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925A - 세미용 침지장치 - Google Patents

세미용 침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925A
KR20120048925A KR1020100110415A KR20100110415A KR20120048925A KR 20120048925 A KR20120048925 A KR 20120048925A KR 1020100110415 A KR1020100110415 A KR 1020100110415A KR 20100110415 A KR20100110415 A KR 20100110415A KR 20120048925 A KR20120048925 A KR 20120048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ice
closing
immersion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776B1 (ko
Inventor
이선재
Original Assignee
이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재 filed Critical 이선재
Priority to KR102010011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7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용 침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지조(浸漬槽)의 상방으로 세미(洗米)한 쌀(이하 '쌀'이라 한다)과 함께 물을 투입 후 배수하고, 다시 정수(淨水)를 공급하여 정수에 잠기는 상태로 침지해 두었다가 쌀가루로 분쇄 시 배수 후에 쌀을 배출시키는 세미용 침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는, 침지조(11)의 상방으로 쌀과 함께 물을 투입 후 배수하고, 다시 정수를 공급하여 정수에 잠기는 상태로 침지해 두었다가 쌀가루로 분쇄 시 배수 후에 침지조(11) 하단의 배출구(12)로 쌀을 배출시키는 세미용 침지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침지조(11)의 상방을 가로지르는 고정프레임(14d)의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공압실린더(14a)와; 상기 침지조(11) 내에서 상기 공압실린더(14a)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피스톤 로드(14b)와; 상기 피스톤 로드(14b)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피스톤 로드(14b)와 같이 승강 작동하면서 배출구(12)를 개폐하는 마름모꼴 형태로서 하반부 경사면에 누수방지용 패킹(14c')을 장착한 개폐구(14c)로 구성된 개폐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지조 하단으로 배출되는 쌀의 낙하 높이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쌀의 배출 시에 개폐구가 상승하면서 배출구 입구로 쏠리는 중심부의 하중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미용 침지장치{Soak apparatus for washing rice}
본 발명은 세미용 침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지조(浸漬槽)의 상방으로 세미(洗米)한 쌀(이하 '쌀'이라 한다)과 함께 물을 투입 후 배수하고, 다시 정수(淨水)를 공급하여 정수에 잠기는 상태로 침지해 두었다가 쌀가루로 분쇄 시 배수 후에 쌀을 배출시키는 세미용 침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미용 침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원통형이고 하부가 깔때기형으로 형성된 침지조(1)와, 상기 침지조(1)의 하단 배출구 상방의 경사면에 형성된 미세한 타공부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2)와, 배수 시에는 침지조 하단을 차단하고, 배수 후에는 침지조 하단을 개방시켜 쌀을 낙하방식으로 배출시키는 상기 침지조(1) 하단에 마련되는 개폐변(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는 상기한 개폐변(3)의 직하방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 등과 같은 이송수단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침지조(1)는 하단부에서 배출구의 입구가 위치하는 상방 경사면에 미세한 타공부(1a)가 형성되고, 상단 바깥 언저리에는 오버플로어 되는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부(1b)가 더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부(2)는 침지조(1)의 타공부(1a)가 형성된 부위의 외곽을 감싸서 외부와 차단하는 정수 공급/배출 공간부(2a)와, 상기 정수 공급/배출 공간부(2a)로 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b)과, 상기 정수 공급/배출 공간부(2a)로부터 정수(또는 먼저 쌀과 함께 투입되었던 물)를 배수시키는 배수관(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변(3)은 침지조(1) 하단의 플랜지부에서 힌지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세미용 침지장치에 있어서, 그 개폐변(3)은 도 1과 같이 힌지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이어서 하방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킬 경우 개폐변 직경 만큼의 높이(h)를 확보해야 하므로, 세미용 침지장치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이송수단(4) 측으로 쌀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쌀이 주변으로 튀어 유실되거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조(1)의 배출구 내측에 수동식으로 회전조작을 통해 개폐되는 개폐구(3a),(3b)를 설치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개폐구(3a),(3b)의 경우, 쌀을 이송수단(4) 측으로 낙하시키는 높이(h)를 줄임으로써 주변으로 튀어 유실되거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개폐구(3a),(3b)의 설치로 길이가 늘어난 만큼 배출구의 높이(h')가 높아져서 침지조(1)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는 없었다.
또한, 이들 세미용 침지장치는 침지조(1) 내의 정수을 배수한 후 개폐변(3)이나 개폐구(3a),(3b)를 개방하여 쌀을 배출시키더라도 물에 젖은 쌀이 배출될 때 중심부인 배출구로 하중이 쏠림에 따라 좁은 통로를 지나면서 저항을 받아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없었고, 이로 인해 개폐변이나 개폐구를 포함한 배출구에 쌀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끼어 상하게 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 세미용 침지장치의 개폐변이나 개폐구의 개폐조작은 모두 인력이 동원되는 수동식이므로, 큰 하중을 받고 있는 개폐변이나 개폐구의 개폐조작에는 상당한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항상 개폐조작을 위해 작업자가 대기하고 있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지조 하단으로 배출되는 쌀의 낙하 높이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쌀의 배출 시에 개폐구가 상승하면서 배출구 입구로 쏠리는 중심부의 하중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자동화된 배출구를 갖는 세미용 침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과제는, 침지조의 상방으로 쌀과 함께 물을 투입 후 배수하고, 다시 정수를 공급하여 정수에 잠기는 상태로 침지해 두었다가 쌀가루로 분쇄 시 배수 후에 쌀을 배출시키는 세미용 침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지조의 상단 중심부에 설치되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승강 작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한편, 피스톤 로드의 상승 시 배출구 입구 쪽에 적체된 쌀을 개폐구가 들어올려 중심부의 하중을 사방으로 분산시킴으로 쌀의 배출이 원활하고, 배출 시 낙하 높이의 최소화로 쌀이 주변으로 튀어 유실되거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폐구가 구비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용 침지장치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는 침지조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쌀의 낙하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세미용 침지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쌀이 이송수단으로 낙하 시 주변으로 튀어 유실되거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쌀의 배출 시에 개폐구가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배출구의 입구 쪽에 적체된 쌀을 들어올려서 중심부의 하중을 사방으로 분산시켜 배출하게 되므로 쌀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쌀의 배출이 원활하여 배출구에 쌀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개폐조작의 자동화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세미용 침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세미용 침지장치에 장착된 개폐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배출구 부분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의 개폐구의 상승 시 배출구 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의 개폐구의 하강 시 배출구 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의 개폐구의 상승 시 쌀의 배출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은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침지조(11)의 상방으로 쌀과 함께 물을 투입 후 배수하고, 다시 정수를 공급하여 정수에 잠기는 상태로 침지해 두었다가 쌀가루로 분쇄 시 배수 후에 침지조(11) 하단의 배출구(12)로 쌀을 배출시키는 통상의 세미용 침지장치(10)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세미용 침지장치(10)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침지조(11)의 상단 중심부에 설치되는 공압실린더(14a)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피스톤 로드(14b) 하단부에 마름모꼴 형태의 개폐구(14c)를 부착하여 상기 배출구(12)를 개폐시키는 한편, 승강 시 배출구(12) 입구 쪽의 적체된 쌀을 들어올리면 중심부의 하중이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삼각형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는 상태로 배출구(12)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는 개폐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중 상기 침지조(11)는 하방이 깔때기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단의 배출구(12)에 형성된 미세한 타공부(11a)로 정수을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13)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12)의 직하방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수 공급부(13)는 침지조(11)의 타공부(11a)가 형성된 부위의 외곽을 감싸서 외부와 차단하는 정수 공급/배출 공간부(13a)와, 상기 정수 공급/배출 공간부(13a)로 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3b)과, 상기 정수 공급/배출 공간부(13a)로부터 정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13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지조(11)의 상단 바깥 언저리에는 오버플로어 되는 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부(11b)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개폐수단(14)의 공압실린더(14a)는 침지조(11)의 상방을 가로지르는 고정프레임(14d)의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개폐수단(14)의 공압실린더(14a)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쌀의 세미이 이루어지고 나면, 침지조(11)의 적소에 마련된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피스톤 로드(14b)를 상승시켜 배출구(12)의 입구 쪽을 폐쇄하고 있던 개폐구(14c)를 들어올려서 배출구(12)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14)에 사용되는 공압실린더(14a)는 유압실린더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수단(14)의 개폐구(14c)는 마름모꼴 형태로 이뤄진 것으로, 상반부와 하반부는 각기 삼각형과 역삼각형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하반부 경사면에는 누수방지용 패킹(14c')이 장착된다.
상기 패킹(14c')의 장착부위는 상기 침지조(11) 하단의 배출구(12) 입구의 상방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밀착되는 부위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 중 상기 이송수단(15)은 벨트 컨베이어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벨트 컨베이어가 아니더라도 연속식 운반기계의 일종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세미용 침지장치는, 쌀(세미한 쌀)을 침지조(11)에 상방으로 투입함과 동시에 물을 공급하여 재차 세미하고, 이 과정에서 물이 일정량 이상 채워지면 오버플로어 되는 물은 드레인부(11b)를 통해 배수된다.
상기 침지조(11)에서 쌀을 재차 세미한 후에는 침지조(11)의 하방에 마련된 배수관(13c)을 개방하여 세미한 후의 탁한 물을 완전히 배수 후 폐쇄하고, 이어서 침지조(11)의 하방에 마련된 급수관(13b)을 통해 정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침지조(11) 내로 공급되는 정수가 쌀을 깨끗하게 헹궈지게 하면서 채워지는 데, 이때도 오버플로어 되는 정수는 드레인부(11b)를 통해 배수되고, 쌀이 깨끗하게 헹궈지면 배수관(13c)을 개방하여 정수를 완전히 배수하고 배수 후에는 다시 배수관(13c)을 폐쇄하는 것으로, 여기까지는 종래의 세미용 침지장치와 다를 바가 없다.
이후에는 공압실린더(14a)가 작동되어 피스톤 로드(14b)를 상승시킴으로써 개폐구(14c)의 상승에 의해 배출구(12)를 개방됨에 따라 쌀이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쌀은 수분을 함유한 젖은 쌀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수단(14)은 공압실린더(14a)와 상기 공압실린더(14a)의 작동으로 승강되는 피스톤 로드(14b) 및 상기 피스톤 로드(14b) 하단부에 부착되어 상기한 배출구(12)의 입구 쪽을 개폐하는 개폐구(14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구(14c)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태로서 상반부와 하반부는 각기 삼각형과 역삼각형의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하반부 경사면에는 누수방지용 패킹(14c')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구(14c)의 상반부와 하반부가 삼각형과 역삼각형의 경사면을 이루는 마름모꼴 형태를 갖게 한 것은, 개폐구(14c)가 승강 시 배출구(12) 입구 쪽의 적체된 쌀을 들어올릴 때 상반부의 삼각형 경사면은 중심부 하중이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한 것이고, 하반부의 역삼각형 경사면은 상반부의 삼각형 경사면에 의해 사방으로 분산되는 쌀이 상기한 침지조(11) 하방의 깔때기형 내면을 순조롭게 타고 내려가 배출구(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침지조(11)의 내부에서 공압실린더(14a)에 의해 피스톤 로드(14b) 와 같이 개폐구(14c)가 승강 작동하면서 배출구(12)의 입구 쪽을 개폐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도 6에서 보듯이, 배출구(12)의 길이가 크게 단축되고 그 단축 길이만큼 높이가 줄어들어 배출구(12)의 높이(h')를 종래의 것에 비해 짧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여 세미용 침지장치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쌀의 배출 시 이송수단(15) 측으로 낙하시키는 높이(h)가 줄어 주변으로 튀어 유실되거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개폐수단(14)에 의해 배출구(12)가 개폐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배출구(12)의 입구 쪽을 개폐수단(14)의 개폐구(14c)가 하강하여 폐쇄한 상태에서 쌀은 침지조(11) 내에 적체되어 있다(도 7 참조).
이 상태에서 공압실린더(14a)가 작동하여 피스톤 로드(14b)와 같이 개폐구(14c)를 승강시켜 배출구(12)의 입구 쪽을 개방하게 되면, 배출구(12) 입구 쪽의 적체된 쌀이 들려 올려지면서 상기 배출구(12) 상반부의 경사면에 의해 중심부의 하중이 사방으로 분산되는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하반부의 경사면과 하방의 깔때기형 내면을 타고 내려가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도 8 참조).
본 발명은 쌀의 배출 시 적체상태의 중심부에 쏠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특히, 짧게 단축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구를 통한 배출 시에도 흘러내리는 쌀 자체 하중에 의해 밀리면서 배출되므로 수분을 함유한 젖은 쌀이더라도 배출구에 들러붙어 막히거나 쌀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끼어 상하게 되는 등의 일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위생적이다.
10 : 세미용 침지장치 11 : 침지조
11a : 타공부 11b : 드레인부
12 : 배출구 13 : 정수 공급부
14 : 개폐수단 14a : 공압실린더
14b : 피스톤 로드 14c : 개폐구
14c' : 패킹 14d : 고정프레임

Claims (2)

  1. 침지조(11)의 상방으로 쌀과 함께 물을 투입 후 배수하고, 다시 정수를 공급하여 정수에 잠기는 상태로 침지해 두었다가 쌀가루로 분쇄 시 배수 후에 침지조(11) 하단의 배출구(12)로 쌀을 배출시키는 세미용 침지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침지조(11)의 상방을 가로지르는 고정프레임(14d)의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공압실린더(14a)와;
    상기 침지조(11) 내에서 상기 공압실린더(14a)에 의해 승강 작동하는 피스톤 로드(14b)와;
    상기 피스톤 로드(14b)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피스톤 로드(14b)와 같이 승강 작동하면서 배출구(12)를 개폐하는 개폐구(14c)로 구성된 개폐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용 침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14c)는 마름모꼴 형태로서 상반부와 하반부는 각기 삼각형과 역삼각형의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하반부 경사면에는 누수방지용 패킹(14c')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용 침지장치.

KR1020100110415A 2010-11-08 2010-11-08 세미용 침지장치 KR10115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15A KR101153776B1 (ko) 2010-11-08 2010-11-08 세미용 침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15A KR101153776B1 (ko) 2010-11-08 2010-11-08 세미용 침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25A true KR20120048925A (ko) 2012-05-16
KR101153776B1 KR101153776B1 (ko) 2012-06-13

Family

ID=4626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415A KR101153776B1 (ko) 2010-11-08 2010-11-08 세미용 침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888B1 (ko) * 2019-02-26 2019-06-19 (주)하이젠텍 농산물 탈수기
CN111359699A (zh) * 2020-03-31 2020-07-03 重庆穗花食为天粮油有限公司 一种低温升碾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320A (ko) * 2001-02-24 2002-08-30 강양희 씽크대와 일체로 구비되는 자동 세미기
KR100556581B1 (ko) 2003-12-19 2006-03-06 김정호 농산물의 용해액 추출장치
KR200443144Y1 (ko) * 2007-02-01 2009-01-15 이도재 곡물의 세척 및 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888B1 (ko) * 2019-02-26 2019-06-19 (주)하이젠텍 농산물 탈수기
CN111359699A (zh) * 2020-03-31 2020-07-03 重庆穗花食为天粮油有限公司 一种低温升碾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776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776B1 (ko) 세미용 침지장치
KR100985827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1326602B1 (ko) 도로용 우수 배수장치
KR101627334B1 (ko) 청소수단이 구비된 수문
CN207244781U (zh) 一种抽水蓄能电站水车室顶盖处自动排水装置
CN114687433B (zh) 一种多级反冲洗式污水提升设备
KR101641182B1 (ko) 믹서 트럭의 호퍼 세척 잔류수 처리 장치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0872492B1 (ko)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CN107278923A (zh) 一种便于清理排泄物的智能养猪圈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CN215288053U (zh) 一种食品加工清洗用水的循环使用系统
KR200284881Y1 (ko) 하수관용 악취 역류방지구
KR200256885Y1 (ko) 대두 세척장치
KR200414564Y1 (ko) 승강기용 오일받이장치
KR101490083B1 (ko)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KR20140036804A (ko) 부력을 이용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
CN216140604U (zh) 一种半自动取样的储槽
KR200468665Y1 (ko) 싱크대의 배수구조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101182991B1 (ko) 볼플런저를 이용한 승강기용 오일 자동배출장치
JP4277083B2 (ja) 排水装置
KR20020083078A (ko) 호퍼의 낙수 배출장치
JPS6016611A (ja) 制水用樋門における扉の全自動開閉装置
CN110618707A (zh) 一种控制水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