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756A -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756A
KR20120049756A KR1020100111174A KR20100111174A KR20120049756A KR 20120049756 A KR20120049756 A KR 20120049756A KR 1020100111174 A KR1020100111174 A KR 1020100111174A KR 20100111174 A KR20100111174 A KR 20100111174A KR 20120049756 A KR20120049756 A KR 2012004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electrode
display device
electrowe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553B1 (ko
Inventor
이준석
민경희
강한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5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light absorbing layer
    • G02F2201/086UV absorb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극성용액 내 자외선(ultraviolet; UV) 흡수물질을 녹여서 외부 자외선을 미리 흡수함으로써 블랙오일의 표백(bleaching)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표시영역 및 화상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이 형성된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의 상기 화상비표시영역에 형성된 격벽;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컬러필터층; 상기 컬러필터층이 형성된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판의 제 1 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그 배열이 변화되어 광을 스위칭 시키는 불투명한 제 1 액체 및 투명한 제 2 액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액체 내에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물질이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습윤(electrowetting)이란 고체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고체와 전해질 사이에 접촉각(contact angle)이 변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근래 이러한 전기습윤현상을 이용한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전극 위에 소수성 절연물질을 적층하고, 이 절연물질 위에 물과 기름이 맞닿아 있을 때 상기 물과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물의 소수성 계면의 성질이 친수성으로 변하면서 물의 접촉각이 낮아지고, 물의 접촉각이 낮아지면서 기름을 화소 벽으로 밀어내면서 전극에서 빛이 반사되어 명암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물과 기름을 사용한 반사형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빠른 응답시간과 높은 반사율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현존하는 전자 종이제품과 액정표시장치를 대체하도록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외부의 자외선(ultraviolet; UV)을 블랙오일이 흡수하게 되면 표백(bleaching)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외부 광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자외선에 대한 차단기술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자외선에 의한 블랙오일의 표백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화상표시영역 및 화상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이 형성된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의 상기 화상비표시영역에 형성된 격벽;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컬러필터층; 상기 컬러필터층이 형성된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판의 제 1 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그 배열이 변화되어 광을 스위칭 시키는 불투명한 제 1 액체 및 투명한 제 2 액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액체 내에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물질이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액체는 비극성 블랙액체이고 제 2 액체는 극성의 투명한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2 기판의 상부에서 입력된 광이 상기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됨에 따라 제 1 액체가 격벽 측으로 밀려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이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제 2 기판의 상부로 출력되는 한편, 외부의 자외선은 상기 제 2 액체 내의 자외선 흡수물질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제 1 액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1 기판의 하부에서 입력된 광이 상기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됨에 따라 제 1 액체가 격벽 측으로 밀려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이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투과하여 제 2 기판의 상부로 출력되는 한편, 외부의 자외선은 상기 제 2 액체 내의 자외선 흡수물질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제 1 액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30℃ ~ 80℃ 사이의 온도에서 극성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화상표시영역과 화상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에 소수성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위의 상기 화상비표시영역에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제 1 액체와 제 2 액체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액체 내에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물질이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 1 기판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제 1 액체와 제 2 액체를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판에 제 1 액체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제 2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액체는 비극성 블랙오일이고 제 2 액체는 투명한 극성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30℃ ~ 80℃ 사이의 온도에서 극성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외부 자외선에 의한 블랙오일의 표백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에 있어,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반사형 전기습윤 표시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100)는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05)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합착되며,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05) 사이에는 제 1 액체(미도시) 및 제 2 액체(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기판(110)에는 상기 제 1 액체 및 제 2 액체에 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광을 반사하는 제 1 전극(118)이 형성되며, 그 위에는 소수성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층(1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에는 격벽(150)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50)은 전기습윤 표시장치(100)의 각 화소를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05) 상에 존재하는 제 1 액체가 상기 격벽(150)에 의해 화소별로 분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습윤 표시장치(100)는 R(Red)-화소, G(Green)-화소 및 B(Blue)-화소가 매트릭스(matrix)형상으로 반복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150) 역시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화소를 분리하다. 이때, 상기 격벽(150)은 실제 화상이 구현되지 않은 화상비표시영역에 형성된다.
제 2 기판(105)에는 블랙매트릭스(107)와 컬러필터(106)가 형성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107)는 제 1 기판(110)의 화소들 사이의 영역, 또는 격벽(150)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하는 제 2 기판(105)의 영역에 형성되어 해당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컬러필터(106)는 제 2 기판(105)의 블랙매트릭스(107) 사이에 형성되어 컬러를 구현한다.
상기 컬러필터(106) 위에는 제 2 전극(108)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08)은 제 1 기판(110)의 제 1 전극(118)과 대향하여, 외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될 때 전계가 형성되어 제 1 액체 및 제 2 액체의 배열을 변경하여 상기 제 1 액체 및 제 2 액체에 의해 광을 스위칭(switching)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전기습윤 표시장치에는 복수의 화소가 형성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질적으로 전기습윤 표시장치에 형성되는 화소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하나의 화소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100)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화상표시영역 및 화상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05), 상기 제 1 기판(110)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제 1 기판(110)에 형성된 보호층(115b), 상기 보호층(115b) 위의 화상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화상신호가 입력되는 제 1 전극(118), 상기 보호층(115b) 및 제 1 전극(118) 위에 형성된 소수성물질의 절연층(125), 상기 절연층(125) 위의 화상비표시영역에 형성된 친수성물질로 이루어진 격벽(150), 상기 제 2 기판(105)의 화상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해당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107), 제 2 기판(105)에 형성되어 컬러를 구현하는 컬러필터층(106), 제 2 기판(105)에 형성되어 제 1 기판(110)의 제 1 전극(118)과 전계를 형성하는 제 2 전극(108), 상기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05) 사이에 배치된 제 1 액체(130) 및 제 2 액체(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제 1 기판(110)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121), 상기 게이트전극(121) 위에 형성된 게이트절연층(115a), 상기 게이트절연층(115a) 위에 형성된 비정질실리콘(amorphous silicon; a-Si)과 같은 반도체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24), 상기 반도체층(124) 위에 형성된 소오스전극(122) 및 드레인전극(12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기판(110)에는 복수의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어(즉,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이 화소로 정의되며, 구획된 각각의 화소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배치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121)은 게이트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오스전극(122)은 데이터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게이트라인을 통해 주사신호가 게이트전극(121)으로 입력되면, 반도체층(124)이 활성화되어 박막트랜지스터가 턴-온(turn on)되고 동시에 데이터라인을 통해 화상신호가 소오스전극(122) 및 드레인전극(123)을 통해 제 1 전극(118)으로 입력된다.
상기 보호층(115b)은 벤조싸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이나 포토아크릴(photo acryl)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이때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123) 상부의 보호층(115b)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어 보호층(115b) 위에 형성된 제 1 전극(118)이 상기 콘택홀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보호층(115b)으로서, SiO2와 SiNx와 같은 무기절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18)은 화소전극으로서, 화상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 2 기판(105)의 제 2 전극(108)과 전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반사율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한다. 즉, 제 1 전극(118)은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의 역할뿐만 아니라 반사층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118)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반사층을 제 1 전극(118)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을 외부로 반사시켜야만 한다.
상기 절연층(125)은 소수성물질로 형성하거나 표면을 소수성 처리한다.
상기 격벽(150)은 상기 소수성의 절연층(125) 위에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150)의 높이는 제 2 액체(140)에 의해 제 1 액체(130)가 격벽(150)으로 몰리는 경우 몰리는 제 1 액체(1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07)는 화상비표시영역, 즉 격벽(150)이 형성된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CrO나 CrO2와 같은 금속산화물 또는 블랙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컬러필터층(106)은 화상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실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R, G, B-화소가 반복되어 배치되며, 제 2 전극(108)은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으로서, 제 1 기판(110)에 형성된 화소전극(118)과 대향하여 전계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전극(108)은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이나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05) 사이에는 제 1 액체(130) 및 제 2 액체(14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액체(130)는 비극성용액으로서, 예를 들면 블랙오일을 주로 사용하지만, 블랙상태의 실리콘오일, 미네랄오일, 사염화탄소(CCl4)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액체(140)는 극성용액으로서, 예를 들면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액은 주로 물로 이루어지며, NaCl과 같은 전해질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액체(140)는 극성용액 내에 자외선 흡수물질을 녹여서 외부의 자외선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액체(130)의 표백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상기 제 2 액체(140) 내에 포함시켜 미리 외부의 자외선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자외선이 하부 제 1 액체(130)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계열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전기습윤 표시장치가 구동하는 -30℃ ~ 80℃ 사이의 온도에서 극성용액에 녹아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 1 액체(130)와 제 2 액체(140)는 서로 섞이지 않기 때문에, 경계를 이루는데, 제 2 액체(140)가 수용액이고 제 1 기판(110)에는 소수성의 절연층(125)이 형성이며 격벽(150)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 1 액체(130) 및 제 2 액체(140)를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05) 사이에 충진하면, 제 1 액체(130)가 하부, 즉 제 1 기판(110) 측에 위치하고 제 2 액체(140)는 상부, 즉 제 2 기판(105) 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제 1 전극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와 인가되었을 때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와 같은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고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05), 제 1 전극(118)과 제 2 전극(108), 격벽(150), 절연층(125), 제 1 액체(130) 및 제 2 액체(140)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에서는 인접하는 3개의 R, G, B-화소를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화소에 각각 형성된 제 1 전극(118a, 118b, 118c)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1 전극(118a, 118b, 118c)과 제 2 전극(108)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불투명한 제 1 액체(130)가 R, G, B-화소의 제 1 기판(110) 상에 고르게 퍼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즉, 제 2 기판(105)의 상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상기 광이 불투명한 제 1 액체(130)에 흡수되고 외부로는 광이 반사되지 않아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화면에는 블랙이 구현된다. 이때, 외부의 자외선은 상기 제 2 액체(140)내의 자외선 흡수물질에 흡수됨으로써 하부 제 1 액체(130)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화소의 제 1 전극(118a) 및 B-화소의 제 1 전극(118c)에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고 G-화소의 제 1 전극(118b)에만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R-화소 및 B-화소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 반면에, G-화소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R-화소 및 B-화소에서는 불투명한 제 1 액체(130)가 R-화소 및 B-화소의 제 1 기판(110)상에 고르게 퍼지게 되는 반면에, G-화소에서는 전계가 인가되어 전기습윤현상에 의해 절연층(125)의 젖음성 특성이 향상되어 절연층(125)이 친수성 특성을 갖게 되며, 이러한 친수성 특성에 의해 G-화소의 제 2 액체(140)가 G-화소의 제 1 기판(110) 상에 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액체(140)의 제 1 기판(110) 상으로의 퍼짐에 의해 제 1 액체(130)가 G-화소 내에서 측면 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G-화소의 제 1 기판(110) 상에는 투명한 제 2 액체(140)가 퍼져 있고 불투명한 제 1 액체(130)는 격벽(150)측으로 몰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R-화소 및 B-화소에서는 불투명한 제 1 액체(130)가 제 1 기판(110)상에 고르게 퍼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 제 1 액체(130)에 의해 흡수되어 화면상에는 블랙이 표시된다. 반면에, G-화소에서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투명한 제 2 액체(140)를 투과하여 제 1 전극(118)의 의해 반사된 후, G-컬러필터층(106b)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력되므로, 녹색의 컬러가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G-화소에만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화면상에는 녹색의 컬러가 구현되는 것이다.
전압을 R-화소 및 B-화소의 제 1 전극(118a, 118c)에 각각 인가함으로써 화면상에 적색 컬러와 청색 컬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 컬러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컬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역시, 외부의 자외선은 상기 제 2 액체(140)내의 자외선 흡수물질에 흡수됨으로써 하부 제 1 액체(130)에 도달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불투명한 제 1 액체(130)와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제 2 액체(140)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을 차단하고 반사시킴으로써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습윤 장치는 기존의 액정표시장치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의해 전력소모가 작고 대조비가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이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기판(110) 위에 Cr, Mo, Ta, Cu, Ti, Al 또는 Al합금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불투명 금속을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적층한다.
그리고, 상기 불투명 금속을 사진식각방법(photolithography process)에 의해 식각하여 게이트전극(121)을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전극(121)이 형성된 제 1 기판(110) 전체에 걸쳐 SiO2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절연물질을 적층하여 게이트절연층(115a)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기판(110) 전체에 걸쳐 비정질실리콘과 같은 반도체물질을 적층한 후, 식각하여 반도체층(124)을 형성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층(124)의 일부에 불순물을 도핑(doping)하거나 불순물이 첨가된 비정질실리콘을 적층하여 이후 형성되는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반도체층(125)과 오믹콘택시키는 오믹콘택층(ohmic contact layer)을 형성한다.
그 후, 제 1 기판(110) 상에 Cr, Mo, Ta, Cu, Ti, Al 또는 Al합금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불투명 금속을 스퍼터링에 의해 적층한 후 식각하여 반도체층(124) 위, 엄밀하게 말해서 오믹콘택층 위에 소오스전극(122) 및 드레인전극(123)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소오스전극(122) 및 드레인전극(123)이 형성된 제 1 기판(110) 전체에 걸쳐 BCB나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절연물질을 적층하거나 SiO2나 SiNx와 같은 유기절연층을 증착하여 보호층(115b)을 형성한다.
이때, 도면에는 2번의 사진식각방법을 통해 반도체층(124)과 소오스전극(122) 및 드레인전극(123)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번의 사진식각방법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24)과 소오스전극(122) 및 드레인전극(12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보호층(115b)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층(115b)은 BCB나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유기절연층 및 SiO2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무기절연층의 이중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무기절연층과 유기절연층 및 무기절연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유기절연층을 형성함에 따라 보호층(115b)의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며, 무기절연층을 적용함에 따라 보호층(115b)의 계면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보호층(115b)에는 콘택홀(H)을 형성하여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123)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15b) 위에 Al이나 Al합금과 같이 반사율이 좋고 전도율이 좋은 금속을 스퍼터링에 의해 적층하고 식각하여 제 1 전극(118)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전극(118)은 보호층(115b)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15b) 및 제 1 전극(118) 위에 불소중합체(fluoropolymer)나 실리콘과 같은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여 소수성 절연층(125)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물질을 도포하여 친수성 절연층(155)을 형성한다.
그 후,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친수성 절연층(155)을 식각하여 제 1 기판(110)의 화상비표시영역에 격벽(15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표시영역, 즉 격벽(150)에 의해 구획된 화소의 소수성 절연층(125) 위에 블랙오일 등과 같은 제 1 액체(130)를 도포한다.
그 후,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2 기판(105) 상에 블랙매트릭스(107)와 컬러필터층(106)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2 전극(108)을 형성한다. 상기 블랙매트릭스(107)는 CrO이나 CrO2와 같은 산화금속을 적층한 후 사진식각공정에 의해 식각 함으로써 형성하거나 블랙수지를 도포하고 식각 함으로써 형성하며, 상기 컬러필터층(106)은 상기 블랙매트릭스(107)를 경계로 적, 녹, 청의 잉크나 레지스트를 적층 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극(108)은 ITO나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이나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등의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 함으로써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05)을 합착한 후, 상기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05) 사이에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제 2 액체(140)를 주입하고 실링재(미도시)에 의해 실링 함으로써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액체(140) 내에는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자외선 흡수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투과형 표시장치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장치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표시장치와는 그 구조가 유사하므로, 유사한 구조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기습윤 표시장치(200)는 화상표시영역 및 화상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 1 기판(210) 및 제 2 기판(205)을 구비하며 그 사이에 제 1 액체(230) 및 제 2 액체(240)가 채워진다.
상기 제 1 기판(210)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으로서,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게이트라인(미도시) 및 데이터라인(미도시)이 배열되고, 각각의 화소에 박막트랜지스터가 배치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제 1 기판(210)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221), 상기 게이트전극(221) 위에 형성된 게이트절연층(215a), 상기 게이트절연층(215a) 위에 형성된 반도체층(224), 상기 반도체층(224) 위에 형성된 소오스전극(222) 및 드레인전극(2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제 1 기판(210) 위에는 유기절연물질 또는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215b)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층(215b) 위에 제 1 전극(21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218)은 ITO나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이나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등의 투명한 도전물질을 적층 함으로써 형성되며, 보호층(215b)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2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보호층(215b) 및 제 1 전극(218) 위에는 소수성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층(225)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225) 위의 화상비표시영역에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진 격벽(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판(205)에는 화상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해당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207), 제 2 기판(205)에 형성되어 컬러를 구현하는 컬러필터층(206), 제 2 기판(205)에 형성되어 제 1 기판(210)의 제 1 전극(218)과 전계를 형성하는 제 2 전극(20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 기판(210)과 제 2 기판(205) 사이에는 제 1 액체(230) 및 제 2 액체(240)가 채워진다. 이때, 상기 제 1 액체230)는 비극성 액체이고 제 2 액체(240)는 극성용액으로서, 서로 다른 성질로 인해 서로 섞이지 않고 경계를 형성한다. 이때, 제 2 액체(240)가 수용액이고 제 1 기판(210)에는 소수성의 절연층(225)이 형성이며 격벽(250)은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 1 액체(230)가 하부에 위치하고 제 2 액체(240)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액체(240)는 극성용액 내에 자외선 흡수물질을 녹여서 외부의 자외선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액체(230)의 표백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상기 제 2 액체(240) 내에 포함시켜 미리 외부의 자외선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자외선이 하부 제 1 액체(230)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로는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전기습윤 표시장치가 구동하는 -30℃ ~ 80℃ 사이의 온도에서 극성용액에 녹아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동작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G, B-화소에 형성된 제 1 전극(218a, 218b, 218c)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1 전극(218a, 218b, 218c)과 제 2 전극(208)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불투명한 제 1 액체(230)가 R, G, B-화소의 제 1 기판(210) 상에 고르게 퍼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된 백라이트(미도시)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상기 광이 불투명한 제 1 액체(230)에 의해 차단되어 제 2 기판(208)의 상부는 광이 투과되지 않게 되어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화면에는 블랙이 구현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화소의 제 1 전극(218a) 및 B-화소의 제 1 전극(218c)에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고 G-화소의 제 1 전극(218b)에만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R-화소 및 B-화소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 반면에, G-화소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R-화소 및 B-화소에서는 불투명한 제 1 액체(230)가 R-화소 및 B-화소의 제 1 기판(210)상에 고르게 퍼지게 되는 반면에, G-화소에서는 전계가 인가되어 전기습윤현상에 의해 절연층(225)의 젖음성 특성이 향상되어 절연층(225)이 친수성 특성을 갖게 되며, 이러한 친수성 특성에 의해 G-화소의 제 2 액체(240)가 G-화소의 제 1 기판(210) 상에 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액체(240)의 제 1 기판(210) 상으로의 퍼짐에 의해 제 1 액체(230)가 G-화소 내에서 측면 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G-화소의 제 1 기판(210) 상에는 투명한 제 2 액체(240)가 존재하게 되고 불투명한 제 1 액체(230)는 격벽(250)측으로 몰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백라이트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R-화소 및 B-화소에서는 불투명한 제 1 액체(230)가 제 1 기판(210)상에 고르게 퍼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 제 1 액체(230)에 의해 차단되어 화면상에는 블랙이 표시된다. 반면에, G-화소에서는 백라이트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투명한 제 2 액체(240)를 투과한 후 다시 G-컬러필터층(206b)을 투과하게 되므로, 녹색의 컬러가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G-화소에만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화면상에는 녹색의 컬러가 구현되는 것이다.
전압을 R-화소 및 B-화소의 제 1 전극(218a, 218c)에 각각 인가함으로써 화면상에 적색 컬러와 청색 컬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 컬러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컬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습윤 표시장치에서는 액체의 전기습윤 특성을 이용하여 반사형 또는 투과형으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특정 구조의 전기습윤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구조의 전기습윤 표시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액체인 극성용액 내에 자외선 흡수물질이 녹아 있기만 한다면 본 발명은 어떠한 구조의 전기습윤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보호층 상부의 절연층이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격벽이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지만, 보호층 상부의 절연층이 친수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격벽이 소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액체는 수용액 등의 극성용액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액체는 오일 등과 같은 무극성용액으로 이루어져,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제 1 액체 및 제 2 액체가 충진될 때 제 1 기판 측에는 제 1 액체가 존재하고 제 2 기판 측에 제 2 액체가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자외선 흡수물질은 극성용액인 상기 제 1 액체 내에 녹아 있어야 하며, 이러한 구조의 전기습윤 표시장치도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동될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5,205 : 제 2 기판 108,208 : 제 2 전극
110,210 : 제 1 기판 118,218 : 제 1 전극
125,225 : 절연층 130,230 : 제 1 액체
140,240 : 제 2 액체 150,250 : 격벽

Claims (12)

  1. 화상표시영역 및 화상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이 형성된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의 상기 화상비표시영역에 형성된 격벽;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컬러필터층;
    상기 컬러필터층이 형성된 제 2 기판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판의 제 1 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그 배열이 변화되어 광을 스위칭 시키는 불투명한 제 1 액체 및 투명한 제 2 액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액체 내에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물질이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체는 비극성 블랙액체이고 제 2 액체는 극성의 투명한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2 기판의 상부에서 입력된 광이 상기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됨에 따라 제 1 액체가 격벽 측으로 밀려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이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제 2 기판의 상부로 출력되는 한편, 외부의 자외선은 상기 제 2 액체 내의 자외선 흡수물질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제 1 액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 1 기판의 하부에서 입력된 광이 상기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됨에 따라 제 1 액체가 격벽 측으로 밀려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광이 제 1 액체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투과하여 제 2 기판의 상부로 출력되는 한편, 외부의 자외선은 상기 제 2 액체 내의 자외선 흡수물질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제 1 액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30℃ ~ 80℃ 사이의 온도에서 극성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
  7. 화상표시영역과 화상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에 소수성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위의 상기 화상비표시영역에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제 1 액체와 제 2 액체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액체 내에 극성용액에 녹을 수 있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물질이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 1 기판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제 1 액체와 제 2 액체를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판에 제 1 액체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제 2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체는 비극성 블랙오일이고 제 2 액체는 투명한 극성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물질은 -30℃ ~ 80℃ 사이의 온도에서 극성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습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00111174A 2010-11-09 2010-11-09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5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174A KR101759553B1 (ko) 2010-11-09 2010-11-09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174A KR101759553B1 (ko) 2010-11-09 2010-11-09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756A true KR20120049756A (ko) 2012-05-17
KR101759553B1 KR101759553B1 (ko) 2017-07-19

Family

ID=4626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174A KR101759553B1 (ko) 2010-11-09 2010-11-09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1267A (zh) * 2012-12-05 2013-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电润湿显示设备
CN114397753A (zh) * 2022-01-10 2022-04-26 深圳市国华光电研究院 耐光性能良好的电润湿显示器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65B1 (ko) * 2007-08-01 2008-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1267A (zh) * 2012-12-05 2013-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电润湿显示设备
CN114397753A (zh) * 2022-01-10 2022-04-26 深圳市国华光电研究院 耐光性能良好的电润湿显示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553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2839B2 (ja) 表示装置
US9601554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8968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1450838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704588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598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TWI468832B (zh) 電泳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923052B1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CN113113454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2709309A (zh) 镜面可切换有机发光显示器及镜面可切换显示器
US20140002777A1 (e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TW201640672A (zh) 包含反射層之顯示裝置
KR20110062993A (ko)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79078B1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KR2017011372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460470B (zh) 電濕潤顯示裝置
US20220223664A1 (en) Display device
KR101759553B1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549255B (zh) 显示装置
CN108897180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KR20120076173A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KR20150094827A (ko) 거울 겸용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7879B1 (ko) 전기습윤 표시장치
US20120038873A1 (en) Reflection-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700253A (zh) 液晶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