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008B1 - 조직샘플 배열장치 - Google Patents

조직샘플 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008B1
KR101022008B1 KR1020080002597A KR20080002597A KR101022008B1 KR 101022008 B1 KR101022008 B1 KR 101022008B1 KR 1020080002597 A KR1020080002597 A KR 1020080002597A KR 20080002597 A KR20080002597 A KR 20080002597A KR 101022008 B1 KR101022008 B1 KR 10102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sample
movable
punching
movable pa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571A (ko
Inventor
송승민
Original Assignee
송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민 filed Critical 송승민
Priority to KR102008000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008B1/ko
Priority to PCT/KR2008/000552 priority patent/WO2009088117A1/en
Publication of KR2009007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베이스(2); 상기 베이스(2)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4); 상기 지지부(4)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지지부(4)에 연결설치된 일측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동부(6); 상기 가동부(6)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조직샘플을 펀칭한 뒤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는 펀칭수단(8) 및 상기 베이스(2)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되 그 일측 종단이 가동부(6)의 이동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10)를 포함하는 조직샘플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직샘플, 레시피언트 블록, 펀칭수단, 배열

Description

조직샘플 배열장치{Tissue Sample Array Apparatus}
본 발명은 조직샘플(tissue sample)을 펀칭(채취)하여 배열하는 조직샘플 배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너(donor) 블록의 조직을 펀칭(채취)하여 레시피언트(recipient) 블록에 배열하는 조직샘플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직미세배열(Tissue Microarray)은 약 2.5 × 7.5cm 크기의 유리 슬라이드에 여러 개 (30~120개 이상)의 조직을 부착시킨 연구재료를 제작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대상이 되는 생체 조직은 인체 조직, 실험동물 조직 및 배양세포이며 세포 및 조직에서의 단백질, DNA, RNA 분석 등 현미경 관찰 용도로 이용된다. 조직미세배열은 조직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검사 기법(예, in situ PCR, Special stain, in situ hybridization, Immunohistochemistry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조직 분석의 고전적인 방법에서는 한 장의 유리슬라이드에 한 개의 조직샘플 (1 × 2 × 0.4cm 이상)을 부착시켜 연구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여러 검체의 검사 결과를 비교분석 할 경우에 분석 대상 수만큼의 조직을 부착시킨 유리슬라이드를 제조하여야 하고, 검사에 사용되는 시약 및 소모품도 다량 소모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 및 인건비가 소요된다. 또한, 비교 분석되어야 할 조직 샘플들이 개별적으로 검사되기 때문에 검사의 일관성이 떨어져 결과의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조직미세배열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조직 샘플 중 분석하고자 하는 부위만 채취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레시피언트 블록에 수납시키고 완전한 조직 미세배열 블록을 만든 후 박절기를 이용하여 얇게 박절하여 유리슬라이드 상에 부착시켜 다양한 조직 검사기법을 시행한다.
이러한 조직미세배열 기법에 관련된 종래의 방법으로는 펀칭기를 이용하여 사람의 힘으로 직접 조직을 펀칭하고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작업자의 지속적인 반복 동작으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고, 이로 인해 레시피언트 블록에 삽입되는 조직의 깊이 등이 불규칙하여 조직의 정확한 배열이 곤란하며, 작업자가 피로하지 않다 하여도, 작업시간 및 작업환경에 따라 조직 배열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조직미세배열을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조직배열 작업을 수행할 경우 발생하는 작업 효율성 및 정확성의 감소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직샘플을 펀칭한 뒤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는 펀칭수단을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동부에 연결설치한 후 작업자가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켜 펀칭수단이 배열하고자 하는 레시피언트 블록에 위치하도록 하여 정확하게 조직샘플을 배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샘플 배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 해결 수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샘플 배열장치를 이용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조직샘플을 배열하는 반복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샘플 배열장치는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지지부에 연결설치된 일측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동부;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조직샘플을 펀칭한 뒤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는 펀칭수단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되 그 일측 종단이 가동부의 이동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샘플 배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직샘플 배열장치는 조직(도너블록)으로부터 조직샘플을 펀칭하여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판상의 베이스(2); 상기 베이스(2)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4); 상기 지지부(4)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지지부(4)에 연결설치된 일측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동부(6); 상기 가동부(6)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조직샘플을 펀칭한 뒤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는 펀칭수단(8) 및 상기 베이스(2)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되 그 일측 종단 이 가동부(6)의 이동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2)는 조직 검사 및 연구 등을 위해 펀칭하고자 하는 조직, 특정적으로 도너블록 및 펀칭된 조직샘플을 배열하고자 하는 레시피언트 블록이 놓이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육면체의 판상,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육면체의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4)는 조직샘플을 펀칭한 뒤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는 펀칭수단(8)이 구비된 가동부(6)의 일측 종단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가동부(6)가 지지부(4)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지부(4)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상의 베이스(2)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 특정적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판상의 베이스(2)에 연결설치되는 일측 종단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가동부(6)와 힌지(16)로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부(6)는 상기 지지부(4)의 일측 종단에 연결설치, 바람직하게는 힌지(16)로 연결설치되어 힌지(16)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가동부(6)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 특정적으로 바(bar) 형태를 갖고, 그 중간 일측에 펀칭수단(8)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6)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부(4)에 연결설치되는 일 측 종단의 타측 종단에 사용자가 가동부(6)를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펀칭수단(8)은 조직샘플을 펀칭한 뒤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펀칭수단(8)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본체(22), 조직샘플을 펀칭하기 위한 펀칭팀(18), 상기 펀칭된 조직샘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누름부(20) 및 상기 누름부(20)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26)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펀칭수단(8)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추천하기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327028호에 개시된 펀칭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펀칭수단(8)은 상기 본체(22)의 외주면에 나사산(24)이 구비되어 가동부(6)와 나사결합됨으로써, 펀칭수단(8) 및 가동부(6)가 서로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펀칭수단(8)과 가동부(6)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은 펀칭수단(8)이 가동부(6)에 체결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펀칭수단(8)과 가동부(6)가 서로 체결고정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체결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10)는 상기 가동부(6)의 하단, 바람직하게는 가동부(6)의 하단에 위치하는 베이스(2)의 일측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하향으로 이동하는 가동부(6)가 접촉하며 상기 가동부(6)가 더 이상 하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 용하는 가이드부(10)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0)의 일측 종단, 즉 베이스(2)에 연결설치된 일측 종단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는 탄성을 갖는 가이드핀(12)이 더 구비되어 가동부(6)와 가이드부(10)의 접촉시 완충역할을 수행하고, 가동부(6)가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직샘플 배열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샘플이 펀칭수단(8)에 의해 펀칭된 후 조직샘플을 배열하고자 하는 레시피언트 블록을 베이스(2)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가동부(6)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가동부(6)에 연결설치된 펀칭수단(8)이 배열하고자 하는 레시피언트 블록의 해당 위치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 펀칭수단(8)의 누름부(20)를 눌러 펀칭수단(8)에 펀칭된 조직샘플을 레시피언트 블록에 수용되도록 배열시킨다.
그 다음, 상기 펀칭수단(8)이 연결설치된 가동부(6)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레시피언트 블록으로부터 펀칭수단(8)을 이격시킨다.
그 다음, 전술한 과정을 반복수행함으로써 레시피언트 블록에 다수의 조직샘플을 배열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직샘플 배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베이스 4 : 지지부
6 : 가동부 8 : 펀칭수단
10 : 가이드부 12 : 가이드핀
14 : 손잡이 16 : 힌지
18 : 펀칭핀 20 : 누름부
22 : 본체 24 : 나사산
26 : 스프링

Claims (3)

  1.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지지부에 연결설치된 일측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가동부;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조직샘플을 펀칭한 뒤 레시피언트 블록에 배열하는 펀칭수단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되 그 일측 종단이 가동부의 이동방향의 하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 종단에 가동부와 접촉하며 가동부가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가이드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샘플 배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일측 종단에 사용자가 가동부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샘플 배열장치.
KR1020080002597A 2008-01-09 2008-01-09 조직샘플 배열장치 KR10102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597A KR101022008B1 (ko) 2008-01-09 2008-01-09 조직샘플 배열장치
PCT/KR2008/000552 WO2009088117A1 (en) 2008-01-09 2008-01-30 Tissue sample arr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597A KR101022008B1 (ko) 2008-01-09 2008-01-09 조직샘플 배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71A KR20090076571A (ko) 2009-07-13
KR101022008B1 true KR101022008B1 (ko) 2011-03-16

Family

ID=4085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597A KR101022008B1 (ko) 2008-01-09 2008-01-09 조직샘플 배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2008B1 (ko)
WO (1) WO2009088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2956B (zh) * 2014-01-15 2016-05-11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微阵列点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302Y1 (ko) 1999-11-24 2000-05-01 김우호 샘플링 조직의 미세 배열장치
KR20010098101A (ko) * 2000-04-28 2001-11-08 김우호 검사용 샘플의 미세배열 장치 및 방법
KR200327028Y1 (ko) 2003-06-17 2003-09-19 장시창 인체조직검사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302Y1 (ko) 1999-11-24 2000-05-01 김우호 샘플링 조직의 미세 배열장치
KR20010098101A (ko) * 2000-04-28 2001-11-08 김우호 검사용 샘플의 미세배열 장치 및 방법
KR200327028Y1 (ko) 2003-06-17 2003-09-19 장시창 인체조직검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71A (ko) 2009-07-13
WO2009088117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1387A1 (ja) 試料採取システム
JP4365317B2 (ja) 発明の名称:組織マイクロアレイ構築用手動セット
EP2333560A3 (en) Method for separating and detecting an analyte
WO2011017094A3 (en) Assay apparatuses, consumables and methods
US11198863B2 (en) Dissection system of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FFPE) tissue section for nucleic acid extraction
CN1347448A (zh) 用于构筑组织阵列的仪器
EP1975625A3 (en) Sample analyzer, sample analyz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221622A3 (en) Sample analyzer, sample analyz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284708B1 (ko) 생체 조직 절단 장치
WO2013010134A3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biochemical analysis
KR101022008B1 (ko) 조직샘플 배열장치
US10662466B2 (en) Magnetic base for collection and release of paramagnetic particles
WO2008087138A8 (en) Collection of liquid analytical samples for clinical analytical purpose
WO2011139806A3 (en) Integ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 molecular profile
EP2835653A1 (en) Sample holder for an AFM
US6631649B1 (en) System for membrane removal and transfer
CN107782920A (zh) 原子力显微镜探针功能化修饰的固定装置
EP3517953B1 (en) Pillar unit for bio chip
Sanna et al. Gene profiling of laser-microdissected brain regions and sub-regions
CN2611379Y (zh) 组织微阵列二次包埋蜡块制备器
CN207391433U (zh) 用于荧光原位杂交的变性杂交盒
CN205038401U (zh) 便于显微镜下观察细胞爬片的专用载玻片
KR20120048921A (ko) 조직미세배열용 펀칭장치
CN201512535U (zh) 一种叶片pcr快速取样装置
JP6213917B2 (ja) 生体組織切断用押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28

Effective date: 2010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