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826B1 -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 Google Patents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826B1
KR102435826B1 KR1020220020129A KR20220020129A KR102435826B1 KR 102435826 B1 KR102435826 B1 KR 102435826B1 KR 1020220020129 A KR1020220020129 A KR 1020220020129A KR 20220020129 A KR20220020129 A KR 20220020129A KR 102435826 B1 KR102435826 B1 KR 102435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nscreen
cosmetic
hybrid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혁
Original Assignee
조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혁 filed Critical 조동혁
Priority to KR102022002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826B1/ko
Priority to KR1020220103920A priority patent/KR2023012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제형을 갖는 로션 및 모이스쳐밤이 통합된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제형의 화장료를 하나의 제품에 동시에 구비할 수 있어 휴대상의 편의성을 가지면서도, 액상 형의 화장료와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가 맞닿는 부분에서 물성의 변경 없이 안정적으로 두가지 제형이 공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HYBRID COSMETICS WITH INTEGRATED SUN CREAM AND SUN STICK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제형을 갖는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제형의 화장료를 하나의 제품에 동시에 구비할 수 있어 휴대상의 편의성을 가지면서도, 액상 형의 화장료와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가 맞닿는 부분에서 물성의 변경 없이 안정적으로 두가지 제형이 공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화장품은 액상의 화장료가 누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밀폐된 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한편, 고형의 화장품은 반드시 밀폐 용기에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있으나, 고형의 화장품을 쉽게 덜어 쓰거나, 문질러 쓸 수 있도록 이송형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액상의 화장료와 고형 화장료는 각각 그 제형 상의 차이로 인해 전혀 상이한 형태의 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바, 각각 별도의 용기에 담아 사용하여야 하는 휴대 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형 화장료의 대표격인 립스틱(lipstick)은 뚜껑을 연 후 아래 부분을 회전시켜서 내용물을 돌출시키는 구조의 용기를 사용한다. 립 밤(lip balm)이나 모이스처 밤(moisture balm) 등도 립스틱과 마찬가지로 뚜껑을 연 후 아래 부분을 회전시켜서 내용물을 돌출시키는 구조의 용기를 이용한다.
또한, 액상의 화장품은 각종 밀폐용기, 스프레이, 펌프용기, 스포이드 등을 이용하여 적정량을 덜어 사용하는 형태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액상의 화장품인 로션과 고형 화장품인 모이스쳐밤은 각기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품이므로 둘 중 어느 하나만 휴대하는 경우가 빈번하나, 구체적인 용도와 상황에 따라서는 사용 목적에 차이가 있어, 두 가지 화장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화장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28574호 (2013.01.25)
본 발명은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 내부에 액상의 썬크림이 내장되는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 내부에 액상의 썬크림이 내장되는 용기가 포함되는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은 고형 화장료와 액상의 화장료가 맞닿는 부분에서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가 무르지 않아 사용하기에 용이한 장점을 갖는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썬스틱의 내부에 수직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는 썬크림이 채워지며, 상기 썬크림은 상기 썬스틱의 상단면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은 고형 화장료의 내부에 액상 화장료를 탑재하고 있음에도,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가 무르지 않아 사용하기에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공기 접촉 등에 의해 액상 화장료의 유동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윤활층이 형성되어 사용 편이성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액상 화장료 저장부의 표면에 윤활층이 추가된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에서 개시하는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100)의 내부에 액상 화장료(300)를 충진한 형태로서, 고형 화장료의 일 측면에 내부에 담지된 액상 화장료가 흘러나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1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화장료(300)가 담지되는 액상 화장료 저장부(200)는 고형 화장료(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일정 공간에 액상 화장료를 충진한 형태로서, 고형 화장료를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액상 화장료 토출구(110)를 바닥으로 향하고 흔들거나 두들김으로써 액상 화장료가 흘러나오도록 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액상 및 고형 화장료를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화장료 저장부(200)는 고형 화장료(100)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너비가 고형 화장료 전체 직경의 20 내지 50%에 해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직경이 50%보다 커지면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없어 사용 중에 액상 화장료 저장부가 위치하는 부분이 깨지거나 움푹 패이는 등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20%보다 작은 경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액상 화장료가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액상 화장료 저장부(200)의 높이가 고형 화장료(100)의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이브리드형 화장료 전체 길이의 45%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35 내지 45%, 가장 구체적으로는 4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높이가 본 발명 하이브리드형 화장료 전체 길이의 35%보다 작으면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액상 화장료가 균일하게 토출될 수 없으며, 45%보다 크면 하이브리드형 화장료 전체의 강도가 낮아져 내구성 문제가 발생한다.
도 3 내지 5에서 개시하는 일 실시예는,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100)의 내부에 액상 화장료(300)를 충진한 형태로서, 고형 화장료의 일 측면에 내부에 담지된 액상 화장료가 흘러나오도록 하는 입구(120) 및 마개(1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상 화장료 저장부(200)는 표면에 윤활층(210)이 형성되어 액상 화장료 저장부가 고형 화장료와 바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윤활층(210)이 형성됨으로써 액상 화장료에 의해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가 무르지 않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소량이 담지된 액상 화장료가 공기와의 지속적인 접촉을 하면서 유동성을 잃는 문제를 해결하여 마지막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윤활층은, 예컨대 고형 화장료 내부를 파내어 액상 화장료 저장부(200)를 형성하고, 이어 비즈 왁스와 그 표면에 카나우바 왁스 코팅층을 포함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내부에 도포함으로써, 별도의 용기가 불필요하고, 고형 및 액상 화장료와 접촉하여도 아무런 물성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왁스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윤활층은 상기 액상 화장료 저장부(200)의 직경 대비 3 내지 8%의 두께, 구체적으로는 4 내지 7%, 가장 구체적으로는 5%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보다 두껍게 도포되는 경우 액상 화장료가 토출되지 않아 사용성이 나빠지며, 상기 수치보다 얇게 도포되는 경우에는 액상 화장료에 의해 고체 화장료가 물러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윤활층은 흐름성 및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캡슐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을 사용하면서 체온 및 공기 접촉,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캡슐이 소량씩 파괴되어 유동성이 큰 왁스 성분을 방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캡슐의 직경은 200 내지 500 nm(나노미터)이고, 상기 카나우바 왁스 코팅층은 두께가 80 내지 100 nm(나노미터)를 갖는다.
상기 캡슐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캡슐 내부에 담지되는 살리실릴 비즈 왁스의 함량이 적어져, 윤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캡슐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캡슐의 파괴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충분한 윤활 작용을 하지 못한다.
한편,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두께보다 얇은 경우에는,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캡슐이 파괴되어, 고형 화장료 전체적으로 쉽게 물러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체온 이상의 온도에서 캡슐이 파괴되어 윤활 효과를 쉽게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결국, 상기 캡슐은 35 내지 40℃의 온도에서 파괴되도록 제조되어, 사용 시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캡슐이 파괴되고, 이를 통해 내부 액상 화장료의 흐름성을 좋게 하여 사용 편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상기 액상 화장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면, 상기 액상 화장료 자체의 효과를 희석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면, 사용 시 캡슐의 파괴에 의한 윤활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고형 화장료는 고형 화장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40 중량%의 시어버터, 10 내지 20 중량%의 비즈왁스 및 1 내지 5 중량%의 해바라기씨오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 표 1 및 2에 기초하여, 썬크림과 썬스틱을 제조하였다.
액상 화장료(썬크림)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30
부틸렌글라이콜 4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옥토크릴렌 7
티타늄디옥사이드 9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10
스테아릭애씨드 3
페닐트라이메티콘 4
카놀라오일 2
아르간커넬오일 1
아보카도오일 1
피마자씨오일 1
포도씨오일 1
동백나무씨오일 1
퀸즈랜드넛오일 1
올리브오일 1
로즈마리잎오일 1
라벤더오일 1
달맞이꽃오일 1
살구씨오일 1
레몬향티트리오일 11
바오밥나무씨오일 1
바바수씨오일 1
드럼스틱씨오일 1
아사이팜열매오일 1
유칼립투스잎오일 1
호호바씨오일 1
총계 100
성분 윤활층 고형 화장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시어버터 31 35
비즈왁스 12 15
하이드롤라이즈드 칸데릴라왁스 7 7
해바라기씨오일 3 3
레몬유칼립투스오일 3 3
분비나무오일 2 2
레몬껍질오일 3 3
오렌지껍질오일 3 3
라벤더오일 3 3
옥틸도데칸올 3 3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 2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3
옥토크릴렌 2 2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 1
오우리쿠리왁스 1 1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 4 4
폴리실리콘-15 2 2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1 1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1 1
비사보롤 1 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 1
커먼자스민꽃왁스 1 1
포도잎왁스 1 1
매스틱잎왁스 1 1
필리핀왁스플라워꽃추출물 1 1
캡슐 7 -
총계 100 100
[실시예 1]
고형 화장료를 직경 20 mm의 두께, 높이 80mm로 형성하고, 상기 고형 화장료의 내부에 직경 8 mm, 높이 30mm의 액상 화장료 저장부를 형성한 뒤, 상기 액상 화장료 저장부 내부에 윤활층을 0.4 mm의 두께로 도포하여 굳히고, 상기 액상 화장료를 담지하여 실시예 1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액상 화장료 저장부의 직경 7.2mm).
[비교예 1]
고형 화장료를 직경 20 mm의 두께, 높이 80mm로 형성하고, 상기 고형 화장료의 내부에 직경 7.2 mm, 높이 30mm의 액상 화장료 저장부를 형성하고, 윤활층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로 액상 화장료를 담지하여 비교예 1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윤활층의 두께를 0.1mm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품을 제조하였다(액상 화장료 저장부의 직경 7.8mm).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윤활층을 0.7 mm 두께로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품을 제조하였다(액상 화장료 저장부의 직경 6.6mm).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고형 화장료의 시어버터 함량을 42 중량%, 비즈왁스를 8 중량%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1. 사용성
액상 화장료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액상 화장료를 사용한 후, 화장품을 절단하여 잔여 화장료의 양을 확인하고, 이를 최초 용량 대비 %로 표시하였다. 잔여 화장료의 양이 최초 용량 대비 5% 미만인 경우 적합으로 판단하였다.
2. 무름성 평가
여름이나 주머니 속 온도를 상정하고, 35 내지 38℃에서 5시간동안 방치한 후, 실온(15 내지 20℃)에서 15일간 방치하여 무름성을 평가하였다.
액상 화장료가 위치한 부분을 손으로 눌렀을 때 부스러지거나, 으깨지거나, 모양의 변형이 생기는 경우, 액상 화장료가 누출되는 경우, 해당 부위가 변색이 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15일이 지나도 처음과 같은 정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모양 및 색깔의 변화가 없고, 액체 누수가 없는 경우를 적합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사용성 무름성
실시예1 적합(3%) 적합
비교예 1 부적합(34%) 부적합
비교예 2 부적합(19%) 부적합
비교예 3 부적합(15%) 적합
비교예 4 적합(5%) 부적합
상기 표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화장품은 액상 화장료를 내부에 포함하는 2-in-1 제품임에도 별도의 플라스틱 용기 등이 없이도 물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윤활층을 포함함으로써 액상 화장료를 사용함에 있어 잔여량이 많이 남지 않아 경제적이며 우수한 사용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썬스틱 110 : 썬크림 토출구
120: 입구 121: 마개
200 : 썬크림 저장부 210: 윤활층
300 : 액상 화장료(썬크림)

Claims (5)

  1. 썬스틱; 및
    상기 썬스틱 내부에 썬크림;을 포함하고,
    상기 썬스틱의 일 측면에는 상기 썬크림이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된 것인,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썬크림은 카놀라오일, 아르간커넬오일, 아보카도오일, 피마자씨오일, 포도씨오일, 동백나무씨오일, 퀸즈랜드넛오일, 올리브오일, 로즈마리잎오일, 라벤더오일, 달맞이꽃오일, 살구씨오일, 레몬향티트리오일, 바오밥나무씨오일, 바바수씨오일, 드럼스틱씨오일, 아사이팜열매오일, 유칼립투스잎오일 및 호호바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썬스틱은 시어버터, 비즈왁스, 하이드롤라이즈드 칸데릴라왁스, 해바라기씨오일, 레몬유칼립투스오일, 분비나무오일, 레몬껍질오일, 오렌지껍질오일, 라벤더오일, 옥틸도데칸올,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오우리쿠리왁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 폴리실리콘-15,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비사보롤,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커먼자스민꽃왁스, 포도잎왁스, 매스틱잎왁스 및 필리핀왁스플라워꽃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썬크림이 담지되는 액상 화장료 저장부가 고형 화장료인 썬스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액상 화장료 저장부는 스틱형의 고형 화장료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고형 화장료의 전체 직경의 20 내지 50%에 해당하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상 화장료 저장부의 표면에는 윤활층이 형성되어, 썬크림과 썬스틱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썬스틱은 비즈왁스 및 카나우바 왁스 코팅층으로 구성된 캡슐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인,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직경은 200 내지 500 nm(나노미터)이고,
    상기 카나우바 왁스 코팅층은 두께가 80 내지 100 nm(나노미터)인,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35 내지 40℃의 온도에서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형 화장품.
KR1020220020129A 2022-02-16 2022-02-16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102435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129A KR102435826B1 (ko) 2022-02-16 2022-02-16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1020220103920A KR20230123411A (ko) 2022-02-16 2022-08-19 액상 및 고형의 화장료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129A KR102435826B1 (ko) 2022-02-16 2022-02-16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920A Division KR20230123411A (ko) 2022-02-16 2022-08-19 액상 및 고형의 화장료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826B1 true KR102435826B1 (ko) 2022-08-23

Family

ID=830927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129A KR102435826B1 (ko) 2022-02-16 2022-02-16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1020220103920A KR20230123411A (ko) 2022-02-16 2022-08-19 액상 및 고형의 화장료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장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920A KR20230123411A (ko) 2022-02-16 2022-08-19 액상 및 고형의 화장료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58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367A (ja) * 2001-07-31 2003-02-13 Daizo:Kk 吐出製品
KR101228574B1 (ko) 2010-10-29 2013-01-31 (주)유니팩 코리아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KR20140014799A (ko) * 2012-07-26 2014-02-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왁스 코팅된 실리콘 폴리머 분체와 필름형성제 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2090A (ko) * 2020-07-22 2022-02-03 (주)아모레퍼시픽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367A (ja) * 2001-07-31 2003-02-13 Daizo:Kk 吐出製品
KR101228574B1 (ko) 2010-10-29 2013-01-31 (주)유니팩 코리아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KR20140014799A (ko) * 2012-07-26 2014-02-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왁스 코팅된 실리콘 폴리머 분체와 필름형성제 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2090A (ko) * 2020-07-22 2022-02-03 (주)아모레퍼시픽 이중 구조를 갖는 스틱상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411A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051B1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7695727B2 (en) Botanical butter stick lip balm
US20020127192A1 (en) Lipstick with translucent or transparent region
US2014034888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owder
KR20190029272A (ko) 휴대가 간편한 친환경 캡슐형 화장품 용기
KR102079513B1 (ko) 투명 유성 고형 화장료
TWI806826B (zh) 棒式防曬化妝品
US20190328651A1 (en) Hydrating lip balm composition
US20050002883A1 (en) Cosmetic compositions
KR102435826B1 (ko) 썬크림 및 썬스틱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101773523B1 (ko)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5823B1 (ko) 로션 및 모이스쳐밤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화장품
KR20190137781A (ko) 국소 제제 및 방법
US6436379B1 (en) Emollient for cuticle treatment and delivery system therefore
US8047734B2 (en) Pencil-form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 thereof
KR102087784B1 (ko) 스틱형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EP0900598B1 (de) Verwendung einer Verpackung zur Abgabe eines fliessfähigen kosmetischen Mittels
JP4181976B2 (ja) 油性化粧料
KR101221178B1 (ko)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9980053454A (ko) 스틱형 팩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176453A (ja) 非固形状油性化粧料
KR102273237B1 (ko)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US11980779B2 (en) Cosmetic article in stick form and a method for making it
EP0792635A2 (en) Antiperspirant composition
US20240150556A1 (en) Eco-friendly structure containing natural fiber and regenerative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