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785A -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 Google Patents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785A
KR20120048785A KR1020100110146A KR20100110146A KR20120048785A KR 20120048785 A KR20120048785 A KR 20120048785A KR 1020100110146 A KR1020100110146 A KR 1020100110146A KR 20100110146 A KR20100110146 A KR 20100110146A KR 20120048785 A KR20120048785 A KR 2012004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vertical
key
air
corn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회
Original Assignee
조광창호유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창호유리(주) filed Critical 조광창호유리(주)
Priority to KR102010011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785A/ko
Publication of KR2012004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으로 인한 코너부의 집중하중에 대하여 코너 키의 마찰력에 의하여 코너부가 밀리지 않고 그대로 그 틀을 유지되게 하면서 복층유리의 공기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열관류율(K)을 작게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코너 키(10)를 ABS수지로 형성하되 코너연결부(16)에는 그 중앙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형성되어있고,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내부 접면부(123)(143)와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142a)를 형성하여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에 의한 집중하중에 대하여 코너 키의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코너 키의 재질 ABS수지로 형성된 것이므로 실리콘과 코너 키와의 접착이 일체화되어 복층유리의 공기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되어 단열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Corner key of the insulating pair glass}
본 발명은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복층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으로 인한 코너부의 집중하중에 대하여 코너 키의 마찰력에 의하여 코너부가 밀리지 않고 그대로 그 틀을 유지되게 하면서 복층유리의 공기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열관류율(K)을 작게 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는 단열성능 및 차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복층유리의 공기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어렵다. 실리콘 접착에 의한 밀봉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밀봉되지 않으면 단열성이 저하되고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복층유리로서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구조에 의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것이므로 이 기술 분야의 단열성능을 크게 개선할 것이라 생각된다.
기후 변화에 따른 외적 요인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건축물의 공간 내부에는 인간이 쾌적한 환경 유지를 위하여 냉ㆍ난방의 방식에 의한 제2의 에너지 소비가 유발된다.
수많은 건축 재료 중에서 창호기술, 특히 유리는 조망 및 채광, 환기 외에 필수적인 요소로 열 환경 보호 측면에서 외벽에서 가장 취약한 부위에 해당된다.
건축물의 창은 열의 방출이 커 실내온도를 떨어뜨리고 소음의 통로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리는 현대 건축에 있어서 전망권과 채광면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재료이긴 하지만 단일소재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선택과 변경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예컨대, 소위 단열 복층 유리(INSULATING GLASS)구조만 보더라도 공기층을 밀폐시키는 것 외에 다른 구조가 없기 때문에 구조변경이 극히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단열 복층 유리는 유리와 유리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기층(Air Space)이 형성된 구조이다. 공기층은 단열 및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층은 건조한 공기이어야 한다. 습기를 함유한 공기는 복층유리의 내면에 결로가 발생되게 한다.
먼저 단열 복층 유리의 공기층(Air Space)과 열관류율(K)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층 유리에 공기층(Air Space)을 형성하는 것은 공기의 열전도율이 유리자체의 열전도율보다 낮으므로 단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보다는 진공상태가 열전도율이 더 낮고, 공기보다 아르곤(argon; Ar)가스의 열전도율이 더 낮으므로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공기대신 이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복층 유리의 공기층은 간봉(스페이서; Spacer)에 의해 이루어진다. 공기층은 단열을 위해 열전도율이 낮아야하므로 건조한 공기이어야 한다. 습기를 함유한 공기는 결로가 생기게 할 뿐 아니라 단열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다.
이와 같이 공기 중의 습기가 공기층내로 유입되게 되면 공기층의 단열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리면에 이슬이 맺히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층(Air Space)은 도6에서와 같이 복층유리와 간봉으로 이루어진 접면부를 실리콘(실란트; Sealant)에 의하여 밀폐된 것이므로 실리콘은 복층유리와, 그리고 간봉의 재질과 일체로 접착되면서 시간이 경과되어도 잘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간봉의 재질이 ABS(Acrylonitrile Butadien Styrene)수지가 아닌 폴리아미드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폴리아미드수지와 실리콘과의 접착이 잘 이루어지 않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부위가 떨어지게 된다. 실리콘과의 접착부위가 떨어지게 되면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공기층내로 유입되어 내부유리에 결로가 발생되어 단열성의 저하는 물론 외관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열전도율은 단열재의 두께가 얇을수록 크다. 이와 반대로 단열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열전도율은 작다.
복층 유리는 유리의 두께에다 공기층의 두께를 합친 두께이므로 공기층의 두께가 클수록 열전도율이 작아져서 단열효과가 크게 된다.
이와 같이 단열효과는 열전도율과 두께의 함수이므로 단열의 정도는 열관류율(K)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열관류율(K)은 열전도율을 단열재의 두께로 나눈 값이다.
즉, [ 열관류율(K) = 열전도율 / 두께 ] 이다.
열관류율(K)은 단열재의 두께가 얇을수록 커지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작아진다.
열전도율과 열관류율(K)은 서로 반비례한다.
이러한 점에서 단열 복층 유리는 공기층에 의하여 열관류율(K)을 작게 형성한 구조라고 말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층 유리의 기압강하와 코너 키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계절의 변화에 의하여 기압이 강하함에 따라 단열 복층 유리는 바깥으로 휘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휨(Deflection)과 일그러짐(Distortion)현상이 발생된다.
복층 유리의 휨(Deflection)과 일그러짐(Distortion)현상은 복층 유리를 통하여 공기층 내부 가장자리에 전달된다. 특히, 이 현상의 결과는 코너(Corner)부위에 집중된다.
이와 같이 유리의 특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받는 기압강하와 같은 열과 힘은 유리의 가장자리로 전달되고 다시 국부적으로 각 4군데 모퉁이(Corner)의 코너 키에 집중되기 때문에 간봉에 삽입된 코너 키(Corner Key)는 실리콘과의 접착이 잘 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집중하중으로 인해 코너 키가 간봉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고 안정된 구조이어야 한다.
설령 간봉의 모든 부위가 실리콘에 의하여 완벽하게 밀폐되었다하더라도 집중하중에 의하여 코너 키가 이탈되게 되면 공기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게 되고 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외관 및 단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유리의 휨(Deflection)과 일그러짐(Distortion)현상으로 봉합 부위, 특히 코너 키와 간봉의 변형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단열 복층 유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름철 대기 온도 상승으로 한낮의 유리 내부 공기층의 온도는 대략 80℃가 되므로 간봉과 코너 키가 열 변형으로 인하여 접착된 실리콘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재질이어야 한다.
그다음으로 복층유리와 공기층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은 열관류율(K)을 작게 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공기층의 두께만큼 단열효과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공기층의 두께는 일정해야한다. 복층유리의 간격(즉, 공기층)이 일정해야 단열성이 좋고, 외관도 좋다.
복층유리는 간봉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런데 간봉의 지지점은 복층유리의 가장자리이다. 복층유리의 중앙부에는 복층유리의 자중을 지지할만한 아무런 지지수단이 없다.
중앙부에 지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복층유리는 그 자중으로 인하여 처지게 된다.
복층유리의 중앙 처짐에 대하여 복층유리의 평활도를 유지되게 하는 힘이 필요하다.
공기층에 주입된 공기압이 바로 복층유리의 자중에 대향되게 하는 힘이다.
복층유리의 평활도는 주입된 공기압에 의하여 유지되므로 실리콘에 의한 밀봉은 완벽해야한다. 간봉 및 코너 키와 접착된 실리콘이 떨어져서 공기압이 새게 되면 복층유리의 평활도가 유지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기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단열성능의 크게 저하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실리콘과 접착이 떨어진 구멍으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유입되게 되어 결로로 인한 단열성 및 외관이 크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제 공기층의 밀폐(밀봉)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층은 통상 실리콘에 의하여 밀폐된다.
실리콘이 접착되는 면은 유리와 간봉 및 코너 키이다.
실리콘은 유리나 알루미늄과는 잘 접착되므로 밀폐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간봉과 코너 키는 그 재질이 PE 수지나 폴리아미드수지로 되어있기 때문에 실리콘과의 접착이 잘 되지 않는다. 간봉과 코너 키 부위가 실리콘과 접착이 잘 되지 않으면 첫째, 공기층의 공기압이 복층유리의 자중을 이기지 못하고 복층 유리의 휨(Deflection)과 일그러짐(Distortion)현상으로 인한 집중하중이 4군데 모퉁이(Corner)에 몰리게 되어 간봉에 삽입된 코너 키가 제 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간봉과 코너 키 부위가 실리콘과 접착이 잘 되지 않으면 둘째, 습기가 포함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공기층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복층 유리에 공기주입은 통상 간봉에 구멍을 뚫고 공기를 주입한 다음 실리콘으로 밀폐시켰다. 밀폐시켰다고 하나 실제 폴리아미드수지로 된 간봉은 실리콘에 의하여 접착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일시적이고 형식적으로만 실리콘에 의하여 밀폐된 것에 불과하다. 시간이 지나면 실리콘이 쉽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공기주입을 위해 간봉에 뚫은 공기주입구는 오히려 공기층의 밀폐에 방해가 될 뿐이다. 간봉에 뚫은 구멍은 복층 유리의 휨(Deflection)과 일그러짐(Distortion)현상의 유발원인이고, 단열성을 크게 저하시키면서 결로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기 때문이다.
종래 폴리아미드수지의 간봉은 실리콘과 잘 접착되지 않는다.
실리콘과의 접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간봉의 재질을 폴리아미드수지대신 ABS수지로 대체하였다. 특허 제 10- 969559호가 바로 그것이다.
본 발명의 코너 키 역시 실리콘과의 접착을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하기위하여 특허 제 10- 969559호의 간봉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기압의 강하 및 주입공기압의 누수로 인하여 발생된 복층유리의 휨(Deflection)과 일그러짐(Distortion)현상에 의하여 집중하중이 4군데 모퉁이로 몰리게 됨으로써 코너 키가 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실리콘과 코너 키와의 접착이 일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공기주입구를 코너 키에 형성함으로써 공기주입구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실리콘과의 일체적 접착에 의하여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공기압이 밀폐된 상태그대로 유지됨으로써 공기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열관류율(K)이 작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복층유리 코너 키(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코너연결부(16)를 중심으로 수직부(12)와 수평부(14)가 서로 직교를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직교된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삽입된 ABS수지로 된 간봉(20)이 서로 직교상태가 되게 연결ㆍ조립하는 복층유리 코너 키(10)에 있어서
코너 키(10)를 ABS수지로 형성하되 코너연결부(16)에는 그 중앙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형성되어있고, 수직부(12)에는 내부 접면부(123)와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가, 그리고 수평부(14)에는 내부 접면부(143)와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에 의한 집중하중을 코너부의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이다.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형성된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와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42a)의 경사는 간봉(20)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간봉(20)에 삽입되기가 용이하고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 현상으로 인해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집중된 하중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하기위해서다. 이와 같이 코너 키(10)의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되면 코너부가 안정되어 공기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단열성능이 향상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코너 키(10)의 수직부(12)의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대신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122b)로, 그리고 수평부(14)의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42a)대신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142b)를 형성해도 마찰력이 향상되게 된다.
특히 간봉(20)의 재질이 ABS수지이고, 코너 키(10)의 재질도 ABS수지이므로 실리콘(40)과의 일체화 접착이 가능하여 밀봉이 완벽하게 된다.
코너연결부(16)의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형성되어있으므로 공기주입이 용이한데다 밀봉이 완벽하므로 주입된 공기압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공기층의 두께가 일정하여 열관류율(K)이 작고, 외관이 미려하다.
한편, 알루미늄 간봉(30)인 경우, 알루미늄 간봉(30)에는 ABS수지 간봉(20)과는 달리 습기 흡습구(32)가 도7에서와 같이 펀칭되어있기 때문에 알루미늄 간봉(30)의 내면부에는 작은 돌기가 돌출되어있다.
알루미늄 간봉(30)에 사용되는 코너 키(10)는 습기 흡습구(32)의 펀칭된 돌기의 마찰력을 이용하기위하여 코너 키(10)의 수직부(12)와 수평부(14)의 마찰돌기를 습기 흡습구(32)의 펀칭된 돌기 쪽에 형성하였다.
즉, 코너 키(10)의 수직부(12)와 수평부(14)의 내부면에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124a) (144a)를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수직부(12)의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124a)대신 내부접면수직마찰돌기(124b)로, 그리고 수평부(14)의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144a)대신 내부접면수직마찰돌기(144b)를 형성해도 마찰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코너 키(10)의 수직부(12)와 수평부(14)의 내외부면에 모두 마찰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모두 마찰돌기를 형성하게 되면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 현상으로 인한 집중하중을 고려한다면 상기에서와 같이 한쪽은 마찰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간봉과 직접 접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복층유리(6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은 코너연결부(16)이다. 코너연결부(16)의 구조가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를 코너연결부(16)에 뚫는 것은 구조가 안정되어있기 때문이다. 코너연결부(16)에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를 형성하게 되면 대각선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이므로 더욱 안정된 구조이다.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를 통해 일정한 공기압을 주입한 다음 실리콘으로 코너 키(10)를 밀봉하게 되면 주입된 공기압이 그대로 유지되어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단열성능이 저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미려한 외관이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은 복층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으로 인한 코너부의 집중하중에 대하여 코너 키의 마찰력에 의하여 코너부가 밀리지 않고 그대로 그 틀을 유지되게 한 구조이므로 복층유리의 공기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단열성능이 그대로 유지됨은 물론이고 복층유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코너 키의 재질을 간봉재질과 똑같이 ABS수지로 형성한 것이므로 실리콘과 코너 키와의 접착이 일체화되어 복층유리의 공기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열관류율(K)이 작고, 외관이 미려가 되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본 발명의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가 ABS간봉에 조립되어 실리콘으로 접착된 단열복층유리의 사시도
[도2] 도1의 분해사시도
[도3] 본 발명의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와 ABS간봉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 본 발명의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와 ABS간봉 및 복층유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5] 본 발명의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와 알루미늄 간봉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6]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간봉과 복층유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7] 본 발명의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와 알루미늄 간봉 및 복층유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8] 본 발명의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의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과 도4는 ABS수지로 된 간봉(20)의 코너부를 코너 키(10)에 의하여 견고하게 조립ㆍ연결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코너 키(10)의 재질도 간봉(20)과 같이 ABS수지이므로 실리콘(40)과의 일체로 부착된다.
만약 종래와 같이 폴리아미드수지 재질로 된 간봉이라면 간봉의 코너부가 실리콘(40)에 의하여 잘 접착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게 되므로 주입된 공기층의 압력이 그대로 유지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습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입됨으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되고, 이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복층유리의 단열성능의 저하는 물론이고 외관이 흉하게 되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코너연결부(16)에 형성되어있으므로 이를 통해 공기주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40)과의 일체접착이 가능하므로 주입된 공기압의 유지되게 된다. 그 뿐 아니라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코너연결부(16)의 중앙을 관통하더라도 코너연결부(16)의 강성이 크고 구조가 안정적이어서 복층유리(60)의 지지가 안정적이다.
ABS수지로 된 간봉(20)에 사용되는 코너 키(1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되어있다.
코너 키(10)의 코너연결부(16)에는 간봉(20)이 삽입ㆍ지지되는 내측 지지단턱(164)과 외측 지지단턱(166)이 형성되어있다.
내측 지지단턱(164)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부(12) 및 수평부(14)에는 내부 접면부(123)(143)가 형성되어있고, 내부 접면부(123)(143)는 간봉(20)과 밀착되어있다.
외측 지지단턱(166)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부(12) 및 수평부(14)에는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142a)가 간봉(20)과 밀착되어있다.
도8에서와 같이 수직부(12) 및 수평부(14)에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122b)(142b) 및 내부접면수직마찰돌기(124b)(144b)가 형성된 경우에도 이와 똑같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하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에 의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으로 인한 코너부에 집중된 하중을 수직부(12) 및 수평부(14)의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142a)와 밀착된 간봉(20)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코너부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142a)는 간봉(20)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있기 때문에 간봉(20)으로의 삽입이 원활하다. 코너부의 집중하중은 간봉(20)에서 코너 키(10)가 빠져나오는 방향이므로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142a)의 방향은 이를 저항하는데 유리한 경사방향이다.
알루미늄으로 된 간봉(30)에 사용되는 코너 키(10)는 도6 및 도7에 도시되어있다.
알루미늄 간봉(30)은 습기 흡습구(32)를 펀칭에 의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간봉(30)의 내면부에는 돌기가 돌출되어있다.
습기 흡습구(32)에 의하여 돌출된 돌기는 마찰력이 크므로 알루미늄 간봉(30)에 사용되는 코너 키(10)는 이를 이용한 구성이다.
즉, 수직부(12) 및 수평부(14)에는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124a)(144a)가 형성되어있고, 간봉(30)의 내측면과 밀착된 구성이다.
간봉(30)의 내측면에 편칭된 습기 흡습구(32)의 돌기가 수직부(12) 및 수평부(14)의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124a)(144a)와 밀착되어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으로 인한 코너부에 집중된 하중을 마찰력으로 저항하고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ABS 간봉(20)에 사용되는 코너 키(10)의 구성과 동일하다.
ABS 간봉(20)이나 알루미늄 간봉(30)내에는 흡습제(50)가 내장되어있다. 복층유리의 공기층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기위해서다. 공기층의 습기는 결로의 주범이기 때문이다.
코너 키(10)에 의하여 ABS 간봉(20)이나 알루미늄 간봉(30)이 조립되고 복층유리(60)가 그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실리콘(40)에 의하여 밀봉시키면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한 다음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를 실리콘(40)으로 밀폐시키게 되면 복층유리는 완성된다. 본원 발명에서 복층유리라 함은 2중, 3중등의 복층유리를 포함한다.
10; 코너키
12; 수직부, 122a;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 122b;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 123; 내부 접면부, 124a;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 124b; 내부접면수직마찰돌기, 125; 외부 접면부, 126; 선단부, 126a; 측면경사면, 126b; 하면경사면
14; 수평부, 142a;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 142b;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 143; 내부 접면부, 144a;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 144b; 내부접면수직마찰돌기, 145; 외부 접면부, 146; 선단부, 146a; 측면경사면, 146b; 하면경사면
16; 코너연결부, 162; 공기 및 개스 주입구, 164; 내측 지지단턱, 166; 외측 지지단턱
20; ABS간봉
30; 알루미늄 간봉
32; 수분 흡습구
40; 실리콘
50; 흡습제
60; 유리

Claims (6)

  1. 코너연결부(16)를 중심으로 수직부(12)와 수평부(14)가 서로 직교를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직교된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삽입된 ABS수지로 된 간봉(20)이 서로 직교상태가 되게 연결ㆍ조립하는 코너 키(10)에 있어서

    코너 키(10)를 ABS수지로 형성하되 코너연결부(16)에는 그 중앙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형성되어있고, 수직부(12)에는 내부 접면부(123)와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22a)가, 그리고 수평부(14)에는 내부 접면부(143)와 외부접면경사마찰돌기(1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에 의한 집중하중을 코너부의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2. 코너연결부(16)를 중심으로 수직부(12)와 수평부(14)가 서로 직교를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직교된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삽입된 ABS수지로 된 간봉(20)이 서로 직교상태가 되게 연결ㆍ조립하는 코너 키(10)에 있어서

    코너 키(10)를 ABS수지로 형성하되 코너연결부(16)에는 그 중앙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형성되어있고, 수직부(12)에는 내부 접면부(123)와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122b)가, 그리고 수평부(14)에는 내부 접면부(143)와 외부접면수직마찰돌기(1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에 의한 집중하중을 코너부의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3. 코너연결부(16)를 중심으로 수직부(12)와 수평부(14)가 서로 직교를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직교된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삽입된 알루미늄재질로 된 간봉(30)이 서로 직교상태가 되게 연결ㆍ조립하는 코너 키(10)에 있어서

    코너 키(10)를 ABS수지로 형성하되 코너연결부(16)에는 그 중앙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형성되어있고, 수직부(12)에는 외부 접면부(125)와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124a)가, 그리고 수평부(14)에는 외부 접면부(145))와 내부접면경사마찰돌기(1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에 의한 집중하중을 코너부의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4. 코너연결부(16)를 중심으로 수직부(12)와 수평부(14)가 서로 직교를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직교된 수직부(12)와 수평부(14)에 삽입된 알루미늄재질로 된 간봉(30)이 서로 직교상태가 되게 연결ㆍ조립하는 코너 키(10)에 있어서

    코너 키(10)를 ABS수지로 형성하되 코너연결부(16)에는 그 중앙부에 대각선방향으로 공기 및 개스 주입구(162)가 형성되어있고, 수직부(12)에는 외부 접면부(125)와 내부접면수직마찰돌기(124b)가, 그리고 수평부(14)에는 외부 접면부(145))와 내부접면수직마찰돌기(14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층 유리의 휨과 일그러짐에 의한 집중하중을 코너부의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직부(12)와 수평부(14)의 선단부(126) 각각에는 측면경사면(126a)(146a)와, 그리고 하면경사면(126b)(146b)가 각각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수직부(12)와 수평부(14)의 선단부(126) 각각에는 측면경사면(126a)(146a)와, 그리고 하면경사면(126b)(146b)가 각각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층유리 코너 키
KR1020100110146A 2010-11-08 2010-11-08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KR20120048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46A KR20120048785A (ko) 2010-11-08 2010-11-08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46A KR20120048785A (ko) 2010-11-08 2010-11-08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785A true KR20120048785A (ko) 2012-05-16

Family

ID=4626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146A KR20120048785A (ko) 2010-11-08 2010-11-08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87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387B1 (ko) * 2012-05-29 2013-08-14 김윤옥 복층유리 가스주입용 연결블록
KR20170040608A (ko) * 2015-10-05 2017-04-13 민대식 가스 주입 단열 복층유리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KR20190051129A (ko) * 2017-11-06 2019-05-15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387B1 (ko) * 2012-05-29 2013-08-14 김윤옥 복층유리 가스주입용 연결블록
KR20170040608A (ko) * 2015-10-05 2017-04-13 민대식 가스 주입 단열 복층유리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KR20190051129A (ko) * 2017-11-06 2019-05-15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4113B (zh) 具有真空绝缘玻璃(vig)单元和含有真空绝缘结构的窗
US20180195339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hollow profiles, comprising a membrane
KR20120048785A (ko) 단열복층유리의 코너 키
TWI678459B (zh) 開放式隔熱玻璃單元
KR101543455B1 (ko) 조립식 커튼월 단열보강구조체
KR20070073541A (ko) 진공 복층유리
TWI666376B (zh) 強化絕熱玻璃單元
JP2020197116A (ja) 真空断熱ガラスユニット用のウィンドウフレームシステム
JP4813585B2 (ja) 断熱外壁構造
KR101261789B1 (ko)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ES2904563T3 (es) Cámara anecoica desmontable
KR100707478B1 (ko) 보강재가 결합된 슈퍼창용 스페이서
WO2016098831A1 (ja)
KR101313393B1 (ko) 다층 글라스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창호
KR101024618B1 (ko)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CN216894016U (zh) 一种防水易拆装用铝木窗
CN201137405Y (zh) 带纱窗的内开铝合金窗
KR102439315B1 (ko) 진공유리창
KR100654407B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유리 구조체
KR101840710B1 (ko) Al창호 단열차단구조
CN211549407U (zh) 一种隔热降噪门窗
KR20130001976U (ko) 단열복합 창문틀 구조
JPH1181506A (ja) 通気層形成体とその取付け構造、および壁体
KR100707480B1 (ko) 보강재가 결합된 유연한 스페이서를 이용한 슈퍼창과 그제조 방법
JP2009215737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