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690A -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 그리고 농원예용 살균제 - Google Patents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 그리고 농원예용 살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690A
KR20120048690A KR20127007382A KR20127007382A KR20120048690A KR 20120048690 A KR20120048690 A KR 20120048690A KR 20127007382 A KR20127007382 A KR 20127007382A KR 20127007382 A KR20127007382 A KR 20127007382A KR 20120048690 A KR20120048690 A KR 20120048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substituted
substituted
formula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729B1 (ko
Inventor
아키라 미타니
준 이나가키
라이토 구와하라
모토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rings with more than six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ree- or four-membered rings or rings with more than six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6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part of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가 확실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원예용 살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식 (I) 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 그리고 농원예용 살균제{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 AND SALT THEREOF, AND BACTERICIDE FOR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USE}
본 발명은 신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 그리고 그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9년 9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23525호 및 2010년 2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2158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농원예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서, 작물의 병해에 대하여 다수의 방제 약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방제 효력이 불충분하거나, 약제 내성의 병원균의 출현에 의해 그 사용이 제한되거나, 식물체에 약해나 오염을 발생시키거나, 혹은 인축어류(人畜魚類) 에 대한 독성이나 환경에 대한 영향이 크거나 하는 등에 의해, 만족할 만한 방제 약제라고는 하기 어려운 것이 적지 않다. 그 때문에, 이러한 결점이 적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출현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 에는, 본 발명 화합물과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갖는 퀴놀린 유도체, 및 그것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제가 개시되어 있다.
WO2005/070917호 팜플렛 WO2007/011022호 팜플렛 WO2007/039238호 팜플렛
Journal of Fluorine Chemistry 126 (2005) 791-795 Tetrahedro Letters 40 (1999) 3109-3112 Heterocycles 34 (1992) 1523-1538 Journal of Heterocycl. Chemistry 21 (1984) 1033-1040 J. Org. Chem. 73 1 (2008) 81-87 Chemistry Letters 36 8 (2007) 1036-1037 Angew. Chem. Int. Ed. 47 (2008) 928-931 J. Med. Chem. 39 (1996) 3539-3546 Biol. Pharm. Bull. 20 (1997) 646-650
본 발명은 신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 그리고 이들 화합물의 적어도 1 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효과가 확실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원예용 살균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인 붕소산 유도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했다. 그 결과, 식 (I) 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얻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효과가 확실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원예용 살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하여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1〉 식 (I) 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5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R3 과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R5 와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식 (I) 중의 부분 구조 A1-A2 는 이하의 식 (A) ? 식 (D) 중의 어느 것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각 식 중, *a 는 식 (I) 의 벤젠 고리의 C1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각 식 중, *b 는 식 (I) 의 피리딘 고리의 C3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각 식 중, *c 는 식 (I) 의 CR3R4 의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식 (B) 중, R7 은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식 (B) 중, R8 은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를 나타낸다.
Y 는 술포닐기, NR9 로 나타내는 기, 또는 CR10R11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R9 는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3 ? R6 및 R9 에서 복수를 선택하여,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3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또, R3 ? R6 및 R10 ? R11 에서 복수를 선택하여,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3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또, R3 과 R4, R5 와 R6, 또는 R10 과 R11 은 하나가 되어, 옥소기, 티옥소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이미노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엑소메틸렌기를 형성해도 된다.
X 및 X' 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m 은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2 중의 어느 정수이다.
n 은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4 중의 어느 정수이다.
〈2〉 식 (I) 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 식 (II) 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에 기재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II) 중, 부분 구조 A1-A2, X, X', n, R3 ? R6 및 Y 는 상기〈2〉의 기재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p 는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6 중의 어느 정수이다.
〈3〉 식 (II) 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 식 (III) 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2〉에 기재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III) 중, X, X', n, p, R3 ? R6 및 Y 는 상기〈2〉의 기재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4〉 상기〈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제.
본 발명의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은 효과가 확실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원예용 살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신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균제는 우수한 방제 효과를 가지며, 식물체에 약해를 발생시키지 않고, 인축어류에 대한 독성이나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은 약제이다.
또, 본 발명의 붕소산 유도체는 본 발명의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등의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1) 식 (I) ? (III) 으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 제조 방법 및 3) 농원예용 살균제로 항을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1) 식 (I) ? (III) 으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본 발명에 관련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이하, 본 발명 화합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은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I) 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II) 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III) 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는, 수화물, 각종 용매화물이나 결정 다형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부제 (不齊) 탄소 원자, 이중 결합 등에 기초하는 입체 이성체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R1 ? R6, X 및 X'〕
화합물 (I) ? (III) 에 있어서의 R1 ? R6, X 및 X' 로 나타내는 각 기는 이하와 같다.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C1 ? 8 알킬기 또는 할로게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C1 ? 8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3 과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R5 와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은, R3 ? R6 으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X 및 X' 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할로게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우선, 「비치환의」 및 「치환기를 갖는」의 의미를 설명한다.
「비치환의」의 용어는 그 기가 모핵이 되는 기만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환기를 갖는」의 기재가 없고 모핵이 되는 기의 명칭만으로 기재하고 있을 때에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비치환의」의 의미이다.
한편, 「치환기를 갖는」의 용어는 모핵이 되는 기 중의 어느 수소 원자가 이하에 예시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치환기는 1 개이어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2 개 이상의 치환기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C1 ? 6」 등의 용어는 모핵이 되는 기의 탄소 원자수가 1 ? 6 개 등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탄소 원자수에는, 치환기 중에 있는 탄소 원자의 수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치환기로서 에톡시기를 갖는 부틸기는 C4 알킬기로 분류한다.
「치환기」는 화학적으로 허용되며, 본 발명의 효과를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치환기」가 될 수 있는 기는 이하와 같다.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게노기;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C1 ? 6 알킬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등의 C3 ? 8 시클로알킬기;
비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신나밀기 등의 C2 ? 6 알케닐기;
2-시클로프로페닐기, 2-시클로펜테닐기, 3-시클로헥세닐기, 4-시클로옥테닐기 등의 시클로알케닐기, 바람직하게는, C3 ? 8 시클로알케닐기;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2-프로피닐기, 1-부티닐기, 2-부티닐기, 3-부티닐기, 1-메틸-2-프로피닐기, 2-메틸-3-부티닐기, 1-펜티닐기, 2-펜티닐기, 3-펜티닐기, 4-펜티닐기, 1-메틸-2-부티닐기, 2-메틸-3-펜티닐기, 1-헥시닐기, 1,1-디메틸-2-부티닐기 등의 C2 ? 6 알키닐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C1 ? 6 알콕시기;
비닐옥시기, 알릴옥시기, 프로페닐옥시기, 부테닐옥시기 등의 C2 ? 6 알케닐옥시기;
에티닐옥시기, 프로파르길옥시기 등의 C2 ? 6 알키닐옥시기;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등의 C6 ? 10 아릴기;
페녹시기, 1-나프톡시기 등의 C6 ? 10 아릴옥시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C7 ? 11 아르알킬기;
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C7 ? 12 아르알킬옥시기;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벤조일기, 시클로헥실카르보닐 등의 C1 ? 7 아실기;
포르밀옥시기, 아세틸옥시기, 프로피오닐옥시기, 벤조일옥시기, 시클로헥실카르보닐옥시기 등의 C1 ? 7 아실옥시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n-프로폭시카르보닐기, i-프로폭시카르보닐기, n-부톡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등의 C1 ? 6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클로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1,2-디클로로-n-프로필기, 1-플루오로-n-부틸기, 퍼플루오로-n-펜틸기 등의 C1 ? 6 할로알킬기;
2-클로로-1-프로페닐기, 2-플루오로-1-부테닐기 등의 C2 ? 6 할로알케닐기;
4,4-디클로로-1-부티닐기, 4-플루오로-1-펜티닐기, 5-브로모-2-펜티닐기 등의 C2 ? 6 할로알키닐기;
2-클로로-n-프로폭시기, 2,3-디클로로부톡시기 등의 C1 ? 6 할로알콕시기;
2-클로로프로페닐옥시기, 3-브로모부테닐옥시기 등의 C2 ? 6 할로알케닐옥시기;
4-클로로페닐기, 4-플루오로페닐기, 2,4-디클로로페닐기 등의 C6 ? 10 할로아릴기;
4-플루오로페닐옥시기, 4-클로로-1-나프톡시기 등의 C6 ? 10 할로아릴옥시기;
클로로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트리클로로아세틸기, 4-클로로벤조일기 등의 할로겐 치환 C1 ? 7 아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C1 ? 6 알킬아미노기;
아닐리노기, 나프틸아미노기, 안트라세닐아미노기 등의 C6 ? 10 아릴아미노기;
벤질아미노기, 페닐에틸아미노기 등의 C7 ? 11 아르알킬아미노기;
메틸술포닐아미노기, 에틸술포닐아미노기, n-프로필술포닐아미노기, i-프로필술포닐아미노기, n-부틸술포닐아미노기, t-부틸술포닐아미노기 등의 C1 ? 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포르밀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프로파노일아미노기, 부티릴아미노기, i-프로필카르보닐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등의 C1 ? 7 아실아미노기;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 n-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기, i-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기 등의 C1 ? 6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미노카르보닐기,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페닐아미노카르보닐기, N-페닐-N-메틸아미노카르보닐기 등의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카르보닐기;
N-메틸이미노메틸기, 1-N-페닐이미노에틸기, N-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기, N-메톡시이미노메틸기 등의 N 비치환 또는 N 치환 이미노알킬기;
메르캅토기;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n-프로필티오기, i-프로필티오기, n-부틸티오기, i-부틸티오기, s-부틸티오기, t-부틸티오기 등의 C1 ? 6 알킬티오기;
비닐티오기, 알릴티오기 등의 C2 ? 6 알케닐티오기;
에티닐티오기, 프로파르길티오기 등의 C2 ? 6 알키닐티오기;
페닐티오기, 나프틸티오기 등의 C6 ? 10 아릴티오기;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t-부틸술포닐기 등의 C1 ? 6 알킬술포닐기;
알릴술포닐기 등의 C2 ? 6 알케닐술포닐기;
프로파르길술포닐기 등의 C2 ? 6 알키닐술포닐기;
페닐술포닐기 등의 C6 ? 10 아릴술포닐기;
푸란-2-일기, 푸란-3-일기, 티오펜-2-일기, 티오펜-3-일기, 피롤-1-일기, 피롤-2-일기, 피롤-3-일기, 옥사졸-2-일기, 옥사졸-4-일기, 옥사졸-5-일기, 티아졸-2-일기, 티아졸-4-일기, 티아졸-5-일기, 이소옥사졸-3-일기, 이소옥사졸-4-일기, 이소옥사졸-5-일기, 이소티아졸-3-일기, 이소티아졸-4-일기, 이소티아졸-5-일기, 이미다졸-1-일기, 이미다졸-2-일기, 이미다졸-4-일기, 이미다졸-5-일기, 피라졸-1-일기, 피라졸-3-일기, 피라졸-4-일기, 피라졸-5-일기, 1,3,4-옥사디아졸-2-일기, 1,3,4-티아디아졸-2-일기, 1,2,3-트리아졸-4-일기, 1,2,4-트리아졸-3-일기, 1,2,4-트리아졸-5-일기 등의 불포화 복소 5 원자 고리기;
피리딘-2-일기, 피리딘-3-일기, 피리딘-4-일기, 피리다진-3-일기, 피리다진-4-일기, 피라진-2-일기, 피리미딘-2-일기, 피리미딘-4-일기, 피리미딘-5-일기, 1,3,5-트리아진-2-일기, 1,2,4-트리아진-3-일기 등의 불포화 복소 6 원자 고리기;
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기, 테트라히드라피란-4-일기, 피페리딘-3-일기, 피롤리딘-2-일기, 모르폴리노기, 피페리디노기, N-메틸피페라지닐기 등의 포화 복소고리기;
2-피리딜옥시기, 3-옥사졸릴옥시기 등의 복소고리 옥시기;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t-부틸디메틸실릴기 등의 트리 C1 ? 6 알킬 치환 실릴기;
트리페닐실릴기;
또, 이들 「치환기」는 또 다른 「치환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C1 ? 8 알킬기」는 탄소 원자 1 ? 8 개로 구성되는 포화 탄화수소기이다. C1 ? 8 알킬기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사슬이어도 된다. C1 ? 8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i-프로필기, i-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i-펜틸기, 네오펜틸기, 2-메틸부틸기, 2,2-디메틸프로필기, i-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C1 ? 6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메틸기, 2-시클로프로필에틸기, 시클로펜틸메틸기, 2-시클로헥실에틸기, 2-시클로옥틸에틸기 등의 시클로알킬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3 ? 8 시클로알킬 C1 ? 6 알킬기; 시클로펜테닐메틸기, 3-시클로펜타테닐메틸기, 3-시클로헥세닐메틸기, 2-(3-시클로헥세닐)에틸기 등의 시클로알케닐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4 ? 8 시클로알케닐 C1 ? 6 알킬기; 플루오로메틸기, 클로로메틸기, 브로모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디클로로메틸기, 디브로모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클로로메틸기, 트리브로모메틸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기, 2,2,2-트리클로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4-플루오로부틸기, 4-클로로부틸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기, 퍼플로로헥실기, 퍼클로로헥실기, 퍼플로로옥틸기, 퍼클로로옥틸기, 2,4,6-트리클로로헥실기, 퍼플로로데실기, 2,2,4,4,6,6-헥사클로로옥틸기 등의 할로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6 할로알킬기; 벤질기, 페네틸기, 3-페닐프로필기, 1-나프틸메틸기, 2-나프틸메틸기 등의 아릴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6 ? 10 아릴 C1 ? 6 알킬기;
2-피리딜메틸기, 3-피리딜메틸기, 4-피리딜메틸기, 2-(2-피리딜)에틸기, 2-(3-피리딜)에틸기, 2-(4-피리딜)에틸기, 3-(2-피리딜)프로필기, 3-(3-피리딜)프로필기, 3-(4-피리딜)프로필기, 2-피라지닐메틸기, 3-피라지닐메틸기, 2-(2-피라지닐)에틸기, 2-(3-피라지닐)에틸기, 3-(2-피라지닐)프로필기, 3-(3-피라지닐)프로필기, 2-피리미딜메틸기, 4-피리미딜메틸기, 2-(2-피리미딜)에틸기, 2-(4-피리미딜)에틸기, 3-(2-피리미딜)프로필기, 3-(4-피리미딜)프로필기, 2-푸릴메틸기, 3-푸릴메틸기, 2-(2-푸릴)에틸기, 2-(3-푸릴)에틸기, 3-(2-푸릴)프로필기, 3-(3-푸릴)프로필기 등의 헤테로 고리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5 ? 10 원자 헤테로 고리 C1 ? 6 알킬기; 하이드록시메틸기, 하이드록시에틸기, 하이드록시프로필기 등의 하이드록시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C1 ? 6 알킬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메톡시n-프로필기, 에톡시메틸기, 에톡시에틸기, n-프로폭시메틸기, i-프로폭시에틸기, s-부톡시메틸기, t-부톡시에틸기, 2,2-디메톡시에틸기 등의 알콕시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6 알콕시 C1 ? 6 알킬기; 포르밀옥시메틸기, 아세톡시메틸기, 2-아세톡시에틸기, 프로피오닐옥시메틸기, 프로피오닐옥시에틸기 등의 아실옥시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7 아실옥시 C1 ? 6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C2 ? 8 알케닐기」는 적어도 1 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원자 2 ? 8 개로 구성되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다. C2 ? 8 알케닐기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사슬이어도 된다. C2 ? 8 알케닐기로는, 비닐기, 1-프로페닐기, 알릴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1-헵테닐기, 6-헵테닐기, 1-옥테닐기, 7-옥테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C2 ? 6 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로는, 3-클로로-2-프로페닐기, 4-클로로-2-부테닐기, 4,4-디클로로-3-부테닐기, 4,4-디플루오로-3-부테닐기, 3,3-디클로로-2-프로페닐기, 2,3-디클로로-2-프로페닐기, 3,3-디플루오로-2-프로페닐기, 2,4,6-트리클로로-2-헥세닐기 등의 할로알케닐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가 1 ? 3 개 치환된 C2 ? 6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C2 ? 8 알키닐기」는 적어도 1개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원자 2 ? 8 개로 구성되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다. C2 ? 8 알키닐기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사슬이어도 된다. C2 ? 8 알키닐기로는,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프로파르길기, 1-부티닐기, 2-부티닐기, 3-부티닐기, 1-펜티닐기, 2-펜티닐기, 3-펜티닐기, 4-펜티닐기, 1-헥시닐기, 1-메틸-2-프로피닐기, 2-메틸-3-부티닐기, 1-메틸-2-부티닐기, 2-메틸-3-펜티닐기, 1,1-디메틸-2-부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C2 ? 6 알키닐기가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로는, 3-클로로-1-프로피닐기, 3-클로로-1-부티닐기, 3-브로모-1-부티닐기, 3-브로모-2-프로피닐기, 3-요오도-2-프로피닐기, 3-브로모-1-헥시닐기, 5,5-디클로로-2-메틸-3-펜티닐기, 4-클로로-1,1-디메틸-2-부티닐기 등의 할로알키닐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가 1 ? 3 개 치환된 C2 ? 6 알키닐기를 들 수 있다.
「C3 ? 8 시클로알킬기」는 고리형 부분을 갖는 탄소 원자 3 ? 8 개로 구성되는 알킬기이다. C3 ? 8 시클로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C3 ? 6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로는, 2,3,3-트리메틸시클로부틸기, 4,4,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실기, 1,3-디부틸시클로헥실기 등의 알킬시클로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6 알킬기가 1 ? 3 개 치환된 C3 ? 8 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C4 ? 8 시클로알케닐기」는 고리형 부분을 갖는 탄소 원자 4 ? 8 개로 구성되는 알케닐기이다. C4 ? 8 시클로알케닐기로는, 1-시클로부테닐기, 1-시클로펜테닐기, 3-시클로펜테닐기, 1-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헵테닐기, 4-시클로옥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로는, 2-메틸-3-시클로헥세닐기, 3,4-디메틸-3-시클로헥세닐기 등의 알킬시클로알케닐기, 바람직하게는 C1 ? 6 알킬기가 1 ? 3 개 치환된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C6 ? 10 아릴기」는 단고리 또는 다고리의 탄소수 6 ? 10 의 아릴기이다. 또한, 다고리 아릴기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가 방향고리라면, 나머지 고리가 포화 지환, 불포화 지환 또는 방향고리 중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C6 ? 10 아릴기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아줄레닐기, 인데닐기, 인다닐기, 테트랄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헤테로 고리기」는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로서 탄소 원자 이외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에서 선택되는 1 ? 4 개의 복소 원자를 함유하는 3 ? 7 원자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포화 헤테로 고리, 불포화 헤테로 고리, 또는 이들 헤테로 고리와 벤젠 고리가 축합된 9 ? 10 원자의 축합 헤테로 고리로 이루어진 기이다.
헤테로 고리기로는, 피롤-1-일기, 피롤-2-일기, 피롤-3-일기, 푸란-2-일기, 푸란-3-일기, 티오펜-2-일기, 티오펜-3-일기, 이미다졸-1-일기, 이미다졸-2-일기, 이미다졸-4-일기, 이미다졸-5-일기, 피라졸-1-일기, 피라졸-3-일기, 피라졸-4-일기, 피라졸-5-일기, 옥사졸-2-일기, 옥사졸-4-일기, 옥사졸-5-일기, 티아졸-2-일기, 티아졸-4-일기, 티아졸-5-일기, 이소옥사졸-3-일기, 이소옥사졸-4-일기, 이소옥사졸-5-일기, 이소티아졸-3-일기, 이소티아졸-4-일기, 이소티아졸-5-일기, 1,2,3-트리아졸-1-일기, 1,2,3-트리아졸-4-일기, 1,2,3-트리아졸-5-일기, 1,2,4-트리아졸-1-일기, 1,2,4-트리아졸-3-일기, 1,2,4-트리아졸-5-일기, 1,3,4-옥사디아졸-2-일기, 1,2,4-옥사디아졸-3-일기, 1,3,4-티아디아졸-2-일기, 1,2,4-티아디아졸-3-일기, 테트라졸-1-일기, 테트라졸-2-일기; 피리딘-2-일기, 피리딘-3-일기, 피리딘-4-일기, 피라진-2-일기, 피리미딘-2-일기, 피리미딘-4-일기, 피리미딘-5-일기, 피리다진-3-일기, 피리다진-4-일기, 트리아지닐기;
인돌-1-일기, 인돌-2-일기, 인돌-3-일기, 인돌-4-일기, 인돌-5-일기, 인돌-6-일기, 인돌-7-일기, 벤조푸란-2-일기, 벤조푸란-3-일기, 벤조푸란-4-일기, 벤조푸란-5-일기, 벤조푸란-6-일기, 벤조푸란-7-일기, 벤조티오펜-2-일기, 벤조티오펜-3-일기, 벤조티오펜-4-일기, 벤조티오펜-5-일기, 벤조티오펜-6-일기, 벤조티오펜-7-일기, 이소인돌-1-일기, 이소인돌-2-일기, 이소인돌-4-일기, 이소인돌-5-일기, 이소인돌-6-일기, 이소인돌-7-일기, 이소벤조푸란-1-일기, 이소벤조푸란-4-일기, 이소벤조푸란-5-일기, 이소벤조푸란-6-일기, 이소벤조푸란-7-일기, 벤조이미다졸-1-일기, 벤조이미다졸-2-일기, 벤조이미다졸-4-일기, 벤조이미다졸-5-일기, 벤조옥사졸-2-일기, 벤조옥사졸-4-일기, 벤조옥사졸-5-일기, 벤조티아졸-2-일기, 벤조티아졸-4-일기, 벤조티아졸-5-일기; 크로멘-2-일기, 크로멘-3-일기, 크로멘-4-일기, 크로멘-5-일기, 크로멘-6-일기, 크로멘-7-일기, 크로멘-8-일기, 퀴놀린-2-일기, 퀴놀린-3-일기, 퀴놀린-4-일기, 퀴놀린-5-일기, 퀴놀린-6-일기, 퀴놀린-7-일기, 퀴놀린-8-일기, 이소퀴놀린-1-일기, 이소퀴놀린-3-일기, 이소퀴놀린-4-일기, 이소퀴놀린-5-일기, 이소퀴놀린-6-일기, 이소퀴놀린-7-일기, 이소퀴놀린-8-일기;
아지리딘-1-일기, 아지리딘-2-일기, 에폭시기; 피롤리딘-1-일기, 피롤리딘-2-일기, 피롤리딘-3-일기, 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기, 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기; 피페리딘-1-일기, 피페리딘-2-일기, 피페리딘-3-일기, 피페리딘-4-일기, 피페라진-1-일기, 피페라진-2-일기, 피페라진-3-일기, 모르폴린-2-일기, 모르폴린-3-일기, 모르폴린-4-일기;
1,3-벤조디옥솔-4-일기, 1,3-벤조디옥솔-5-일기, 1,4-벤조디옥산-5-일기, 1,4-벤조디옥산-6-일기, 3,4-디하이드로-2H-1,5-벤조디옥세핀-6-일기, 3,4-디하이드로-2H-1,5-벤조디옥세핀-7-일기,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4-일기,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5-일기,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6-일기, 2,3-디하이드로벤조푸란-7-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5 ? 10 원자의 헤테로 고리기가 바람직하다.
「C1 ? 8 아실기」는 수소 원자, C1 ? 7 의 알킬기, C2 ? 7 의 알케닐기, C2 ? 7 의 알키닐기, 페닐기 또는 5 ? 7 원자의 헤테로 고리기가 카르보닐기와 결합한 기이다.
C1 ? 8 아실기로는,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n-프로필카르보닐기, n-부틸카르보닐기, 펜타노일기, 발레릴기, 옥타노일기, i-프로필카르보닐기, i-부틸카르보닐기, 피발로일기, i-발레릴기 등의 알킬카르보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등의 알케닐카르보닐기; 프로피올로일기 등의 알키닐카르보닐기; 벤조일기 등의 아릴카르보닐기; 2-피리딜카르보닐기, 티에닐카르보닐기 등의 헤테로 고리 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C1 ? 7 아실기가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로는, 모노플루오로아세틸기, 모노클로로아세틸기, 모노브로모아세틸기, 디플루오로아세틸기, 디클로로아세틸기, 디브로모아세틸기,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트리클로로아세틸기, 트리브로모아세틸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피오닐기, 3,3,3-트리클로로프로피오닐기,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피오닐기 등의 할로겐 원자가 치환된 C1 ? 8 아실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원자가 1 ? 3 개 치환한 C1 ? 7 아실기; 카르복실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n-프로폭시카르보닐기, i-프로폭시카르보닐기, n-부톡시카르보닐기, i-부톡시카르보닐기, t-부톡시카르보닐기, n-펜틸옥시카르보닐기, n-헥실옥시카르보닐기; 시클로프로필메틸옥시카르보닐기, 2-시클로펜틸에틸옥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의 C1 ? 7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메틸카르바모일기, 에틸카르바모일기, 디메틸카르바모일기, 디에틸카르바모일기 등의 모노 C1 ? 6 알킬카르바모일기 또는 디 C1 ? 6 알킬카르바모일기; 페닐카르바모일기, 4-메틸페닐카르바모일기 등의 모노아릴카르바모일기, 바람직하게는 모노 C6 ? 10 아릴카르바모일기; 아세틸카르바모일기, 벤조일카르바모일기 등의 아실카르바모일기, 바람직하게는 C1 ? 7 아실카르바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1-이미노) C1 ? 8 알킬기」는 이미노메틸기, 혹은 C1 ? 7 의 알킬기가 이미노메틸기와 결합한 기이다. (1-이미노) C1 ? 8 알킬기로는, 이미노메틸기, (1-이미노)에틸기, (1-이미노)프로필기, (1-이미노)부틸기, (1-이미노)펜틸기, (1-이미노)헥실기, (1-이미노)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이미노) C1 ? 6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로는, 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기, (1-하이드록시이미노)에틸기, (1-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필기, (1-하이드록시이미노)부틸기 등의 (1-하이드록시이미노) C1 ? 8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1-하이드록시이미노) C1 ? 6 알킬기; 메톡시이미노메틸기, (1-에톡시이미노)메틸기, (1-에톡시이미노)에틸기 등의 (1-(C1 ? 6 알콕시)이미노) C1 ? 6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로는,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등의 모노 C1 ? 6 알킬아미노기 또는 디 C1 ? 6 알킬아미노기; 메틸리덴아미노기, 에틸리덴아미노기 등의 모노 C1 ? 6 알킬리덴아미노기; 페닐아미노기, 4-메틸페닐아미노기 등의 모노아릴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모노 C6 ? 10 아릴아미노기; 디1-나프틸아미노기 등의 디아릴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디 C6 ? 10 아릴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등의 아실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C1 ? 7 아실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i-프로폭시기, i-부톡시기, s-부톡시기, t-부톡시기, 1-에틸프로폭시기, i-헥실옥시기, 4-메틸펜톡시기, 3-메틸펜톡시기, 2-메틸펜톡시기, 1-메틸펜톡시기, 3,3-디메틸부톡시기, 2,2-디메틸부톡시기, 1,1-디메틸부톡시기, 1,2-디메틸부톡시기, 1,3-디메틸부톡시기, 2,3-디메틸부톡시기, 1-에틸부톡시기, 2-에틸부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바람직하게는 C1 ? 7 알콕시기; 시클로프로필메틸옥시기, 2-시클로펜틸에틸옥시기, 벤질옥시기; 클로로메톡시기, 디클로로메톡시기, 트리클로로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1-플루오로에톡시기, 1,1-디플루오로에톡시기,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기, 펜타플루오로에톡시기 등의 할로겐 원자가 1 ? 3 개 치환한 C1 ? 6 알콕시기;
비닐옥시기, 1-프로페닐옥시기, 2-프로페닐옥시기, 1-부테닐옥시기, 2-부테닐옥시기, 3-부테닐옥시기, 1-펜테닐옥시기, 2-펜테닐옥시기, 3-펜테닐옥시기, 4-펜테닐옥시기, 1-헥세닐옥시기, 2-헥세닐옥시기, 3-헥세닐옥시기, 4-헥세닐옥시기, 5-헥세닐옥시기, 1-헵테닐옥시기, 6-헵테닐옥시기, 1-옥테닐옥시기, 7-옥테닐옥시기, 1-메틸-2-프로페닐옥시기, 2-메틸-2-프로페닐옥시기, 1-메틸-2-부테닐옥시기, 2-메틸-2-부테닐옥시기 등의 C2 ? 8 알케닐옥시기, 바람직하게는 C2 ? 6 알케닐옥시기; 에티닐옥시기, 프로피닐옥시기, 프로파르길옥시기, 1-부티닐옥시기, 2-부티닐옥시기, 3-부티닐옥시기, 1-펜티닐옥시기, 2-펜티닐옥시기, 3-펜티닐옥시기, 4-펜티닐옥시기, 1-헥시닐옥시기, 도데시닐옥시기, 부타데시닐옥시기, 헵타데시닐옥시기, 1-메틸-2-프로피닐옥시기, 2-메틸-3-부티닐옥시기, 1-메틸-2-부티닐옥시기, 2-메틸-3-펜티닐옥시기, 1,1-디메틸-2-부티닐옥시기, 4-에틸헥사데시닐옥시기 등의 알키닐옥시기, 바람직하게는 C2 ? 6 알키닐옥시기; 시클로프로필옥시기, 시클로부틸옥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시클로헵틸옥시기, 시클로옥틸옥시기;
2-메틸시클로프로필옥시기, 2-에틸시클로프로필옥시기, 2,3,3-트리메틸시클로부틸옥시기, 2-메틸시클로펜틸옥시기, 2-에틸시클로헥실옥시기, 2-에틸시클로옥틸옥시기, 4,4,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실옥시기, 1,3-디부틸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의 C3 ? 8 시클로알콕시기, 바람직하게는 C3 ? 6 시클로알콕시기; 페닐옥시기, 나프틸옥시기, 아줄레닐옥시기, 인데닐옥시기, 인다닐옥시기, 테트랄리닐옥시기 등의 C6 ? 10 아릴옥시기, 바람직하게는 C6 ? 10 아릴옥시기; 아세틸옥시기, 프로피오닐옥시기, 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i-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n-부틸카르보닐옥시기, i-부틸카르보닐옥시기, 펜타노일옥시기, 피발로일옥시기 등의 C1 ? 8 아실옥시기, 바람직하게는 C1 ? 7 아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로는,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등의 C1 ? 6 알킬티오기; 페닐티오기, 4-메틸페닐티오기 등의 아릴티오기, 바람직하게는 C6 ? 10 아릴티오기; 아세틸티오기, 벤조일티오기 등의 아실티오기, 바람직하게는 C1 ? 7 아실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게노기」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로는,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n-프로필술포닐기, i-프로필술포닐기, n-부틸술포닐기, i-부틸술포닐기, s-부틸술포닐기, t-부틸술포닐기, n-펜틸술포닐기, i-펜틸술포닐기, 네오펜틸술포닐기, 1-에틸프로필술포닐기, n-헥실술포닐기, i-헥실술포닐기 등의 C1 ? 6 알킬술포닐기; 트리플로로메틸술포닐기 등의 할로알킬술포닐기, 바람직하게는 C1 ? 6 할로알킬술포닐기; 페닐술포닐기, 4-메틸페닐술포닐기 등의 아릴술포닐기, 바람직하게는 C6 ? 10 아릴술포닐기; 술포기; 메톡시술포닐기, 에톡시술포닐기 등의 알콕시술포닐기, 바람직하게는 C1 ? 6 알콕시술포닐기; 술파모일기; N-메틸술파모일기, N-에틸술파모일기, N,N-디메틸술파모일기, N,N-디에틸술파모일기 등의 술파모일기, 바람직하게는, 모노 C1 ? 6 알킬술파모일기 또는 디 C1 ? 6 알킬술파모일기; 페닐술파모일기, 4-메틸페닐술파모일기 등의 모노아릴술파모일기, 바람직하게는 모노 C6 ? 10 아릴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X 및 X' 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할로게노기가 바람직하다. m 은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2 중의 어느 정수이다. n 은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4 중의 어느 정수이다.
〔Y〕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는, Y 는 술포닐기, NR9 로 나타내는 기 또는 CR10R11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은, R9 로는,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가 바람직하다. R9 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의 구체예는 상기 R1 ? R6, X 및 X' 에 있어서의 구체예와 동일하다.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로는, C6 ? 10 아릴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로는, 할로겐 원자가 치환된 C1 ? 8 아실기, C1 ? 7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R10 ? R11 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수소 원자,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R10 ? R11 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의 구체예는 상기 R1 ? R6, X 및 X' 에 있어서의 구체예와 동일하다.
〔R1 과 R2 가 하나가 되어 형성하는 5 ? 8 원자 고리〕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는, R1 과 R2 가,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5 ? 8 원자 고리로는, 벤젠 고리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푸란 고리, 티오펜 고리, 피롤 고리, 피리딘 고리, 피라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피리다진 고리, 이미다졸 고리, 피라졸 고리, 티아졸 고리, 옥사졸 고리, 이소옥사졸 고리 등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시클로펜텐 고리, 시클로헥센 고리, 시클로헵텐 고리 혹은 시클로옥텐 고리와 같은 시클로알켄 고리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 디하이드로-2H-피란 고리, 디하이드로-2H-티오피란 고리,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고리 등의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들 수 있다.
치환기로는, 할로게노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화합물은 이들 중 벤젠 고리가 바람직하다. 즉,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로서 할로게노기를 갖는 벤젠 고리가 바람직하다.
〔R3 ? R6 등이 하나가 되어 형성하는 기〕
본 발명 화합물에 있어서는, R3 과 R4, R5 와 R6 또는 R10 과 R11 이 하나가 되어 형성하는 「치환기를 갖는 이미노기」로는, 메틸이미노기, 벤질이미노기; 하이드록시이미노기, 에톡시이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R3 과 R4, R5 와 R6 또는 R10 과 R11 이 하나가 되어 형성하는 「치환기를 갖는 엑소메틸렌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리덴기 등을 들 수 있다.
R3 ? R6 및 R9 에서 복수 선택되는 것이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3 ? 8 원자 고리로는, 시클로프로판 고리,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시클로헵탄 고리, 시클로옥탄 고리와 같은 시클로알칸 고리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 벤젠 고리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푸란 고리, 티오펜 고리, 피롤 고리, 피리딘 고리, 피라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피리다진 고리, 이미다졸 고리, 피라졸 고리, 트리아졸 고리, 테트라졸 고리, 티아졸 고리, 옥사졸 고리, 이소옥사졸 고리 등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디하이드로-2H-피란 고리, 디하이드로-2H-티오피란 고리,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고리 등의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들 수 있다.
R3 ? R6 및 R10 ? R11 에서 복수 선택되는 것이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3 ? 8 원자 고리로는, 시클로프로판 고리,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시클로헵탄 고리, 시클로옥탄 고리와 같은 시클로알칸 고리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고리; 벤젠 고리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 푸란 고리, 티오펜 고리, 피롤 고리, 피리딘 고리, 피라진 고리, 피리미딘 고리, 피리다진 고리, 이미다졸 고리, 피라졸 고리, 트리아졸 고리, 테트라졸 고리, 티아졸 고리, 옥사졸 고리, 이소옥사졸 고리 등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디하이드로-2H-피란 고리, 디하이드로-2H-티오피란 고리,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 고리 등의 불포화 헤테로 고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R10 과 R11 이 하나가 되어 형성하는 기로는 옥소기가 바람직하다.
〔A1-A2
부분 구조 A1-A2 는 이하의 식 (A) ? 식 (D) 중의 어느 것을 나타낸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각 식 중, *a 는 식 (I) 의 벤젠 고리의 C1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각 식 중, *b 는 식 (I) 의 피리딘 고리의 C3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각 식 중, *c 는 식 (I) 의 CR3R4 의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식 (B) 중, R7 은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은, R7 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R7 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할로게노기의 구체예는 상기 R1 ? R6, X 및 X' 에 있어서의 구체예와 동일하다.
식 (B) 중, R8 은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합물은, R8 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R8 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의 구체예는 상기 R1 ? R6, X 및 X' 에 있어서의 구체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 화합물은, 부분 구조 A1-A2 로는, 식 (A) 인 것, 즉, C=N (이민) 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I)〕
본 발명 화합물은, R1 과 R2 가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5 ? 8 원자 고리로는, 벤젠 고리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화합물은 화합물 (II) 인 것이 바람직하다.
p 는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6 중의 어느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0 ? 2 중의 어느 정수이다.
〔화합물 (III)〕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은 화합물 (II) 중의 부분 구조 A1-A2 가 식 (A) 인 것, 구체적으로는 C=N (이민)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화합물은 화합물 (III)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의 염〕
본 발명 화합물의 염으로는, 농원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염산, 황산 등의 무기산의 염; 아세트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의 염;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염; 철, 구리 등의 천이 금속의 염;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히드라진 등의 유기 염기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2)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이미도일할라이드 유도체를, 비특허문헌 1 혹은 비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팔라듐 착물 등을 이용한 Suzuki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식 (2)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 대신에,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를 이용해도 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화학식 7]
Figure pct00007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중, R1 ? R6, X, X', Y, n, m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X3 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중, R1 ? R2, X', m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14 는 C1 ? 8 알킬기를 나타낸다. M 은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4) 로 나타내는 고리형 아미드를, 포스겐, 옥살릴클로라이드, 티오닐클로라이드 등의 산할라이드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 트리페닐포스핀, 사염화탄소의 혼합계에서도 동일하게 얻어진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중, R3 ? R6, X, Y, n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Z' 는 산소 원자 또는 N-OH 를 나타낸다)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식 (5) 로 나타내는 고리형의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슈미트 반응시킴으로써, 또는 식 (5) 로 나타내는 고리형의 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옥심으로 유도한 후, 벡크만 전위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양 반응에 관해서는 다양한 변법이 보고되어 있다.
슈미트 반응에 있어서는, 비특허문헌 3 혹은 비특허문헌 4 에 기재되어 있는 케톤을, 아지드화나트륨과, 진한 염산, 황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술폰산 등의 강산 중에서, 용매의 비존재하에 또는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등과 같은 용매 중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벡크만 전위에 있어서는, 카르보닐 화합물의 옥심을 폴리인산 또는 그 트리메틸실릴에스테르와 반응시키거나, 혹은, 카르보닐 화합물의 옥심을 3요오드화알루미늄이나 염화철 (III) 함침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루이스산의 존재하에서,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용매 중에서 고온으로 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또, 옥심의 메실레이트 또는 토실레이트를 생성시키고, 이어서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등의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혹은 염화디에틸알루미늄 등의 루이스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조제할 수 있다.
옥심은 이미 공지된 조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필요에 따라, 피리딘, 아세트산나트륨,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 등의 염기를 첨가하여, 용매의 비점까지의 온도에 있어서, 아세토페논 유도체와 하이드록실아민염산염을 반응시켜 옥심을 조제할 수 있다.
또,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i)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팔라듐-탄소, 산화백금 및 라니-니켈 등의 접촉 환원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소와 반응시키는 접촉 수소 첨가 방법에 의해, 또는 (ii)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수소화 리튬알루미늄, 수소화 붕소나트륨 등의 금속 수소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환원하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식 중, R1 ? R6, X, X', Y, n, m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중간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조 중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C1 ? 6 알킬마그네슘할라이드와 C1 ? 6 알킬리튬을 반응시킨다. 이어서, 식 (V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반응시킨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식 (VI) 중, X'' 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X'' 로 나타내는 각 기의 구체예로는, 식 (I) 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기」를 들 수 있다.
q 는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6 중의 어느 정수이다. X1 은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제조 중간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C1 ? 6 알킬마그네슘할라이드로는, 메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 에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 n-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 n-부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 s-부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 t-부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 n-부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n-부틸마그네슘이오다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n-부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제조 중간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C1 ? 6 알킬리튬으로는, 메틸리튬, 에틸리튬, n-프로필리튬, n-부틸리튬, s-부틸리튬, t-부틸리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n-부틸리튬이 바람직하다.
C1 ? 6 알킬마그네슘할라이드의 사용량은, 식 (V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0.25 ? 2 몰, 바람직하게는 0.3 ? 1.0 몰이다. C1 ? 6 알킬리튬의 사용량은, C1 ? 6 알킬마그네슘할라이드 1 몰에 대하여, 2.0 ? 2.5 몰이다.
이어서, 상기 반응 생성물에 트리알콕시보란 시약 (B(OR12)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중,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6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혹은 i-프로필기이다) 을 반응시킨다. 이것에 의해, 식 (VIII)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붕소산 유도체는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트리알콕시보란 시약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식 중, X'' 및 q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트리알콕시보란 시약의 사용량은, 식 (V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0 ? 2.5 몰, 바람직하게는 1.0 ? 1.2 몰이다.
알킬마그네슘할라이드와 2 배 몰의 알킬리튬으로 아트형 착물를 형성한다. 이 아트형 착물가 상기 반응의 진행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반응에 있어서는, 알킬마그네슘할라이드와 알킬리튬을 반응시켜 아트형 착물을 먼저 형성시키고, 식 (V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트리알콕시보란 시약을 반응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 이용하는 용매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헥산,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THF 등의 에테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식 (V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3 ? 100 용량부, 바람직하게는 4 ? 40 용량부이다.
반응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8 ℃ 부터 실온까지의 범위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0 ℃ 이다.
또, 식 (VIII') 로 나타내는 붕소산에스테르 유도체도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식 (VIII') 중, X'' 및 q 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12'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8 알킬기를 나타낸다. R12' 끼리는 하나가 되어, 5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식 (VIII') 로 나타내는 붕소산에스테르 유도체는 상기 식 (VIII)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를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의 방법에 관해서는, 비특허문헌 5, 비특허문헌 6 등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모든 반응에서, 반응 종료 후에는, 유기 합성 화학에 있어서의 통상의 후처리 조작, 및,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분리 정제 수단을 실시함으로써, 목적물을 효율적으로 단리할 수 있다.
목적물의 구조는 1H-NMR 스펙트럼, IR 스펙트럼, 매스 스펙트럼의 측정이나, 원소 분석 등에 의해 동정ㆍ확인할 수 있다.
(제조 중간체)
본 발명에 관련된 바람직한 제조 중간체는 식 (IX) 또는 식 (X)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이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식 (IX) 중, X2 는 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를 나타낸다. R1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 ? 8 알킬기를 나타낸다. R13 으로 나타내는 알킬기는 메틸기, 또는 i-프로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3 끼리는 하나가 되어, 5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이 붕소산 유도체는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로서 특히 유용하다.
식 (IX)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는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식 (IX)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로는, 표 (1)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표 중, Me 는 메틸기, iPr 은 i-프로필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화학식 17]
Figure pct00018
식 (X) 중, X3 은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를 나타낸다.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8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6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또는 i-프로필기를 나타낸다. R14 끼리는 하나가 되어, 5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M 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3 개의 R14 끼리가 전부 하나가 되어 고리를 형성한 화합물 (식 (X')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 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18]
Figure pct00019
식 (X') 중, X3 은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염소 원자를 나타낸다. R15 는 C1 ? 8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6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혹은 i-프로필기를 나타낸다. M 은 알칼리 금속을 나타낸다.
식 (X')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는 비특허문헌 7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식 (X') 로 나타내는 붕소산 유도체로는, 표 (2)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표 중의 Et 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0
3) 농원예용 살균제
본 발명에 관련된 농원예용 살균제 (본 발명 살균제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란,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 살균제는 광범위한 종류의 사상균, 예를 들어, 조균류 (Oomycetes), 자낭균류 (Ascomycetes), 불완전균류 (Deuteromycetes), 담자균류 (Basidiomycetes) 에 속하는 균에 대하여 우수한 살균력을 갖는다.
본 발명 살균제는 화훼, 잔디, 목초를 포함한 농원예 작물의 재배시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병해의 방제를 위해, 종자 처리, 경엽 산포, 토양 시용 또는 수면 시용 등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탕무 : 갈색무늬점병 (Cercospora beticola), 검은뿌리병 (Aphanomyces cochlloides), 뿌리썩음병 (Thanatephorus cucumeris), 잎썩음병 (Thanatephorus cucumeris) 등
낙화생 : 갈색점무늬병 (Mycosphaerella arachidis), 검은가루병 (Mycosphaerella berkeleyi) 등
오이 : 흰가루병 (Sphaerotheca fuliginea), 노균병 (Pseudoperonospora cubensis), 덩굴마름병 (Mycosphaerella melonis), 덩굴쪼김병 (Fusarium oxysporum),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탄저병 (Colletotrichum orbiculare), 검은별무늬병 (Cladosporium cucumerinum), 갈색점무늬병 (Corynespora cassicola), 묘입고병 (Pythium debaryanam, Rhizoctonia solani Kuhn), 반점 세균병 (Pseudomonas syringae pv.Lecrymans) 등
토마토 :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잎곰팡이병 (Cladosporium fulvum), 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등
가지 :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검은마름병 (Corynespora melongenae),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그을음 곰팡이병 (Mycovellosiella nattrassii) 등
딸기 :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흰가루병 (Sohaerotheca humuli), 탄저병 (Colletotrichum acutatum, Colletotrichum fragariae), 역병 (Phytophthora cactorum) 등
양파 : 회색 부패병 (Botrytis allii),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백반엽고병 (Botrytis squamosa), 노균병 (Peronospora destructor)
양배추 : 뿌리혹병 (Plasmodiophora brassicae), 연부병 (Erwinia carotovora), 노균병 (Peronospora parasitica) 등
강낭콩 :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등
사과 : 흰가루병 (Podosphaera leucotricha), 검은별무늬병 (Venturia inaequalis), 모니리아병 (Monilinia mali), 검은점병 (Mycosphaerella pomi), 부란병 (Valsa mali), 반점 낙엽병 (Alternaria mali), 붉은별병 (Gymnosporangium yamadae), 윤문병 (Botryosphaeria berengeriana), 탄저병 (Glomerella cingulata, Colletotrichum acutatum), 갈색점무늬병 (Diplocarpon mali), 그을음점병 (Zygophiala jamaicensis), 그을음 반점병 (Gloeodes pomigena) 등
감 : 흰가루병 (Phyllactinia kakicola), 탄저병 (Gloeosporium kaki), 모무늬낙엽병 (Cercospora kaki) 등
복숭아 : 잿빛무늬병 (Monilinia fructicola), 검은별무늬병 (Cladosporium carpophilum), 호모프시스 부패병 (Phomopsis sp.) 등
버찌 : 잿빛무늬병 (Monilinia fructicola) 등
포도 :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흰가루병 (Uncinula necator), 만부병 (Glomerella cingulata, Colletotrichum acutatum), 노균병 (Plasmopara viticola), 새눈무늬병 (Elsinoe ampelina), 갈색점무늬병 (Pseudocercospora vitis), 흑부병 (Guignardia bidwellii) 등
배 : 검은별무늬병 (Venturia nashicola), 붉은별무늬병 (Gymnosporangium asiaticum), 흑반병 (Alternaria kikuchiana), 윤문병 (Botryosphaeria berengeriana), 흰가루병 (Phyllactinia mali) 등
차 : 윤문병 (Pestalotia theae), 탄저병 (Colletotrichum theae-sinensis) 등
감귤 : 창가병 (Elsinoe fawcetti), 푸른 곰팡이병 (Penicillium italicum), 초록 곰팡이병 (Penicillium digitatum),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흑점병 (Diaporthe citri), 궤양병 (Xanthomonas campestris pv.Citri) 등
밀 : 흰가루병 (Erysiphe graminis f.sp.Tritici), 붉은 곰팡이병 (Gibberella zeae), 붉은 녹병 (Puccinia recondita), 갈색 설부병 (Pythium iwayamai), 홍색 설부병 (Monographella nivalis), 눈무늬병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잎마름병 (Septoria tritici), 부고병 (Leptosphaeria nodorum), 설부소립균핵병 (Typhula incarnata), 설부대립균핵병 (Myriosclerotinia borealis), 입고병 (Gaeumanomyces graminis) 등
보리 : 반엽 (斑葉) 병 (Pyrenophora graminea), 구름무늬병 (Rhynchosporium secalis), 겉깜부기병 (Ustilago tritici, U.nuda) 등
벼 : 도열병 (Pyricularia oryzae), 문고병 (Rhizoctonia solani), 키다리병 (Gibberella fujikuroi), 깨씨무늬병 (Cochliobolus niyabeanus), 묘입고병 (Pythium graminicolum), 백엽고병 (Xanthomonas oryzae), 벼입고 세균병 (Burkholderia plantarii), 갈조병 (Acidovorax avenae), 벼알마름 세균병 (Burkholderia glumae)
담배 :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등
튤립 : 회색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등
벤트그래스 : 설부대립균핵병 (Sclerotinia borealis), 적소병 (Pythium aphanidermatum) 등
오처드그래스 : 흰가루병 (Erysiphe graminis) 등
대두 : 자반병 (Cercospora kikuchii), 노균병 (Peronospora Manshurica), 줄기 역병 (Phytophthora sojae) 등
감자 : 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등의 방제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살균제는 내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살균 효과를 갖는다. 내성균으로는, 티오파네이트메틸, 베노밀, 카르벤다짐 등의 벤즈이미다졸계 살균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회색 곰팡이 병균 (Botrytis cinerea) 이나 사탕무 갈색점무늬 병균 (Cercospora beticola), 사과 검은별무늬 병균 (Venturia inaequalis), 배 검은별무늬 병균 (Venturia nashicola); 디카르복시이미드계 살균제 (예를 들어, 빈크로졸린, 프로시미돈, 이프로디온) 에 내성을 나타내는 회색 곰팡이 병균 (Botrytis cinere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살균제의 적용이 보다 바람직한 병해로는, 사과의 검은별무늬병, 오이의 회색 곰팡이병, 밀의 흰가루병, 토마토의 역병, 밀의 붉은 녹병, 벼의 도열병, 오이의 덩굴쪼김병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 살균제는 약해가 적고, 어류나 온혈 동물에 대한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 높은 약제이다.
본 발명 살균제는 농약으로서 취할 수 있는 형태, 즉, 수화제, 입제, 분말제, 유제, 수용제, 현탁제, 과립 수화제 등의 농약 제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고체의 제제에 사용하는 첨가제 및 담체로는, 대두분, 소맥분 등의 식물성 분말, 규조토, 인회석, 석고, 탤크, 벤토나이트, 파이로필라이트, 클레이 등의 광물성 미분말, 벤조산소다, 우레아, 망초 등의 유기 및 무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액체의 제제에 이용되는 용제로는, 케로신, 자일렌 및 석유계의 방향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사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알코올, 아세톤, 트리클로로에틸렌, 메틸이소부틸케톤, 광물유, 식물유, 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제제에 있어서 균일하고 또한 안정된 형태를 취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소르비탄 고급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킬페닐에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고급 알코올의 황산에스테르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폴리카르복실산염, 리그닌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화제, 유제, 플로어블제, 수용제 혹은 과립 수화제는 물로 소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용해액, 현탁액 혹은 유탁액으로서 식물에 산포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또, 분제ㆍ입제는 그대로 식물에 산포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 살균제 중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량은, 통상 제제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85 중량% 이다.
본 발명 살균제의 시용량은 기상 조건, 제제 형태, 시용 시기, 시용 방법, 시용 장소, 방제 대상 병해, 대상 작물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 1 헥타르당 유효 성분 화합물량으로 하여 1 ? 1,000 g, 바람직하게는 10 ? 100 g 이다.
수화제, 유제, 현탁제, 수용제, 과립 수화제 등을 물로 희석하여 시용하는 경우, 그 시용 농도는 1 ? 1000 ppm, 바람직하게는 10 ? 250 ppm 이다.
본 발명 살균제에는, 다른 살균제, 살충ㆍ살진드기제, 공력제를 혼합할 수 있다.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식물 생장 조절제의 대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살균제 :
베노밀, 카르벤다짐, 프베리다졸,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등의 벤조이미다졸계;
클로졸리네이트,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크로졸린 등의 디카르복시이미드계;
이마잘릴, 옥스포코나졸, 페푸라조에이트, 프로클로라즈,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피리페녹스, 페나리몰, 누아리몰, 아자코나졸, 비텔타놀, 브롬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에폭시코나졸, 펜브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홀, 헥사코나졸, 이미벤코나졸, 이프코나졸, 메트코나졸, 미크로부타닐, 펜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티코나졸, 에타코나졸, 퍼코나졸시스, 이프코나졸, 이미벤코나졸 등의 DMI-살균제;
베나락실, 플라락실, 메타락실, 메타락실-M, 옥사딕실, 오프레이스 등의 페닐아미드계;
알디모르프, 도데모르프, 펜프로피모르프, 트리데모르프, 펜프로피딘, 피페랄린, 스피로옥사민 등의 아민계;
EDDP, 이프로벤포스, 피라조포스 등의 포스포로티올레이트계;
이소프로티올란 등의 디티올란계;
베노다닐, 보스칼리드, 카르복신, 펜푸란, 플루톨라닐, 플라메토필,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펜티오피라드, 티플루자미드 등의 카르복사미드;
부피리메이트, 디메티리몰, 에티리몰 등의 하이드록시-(2-아미노)피리미딘;
시프로지닐,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등의 AP 살균제 (아닐리노피리미딘);
디에토펜카르브 등의 N-페닐카르바메이트; 아족시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크로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자스트로빈, 파목사돈, 플루옥사스트로빈, 펜아미돈, 메토미노펜, 피리벤카르브 등의 QoI-살균제 (Qo 저해제);
펜피코닐, 플루디옥소닐 등의 PP 살균제 (페닐피롤);
퀴녹사펜 등의 퀴놀린계;
비페닐, 클로로네브, 디클로란, 퀸토젠, 테크나젠, 톨크토포스-메틸 등의 AH 살균제 (방향족 탄화수소);
프사라이드, 피로퀼론, 트리시크라졸 등의 MBI-R;
카르프로파미드, 디클로시메트, 페녹사닐 등의 MBI-D;
펜헥사미드, 피리부티카르브, 타비나핀 등의 SBI 제;
펜시크론 등의 페닐우레아;
시아조파미드 등의 QiI-살균제 (Qi 저해제);
족사미드 등의 벤즈아미드;
블라스트사이딘, 밀디오마이신 등의 에노피란우론;
카스가마이신 등의 헥소피라노실;
스트렙토마이신, 바리다마이신 등의 글루코피라노실;
시목사닐 등의 시아노아세트아미드;
프로파모카르브, 프로티오카르브, 폴리카바메이트 등의 카바메이트;
비나파크릴, 디노캡, 페림존, 플루아지남 등의 탈공액제;
아세트산트리페닐주석, 염화트리페닐주석, 수산화트리페닐주석 등의 유기 주석 화합물;
아인산, 트리클로포스메틸, 포세틸 등의 인산에스테르;
테크로프탈람 등의 프탈아미드산;
트리아족사이드 등의 벤조트리아진;
플루술파미드 등의 벤젠술폰아미드;
디크로메진 등의 피리다지논;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벤티아발리카르브, 이프로발리카르브, 만지프로파미드 등의 CAA 살균제 (카르복실산아미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테트라사이클린;
메타술포카르브 등의 티오카바메이트;
에트리디아졸, 폴리옥신, 옥소리닉산, 하이드록시이소옥사졸, 옥티놀린, 실티오팜, 디플루메토림, 아시벤조랄 S 메틸, 프로베나졸, 티아지닐, 에타복삼, 시플루페나미드, 프로퀴나지드, 메트라페논, 플루오피콜라이드, 수산화제이구리, 유기 구리, 황, 파밤, 만제브, 만네브, 메티람, 프로피네브, 티우람, 지네브, 지람, 캡탄, 켑타폴, 폴펫, 클로로탈로닐, 디클로플루아니드, 톨릴플루아니드, 도딘, 구아자틴, 이미노쿠타진, 아닐라진, 디티아논, 클로로피크린, 다조메트, 메탐나트륨염, 퀴노메티오네이트, 시프로프람, 실티오팜, 아그로박테리움, 플루오르이미드 등의 그 밖의 화합물.
살충ㆍ살진드기제 :
유기 인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
펜티온, 페니트로티온, 다이아지논, 클로르피리포스, ESP, 바미도티온, 펜토에이트, 디메토에이트, 포르모티온, 말라손, 트리클로르폰, 티오메톤, 포스메트, 디클로르보스, 아세페이트, EPBP, 메틸파라티온, 옥시디메톤메틸, 에티온, 살리티온, 시아노포스, 이속사티온, 피리다펜티온, 포사론, 메티다티온, 술프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디메틸빈포스, 프로파포스, 이소펜포스, 에틸티오메톤, 프로페노포스, 피라클로포스, 모노크로토포스, 아진포스메틸, 알디카르브, 메소밀, 티오디카르브, 카르보푸란, 카르보술판, 벤푸라카르브, 푸라티오카르브, 프로폭술, BPMC, MTMC, MIPC, 카르바릴, 피리미카브, 에티오펜카르브, 페녹시카르브, EDDP 등.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 :
페르메트린, 시페르메트린, 델타메트린, 펜발레레이트, 펜프로파트린, 피레트린, 알레트린, 테트라메트린, 레스메트린, 디메트린, 프로파트린, 페노트린, 프로트린, 플루발리네이트, 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플루시트리네이트, 에토펜프록스, 시클로프로트린, 트롤라메트린, 시라플루오펜, 브로펜프록스, 아크리나트린 등.
벤조일우레아계 그 밖의 살충제;
디플루벤주론, 클로르플루아주론, 헥사플루무론, 트리플루무론, 테트라벤주론, 플루페녹수론, 플루시클록수론, 부프로페진,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 벤조에핀, 디아펜티우론, 아세타미프리드, 이미다크로프리드, 니텐피람, 피프로닐, 카르탑, 티오사이클람, 벤술탑, 황산니코틴, 로테논, 메타알데히드, 기계유, BT 나 곤충병원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 농약 등.
살선충제 :
페나미포스, 포스티아제이트 등.
살진드기제 :
클로르벤질레이트, 페니소브로모레이트, 지코홀, 아미트라즈, BPPS, 벤조메이트, 헥사티아족스, 산화펜부타주석, 폴리낙틴, 퀴노메티오네이트, CPCBS, 테트라디폰, 아베르멕틴, 밀베멕틴, 클로펜테진, 시헥사틴, 피리다벤, 펜피록시메이트, 테부펜피라드, 피리미디펜, 페노티오카르브, 디에노클로르 등.
식물 생장 조절제 :
아부시딘산, 인돌부티르산, 우니코나졸, 에티클로제이트, 에테폰, 클로시포낙, 클로르메쿼트, 클로렐라 추출액, 과산화칼슘, 시아나미드, 디클로르프롭, 지베렐린, 다미노지드, 데실알코올, 트리넥사팍에틸, 메피쿼트클로라이드, 파크로부토라졸, 파라핀, 왁스, 피페로닐부톡사이드, 피라플루펜에틸, 플루르프리미돌, 프로하이드로자스몬, 프로헥사디온칼슘염, 벤질아미노푸린, 펜디메타린, 포클로르페누론, 말레산히드라지드칼륨, 1-나프틸아세트아미드, 4-CPA, MCPB, 콜린, 황산옥시퀴놀린, 에티클로제이트, 부트랄린, 1-메틸시클로프로펜, 아비글리신염산염.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의 화합물 번호는 표 중의 화합물 번호에 대응하고 있다.
실시예 1
4,4-디메틸-1-(3-퀴놀리닐)-4,5-디하이드로-3H-2-벤즈아제핀 (화합물 번호 B2-3) 의 합성
(공정 1)
비특허문헌 1 ? 3 의 기재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에 따라서 합성된 4,4-디메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조아제핀-1-온 (0.30 g, 1.59 mmol) 에 옥시염화인 5 mL 와 오염화인 (0.33 g, 1.59 mmol) 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그 후 5.5 시간 가열 환류했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냉수에 부어서 첨가했다. 수층을 아세트산에틸 50 mL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및 포화 중조수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1-클로로-4,4-디메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조아제핀-1-온의 미정제 생성물을 얻었다. 이 미정제 생성물은 더 이상 정제를 행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이용했다.
(공정 2)
3-퀴놀린붕소산 (0.22 g, 1.27 mmol) 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 에 용해하고, 탄산세슘 (1.23 g, 3.78 mol) 및 물 2 mL 를 첨가했다. 질소 치환한 후, 이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30 g, 0.26 mmol) 및 공정 1 에서 얻어진 1-클로로-4,4-디메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조아제핀-1-온의 미정제 생성물을 전량 첨가했다. 이 용액을 90 ℃ 에서 14 시간 가열 교반했다. 그 후,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아세트산에틸 50 mL 와 물 50 mL 에 부어서 첨가하고, 세라이트 여과를 행했다. 여과액을 아세트산에틸 100 mL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 50 mL 로 세정하고, 그리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아세트산에틸 = 2 : 1) 로 정제하여 목적물 (0.04 g, 수율 8.4 %) 을 얻었다.
[화학식 19]
Figure pct00021
실시예 2
5,5-디메틸-1-(3-퀴놀리닐)-4,5-디하이드로-3H-2-벤즈아제핀 (화합물 번호 B2-25) 의 합성
(공정 1)
5,5-디메틸-2,3,4,5-테트라하이드로-1H-2-벤조아제핀-1-온 (4.0 g, 21.2 mmol) 을 염화메틸렌 100 mL 에 용해하고, -10 ℃ 냉각하, 무수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9.0 g, 31.7 mmol) 을 적하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1 시간 교반했다. -10 ℃ 냉각하, 반응 용액에 2,6-루티딘 (3.4 g, 31.7 mmol) 을 첨가하여 1 시간 더 교반했다. 그 후, 반응액을 얼음물에 붓고, 이어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이어서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벤젠) 로 정제하여,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5,5-디메틸-1-(3-퀴놀리닐)-4,5-디하이드로-3H-2-벤즈아제핀-1-일 에스테르 (1.38 g, 수율 20 %) 를 얻었다.
(공정 2)
실시예 9 의 방법으로 합성한 3-퀴놀린붕소산트리올염 (화합물 번호 C2-12) (0.46 g, 1.56 mmol),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5,5-디메틸-1-(3-퀴놀리닐)-4,5-디하이드로-3H-2-벤즈아제핀-1-일 에스테르 (0.5 g, 1.56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86 g, 0.31 mmol) 을 톨루엔 5 mL 에 첨가했다. 질소 치환한 후, 반응 용액을 14 시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얼음물에 붓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전개 용매; 헥산 : 아세트산에틸 = 3 : 1) 로 정제하여 목적물 (0.06 g, 수율 13 %) 을 얻었다.
[화학식 20]
Figure pct00022
실시예 3
2,3-디하이드로-5-(3-퀴놀리닐)-1H-1,4-벤조디아제핀 (화합물 번호 B1-1) 의 합성
3-(2-브로모벤조일)퀴놀린 (10.30 g, 33.0 mmol) 을 에틸렌디아민 100 mL 에 첨가하여, 100 ℃ 에서 18 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그 후, 포화 중조수에 붓고, 이어서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2 회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클로로포름 : 메탄올 = 9 : 1) 로 정제하여 목적물 (1.19 g, 수율 13 %) 을 얻었다.
[화학식 21]
Figure pct00023
실시예 4
1-아세틸-2,3-디하이드로-5-(3-퀴놀리닐)-1H-1,4-벤조디아제핀 (화합물 번호 B1-13) 의 합성
2,3-디하이드로-5-(3-퀴놀리닐)-1H-1,4-벤조디아제핀 (0.20 g, 0.73 mmol) 을 10 mL 의 염화메틸렌에 용해하고, 무수아세트산 (0.1 mL, 1.1 mmol), 피리딘 (0.18 mL, 2.2 mmol)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14 시간 가열 환류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0.5 N 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식염수, 포화 중조수로 세정하고, 이어서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클로로포름 : 메탄올 = 9 : 1) 로 정제하여 목적물 (0.17 g, 수율 75 %) 을 얻었다.
실시예 5
2,3-디하이드로-1-이소프로필-5-(3-퀴놀리닐)-1H-1,4-벤조디아제핀 (화합물 번호 B1-37) 의 합성
2,3-디하이드로-5-(3-퀴놀리닐)-1H-1,4-벤조디아제핀 (0.12 g, 0.44 mmol) 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mL 에 용해하고, 요오드화이소프로필 (0.11 g, 0.65 mmol) 및 탄산칼륨 (0.10 g, 0.72 mmol) 을 첨가하여, 100 ℃ 에서 48 시간 교반했다. 반응액에 요오드화이소프로필 (0.22 g, 1.29 mmol) 및 탄산칼륨 (0.20 g, 1.45 mmol) 을 첨가하고, 그 후 100 ℃ 에서 14 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냉수에 붓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클로로포름 : 아세트산에틸 = 7 : 3) 로 정제하여 목적물 (0.012 g, 수율 8.7 %) 을 얻었다.
실시예 6
5-(3-퀴놀리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2-온 (화합물 번호 B4-1) 의 합성
(2-아미노페닐)-퀴놀린-3-일-메타논 (0.12 g, 0.48 mmol) 의 염화메틸렌 용액 6 mL 에 N-Boc-glycine (84.7 mg, 0.48 mmol) 및 EDCI HCl (92.6 mg, 0.48 mmol) 을 질소 분위기하에 0 ℃ 에서 첨가하여, 실온으로 승온시키면서 45 시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100 mL 와 물 50 mL 의 용액에 붓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 100 mL 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 50 mL 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여과,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를 행하여, 엷은 황색의 아모르퍼스상의 {[2-(퀴놀린-3-카르보닐)-페닐카르바모일]-메틸}-카르밤산 tert-부틸에스테르 (0.07 g, 수율 36 %) 를 얻었다. 이 화합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mL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6 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100 mL, 포화 중조수 50 mL 와 물 50 mL 의 혼합 용액에 붓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 100 mL 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 50 mL 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여과,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에탄올 10 mL 에 녹이고, 아세트산 0.5 g 을 첨가하여 30 분간 가열 환류를 행했다. 반응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100 mL, 포화 중조수 50 mL 와 물 50 mL 의 혼합 용액에 붓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 100 mL 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 50 mL 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여과를 행하고,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하여, 엷은 황색의 아모르퍼스상의 표제 화합물 (0.03 g, 수율 61 %) 을 얻었다.
실시예 7
1-메틸-5-(3-퀴놀리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2-온 (화합물 번호 B4-9)
5-(3-퀴놀리닐)-1,3-디하이드로-2H-1,4-벤조디아제핀-2-온 (0.30 g, 1.04 mmol) 의 THF 용액 25 mL 에 60 % 수소화나트륨 (62.8 mg, 1.57 mmol) 을 0 ℃ 에서 첨가하여, 그 온도에서 20 분간 교반했다. 요오드화메틸 (0.18 g, 1.25 mmol) 을 첨가하여 실온까지 승온시키고, 12 시간 더 교반했다. 반응 용액에 물 20 mL 를 천천히 첨가하고, 반응을 정지시키고,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50 mL 로 2 회 추출하여 추출된 유기층을 혼합하고, 이어서 포화 식염수 50 mL 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여과,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를 행하여, 엷은 황색의 아모르퍼스로서 표제 화합물 (0.17 g, 수율 53 %) 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등에 나타낸 방법과 동일한 수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을 표 (3) ? 표 (14) 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tBu 는 t-부틸기, Bn 은 벤질기, iPr 은 i-프로필기, Ac 는 아세틸기, nPr 은 n-프로필기, Ph 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일부에 관한 물성 및 1H-NMR 데이터를 표 (15) 에 나타낸다. 표 (15) 중의 화합물 번호는 상기 표에 나타낸 것에 대응한다.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제조 중간체의 합성)
실시예 8
8-플루오로-3-퀴놀린붕소산 (화합물 번호 C1-1)
질소 가스로 치환한 300 mL 의 플라스크에 무수의 THF 용액 130 mL 를 시린지로 첨가하고 반응 용기를 염-빙욕으로 냉각시켰다. 그 후, 0.91 M n-BuMgCl (20.72 mL, 18.86 mmol) 의 THF 용액 및 2.63 M n-BuLi (14.73 mL, 38.74 mmol) 의 헥산 용액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이 온도에서 30 분간 교반했다. 이 용액에 8-플루오로-3-요오도퀴놀린 (13.92 g, 50.98 mmol) 을 고체인 채로 첨가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 붕산트리메틸 (6.36 g, 61.18 mmol) 을 첨가하여 2 시간 더 교반했다. 이 반응 용액에 물 27.8 g, 1 M NaOH 수용액 27.8 g 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30 분간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1 M HCl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를 6 ? 7 로 조정하고, 이 용액을 아세트산에틸 300 mL 로 2 회 추출했다. 추출된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 식염수 100 mL 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했다. 얻어진 잔사를 헥산, 디에틸에테르로 순차적으로 세정함으로써 베이지색의 고체형의 목적물 (8.89 g, 수율 91 %) 을 얻었다. 반응에 이용하는 8-플루오로-3-요오도퀴놀린은 비특허문헌 9 와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조제했다.
물성 : mp 198-201 ℃
실시예 9
3-퀴놀린붕소산트리올염 (화합물 번호 C2-12)
톨루엔 50 mL 에, 3-퀴놀린붕소산 (8.65 g, 50 mmol), 1,1,1-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에탄 (6.0 g, 50 mmol) 을 첨가하여 가열 환류를 1 시간 행했다. 반응액을 50 ℃ 까지 냉각시킨 후, 수산화칼륨 (2.66 g, 47.5 mmol) 을 서서히 첨가하고, 딘 스타크 장치로 탈수를 행하면서 4 시간 더 가열 환류를 행했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석출한 결정을 여과 채취하고, 톨루엔 50 mL, 아세톤 20 mL 로 순차적으로 세정을 행하고, 감압하에서 12 시간 건조시켜, 목적물로 하는 트리올염 (10.4 g, 수율 71 %) 을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 δ0.53 (s, 3H), 3.66 (s, 6H), 7.37-7.56 (m, 2H), 7.73-7.85 (m, 2H), 8.13 (s, 1H), 8.83 (d, 1H, J = 1.5 Hz)
실시예 10
동일한 방법으로 화합물 번호 C2-4 의 화합물을 제조했다.
1H NMR (300 MHz, DMSO) δ0.54 (s, 3H), 3.69 (s, 6H), 7.25-7.40 (m, 2H), 7.56-7.59 (m, 1H), 8.16 (s, 1H), 8.93 (s, 1H)
(제제)
다음으로, 본 발명 살균제의 실시예를 약간 나타내지만, 첨가물 및 첨가 비율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광범위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제 실시예 중의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제 실시예 1 수화제
본 발명 화합물 40 부
클레이 48 부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염 4 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염 8 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미세하게 분쇄하여, 유효 성분 40 % 의 수화제를 얻는다.
제제 실시예 2 유제
본 발명 화합물 10 부
솔베소 200 53 부
시클로헥사논 26 부
도데실벤젠술폰산칼슘염 1 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10 부
이상을 혼합 용해하여, 유효 성분 10 % 의 유제를 얻는다.
제제 실시예 3 분제
본 발명 화합물 10 부
클레이 90 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미세하게 분쇄하여, 유효 성분 10 % 의 분제를 얻는다.
제제 실시예 4 입제
본 발명 화합물 5 부
클레이 73 부
벤토나이트 20 부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염 1 부
인산칼륨 1 부
이상을 잘 분쇄 혼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잘 이겨서 합한 후, 조립 (造粒) 건조시켜 유효 성분 5 % 의 입제를 얻는다.
제제 실시예 5 현탁제
본 발명 화합물 10 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4 부
폴리카르복실산나트륨염 2 부
글리세린 10 부
잔탄검 0.2 부
물 73.8 부
이상을 혼합하고, 입도가 3 마이크론 이하가 될 때까지 습식 분쇄하여, 유효 성분 10 % 의 현탁제를 얻는다.
제제 실시예 6 과립 수화제
본 발명 화합물 40 부
클레이 36 부
염화칼륨 10 부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염 1 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염 8 부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염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5 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미세하게 분쇄후, 적량의 물을 첨가하고 나서 이겨 넣어 점토상으로 한다. 점토상물을 조립한 후 건조시켜, 유효 성분 40 % 의 과립 수화제를 얻는다.
(시험예 1) 사과 검은별무늬병 방제 시험
질그릇 포트에서 재배한 사과 유묘 (품종 「쿠니미츠」, 3 ? 4 엽기) 에, 본 발명 화합물의 유제를 유효 성분 100 ppm 의 농도로 산포하였다.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킨 후, 사과 검은별무늬 병균 (Venturia inaequalis) 의 분생 포자를 접종하고, 명암을 12 시간마다 반복하는 20 ℃, 고습도의 실내에 2 주간 유지했다. 잎 위의 병반 출현 상태를 무처리와 비교 조사하여, 방제 효과를 구했다.
화합물 번호 A1-52, A1-53, A1-54, B1-21, B1-22, B1-28, B1-35, B1-43, B1-44, B1-47, B1-50, B2-1, B2-3, B2-11, B2-12, B2-15, B2-18, B2-19, B2-25, B2-26, B2-27, B2-28, B2-29, B2-30, B2-32, B6-17, B7-22 및 B8-22 의 화합물에 관해 사과 검은별무늬병 방제 시험을 행했다. 모든 화합물이 75 %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시험예 2) 오이 회색 곰팡이병 방제 시험
질그릇 포트에서 재배한 오이 유묘 (품종 「사가미한파쿠」, 자엽기) 에, 본 발명 화합물의 유제를 유효 성분 100 ppm 의 농도로 산포하였다.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킨 후, 오이 회색 곰팡이 병균 (Botrytis cinerea) 의 분생 포자 현탁액을 적하 접종하고, 어두운 곳, 20 ℃, 고습도의 실내에 4 일간 유지했다. 잎 위의 병반 출현 상태를 무처리와 비교 조사하여, 방제 효과를 구했다.
화합물 번호 A1-52, A1-53, A1-54, B1-6, B1-21, B1-22, B1-28, B1-36, B1-37, B1-38, B1-42, B1-43, B1-44, B1-45, B1-46, B1-47, B1-48, B1-49, B1-50, B2-1, B2-3, B2-11, B2-12, B2-15, B2-18, B2-19, B2-25, B2-26, B2-27, B2-28, B2-29, B2-30, B2-32, B6-17, B7-22 및 B8-22 의 화합물에 관해 오이 회색 곰팡이병 방제 시험을 행했다. 모든 화합물이 75 %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은 효과가 확실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원예용 살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신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농원예용 살균제는 우수한 방제 효과를 가지며, 식물체에 약해를 발생시키지 않고, 인축어류에 대한 독성이나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은 약제이다.
또, 본 발명의 붕소산 유도체는 본 발명의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등의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식 (I) 로 나타내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pct00045

    (식 (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R1 과 R2 는,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5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R3 과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R5 와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식 (I) 중의 부분 구조 A1-A2 는 이하의 식 (A) ? 식 (D) 중의 어느 것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46

    (각 식 중, *a 는 식 (I) 의 벤젠 고리의 C1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각 식 중, *b 는 식 (I) 의 피리딘 고리의 C3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각 식 중, *c 는 식 (I) 의 CR3R4 의 탄소와의 결합을 나타낸다.
    식 (B) 중, R7 은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식 (B) 중, R8 은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를 나타낸다)
    Y 는 술포닐기, NR9 로 나타내는 기, 또는 CR10R11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R9 는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3 ? R6 및 R9 에서 복수를 선택하여,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3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또, R3 ? R6 및 R10 ? R11 에서 복수를 선택하여, 하나가 되어 각각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3 ? 8 원자 고리를 형성해도 된다.
    또, R3 과 R4, R5 와 R6, 또는 R10 과 R11 은 하나가 되어, 옥소기, 티옥소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이미노기, 또는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엑소메틸렌기를 형성해도 된다.
    X 및 X' 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8 시클로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4 ? 8 시클로알케닐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6 ? 10 아릴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 고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아실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1-이미노) C1 ? 8 알킬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수산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비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메르캅토기, 치환기를 갖는 술포닐기, 할로게노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m 은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2 중의 어느 정수이다.
    n 은 X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4 중의 어느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상기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 식 (II) 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3]
    Figure pct00047

    (식 (II) 중, 부분 구조 A1-A2, X, X', n, R3 ? R6 및 Y 는 제 1 항의 기재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p 는 X' 의 개수를 나타내고 또한 0 ? 6 중의 어느 정수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상기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이 식 (III) 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4]
    Figure pct00048

    (식 (III) 중, X, X', n, p, R3 ? R6 및 Y 는 제 2 항의 기재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농원예용 살균제.
KR1020127007382A 2009-09-28 2010-09-22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 그리고 농원예용 살균제 KR101435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23525 2009-09-28
JP2009223525 2009-09-28
JPJP-P-2010-021583 2010-02-02
JP2010021583 2010-02-02
PCT/JP2010/066384 WO2011037128A1 (ja) 2009-09-28 2010-09-22 含窒素ヘテロ環化合物およびその塩ならびに農園芸用殺菌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690A true KR20120048690A (ko) 2012-05-15
KR101435729B1 KR101435729B1 (ko) 2014-09-01

Family

ID=4379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382A KR101435729B1 (ko) 2009-09-28 2010-09-22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그의 염, 그리고 농원예용 살균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2024B2 (ko)
EP (1) EP2484672B1 (ko)
JP (1) JP5442021B2 (ko)
KR (1) KR101435729B1 (ko)
WO (1) WO2011037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472A (ja) * 2010-02-09 2011-08-25 Nippon Soda Co Ltd 含窒素ヘテロ環化合物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農園芸用殺菌剤
US9249161B2 (en) 2010-12-02 2016-02-02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Bromodomain inhibitors and uses thereof
AR084070A1 (es) 2010-12-02 2013-04-17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l bromodominio y usos de los mismos
US9422292B2 (en) 2011-05-04 2016-08-23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Bromodomain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P2721031B1 (en) 2011-06-17 2016-01-20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Bromodomain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P2864336B1 (en) 2012-06-06 2016-11-23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Benzo[b]isoxazoloazepine bromodomain inhibitors and uses thereof
TWI602820B (zh) 2012-06-06 2017-10-21 星宿藥物公司 溴域抑制劑及其用途
EA201590356A1 (ru) * 2012-08-16 2015-07-30 Байер Фарма Акциенгезельшафт 2,3-бензодиазепины
CA2952830C (en) 2014-06-20 2022-11-01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ne forms of 2-((4s)-6-(4-chlorophenyl)-1-methyl-4h-benzo[c]isoxazolo[4,5-e]azepin-4-yl)acetamide
US11064697B2 (en) * 2015-07-24 2021-07-20 Basf Se Pyridine compounds useful for combating phytopathogenic fungi
WO2024104818A1 (en) * 2022-11-16 2024-05-23 Basf Se Substituted benzodiazepines as fungicides
WO2024104822A1 (en) * 2022-11-16 2024-05-23 Basf Se Substituted tetrahydrobenzodiazepine as fungicides
WO2024104815A1 (en) 2022-11-16 2024-05-23 Basf Se Substituted benzodiazepines as fungicid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7131A1 (en) * 1991-10-10 1993-04-15 Merck Sharp & Dohme Limited Benzodiazep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agonists of cholecystokinin and/or gastrin receptors
IL104853A (en) * 1992-02-27 1997-11-20 Yamanouchi Pharma Co Ltd Benzodiazepi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IL108633A (en) * 1993-02-15 1998-07-15 Wellcome Found History of Benzothiazepine Hypolipidemic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IL108634A0 (en) 1993-02-15 1994-05-30 Wellcome Found Hypolipidaemic heterocyclic compounds, their prepat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755394A1 (en) 1994-04-15 1997-01-29 Glaxo Wellcome Inc. A method of inducing cholecystokinin agonist activity using 1,4-benzodiazepine compounds
JP3865829B2 (ja) 1995-09-21 2007-01-10 株式会社医薬分子設計研究所 レチノイド作用増強性化合物
WO1997011061A1 (fr) 1995-09-21 1997-03-27 Nikken Chemicals Co., Ltd. Composes a potentialisation de retinoide
DK0944628T3 (da) 1996-11-26 2002-08-26 American Cyanamid Co Hetero-biaryl-pyridoquinazolinonderivater som anti-cancermidler
AU2003288352A1 (en) 2002-10-30 2004-06-07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preparation and uses
AU2003291006A1 (en) 2002-11-22 2004-06-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Preparation of aryl intermediates compounds using trialkylmagnesate reagents
US7625932B2 (en) 2003-10-08 2009-12-01 Eli Lilly And Company Pyrrole and pyrazole derivatives as potentiators of glutamate receptors
CA2554187C (en) 2004-01-23 2012-04-03 Sankyo Agro Company, Limited 3-(dihydro(tetrahydro)isoquinolin-1-yl)quinolines compound
US7908040B2 (en) 2004-07-15 2011-03-15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earch by distributed elements
WO2006047888A1 (en) 2004-11-05 2006-05-11 Mark Lautens 2-substituted indoles, their precursors and novel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06089298A2 (en) 2005-02-18 2006-08-24 Attenuon, Llc Pyrimidine-fused diazepine derivatives and indole-fused pteridines
WO2007011022A1 (ja) 2005-07-22 2007-01-25 Sankyo Agro Company, Limited 3-(イソキノリン-1-イル)キノリン誘導体
GB0519758D0 (en) 2005-09-28 2005-11-09 Glaxo Group Ltd Novel process
US8367664B2 (en) 2006-01-24 2013-02-05 Allergan, Inc. Substituted 3-(5-membered unsaturated heterocyclyl-1, 3-dihydro-indol-2-one's and derivatives thereof as kinase inhibitors
WO2008048648A2 (en) 2006-10-17 2008-04-24 Acadia Pharmaceuticals Inc. Cb1-modulating compounds and their use
US8557738B2 (en) * 2008-08-12 2013-10-15 Nippon Soda Co., Ltd.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derivative and fungicide for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37128A1 (ja) 2013-02-21
KR101435729B1 (ko) 2014-09-01
EP2484672A1 (en) 2012-08-08
EP2484672A4 (en) 2013-03-06
US20120184732A1 (en) 2012-07-19
EP2484672B1 (en) 2015-07-15
US9062024B2 (en) 2015-06-23
JP5442021B2 (ja) 2014-03-12
WO2011037128A1 (ja)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6177B2 (ja) ボロ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442021B2 (ja) 含窒素ヘテロ環化合物およびその塩ならびに農園芸用殺菌剤
KR101430842B1 (ko)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농원예용 살균제
JP5281647B2 (ja) 含窒素ヘテロ環化合物およびその塩並びに農園芸用殺菌剤
KR101568919B1 (ko) 함질소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농원예용 살균제
JP2011148714A (ja) 病害防除方法
JP6413200B2 (ja) アミノピリジン誘導体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5261482B2 (ja) 含窒素ヘテロ環誘導体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2014221747A (ja) 含窒素ヘテロ環化合物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5254436B2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及び農園芸用殺菌剤
KR20150022985A (ko) 피리딘 화합물 및 농원예용 살균제
JP2011162472A (ja) 含窒素ヘテロ環化合物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農園芸用殺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