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13. 품질관리 시스템이 제 1공정에 의한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을 제 2공정으로 진행시킬지 또는 상기 제1공정에 상응하는 오류처리 공정으로 진행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품의 상기 제 1공정이 진행될 때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음향에 상응하는 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상기 음향신호에 기초하여 테스트 음향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상기 제1공정에 의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품질상태에 상응하는 음향패턴과 추출된 상기 테스트 음향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제 1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품질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관리 시스템 제공방법은,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품을 상기 오류처리 공정으로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오류처리 공정에 의한 상기 제품의 품질상태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공정으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도록 소정의 생산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품질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KR1020100112465A 2010-11-12 2010-11-12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18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465A KR101180687B1 (ko) 2010-11-12 2010-11-12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465A KR101180687B1 (ko) 2010-11-12 2010-11-12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172A true KR20120051172A (ko) 2012-05-22
KR101180687B1 KR101180687B1 (ko) 2012-09-07

Family

ID=4626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465A KR101180687B1 (ko) 2010-11-12 2010-11-12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6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620A1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시그널웍스 이상 음원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132482B1 (ko) * 2019-03-05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플라이언스의 테스트 방법,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시스템
WO2021100967A1 (ko) * 2019-11-18 2021-05-27 주식회사 모빅랩 초음파 대역의 음향 신호를 이용한 설비 고장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7496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모빅랩 초음파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다채널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설비 고장 예측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620A1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시그널웍스 이상 음원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132482B1 (ko) * 2019-03-05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플라이언스의 테스트 방법, 테스트 장치, 및 테스트 시스템
WO2021100967A1 (ko) * 2019-11-18 2021-05-27 주식회사 모빅랩 초음파 대역의 음향 신호를 이용한 설비 고장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62250A (ko) * 2019-11-18 2022-05-16 주식회사 모빅랩 초음파 대역의 음향 신호를 이용한 설비 고장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7496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모빅랩 초음파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다채널 감지 센서를 구비한 설비 고장 예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687B1 (ko)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687B1 (ko) 음향감지를 이용한 품질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5468470B2 (ja) X線検査装置
CN110244666B (zh) 生产线监视装置、生产线监视系统、生产线监视方法
US8229584B2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bnormality
US201100198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roduction Line
US11982995B2 (en) Defect detection during an automated production process
KR102243039B1 (ko) 자동화된 상품의 포장 및 배송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EP3138239B1 (en) Method and unit for handling deteriorating hardware
US20100224014A1 (en) Method of inspecting mount state of component
KR20150095053A (ko) 제품 검사의 유효성 검증 장치 및 방법
WO2021030322A1 (en) System and method of object detection using ai deep learning models
Soldatov et al. System for automatic sorting of pallets
JP2016071444A (ja) 設備異常判定方法及び設備異常判定システム
KR102049563B1 (ko) Pcb 제조 공정에서의 기판 겹침 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6785623B2 (en) Business to business electronic test monitoring information system
JPH11304449A (ja) 画像処理装置
JP4822755B2 (ja) 検査装置
KR20200099863A (ko) 대상물의 분석 방법
KR20240022944A (ko) 공정 운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JP7021888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プログラム
WO2024106322A1 (ja) 検査装置の診断装置、検査装置の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Meier et al. Prediction of the tool change point in a polishing process using a modular software framework
KR101572927B1 (ko)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CN117509067B (zh) 一种具有皮带纵撕检测功能的矿用输送机系统及运行方法
US20220269252A1 (en) Method, apparatuses, computer program and medium including computer instructions for performing inspection of an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