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921A -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 Google Patents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921A
KR20120048921A KR1020100110410A KR20100110410A KR20120048921A KR 20120048921 A KR20120048921 A KR 20120048921A KR 1020100110410 A KR1020100110410 A KR 1020100110410A KR 20100110410 A KR20100110410 A KR 20100110410A KR 20120048921 A KR20120048921 A KR 2012004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punching
punching device
hol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도
Original Assignee
유니트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트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트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921A/ko
Publication of KR2012004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중공을 갖는 펀칭팁;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펀칭팁까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고, 관통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프로브;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프로브에 연결설치된 피스톤;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프로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누름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누름부에 연결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Punching Apparatus for Tissue Microarray}
본 발명은 조직(tissue)을 펀칭(채취)하여 배열하는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너(donor) 블록의 조직을 펀칭히여 레시피언트(recipient) 블록에 배열하는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직미세배열(Tissue Microarray)은 약 2.5 × 7.5cm 크기의 유리 슬라이드에 여러 개(30~120개 이상)의 조직을 부착시킨 연구재료를 제작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대상이 되는 생체 조직은 인체 조직, 실험동물 조직 및 배양세포이며 세포 및 조직에서의 단백질, DNA, RNA 분석 등 현미경 관찰 용도로 이용된다. 조직미세배열은 조직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검사 기법(예, in situ PCR, Special stain, in situ hybridization, Immunohistochemistry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고전적인 조직분석 방법은 한 장의 유리슬라이드에 한 개의 조직샘플을 부착시켜 연구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여러 검체의 검사결과를 비교분석 할 경우에 분석 대상 수만큼의 조직을 부착시킨 유리슬라이드를 제조하여야 하고, 검사에 사용되는 시약 및 소모품도 다량 소모되어, 이는 결과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인건비가 소요된다. 또한, 비교 분석되어야 할 조직 샘플들이 개별적으로 검사되기 때문에 검사의 일관성이 떨어져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직을 한꺼번에 검사할 수 있는 조직미세배열 기술이 도입되었다.
조직미세배열 기술은 조직 샘플 중 분석하고자 하는 부위만 채취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레시피언트 블록에 수납시키고 완전한 조직미세배열 블록을 만든 후 박절기를 이용하여 얇게 박절하여 유리슬라이드 상에 부착시킴으로써, 다양한 조직 검사기법을 시행한다.
이러한 조직미세배열 기법에 관련된 종래의 방법으로는 펀칭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조직을 채취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거나, 펀칭장치가 구비된 기계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상기 레시피언트 블록에 조직을 배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펀칭장치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펀칭장치는 본체(2)의 내부에 프로브(14)와 연결설치된 누름부(4)를 구비시켜 상기 누름부(4)의 작동에 따라 프로브(14)가 상/하로 이동하며 본체(2)의 말단에 위치하는 펀칭팁(6)으로 도너 블록으로부터 조직을 펀칭(채취)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정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펀칭장치의 본체(2) 내부에는 스프링(20)이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4)가 아래 방향으로 눌릴 경우,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누름부(4)가 본래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펀칭장치는 펀칭팁(6)으로 도너 블록을 펀칭하여 조직샘플을 채취하거나 프로브(14)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펀칭팁(6) 내부에 위치하는 채취된 조직샘플을 레시피언트 블록에 수납시켜 정렬할 경우, 도너 블록으로부터 조직샘플이 미채취되거나 채취된 조직샘플이 레시피언트 블록으로 미삽입되는 오작동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펀칭장치를 이용하여 도너 블록으로부터 조직샘플을 펀칭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으로 삽입시켜 정렬할 경우, 펀칭장치로 채취되는 조직샘플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중공을 갖는 펀칭팁;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펀칭팁까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고, 관통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프로브;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프로브에 연결설치된 피스톤;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프로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누름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누름부에 연결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펀칭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펀칭장치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너 블록으로부터 조직샘플을 펀칭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으로 삽입하여 정렬할 경우, 펀칭장치로 채취되는 조직샘플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펀칭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프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다른 프로브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프로브 및 누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작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의 작용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중공을 갖는 펀칭팁;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펀칭팁까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고, 관통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프로브;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프로브에 연결설치된 피스톤;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프로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누름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누름부에 연결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펀칭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펀칭장치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는 도너(donor) 블록의 조직을 펀칭히여 레시피언트(recipient) 블록에 배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펀칭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조직미세배열에 사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는 작업자에 의해 직접 사용되는 수동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조직미세배열을 위한 자동화 장치의 펀칭수단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프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다른 프로브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프로브 및 누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의 작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의 작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 바람직하게는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는 도너 블록으로부터 조직, 바람직하게는 조직샘플을 펀칭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천하기로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중공을 갖는 펀칭팁(6); 상기 본체(2)의 내부로부터 펀칭팁(6)까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12); 상기 관통공(12)에 연결되고, 관통공(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피스톤(8)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22); 상기 관통공(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프로브(14); 상기 실린더(2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프로브(14)에 연결설치된 피스톤(8); 상기 프로브(14)의 종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프로브(1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누름부(4); 및 상기 본체(2)의 내부에 구비되고, 누름부(14)에 연결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2)는 펀칭장치의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2)의 일측 말단으로 펀칭팁(6)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펀칭팁(6)에 대향되는 타측 말단으로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따라 펀칭장치를 작동시키는 누름부(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펀칭팁(6)은 도너 블록의 조직을 펀칭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수납하여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펀칭팁(6)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본체(2)의 일측 말단에 구비되는 중공을 갖는 형태인 것이 좋다.
특히, 상기 펀칭팁(6)은 전체적으로 원통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공(12)은 본체(2)의 내부로부터 펀칭팁(6)까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12)은 그 내부 공간을 따라 프로브(14)가 상/하로 이동하므로, 적어도 상기 프로브(14)의 크기, 예를 들면 프로브(14)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관통공(12)의 크기는 실린더(22)에 위치하는 피스톤(8)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펀칭장치를 고려하여, 프로브(14)의 외주면과 접촉하되, 프로브(14)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22)는 그 내부에 피스톤(8)이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8)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공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린더(22)는 관통공(12)에 연결되어 피스톤(8)의 이동, 예를 들면 상/하 이동에 따라 공기가 관통공(12)을 통해 배출되거나 흡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14)는 상기 펀칭장치의 펀칭시 펀칭팁(6)으로 채취된 조직, 바람직하게는 조직샘플을 레시피언트 블록에 수납시킬 경우, 상기 프로브(14)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펀칭팁(6) 내에 존재하는 채취된 조직을 외부로 밀어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프로브(14)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단면이 원형인 형상을 갖고, 그 일측 말단이 상기 관통공(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14)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단면의 일측이 절단된 측단부(16)를 갖는다(도 4).
이때, 상기 측단부(16)는 프로브(14)의 일측 말단(28)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프로브(14)의 말단(28)과 접하는 측단부(16)의 일측에 내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이동로(18)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이동로(18)로부터 말단(28)의 종단까지 관통되는 구멍(26)이 형성되어 프로브(14)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14)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단면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일측이 절단된 측단부(16)를 갖는다(도 5).
이때,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일측에 형성된 측단부(16)는 프로브(14)의 일측 말단(28)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프로브(14)의 말단(28)과 접하는 각각의 측단부(16) 일측에 내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이동로(18)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이동로(18)로부터 말단(28)의 종단까지 관통되는 구멍(26)이 형성되어 프로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14)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구조물을 두 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원통형 구조물 중 직경이 작은 구조물이 관통공(12)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원통형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단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에 절단된 측단부(16, 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14)에는 측단부(16), 공기이동로(18) 및 구멍(26)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2) 내부의 피스톤(8)이 이동,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22) 내부의 공기가 측단부(16), 공기이동로(18) 및 구멍(26) 또는 이의 역순으로 순차적인 이동하며 배출 또는 흡입됨으로써, 상기 펀칭팁(6)에 의해 펀칭되어 채취되는 조직샘플을 펀칭팁(6)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8)은 실린더(2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프로브(14)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피스톤(8)은 상/하로 이동하며 실린더(22)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 또는 압축 분위기로 조성한다.
예를 들면, 본체(2)의 펀칭팁(6)이 도너 블록을 펀칭한 후 프로브(14)가 상승함에 따라 피스톤(8)이 함께 상승하여 실린더(22)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듦으로써, 펀칭팁(6)에 연결되는 관통공(1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펀칭팁(6)에 의해 펀칭된 조직샘플이 용이하게 펀칭팁(6)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펀칭된 조직샘플을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기 위해 프로브(14)를 하강시킴에 따라 피스톤(8)이 함께 하강하여 실린더(22) 내부를 압축상태로 만듦으로써, 관통공(12)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어 펀칭팁(6) 내부에 존재하는 조직샘플이 레시피언트 블록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8)은 그 외주면을 따라 피스톤 씰(10)이 구비되어 피스톤(8)의 상/하 이동시 공기가 피스톤(8)과 실린더(22) 경계면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 씰(1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피스톤 씰(10)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4)는 본체(2)의 내부에 구비되고 프로브(14)의 종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프로브(1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누름부(4)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프로브(14)에 연결설치되는 누름부(4)의 일측 종단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은 본체(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람이 직접 상기 누름부(4)를 눌러 프로브(14)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기계적인 자동화 시스템에 연결되어 누름부(4)가 기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20)은 본체(2)의 내부에 구비되고, 누름부(4)에 연결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스프링(20)은 누름부(4)가 눌려질 경우, 누름부(4)가 원위치로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등으로 작동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에 장착하여 자동으로 조직샘플을 레시피언트 블록에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펀칭장치가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조직미세배열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펀칭장치(30) 일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펀칭장치(30)를 지지하는 홀더(32); 상기 홀더(32)의 일측에 연결설치된 구동축(40); 상기 구동축(40)에 연결설치되어 구동축(40)을 회전시킴으로써 홀더(32)를 함께 회전시키는 홀더 회전모터(34); 상기 펀칭장치(30)의 누름부(4) 상단에 위치하여 누름부(4)와 접촉하며 누름부(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직선구동수단(38); 및 상기 직선구동수단(38)에 연결설치되어 직선구동수단(3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직선구동모터(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미세배열 장치는 펀칭장치(30)를 이용하여 도너 블록의 조직을 펀칭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기 위한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조직미세배열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직미세배열 장치는 펀칭장치(30)를 이용하여 조직미세배열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펀칭장치(30)는 도너 블록의 조직을 펀칭히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펀칭장치(30)가 다수개 홀더(32)에 연결설치될 경우, 각각의 펀칭장치(30)를 구성하는 펀칭 팁(6)의 직경을 달리, 예를 들면 5mm, 3mm, 2mm, 1mm 또는 0.6mm 등으로 달리하여 배열하고자 하는 도너 블록의 조직샘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펀칭장치(30)가 각각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홀더(32)는 방사형으로 확장된 형태, 추천하기로는 풍차날개 형태로서, 펀칭장치(30)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펀칭장치(30)의 본체(2) 상부가 연결설치,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펀칭장치(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홀더(32)에 연결설치되는 펀칭장치(30)는 홀더(32)의 외곽에 연결설치되고 홀더(32)의 중심부에는 구동축(40)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0)의 회전에 따라 홀더(3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홀더(32)가 회전하면, 상기 홀더(32)의 외곽에 연결설치된 펀칭장치(30)가 홀더(32)가 회전하는 만큼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40)은 홀더 회전모터(34)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홀더 회전모터(3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40)과 홀더 회전모터(34)는 벨트, 바람직하게는 톱니가 형성된 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선구동수단(38)은 펀칭장치(30)의 상단, 바람직하게는 펀칭장치(30)의 누름부(4)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누름부(4)와 접촉하며 누름부(4)를 상/하로 이동시켜 펀칭장치(30)가 도너 블록의 조직샘플을 채취하거나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직선구동수단(38)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이 좋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선구동모터(36)는 상기 직선구동수단(38)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직선구동수단(38)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의 작용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채취하고자 하는 도너 블록 상단에 펀칭수단을 위치시킨 후 누름부(4)를 눌러 프로브(14)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본체(2)의 펀칭팁(6)을 원하는 도너 블록에 삽입시켜 조직샘플을 펀칭한다.
그 다음, 누름부(4)에 연결설치된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4)가 상승하며, 상기 누름부(4)에 연결설치된 프로브(14)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브(14)에는 피스톤(8)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프로브(14)의 상승과 함께 피스톤(8)이 상승함으로써, 실린더(22)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도너 블록을 펀칭하는 핀칭팁(6) 내부의 공기가 프로브(14), 바람직하게는 프로브(14) 말단(28)에 형성된 구멍(26), 공기이동로(18) 및 측단부(1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실린더(22) 내부로 유입되며 펀칭되는 조직샘플이 용이하게 펀칭팁(6)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 펀칭된 조직샘플을 배열하기 위하여 원하는 레시피언트 블록에 펀칭장치의 펀칭팁(6)을 위치시킨 후 누름부(4)를 눌러, 상기 누름부(4)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된 프로브(14) 및 피스톤(8)을 하강시킴으로써, 실린더(22) 내부의 압축공기가 프로브(14)의 측단부(16), 공기이동로(18) 및 구멍(2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펀칭팁(6)에 위치하는 조직샘플을 레시피언트 블록에 용이하게 수납시켜 정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용방법에 의해 구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장치(30)는 조직미세배열 장치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직미세배열 장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펀칭장치(30)는 펀칭장치(30)에 구비된 펀칭팁(6)의 직경을 서로 달리하여, 홀더(32)의 회전을 통해 원하는 직경을 갖는 펀칭팁(6)이 구비된 펀칭장치(30)를 도너 블록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시켜 도너 블록의 조직샘플을 채취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도너 블록의 조직샘플을 레시피언트 블록으로 배열하는 것을 직선구동모터(36)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직선구동수단(38)이 펀칭장치(30)의 누름부(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조직샘플의 채취 및 레시피언트 블록으로 배열하기 위한 펀칭장치(30)의 이동은 펀칭장치(30)가 연결설치된 홀더(32) 및 상기 홀더(32)에 연결설치된 구동축(40)의 회전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구동축(40)의 회전은 구동축(40)에 연결설치된 홀더 회전모터(34)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 본체 4 : 누름부
6 : 펀칭팁 8 : 피스톤
10 : 피스톤 씰 12 : 관통공
14 : 프로브 16, 24 : 측단부
18 : 공기이동로 20 : 스프링
22 : 실린더 26 : 구멍
28 : 말단 30 : 펀칭장치
32 : 홀더 34 : 홀더 회전모터
36 : 직선구동모터 38 : 직선구동수단
40 : 구동축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중공을 갖는 펀칭팁;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펀칭팁까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고, 관통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프로브;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프로브에 연결설치된 피스톤;
    상기 프로브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프로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누름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누름부에 연결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펀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이 절단된 측단부를 포함하는 펀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의 측단부는 프로브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일정거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말단과 접하는 측단부의 일측에 내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이동로로부터 말단의 종단까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그 외주면을 따라 피스톤 씰이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펀칭장치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미세배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펀칭장치 일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펀칭장치를 지지하는 홀더;
    홀더의 일측에 연결설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홀더를 회전시키는 홀더 회전모터;
    상기 펀칭장치의 누름부 상단에 위치하여 누름부와 접촉하며 누름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직선구동수단;
    상기 직선구동수단에 연결설치되어 직선구동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직선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조직미세배열 장치.
KR1020100110410A 2010-11-08 2010-11-08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KR20120048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10A KR20120048921A (ko) 2010-11-08 2010-11-08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10A KR20120048921A (ko) 2010-11-08 2010-11-08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21A true KR20120048921A (ko) 2012-05-16

Family

ID=4626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410A KR20120048921A (ko) 2010-11-08 2010-11-08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89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3588A (zh) * 2013-12-27 2014-04-23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组织芯片取样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3588A (zh) * 2013-12-27 2014-04-23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组织芯片取样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1387A1 (ja) 試料採取システム
JP6585577B2 (ja) 材料試料から材料を抽出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255527C (zh) 用于构筑组织阵列的仪器
US2021008035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ctioning And Imaging Samples
US11198863B2 (en) Dissection system of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FFPE) tissue section for nucleic acid extraction
JP5667639B2 (ja) 自動化試料処理プロセス中のパンチロスを防止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857671B2 (ja) 計量ヘッド、計量ヘッドを備えた計量装置、および計量ヘッドを用いた計量方法
JP2011510631A (ja) アッセイ調整用プレート、流体アッセイの調整及び解析システム、並びにアッセイを調整及び解析する方法
EP2333560A3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detecting an analyte
EP2612128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isolieren und transferieren mindestens einer mikroskopischen probe von einem probenträger zu einem auffangsystem
JP7366430B2 (ja) 生体微小切片採取用中空採取針システム
JP5313218B2 (ja) 細菌検査システム
JP2002510798A (ja) ポリマー支持材料から試料を採取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20048921A (ko)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US20060048367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ip device
WO2006116018A3 (en) Medical test probe for cell sample collection
US4471677A (en) Device for producing cylindrical cavities in a layer of gelled material
KR100816816B1 (ko) 자동 조직미세배열 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US200601778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ipulating samples
KR102151648B1 (ko) 미세유체 접속 장치
WO2006011510A1 (ja) 試料採取具
KR101022008B1 (ko) 조직샘플 배열장치
KR102375817B1 (ko) 검체 분석 장치
US20060286623A1 (en) Three dimensional object manipulating method and device
CN213397769U (zh) 取样装置和样本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