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451A - 무연 로스터 - Google Patents

무연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451A
KR20120046451A KR1020100108108A KR20100108108A KR20120046451A KR 20120046451 A KR20120046451 A KR 20120046451A KR 1020100108108 A KR1020100108108 A KR 1020100108108A KR 20100108108 A KR20100108108 A KR 20100108108A KR 20120046451 A KR20120046451 A KR 2012004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top ring
box
su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569B1 (ko
Inventor
토시아키 다나카
토모히사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신포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포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신포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0010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5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릿이 중심측이면서 위쪽 방향으로, 배기 가스의 흡인 유로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상이기 때문에, 칸막이 환상벽부로의 배기 가스의 충돌 정도가 가볍다. 또한, 본 발명은 탑 링(5)에 있어서의 내주연부를 중심측으로의 하방 경사 부위(17)로 하고, 내부함(4)의 상단 부위를 상방으로 점차 확경시켜, 칸막이 환상벽부(15)에 있어서의 내주벽부(29)를, 내부함의 확경형상에 따라, 중간부에 하방 축경형상의 테이퍼면(31)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면(31)보다 하방 부위의 내경을 상방 부위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고, 탑 링(5)의 내경을 내부함(4)의 상방 개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함과 동시에, 내부함(4)의 상단부를 탑 링(5)의 내주연부보다 하방으로 하고, 배기 가스 흡인부를, 탑 링(5)의 내주연부와 내부함(4)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 가스 흡인 슬릿(20)으로 하여, 상기 배기 가스 흡인 슬릿(20)이 중심측이면서 아래쪽 방향이 되고, 경사 위쪽 방향의 흐름을 흡인 직후에 아래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하고, 그 후의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가 굴곡형상이 되어, 배기 가스를 피관 부재, 칸막이 환상벽부(15) 및 내부함(4)에 많이 충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무연 로스터{SMOKELESS ROASTER}
본 발명은, 외기를 도입하여 고온 상태의 배기 가스를 저온화하고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배기 가스 냉각 구조를 구비한 무연 로스터로써, 배기 가스에 함유되는 유지류(油脂類) 등의 흡인 직후에서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무연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내외부함 등의 과열을 방지하는 무연 로스터에 있어서는, 테이블 하방에 배치한, 상방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의 내부에 내부함을 배치하고, 테이블에 형성한 개구부의 내주면과 내부함의 상부의 극간의 상방에 피관(被冠) 부재를 재치(載置)하고, 외부함과 내부함의 사이에 형성한 흡인 공간의 상부를, 피관 부재의 하부에 설치한 칸막이벽부에서 내외쪽 부위로 구획함과 동시에, 안쪽 부위의 배기 가스 흡인 유로에, 배기 가스의 흡인공(孔)을, 바깥쪽 부위의 외기 흡인 유로에 외기 흡인 개구부를 형성하고, 배기 가스 흡인 시에, 외기가 흡인 개구부로부터 외기 흡인 유로 내에 흡인되어, 외부함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흘러서, 내주 부위로부터의 고온 상태의 배기 가스가 외부함의 내벽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내벽면에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유지류 등이 부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함을 과열시키지 않도록 한 무연 로스터의 배기 가스 냉각 구조를 개발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칸막이벽부가 굴곡형상으로 유지류 등이 부착하기 쉬운데, 특허 문헌 1 중의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치 링이 칸막이벽부가 되기 때문에, 탑 링 및 재치 링의 양쪽이 배기 가스에 접촉하여 함유 유지류 등이 부착하여 오염되어버리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이블 하방에 배치한, 상방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상기 외부함의 내부에 배치한 내부함을 포함하고, 외부함과 내부함의 사이에 형성한 흡인 공간의 상부를 내외쪽 부위로 구획함과 동시에, 안쪽 부위의 배기 가스 흡인 유로에 배기 가스의 흡인공을, 바깥쪽 부위의 외기 흡인 유로에 외기 흡인구를 형성한 배기 가스 냉각 구조를 구비한 무연 로스터용의, 상기 흡인 공간의 상방에 착탈(着脫)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탑 링(Top ring)으로서, 상기 테이블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내부함의 상부의 극간의 상방에 배치하는 피관 부재와, 상기 피관 부재의 내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 형성된, 하단(下端) 부위가 내부함의 상단(上端) 부위에 겹치는 내주 환상벽부와, 상기 내주 환상벽부의 외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피관 부재의 하면에 일체화환, 상기 흡인 공간의 상방 부분을 내외쪽 부위로 구획하는 칸막이 환상벽부를 갖고, 상기 내주 환상벽부에 있어서의 내부함의 상단부보다 상방 부위에 복수 개의 배기 가스 흡인공을 형성함으로써, 칸막이 환상벽부의 내외벽면을 수직형상으로 하여 저항을 저감화하고 배기 가스 및 외기의 흐름을 스무스화하여, 외부함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흐르는 외기의 층류(層流)가 안정됨과 동시에, 피관 부재, 내주 환상벽부 및 칸막이 환상벽부를 일체화하여 일부품화함으로써, 탑 링의 일 부재인 칸막이 환상벽부로부터 외측의 재치 링과 외부함에 배기 가스를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한편, 본원 출원인은, 배기 가스의 흡인 구성이,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의 내주 환상벽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기 가스 흡인공이 아니고, 탑 링의 내주연부에 내주 환상벽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탑 링의 내주연부와 내부함측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으로 한, 칸막이벽이 없는 무연 로스터도 개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626953호 공보(청구항 1, 도 3~5)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19833호 공보(청구항 1, 도 5, 7)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1993-220050호 공보(도 5, 6)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발명은, 외기의 층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칸막이벽이 단순한 원주벽이고, 내외벽면을 수직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대향(對向)하는 내부함의 외벽면과 재치 링 또는 외부함의 내면벽도 수직형상인 점으로부터, 흡인 공간의 상부의 구획된 내외쪽 부위가 상하방향의 직선 유로가 되고, 아울러 배기 가스의 흡인공이 수직의 내주 환상벽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의 흡인 방향이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고, 결과로서 흡인된 배기 가스가 칸막이 환상벽부의 상부에 충돌한 후, 그 하방이 평탄하고 충돌 부분이 없으며, 함유 유지류 등의 부착량이 적어져버려, 흡인 공간의 하류측으로의 배기 가스 중의 함유 유지류 등이 많이 잔존해버릴 가능성이 있고, 탑 링에 있어서의 함유 유지류 등의 부착면은 내주 환상벽부와 칸막이 환상벽부와의 사이의 좁은 스페이스 내에 있기 때문에, 세정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깨끗하게 마무리되지 않고, 시간이 걸려버리고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발명은, 슬릿이 중심측이면서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이 슬릿을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발명에 채용하더라도, 흡인된 배기 가스는 경사 아래쪽 방향에서 흡인 후 가볍게 굴곡할 뿐이 되기 때문에, 흡인된 배기 가스의 칸막이 환상벽부로의 충돌 정도가 가볍고, 함유 유지류 등의 부착량도 자연스럽게 소량이 되어버리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근거한, 슬릿이 중심측이면서 위쪽 방향에서, 배기 가스의 흡인 유로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이기 때문에, 칸막이 환상벽부로의 배기 가스의 충돌 정도가 가벼운 과제에 감안하여, 탑 링에 있어서의 피관 부재의 칸막이 환상벽부의 내주연부를, 중심측으로의 하방 경사 부위로 하고, 내부함의 상단 부위를 재치 조리 수단의 재치단부를 통하여 확경(擴徑)하고, 상기 재치단부보다 상방 부위를 상방으로 점차 확경시켜, 칸막이 환상벽부를, 내부함의 확경형상에 따라, 중간부에 하방 축경(縮徑)형상의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면보다 하방 부위의 내경을 상방 부위보다 작은 직경으로 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흡인 유로를 굴곡형상으로 하도록 하고, 아울러 탑 링의 내경을 내부함의 상방 개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함과 동시에, 내부함의 상단부를 탑 링의 내주연부보다 하방으로 하고, 상기 배기 가스 흡인부를, 탑 링의 내주연부와 내부함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 가스 흡인 슬릿으로 함으로써, 배기 가스 흡인 슬릿을 중심측이면서 아래쪽 방향으로 하여, 경사 위쪽 방향의 흐름을 흡인 직후에, 아래쪽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요컨대 본 발명은, 테이블 하방에 배치한, 상방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상기 외부함의 내부에 배치한 내부함을 포함하고, 외부함과 내부함의 사이에 흡인 공간을 형성하고, 테이블의 개구부 내에 설치한 재치 링에 있어서의 재치단부 상에 탑 링을 착탈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착좌(着座)시키고, 이 재치 링은 재치단부의 내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는 원주벽부의 하단 부위를 외부함의 상방 개구부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테이블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외부함의 상부와의 사이의 극간을 폐쇄하고, 외부함에 배기 경로에 연통(連通)하는 배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탑 링은, 상기 테이블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내부함의 상부의 극간의 상방에 배치하는 피관 부재와, 상기 피관 부재의 내주연부보다 외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피관 부재의 하면에 일체화한, 상기 흡인 공간의 상방 부분을 내외쪽 부위로 구획하는 칸막이 환상벽부를 갖고, 칸막이 환상벽부에서 구획된 흡인 공간의 안쪽 부위에 배기 가스의 흡인부를, 바깥쪽 부위에 외기의 흡인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배기 가스 흡인부로부터 흡인 유로 내에 흡인된, 유지류나 오일 미스트를 포함한 배기 가스는, 칸막이 환상벽부에 의해 외부함의 내벽면을 포함하는 외기 흡인 유로의 내벽면에 접촉하지 않고, 외기 흡인부로부터 흡인 유로 내에 흡인된 외기가 외부함의 내벽면을 따라 흘러서 층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흡인된 배기 가스는 이 층류에 막히고, 외부함의 내벽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범위가 넓어져, 외부함의 내벽면의 오염이 종래에 비해 극히 적어지고, 그 결과 외부함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유지류 등은, 일상적으로 청소하는 탑 링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의 내벽면과 내부함의 내벽면에 부착하고, 외부함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의 하단부보다 상방 부위는 물론, 하방 부위에 부착하는 유지류 등도 극히 소량으로 억제하여, 가령 만일, 유지 성분이 많은 식재(食材)를 재치 조리 수단 상에 재치하여 가열 조리할 때에 발생하는 화염을 배기 가스 흡인부로부터 흡인해버려도, 배기 경로 내로의 부착 유지에 접촉하기 전에 사라져버려, 덕트 화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가동 중에 있어서의 파이어 댐퍼(fire damper) 등의 안전 장치의 작동에 의한 긴급 정지를 가능한 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와 외기를 교반하기 위한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를 외기와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배기 가스의 저온화 및 희석 효과를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의 주요 원인이 없어져 화염 방지 효과를 더욱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 중의 함유 유지류 등의 대부분은 탑 링, 구체적으로는 칸막이 환상벽부에 부착하여 외부함의 내벽면을 포함하는 외기 흡인 유로 내면으로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피관 부재 및 칸막이 환상벽부는 일체이기 때문에, 탑 링 자체의 강성(剛性)이 향상하고 변형하기 어려우며, 분리 후의 부품 개수는 한 개만이 되기 때문에 관리하기 용이하며, 생산성의 향상에 의한 생산 비용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상기 탑 링에 있어서의 피관 부재의 내주연부를, 중심측으로의 하방 경사 부위로 하고, 내부함의 상단 부위를 재치 조리 수단의 재치단부를 통하여 확경하고, 상기 재치단부보다 상방 부위를 상방으로 점차 확경시켜, 탑 링의 내경을 내부함의 상방 개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함과 동시에, 내부함의 상단부를 탑 링의 내주연부보다 하방으로 하고, 상방 배기 가스 흡인부를, 탑 링의 내주연부와 내부함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 가스의 흡인 슬릿으로 하고, 칸막이 환상벽부를, 내부함의 확경형상에 따라, 중간부에 하방 축경형상의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면보다 하방 부위의 내경을 상방 부위보다 작은 직경으로 했기 때문에, 배기 가스 흡인 슬릿을 중심측이면서 아래쪽 방향으로 함과 동시에, 탑 링에 있어서의 하방 경사 부위에 의해 경사 상방으로 흡인됨으로써, 재치 수단의 주연부로부터 상승하는 연소 배기 가스가 흡인되면, 피관 부재에 있어서의 내주연부의 하면과 칸막이 환상벽부에 있어서의 상단측의 내벽면에 충돌하고, 그 후 하방에 편향되고 굴곡형상의 흡인 공간의 안쪽 부위를 통과함으로써, 칸막이 환상벽부에 있어서의 테이퍼면이나 내부함에 있어서의 확경 부위의 외벽면에 충돌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유지류 등을 부착 보충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함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의 하단부보다 하방 부위에 부착하는 유지류 등을 극히 소량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깊어서 청소성이 나쁜 외부함의 내벽면의 청소 작업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는 재치 링이나 외부함의 내벽면의 청소 빈도를 적게 하거나, 청소 빈도는 그대로 하더라도, 청소 시의 함유 유지류 등의 제거 작업의 용이화에 의해, 1 회의 청소 시간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류측에서 보충할 수 없었던 유지류 등의 일부가, 천판(天板) 상면으로부터 손을 넣어서 닦지 않으면 안되는 착탈이 불가능한 외부함의 저부에 쌓이게 되는데, 외부함의 내벽면으로의 유지류 등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외부함의 저면을 기름 탱크로 하여 기름을 모으고, 아울러 착탈이 가능한 탑 링의 내벽면과, 마찬가지로 착탈이 가능한 내부함의 외벽면으로의 유지류의 부착량이 증가하여, 하류로의 통과량의 저감화를 꾀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부분을 한정하여 청소 면적의 협소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이 부분의 오염 정도를 경감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함의 청소 작업의 에너지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 흡인 슬릿으로부터 흡인된 배기 가스는, 2 개소에서 절곡된 칸막이 환상벽부와 내부함의 외벽면 상부로의 거듭되는 충돌에 의해, 탑 링과 내부함의 외벽면 상부로의 유지류 등의 부착 기회가 많아지게 되기 때문에, 유지류 등을 더욱 보충하기 쉽게 되어, 하류측의 배기 경로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탑 링은 착탈이 가능하고, 칸막이 환상벽부의 내측의 대향 부위에는 벽이 없는 점으로부터, 피관 부재에 있어서의 내주연측 부위의 하면과 칸막이 환상벽부의 내벽면이 완전 노출하기 때문에, 청소도구나 세정액을 확실하게 닿게하여 씻을 수 있기 때문에, 세정 작업을 극히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피관 부재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보다 내측 부위가 굴곡형상이기 때문에, 탑 링의 강도(强度)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탑 링에 있어서의 피관 부재의 하방 경사 부위를, 탑 링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보다 내측 부위에 형성된 중심측으로의 상방 경사 부위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연속 형성했기 때문에, 탑 링 상의 횡풍(橫風)을 중심측이면서 상방에 약간 편향시킴으로써 배기 가스가 올라오는 것을 억제하고, 배기 가스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가스 흡인 슬릿으로부터의 흡인량이 향상하고 실내로의 배기 가스의 누출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탑 링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칸막이 환상벽부에 부착한 유지류 등이 액상화하고 부착면을 흘러내리는 점으로부터, 그 상태에서는 칸막이 환상벽부의 하단으로부터 외부함의 저부로 떨어져버리는데, 탑 링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의 하단부 내측에 기름 탱크를 주설(周設)했기 때문에, 부착면을 유하하는 유지류 등이 기름 탱크부에 쌓여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탑 링의 세정 시에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함의 저면에 쌓이는 기름의 양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외부함의 청소 작업의 에너지 절약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는 등의 그 실용적 효과는 매우 크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로스터의 내부 구조를 일부 생략한 자름면 단면도(端面圖)이다(실시예 1).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연 로스터에서 사용하는 탑 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4의 탑 링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5는 탑 링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 로스터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원형상의 개구부(1)를 형성한 테이블(2)과, 상기 테이블(2)의 하방에 배치한 외부함(3)과, 상기 외부함(3)의 내부에 배치한 상방 개구형상의 내부함(4)과, 테이블(2)에 있어서의 개구부(1)의 내주면과 내부함(4)의 상부와의 사이의 극간을 폐쇄하는 탑 링(5)과, 상기 내부함(4) 내에 배치한 가열부(6)와, 상기 가열부(6)의 상방에 배치된, 구이망, 로스톨 등의 재치 조리 수단(7)을 갖고, 외부함(3)과 내부함(4)과의 사이에 흡인 공간(8)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함(3)에, 배기 경로(도시하지 않음)에 연통하는 배기구(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부함(3)의 상부에, 테이블(2)의 개구부(1)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고 상기 개구부(1)와 동심(同心) 위치에 상방 개구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상방 개구부(10)의 외주측에 형성된 구연벽부(10a)를 외부함(3)의 상부에 돌출설치하고, 이러한 상방 개구부(10)로부터 상기 내부함(4)을 출입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하고, 구체적으로는 탑 링(5)을 떼어낸 상태에서 출입 가능하게 되고, 외부함(3)의 하부로 하여 상방 개구부(10)와는 편심 위치에 상기 배기구(9)를 형성하고, 외부함(3) 내의 내부함(4)의 측방으로 하여 배기구(9)의 외주 부위에, 상방 개구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의 필터(11)를 재치하고 있다.
상기 내부함(4)에 있어서는, 상단 부위를 재치 조리 수단(7)의 재치단부(12)를 통하여 확경하고, 상기 재치단부(12)보다 상방 부위를 상방으로 점차 확경시켜, 상단연부에 외측으로의 컬 가공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내부함(4)의 상단부는, 외부함(3)의 상방 개구부(10)보다 상방에 돌출하고 있다.
상기 탑 링(5)에 있어서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원환판(圓環板)형상의 피관 부재(14)와, 상기 피관 부재(14)의 내주연부보다 외측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단부가 피관 부재(14)에 일체화된 칸막이 환상벽부(15)를 갖고, 이 탑 링(5)의 내경(r)을 내부함(4)의 상방 개구 직경(R)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고, 피관 부재(14)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15)보다 내측 부위는, 피관 부재(14)의 중심측으로의 상방 경사 부위(16)와, 상기 상방 경사 부위(16)의 선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속 형성된, 중심측으로의 하방 경사 부위(17)로 구성되어 있고, 이 굴곡형상에 의해 탑 링(5)의 강성이 향상한다.
구체적으로는, 피관 부재(14)에 있어서는, 상기 흡인 공간(8)의 상방에 배치하고, 칸막이 환상벽부(15)에서는, 흡인 공간(8)에 있어서의 상방 부위를, 내방측의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와 외방측의 외기 흡인 유로(19)로 구분되어 있고, 내부함(4)의 상단부를 탑 링(5)의 내주연부보다 하방으로 하고,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에 배기 가스의 흡인부를, 외기 흡인 유로(19)에 외기의 흡인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배기 가스 흡인부를, 탑 링(5)의 내주연부와 내부함(4)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중심측이면서 아래쪽 방향의 배기 가스 흡인 슬릿(20)으로 하고, 상기 배기 가스 흡인 슬릿(20)으로부터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 내에 배기 가스를 흡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외기 흡인부를, 외기 흡인 유로(19)를 구성하는, 피관 부재(14)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15)보다 외주 부위에 형성된 복수 개의 외기 흡인구(21, 21a…)로 하고, 상기 외기 흡인구(21, 21a…)에 의해 외기 흡인 유로(19) 내에 외기를 흡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피관 부재(14)의 외주부에 착좌벽(22)을 늘어뜨려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탑 링(5)은 외주 링(5a)과 내주 링(5b)의 복합재로, 외주 링(5a)에 있어서는, 피관 부재(14)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15)를 구성하는 둘레벽 부재(23)와, 상기 둘레벽 부재(23)의 상단부에 연속 형성된, 피관 부재(14)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15)로부터 외주 부위를 구성하는 차양 부재(24)를 포함하고, 내주 링(5b)에 있어서는, 외주 링(5a)에 있어서의 둘레벽 부재(23)의 내측면에 밀착하는 삽입 부재(25)와, 상기 삽입 부재(25)의 상단측에 연속 형성된, 피관 부재(14)에 있어서의 상방 경사 부위(16) 및 하방 경사 부위(17)를 형성하는 처마 부재(26)를 포함하고 있다.
즉, 탑 링(5)에 있어서의 피관 부재(4)는, 외주 링(5a)에 있어서의 차양 부재(24)와, 내주 링(5b)에 있어서의 처마 부재(26)로 구성되고, 상기 차양 부재(24)에 상기 외기 흡인구(21, 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 링(5)은, 착좌벽(22)을 테이블(2)의 개구부(1) 내에 설치한 재치 링(27)에 있어서의 재치단부(28) 상에 착좌시킴과 동시에, 상기 재치단부(28)의 내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는 원주벽부(29)의 하단 부위를 외부함(3)의 상방 개구부(10) 내에 위치하도록, 즉 구연벽부(10a)의 내면에 겹치도록 하여 설치하고, 테이블(2)에 있어서의 개구부(1)의 내주면과 외부함(3)의 상부와의 사이의 극간을 폐쇄하도록 하고, 이 원주벽부(29)의 중간부에, 내부함(4)의 확경형상에 따른 하방 축경형상의 테이퍼면(30)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면(30)보다 하방 부위의 직경을 상방 부위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탑 링(5)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15)[외주 링(5a)에 있어서의 둘레벽 부재(23)]도 마찬가지로, 중간부에 하방 축경형상의 테이퍼면(31)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면(31)보다 하방 부위의 직경을 상방 부위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여,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와 외기 흡인 유로(19)를 굴곡 유로로 하고, 특히 외기 흡인 유로(19)는 상방측과 하방측의 폭을 실질적으로 같은 치수로 되고, 상기 외기 흡인 유로(19)로부터 유출한 외기가 외부함의 내벽면을 따라 흘러서 형성되는 층류가 안정된다.
또한, 톱 링(5)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15)의 하단을, 재치 링(27)에 있어서의 원주벽부(29)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위치시켜서, 흡인된 배기 가스 중의 함유 유지류 등이 재치 링(27)에 부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탑 링(5)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탑 링(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데, 칸막이 환상벽부(15)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되꺾어와서, 홈(溝)형상의 기름 탱크(32)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무연 로스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기 덕트(도시하지 않음)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복수 개의 외기 흡인구(21, 21a…)로부터 외기 흡인 유로(19) 내에 외기가 흡인되어 하류측으로 유도되는데, 외부함(3)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흐르는 점으로부터, 외부함(3)과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로부터의 고온 상태의 배기 가스의 사이에 외기의 층류가 형성되어, 배기 가스 흡인 슬릿(20)으로부터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에 유입한 배기 가스가 외부함(3)의 내벽면에 접촉하지 않고, 그 결과 외부함(3)의 내벽면에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유지류 등이 부착하지 않고, 외부함(3)이 과열하지 않는다.
즉,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유지류 등은, 일상적으로 청소하는 탑 링(5)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15)의 내벽면 및 내부함(4)의 외벽면에 부착하게 되고, 그 외측의 재치 링(27)의 내벽면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탑 링(5)의 내주연부보다 중심측이면서 하방에 위치하는 재치 조리 수단(7)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중심측이면서 아래쪽 방향의 배기 가스 흡인 슬릿(20)으로부터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 내에 흡인되는데, 탑 링(5)에 있어서의 하방 경사 부위(17)에 의해 경사 상방으로 유도되고, 피관 부재(14)에 있어서의 내주연부의 하면과 칸막이 환상벽부(15)에 있어서의 상단측의 내벽면에 충돌하고, 크게 U자 반대형상으로 유도하고 하방으로 편향된 후, 굴곡한 배기 가스 흡인 유로(18)를 통과함으로써, 칸막이 환상벽부(15)에 있어서의 테이퍼면(31)이나 내부함(4)에 있어서의 확경 부위의 외벽면에 충돌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유지류 등을 부착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탑 링(5)에 있어서는, 칸막이 환상벽부(10)의 내벽면에 부착한 유지류가, 중력이나 기류에 밀려서 그대로 하방으로 흘러내려가더라도, 기름 탱크(32)에 쌓여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외부함(3)의 내면의 유지류에 의한 오염이 억제된다.
배기 경로의 통과 과정에 있어서, 고온 상태의 배기 가스가 저온 상태의 외기와 혼합되어 저온화되는 점으로부터, 오일 미스트가 액화하기 때문에, 필터(11)나, 배기 유로 중에 배치된 유지 흡착체(도시하지 않음), 구리스 필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효율적으로 포집된다.
에어콘으로부터 취출(吹出)하고 기류가 벽면에 반사하여, 탑 링(5)의 상방에 횡풍이 발생하는데, 탑 링(5)에 있어서의 상방 경사 부위(16)에 의해, 상기 횡풍을 약간 상방으로 편향시켜서 배기 가스가 올라오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배기 가스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하여, 배기 가스 흡인 슬릿(20)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흡인량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실내로의 배기 가스의 누출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연 로스터에서는, 내부함(4)과 배기구(9)를 편심 위치에 배치한, 소위 「횡인식 무연 로스터」인데, 도시하지는 않지만, 내부함의 바로 아래에 배기구를 배치한, 소위 「종인식 무연 로스터」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배기구(9)까지 배기 가스가 횡방향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유지류 등이 외부함(3)의 저면에 낙하하기 쉬운 「횡인식 무연 로스터」로 한다.
1 : 개구부 2 : 테이블
3 : 외부함 4 : 내부함
5 : 탑 링 7 : 재치 조리 수단
8 : 흡인 공간 9 : 배기구
10 : 상방 개구부 12 : 재치단부
14 : 피관 부재 15 : 칸막이 환상벽부
16 : 상방 경사 부위 17 : 하방 경사 부위
20 : 배기 가스 흡인 슬릿 27 : 재치 링
28 : 재치단부 29 : 원주벽부
31 : 테이퍼면 32 : 기름 탱크
r : 탑 링의 내경 R : 내부함의 상방 개구 직경

Claims (3)

  1. 테이블 하방에 배치한, 상방 개구부를 갖는 외부함과, 상기 외부함의 내부에 배치한 내부함을 갖고, 외부함과 내부함의 사이에 흡인 공간을 형성하고, 테이블의 개구부 내에 설치한 재치 링에 있어서의 재치단부 상에 탑 링을 착탈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착좌시키고, 이 재치 링은 재치단부의 내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는 원주벽부의 하단 부위를 외부함의 상방 개구부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테이블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외부함의 상부와의 사이의 극간을 폐쇄하고, 외부함에 배기 경로에 연통하는 배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탑 링은, 상기 테이블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내부함의 상부의 극간의 상방에 배치하는 피관 부재와, 상기 피관 부재의 내주연부보다 외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단부를 피관 부재의 하면에 일체화한 상기 흡인 공간의 상방 부분을 내외쪽 부위로 구획하는 칸막이 환상벽부를 갖고, 칸막이 환상벽부로 구획된 흡인 공간의 안쪽 부위에 배기 가스의 흡인부를, 바깥쪽 부위에 외기의 흡인부를 설치하고, 상기 탑 링에 있어서의 피관 부재의 내주연부를, 중심측으로의 하방 경사 부위로 하고, 내부함의 상단 부위를 재치 조리 수단의 재치단부를 통하여 확경하고, 상기 재치단부보다 상방 부위를 상방으로 점차 확경시켜, 탑 링의 내경을 내부함의 상방 개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함과 동시에, 내부함의 상단부를 탑 링의 내주연부보다 하방으로 하고, 상기 배기 가스 흡인부를, 탑 링의 내주연부와 내부함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 가스 흡인 슬릿으로 하고, 칸막이 환상벽부를, 내부함의 확경형상에 따라, 중간부에 하방 축경형상의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면보다 하방 부위의 내경을 상방 부위보다 작은 직경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로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탑 링에 있어서의 피관 부재의 하방 경사 부위를, 탑 링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보다 내측 부위에 형성된 중심측으로의 상방 경사 부위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연속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로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탑 링에 있어서의 칸막이 환상벽부의 하단부 내측에 기름 탱크를 주설(周設)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로스터.
KR1020100108108A 2010-11-02 2010-11-02 무연 로스터 KR10133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108A KR101334569B1 (ko) 2010-11-02 2010-11-02 무연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108A KR101334569B1 (ko) 2010-11-02 2010-11-02 무연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451A true KR20120046451A (ko) 2012-05-10
KR101334569B1 KR101334569B1 (ko) 2013-11-28

Family

ID=4626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108A KR101334569B1 (ko) 2010-11-02 2010-11-02 무연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5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624A (ko) * 2012-06-25 2014-01-03 신포 코., 엘티디. 무연 로스터
CN105258179A (zh) * 2015-11-16 2016-01-20 重庆钟法无烟宝电器有限公司 无烟火锅锅架和电磁炉安装箱组件
CN106225018A (zh) * 2016-08-15 2016-12-14 重庆钟法无烟宝电器有限公司 一种适合燃气炉的无烟火锅桌
KR102083290B1 (ko) * 2018-11-14 2020-04-2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직화구이 로스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9833A (ja) 2008-10-20 2010-06-03 Shinpo Co Ltd 排ガス冷却構造を備えた無煙ロースター用トップリング及び該トップリング用の載置リン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624A (ko) * 2012-06-25 2014-01-03 신포 코., 엘티디. 무연 로스터
CN105258179A (zh) * 2015-11-16 2016-01-20 重庆钟法无烟宝电器有限公司 无烟火锅锅架和电磁炉安装箱组件
CN106225018A (zh) * 2016-08-15 2016-12-14 重庆钟法无烟宝电器有限公司 一种适合燃气炉的无烟火锅桌
CN106225018B (zh) * 2016-08-15 2018-05-01 重庆钟法无烟宝电器有限公司 一种适合燃气炉的无烟火锅桌
KR102083290B1 (ko) * 2018-11-14 2020-04-2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직화구이 로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569B1 (ko)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2547B1 (en) Air purifier
KR20120046451A (ko) 무연 로스터
EP2799341B1 (en) Particle separator
CN105381655A (zh) 用于除油烟的汽液分离组件及多级过滤装置
KR101129811B1 (ko) 배기 가스 냉각 구조를 구비한 무연 로스터용 톱링 및 이 톱링용의 재치링
EP1757865A2 (en) Exhaust hood
EP3112780B1 (en) Accumulator, and refrigeration device with said accumulator
JP2011092879A (ja) 気水分離器
JP2009139056A (ja) 空気汚染物の除去装置及びレンジフード
CN205447917U (zh) 一种排油烟罩
CN209588136U (zh) 一种排油油路结构及抽油烟机
CN109611928A (zh) 一种排油油路结构及抽油烟机
JP2010017675A (ja) 集塵装置
KR100624823B1 (ko) 배플필터
JP2009297652A (ja) 除塵装置
JP2950292B2 (ja) ホットプレート
JP2018128145A (ja) 換気口フード
JP5223728B2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JP2009300026A (ja) 排気装置
KR20100044126A (ko) 배기 가스 냉각 구조를 구비한 무연 로스터용 톱링 및 이 톱링용의 재치링
CN102462386B (zh) 无烟烧烤机
JP2012085930A (ja) 無煙ロースター
JP2013195049A (ja) レンジフード
CN100356107C (zh) 具有周边空气入口的除油烟机
TWM547641U (zh) 具有導流板的油機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