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859A -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859A
KR20120046859A KR1020100106506A KR20100106506A KR20120046859A KR 20120046859 A KR20120046859 A KR 20120046859A KR 1020100106506 A KR1020100106506 A KR 1020100106506A KR 20100106506 A KR20100106506 A KR 20100106506A KR 20120046859 A KR20120046859 A KR 2012004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ap
holder
cosmetic container
typ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574B1 (ko
Inventor
이성환
정병운
Original Assignee
이성환
(주)유니팩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환, (주)유니팩 코리아 filed Critical 이성환
Priority to KR10201001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5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는, 원통형의 챔버와, 챔버의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그 내주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기어와, 고정기어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양 단부에는 제1홀더회전키 및 제2홀더회전키가 각각 형성되어 챔버의 외부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홀더와, 챔버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홀더회전키 및 제2홀더회전키와 맞물려서 보호홀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캡회전키를 각각 구비하는 제1캡 및 제2캡과, 보호홀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보호홀더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회전기어를 구비하는 내용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기어는, 가이드홈을 통해 보호홀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내부나사산과 결합하며 가이드홈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되는 회전돌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DUAL TYP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회전에 의해 용기의 양 방향으로 내용물을 돌출시킬 수 있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lipstick)은 뚜껑을 연 후 아래 부분을 회전시켜서 내용물을 돌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최근에는 립스틱 뿐만 아니라 립 밤(lip balm) 등도 립스틱과 마찬가지로 뚜껑을 연 후 아래 부분을 회전시켜서 내용물을 돌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내용물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입술 등에 바르기 쉽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립스틱 또는 립 밤 등은 하나의 용기에 한 가지 종류의 내용물(립스틱 또는 립밤)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개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립스틱 또는 립 밤 등은 휴대용으로 많이 이용되는데, 다양한 종류의 립스틱 또는 립 밤 등을 휴대할 경우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화장품 용기의 양 방향에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돌출될 수 있는 듀얼 타입(dual type)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 타입의 구조는 부품 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 및 휴대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 수가 적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부피가 적은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밀폐형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는, 원통형의 챔버와, 챔버의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그 내주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기어와, 고정기어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양 단부에는 제1홀더회전키 및 제2홀더회전키가 각각 형성되어 챔버의 외부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홀더와, 챔버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홀더회전키 및 제2홀더회전키와 맞물려서 보호홀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캡회전키를 각각 구비하는 제1캡 및 제2캡과, 보호홀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보호홀더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회전기어를 구비하는 내용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기어는, 가이드홈을 통해 보호홀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내부나사산과 결합하며 가이드홈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되는 회전돌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챔버는, 제1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챔버와, 제1챔버와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제2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의 양 단부에는 원형의 제1챔버회전돌기 및 제2챔버회전돌기가 내향 돌출되어 있고, 보호홀더의 양 단부 둘레에는 제1챔버회전돌기 및 제2챔버회전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보호홀더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챔버회전돌기는 제1탄성편에 형성되어 있고, 제2챔버회전돌기는 제2탄성편에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부는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포함하고, 가이드홈은, 제1내용물이 상하로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제1구간과, 제2내용물이 상하로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제2구간과, 제1구간 및 제2구간의 양 단부에서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연결하는 공회전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돌기가 공회전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제1캡 또는 제2캡의 회전에 의해 보호홀더는 회전함에 반해 회전기어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구간 및 제2구간의 단부에는 회전돌기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1걸림단부 및 제2걸림단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어의 양 단부에는 제1내용물을 고정하는 제1콘 및 제2내용물을 고정하는 제2콘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회전돌기는 회전탄성편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캡의 내부에는 제1패킹부재가 삽입되고, 제2캡의 내부에는 제2패킹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품 수가 적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부피가 적은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밀폐형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서, 제1캡 및 제2캡을 각각 개방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서 제1캡 및 제2캡 그리고 제1패킹부재 및 제2패킹부재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서 제1챔버 및 제2챔버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서 보호홀더 및 고정기어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서 내용물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예시된 내용물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서 제1캡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에서 보조홀더의 가이드홈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에서 제1캡(110) 및 제2캡(120)이 각각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는 양 단부에 제1캡(110) 및 제2캡(120)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제1캡(110) 또는 제2캡(120)을 분리한 후 분리되지 않은 다른 캡을 돌리면 내용물(280, 290)이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포함시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 등에 있어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는 제1캡(110), 제2캡(120), 제1패킹부재(130), 제2패킹부재(140), 제1챔버(150), 제2챔버(170), 보호홀더(190), 고정기어(220), 회전기어(240), 제1콘(250) 및 제2콘(27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 그리고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제1캡(110), 제2캡(120),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캡(110) 및 제2캡(120)은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내용물(280, 290)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 제1캡(110) 및 제2캡(120)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2캡(120)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캡(110)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 하였다.
제1캡(110) 및 제2캡(120)은 일면이 개방된 중공(中空)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캡결합홈(112), 캡단부(114), 캡회전키(116) 및 패킹삽입홈(118)을 갖는다.
제1캡(110) 및 제2캡(120)의 일 단부에는 내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캡결합홈(112)이 구비되어 있다. 캡결합홈(112)은 제1캡(110) 및 제2캡(120)이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에 각각 결합할 때,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의 둘레에 각각 형성된 제1캡걸림돌기(162) 및 제2캡걸림돌기(182)에 삽입되어,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로부터 제1캡(110) 및 제2캡(120)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한다.
캡단부(114)는 제1캡(110) 및 제2캡(120)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챔버(150)의 제1챔버단턱(158) 및 제2챔버(170)의 제2챔버단턱(178)에 각각 안착된다. 이에 의해, 제1캡(110) 및 제2캡(120)이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에 대해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캡회전키(116)는 제1캡(110) 및 제2캡(120)의 저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어(gear) 형상을 갖는다. 캡회전키(116)는 보호홀더(19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홀더회전키(192) 및 제2홀더회전키(194)와 맞물리게 되는데, 이에 의해 제1캡(110) 또는 제2캡(120)의 회전력이 보호홀더(190)에 전달된다.
패킹삽입홈(122)은 캡회전키(116)와 제1캡(110) 또는 제2캡(1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도넛(donut) 형상의 공간으로, 그 내부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가 각각 삽입된다.
제1캡(110) 및 제2캡(120)은 ABS 수지를 재질로 할 수 있다.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는 각각 제1캡(110) 및 제2캡(120)에 삽입되어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이물질이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장시간 동안 변질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도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갖는데, 도 4를 참조하면, 관통공(132), 패킹돌기(134) 및 끼움부(136)를 구비한다.
관통공(132)은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해당한다. 관통공(132)의 내부에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호홀더(190)의 제1홀더회전키(192) 및 제2홀더회전키(194)가 각각 삽입된다.
패킹돌기(134)는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내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호홀더(190)의 양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여 공기를 포함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끼움부(136)는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의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외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캡(110) 및 제2캡(120)의 패킹삽입홈(118)에 억지 끼워 맞춤(press-fitting) 된다. 이로 인해,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는 제1캡(110) 및 제2캡(120)의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1패킹부재(130) 및 제2패킹부재(140)는 폴리에틸렌 수지(P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챔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중앙에 해당되는 것으로,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를 포함한다. 제1챔버(150)에는 제1캡(110)이 결합하고 제2챔버(170)에는 제2캡(120)이 결합한다.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는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챔버를 형성하는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챔버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제1캡(110) 또는 제2캡(120)을 회전시켜서 내용물을 돌출시키게 된다.
제1챔버(150)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2개의 중공의 원통이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내용물부(230), 보호홀더(190) 및 고정기어(220)가 위치하게 된다. 제1챔버(150)는 제1탄성편(152), 챔버결합홈(154), 챔버회전방지홈(156), 제1챔버단턱(158), 제1캡걸림돌기(162) 및 고정기어회전방지홈(164)을 구비한다.
제1탄성편(152)은 제1챔버(150)의 단부에서 "ㄷ"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단부에는 원형의 제1챔버회전돌기(153)가 내향 돌출되어 있다. 제1탄성편(152)은 제1챔버회전돌기(15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제1챔버회전돌기(153)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호홀더(190)의 위치고정홈(212)에 삽입되어 보호홀더(190)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제1챔버회전돌기(153)는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보호홀더(190)의 회전만 가능하게 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챔버결합홈(154)은 제1챔버(150)의 단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다. 챔버결합홈(154)에는 제2챔버(170)의 챔버결합돌기(174)가 삽입되는데, 이에 의해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가 상호 결합하게 된다.
챔버결합홈(154)의 일 측에는 챔버회전방지홈(156)이 형성되어 있다. 챔버회전방지홈(156)은 제1챔버(150)의 내주면에서 한 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챔버(150)와 제2챔버(170)의 결합시 제2챔버(170)의 챔버회전방지돌기(176)와 결합한다. 이로 인해, 제1챔버(150)가 제2챔버(17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챔버단턱(158)은 제1챔버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부분으로, 이로 인해 제1챔버(158)의 직경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제1챔버단턱(158)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캡(110)의 캡단부(114)가 안착하게 된다.
제1캡걸림돌기(162)는 제1챔버(150)의 외주면에서 반구(半球) 형상으로 돌출된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제1캡걸림돌기(162)는 제1캡(110)이 제1챔버(150)에 결합할 때 캡결합홈(112)에 삽입되어, 제1캡(11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기어회전방지홈(164)은 제1챔버(15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기어회전방지홈(164)에는 챔버에 고정기어(220)가 삽입되는 경우 회전방지키(224)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기어(220)가 회전 및 상하 방향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제2챔버(17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내용물부(230), 보호홀더(190) 및 고정기어(220)가 위치하게 된다. 제2챔버(170)는 제2탄성편(172), 챔버결합돌기(174), 챔버회전방지돌기(176), 제2챔버단턱(178) 및 제2캡걸림돌기(182)를 갖는다.
제2탄성편(172)은 제2챔버(170)의 단부에서 "ㄷ"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단부에는 원형의 제2챔버회전돌기(173)가 내향 돌출되어 있다. 제2탄성편(172)은 제2챔버회전돌기(17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제2챔버회전돌기(173)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호홀더(190)의 위치고정홈(212)에 삽입되어 보호홀더(190)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제2챔버회전돌기(173)는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보호홀더(190)의 회전만 가능하게 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챔버결합돌기(174)는 제2챔버(170)의 단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챔버결합돌기(174)는 제1챔버(150)의 챔버결합홈(154)에 삽입되는데, 이에 의해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가 상호 결합하게 된다.
챔버회전방지돌기(176)는 제2챔버(17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챔버회전방지홈(156)에 삽입되어, 제1챔버(150)에 대해 제2챔버(17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챔버단턱(178)은 제2챔버(17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제1챔버(150)의 단부가 안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챔버(150)가 제2챔버(17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2챔버단턱(178)에는 제2캡(120)의 캡단부(114)가 안착된다.
제2캡걸림돌기(182)는 제2챔버(170)의 외주면에서 반구(半球) 형상으로 돌출된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제2캡걸림돌기(182)는 제2캡(120)이 제2챔버(170)에 결합할 때 캡결합홈(112)에 삽입되어, 제2캡(12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로 이루어지는 챔버는 제1캡(110) 및 제2캡(170)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그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캡(110) 및 제2캡(120)과 동일한 ABS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보호홀더(190) 및 고정기어(22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고정기어(220)는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의 내부에 고정되어 회전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지만,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222)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용물부(230)가 나사산(222)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정기어(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 운동만을 하는 보호홀더(19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내용물(280) 및 제2내용물(290)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호홀더(190)는 사용자에 의해 돌려지는 제1캡(110) 또는 제2캡(12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내용물부(2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가이드홈(196)을 구비하여 내용물부(230)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한다.
보호홀더(19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고정기어(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제1캡(110) 또는 제2캡(120)에 의해 회전 운동만을 하게 된다. 보호홀더(190)는 제1홀더회전키(192), 제2홀더회전키(194), 가이드홈(196) 및 위치 고정홈(212)을 갖는다.
제1홀더회전키(192) 및 제2홀더회전키(194)는 캡회전키(116)와 동일한 기어 형상을 갖는다. 제1홀더회전키(192)는 도 1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챔버(150) 및 고정기어(2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1캡(110)의 캡회전키(116)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제2홀더회전키(194)는 제2챔버(170) 및 고정기어(2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2캡(120)의 캡회전키(116)와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제1홀더회전키(192) 및 제2홀더회전키(194)의 맞물림 구조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캡(110) 또는 제2캡(120)의 회전력이 보호홀더(190) 및 내용물부(230)에 전달된다.
가이드홈(196)은 보호홀더(190)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구간(198), 제2구간(204) 및 공회전구간(208)을 갖는다. 가이드홈(196)을 통해서는 회전기어(240)의 회전돌기(242)가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기어(220)의 내부나사산(222)에 삽입된다. 회전기어(240)를 포함하는 내용물부(230)는 보호홀더(190)의 내부에서 회전 및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회전 운동만을 하고 상하 방향의 운동을 하지 않는 보호홀더(190)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돌기(242)가 가이드홈(196)에 걸리게 되어 내용물부(230)가 보호홀더(19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홈(196)은 회전돌기(242)를 구속하여 내부나사산(222)을 따라서 나선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돌기(242)가 가이드홈(196)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구간(198)은 화장품 용기(100)의 중심에서 제1캡(1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다. 회전돌기(242)가 제1구간(198)에 위치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내용물(28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구간(198)의 단부에는 제1걸림단부(202)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단부(202)에 회전돌기(242)가 위치하여 걸리게 되면, 제1내용물(280)이 최대한 돌출된 것으로 내용물부(230), 보호홀더(190) 및 제2캡(120)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제2구간(204)은 화장품 용기(100)의 중심에서 제2캡(1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다. 회전돌기(242)가 제2구간(204)에 위치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내용물(29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구간(204)의 단부에는 제2걸림단부(206)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걸림단부(206)에 회전돌기(242)가 위치하여 걸리게 되면, 제2내용물(290)이 최대한 돌출된 것으로 내용물부(230), 보호홀더(190) 및 제2캡(120)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공회전구간(208)은 제1구간(198) 및 제2구간(204)의 단부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보호홀더(19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회전구간(208)에 회전돌기(242)가 삽입되면 제1캡(110) 또는 제2캡(120)의 회전에 의해서 보호홀더(190)는 회전하지만, 회전돌기(242)가 가이드홈(196)에 걸리지 않게 되어 내용물부(2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캡(110) 및 제2캡(120)을 회전시켜도 내용물이 후퇴하지 않는 경우, 내용물이 완전히 후퇴하여 회전을 멈추어야 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보호홀더(190)의 양 단부에는 위치고정홈(212)이 둘레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위치고정홈(212)에는 제1챔버(150)의 제1챔버회전돌기(153) 및 제2챔버(170)의 제2챔버회전돌기(173)가 각각 삽입되어, 보호홀더(190)의 회전 운동만 가능하게 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한다.
고정기어(220)는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의 내주면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상하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다. 고정기어(22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챔버(150) 및 제2챔버(17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고정기어(220)의 내주면에는 내부나사산(2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회전방지키(224)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나사산(220)에는 내용물부(230)의 회전돌기(242)가 삽입된다. 회전돌기(242)는 내부나사산(220)을 따라서 나선 형상으로 회전하고 가이드홈(196)에 의해 가이드 되어서 회전 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방지키(224)는 제1챔버(150)의 고정기어회전방지홈(164)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기어(220)의 회전 및 상하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내용물부(23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내용물부(230)의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내용물부(230)는 중앙의 회전기어(240), 회전기어(24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1콘(250) 및 제2콘(270) 그리고 제1콘(250)에 결합되는 제1내용물(280) 및 제2콘(270)에 결합되는 제2내용물(290)을 포함한다.
회전기어(240)는 양 단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일단에는 제1콘(250)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제2콘(270)이 결합된다. 회전기어(240)는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돌기(242)와, 회전기어(240)의 양단부 내주면 둘레를 따라서 돌출 형성된 콘걸림돌기(244)와, 회전기어(240)의 내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콘회전방지홈(246)을 포함한다.
회전돌기(242)는 회전기어(24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회전탄성편(24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돌기(242)에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회전기어(240)의 내부로 후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기어(240)의 외부면에서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242)는, 내용물부(230)가 보호홀더(19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가이드홈(196)을 통해서 보호홀더(190)의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기어(220)의 내부나사산(222)에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돌기(242)는 보호홀더(190)가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홈(196)에 걸려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보호홀더(190)와 함께 내용물부(230)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콘걸림돌기(244)는 회전기어(240)의 양단부 내주면 둘레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 회전기어(240)가 제1콘(250) 및 제2콘(270)과 결합하는 경우, 콘결합돌기(262)에 걸리게 되어 회전기어(240)의 양 단부에서 제1콘(250) 및 제2콘(27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콘회전방지홈(246)은 회전기어(240)의 양 단부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회전기어(240)가 제1콘(250) 및 제2콘(270)과 결합하는 경우, 콘회전방지키(258)가 삽입되어 회전기어(240)에 대해 제1콘(250) 및 제2콘(270)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1콘(250) 및 제2콘(270)은 내용물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콘(250) 및 제2콘(270)은, 콘수용부(252), 콘단턱(254), 콘삽입부(256), 콘회전방지키(258) 및 콘결합돌기(262)를 갖는다.
제1콘(250) 및 제2콘(270)은 각각 상이한 직경을 갖는 콘수용부(252) 및 콘삽입부(256)가 결합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콘수용부(252)에는 제1내용물(280) 또는 제2내용물(290)의 일부가 삽입되고, 콘삽입부(256)는 회전기어(240)의 내부에 삽입된다.
콘수용부(252) 및 콘삽입부(256)를 구분하는 콘단턱(254)은 제1콘(250) 및 제2콘(270)이 회전기어(240)에 결합하는 경우, 회전기어(240)의 양 단부와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콘(250) 및 제2콘(270)은 회전기어(240)의 내부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콘삽입부(256)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콘결합돌기(262)는 회전기어(240)의 콘걸림돌기(244)에 걸리게 된다
콘회전방지키(258)는 콘삽입부(256)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하 한 쌍이 형성된 것으로, 제1콘(250) 및 제2콘(270)이 회전기어(240)에 삽입되는 경우, 콘회전방지홈(246)에 삽입되어 제1콘(250) 및 제2콘(27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내용물(280)은 제1콘(25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제1캡(110)을 개방한 후 제2캡(120)을 잡고 돌리면 고정기어(220)의 내부나사산(222)을 따라서 회전 운동을 하면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2내용물(290)은 제2콘(27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제2캡(120)을 개방한 후 제1캡(110)을 잡고 돌리면 고정기어(220)의 내부나사산(222)을 따라서 회전 운동을 하면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제1내용물(280)은 예를 들어 립스틱일 수 있고 제2내용물(290)은 립 밤일 수 있으며 또는 제1내용물(280) 및 제2내용물(290)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립스틱일 수도 있다. 물론, 제1내용물(280) 및 제2내용물(290)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에서 제1캡(110)이 분리된 후 제1내용물(280)이 돌출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가이드홈(196)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제1내용물(280)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캡(110)을 개방한 후 제1챔버(150) 또는 제2챔버(170)를 잡고 제2캡(120)을 회전시킨다. 제2캡(120)의 캡회전키(116)와 보호홀더(190)의 제2홀더회전키(194)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2캡(120)의 회전에 의해서 보호홀더(190)가 회전하게 된다. 보호홀더(190)의 둘레에 원형으로 형성된 위치고정홈(212)이 제1챔버(150)의 제1챔버회전돌기(153) 및 제2챔버(170)의 제2챔버회전돌기(173)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홀더(190)는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회전 운동만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홀더(190)가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기어(240)의 회전돌기(242)가 가이드홈(196)에 걸리게 되는데, 이에 의해 보호홀더(190)와 함께 회전기어(240) 및 회전기어(2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콘(250) 및 제2콘(270) 그리고 제1내용물(280) 및 제2내용물(29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기어(240)의 회전돌기(242)는 보호홀더(190)의 가이드홈(19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기어(220)의 내부나사산(222)에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기어(240)의 회전돌기(242)는 내부나사산(222)을 따라서 나선 운동을 하면서 회전 및 상승 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기어(240)의 회전돌기(242)는 가이드홈(196)의 제1구간(198)에 위치하여 제1구간(198)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제1내용물(280)이 최대한 돌출되면, 회전돌기(242)는 제1걸림단부(202)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회전돌기(242)가 제1걸림단부(202)에 위치하는 경우, 제2캡(120), 보호홀더(190) 및 내용물부(230)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제1내용물(280)을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로 후퇴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2캡(12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제2캡(120)이 돌출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캡(1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호홀더(190)에 의해 내용물부(230)도 반대 방향으로 내부나사산(222)을 따라서 회전 운동을 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1내용물(280)이 완전히 하강한 경우, 회전돌기(242)는 공회전구간(208)에 위치하게 된다. 회전돌기(242)가 공회전구간(208)에 위치하게 되면, 제2캡(120) 및 이와 맞물린 보호홀더(190)는 회전하지만 회전돌기(242)가 가이드홈(196)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부(23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캡(120)을 돌려도 제1내용물(280)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으면, 제1내용물(280)이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제2내용물(29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1캡(110)을 챔버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2캡(120)을 개방한 후 제1캡(110)을 잡고 돌리면 된다. 제1캡(110)이 회전하면 이와 맞물린 보호홀더(190)가 회전을 하게 되고, 보호홀더(19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홈(196)에 걸려있는 회전돌기(242)도 함께 내부나사산(222)을 따라서 나선 운동을 하면서 회전 및 상승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돌기(242)는 제2구간(204)의 내부에 구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내용물부(230)가 상승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돌기(242)가 제2걸림단부(206)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돌기(242)는 더 이상 회전운동을 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제2캡(120) 및 보호홀더(190)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내용물(280) 및 제2내용물(290)을 돌출시키기 위한 각각 별개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홀더(190), 고정기어(220) 및 회전기어(240)가 상하 양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내용물(280) 및 제2내용물(290)의 상승에 관여하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100)는 제1챔버회전돌기(153) 및 패킹돌기(134)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주름 개선(방지), 입술 영양, 보습, 미백 등의 기능성 화장품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용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공기 차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는 이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1캡 120: 제2캡
130: 제1패킹부재 140: 제2패킹부재
150: 제1챔버 170: 제2챔버
190: 보호홀더 220: 고정기어
230: 내용물부 240: 회전기어
250: 제1콘 270: 제2콘
280: 제1내용물 290: 제2내용물

Claims (10)

  1. 원통형의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그 내주면에는 내부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기어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양 단부에는 제1홀더회전키 및 제2홀더회전키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외부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홀더;
    상기 챔버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홀더회전키 및 상기 제2홀더회전키와 맞물려서 상기 보호홀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캡회전키를 각각 구비하는 제1캡 및 제2캡;
    상기 보호홀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보호홀더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회전기어를 구비하는 내용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보호홀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나사산과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되는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양 단부에는 원형의 제1챔버회전돌기 및 제2챔버회전돌기가 내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호홀더의 양 단부 둘레에는 상기 제1챔버회전돌기 및 상기 제2챔버회전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보호홀더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회전돌기는 제1탄성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챔버회전돌기는 제2탄성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부는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내용물이 상하로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2내용물이 상하로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제2구간과,
    상기 제1구간 및 상기 제2구간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1구간 및 상기 제2구간을 연결하는 공회전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공회전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캡 또는 상기 제2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호홀더는 회전함에 반해 상기 회전기어는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 및 상기 제2구간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을 방해하는 제1걸림단부 및 제2걸림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의 양 단부에는 제1내용물을 고정하는 제1콘 및 제2내용물을 고정하는 제2콘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탄성편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의 내부에는 제1패킹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2캡의 내부에는 제2패킹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1패킹부재 및 상기 제2패킹부재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100106506A 2010-10-29 2010-10-29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22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06A KR101228574B1 (ko) 2010-10-29 2010-10-29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06A KR101228574B1 (ko) 2010-10-29 2010-10-29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859A true KR20120046859A (ko) 2012-05-11
KR101228574B1 KR101228574B1 (ko) 2013-01-31

Family

ID=4626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506A KR101228574B1 (ko) 2010-10-29 2010-10-29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5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8878A (zh) * 2016-07-05 2018-01-12 水晶国际(集团)公司 双头化妆品容器
KR20190064728A (ko) * 2017-12-01 2019-06-11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립스틱 용기
US10912371B2 (en) 2016-07-05 2021-02-09 Crystal International (Group) Dual end cosmetic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823B1 (ko) 2022-02-16 2022-08-23 조동혁 로션 및 모이스쳐밤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102435826B1 (ko) 2022-02-16 2022-08-23 조동혁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679Y2 (ko) * 1987-12-30 1993-09-30
JP3897835B2 (ja) * 1995-12-28 2007-03-28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棒状化粧料容器
KR200270370Y1 (ko) * 2001-10-26 2002-04-03 나이두 리필타입 투 칼라 립스틱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8878A (zh) * 2016-07-05 2018-01-12 水晶国际(集团)公司 双头化妆品容器
US10154720B2 (en) 2016-07-05 2018-12-18 Crystal International (Group), Inc. Dual end cosmetic container
US10912371B2 (en) 2016-07-05 2021-02-09 Crystal International (Group) Dual end cosmetic container
KR20190064728A (ko) * 2017-12-01 2019-06-11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립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574B1 (ko)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20B1 (ko) 화장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보호 장치
EP3289914B1 (en) Compact container
KR101228574B1 (ko)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521340B1 (ko) 비틀림 가능한 뚜껑을 가진 화장품 콤팩트
EP3766380B1 (en) Lipstick case
US20170042309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multi-staged refillable container
WO2005082202A1 (ja)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US20090211939A1 (en) Carry-on organizer
KR101960429B1 (ko) 리필 립스틱 용기
JP7122369B2 (ja) 自動的に開閉するシールモジュール及びシールモジュールを用いた化粧品ケース
EP3335587A1 (en) Compact container
KR101719427B1 (ko) 화장용 도구
KR102043106B1 (ko) 회전식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KR101129252B1 (ko) 노즐개폐에 따른 오버캡 체결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531283B1 (ko) 화장품 용기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20110040507A (ko) 콤팩트 용기
WO2020186537A1 (zh) 一种口红管
KR101433902B1 (ko) 개폐가 용이한 밀폐용기
KR101765715B1 (ko) 다색의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립글로즈 용기
KR20220050262A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20200137629A (ko) 립스틱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