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845A - 조립식 고정 단자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고정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845A
KR20120044845A KR1020100106366A KR20100106366A KR20120044845A KR 20120044845 A KR20120044845 A KR 20120044845A KR 1020100106366 A KR1020100106366 A KR 1020100106366A KR 20100106366 A KR20100106366 A KR 20100106366A KR 20120044845 A KR20120044845 A KR 20120044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ing
sides
jaw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392B1 (ko
Inventor
박병주
Original Assignee
건흥전기 주식회사
고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흥전기 주식회사, 고광훈 filed Critical 건흥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3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본체의 일측면 양측 하부에는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타측면 양측 하부에는 결합턱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정대의 벽면 양측에는 결합턱을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 2고정대의 벽면 양측에는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를 요구되는 만큼 연속해서 조립?설치할 수 있는 고정 단자대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에 의해 다양한 형태 즉, 상기 본체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접속단자의 수를 필요한 만큼 증가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본체가 결합된 본체의 양측에 제 1 및 제 2고정대를 각각 결합시켜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배전반의 패널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가 매우 간편하며, 제작비 절감은 물론 제품의 가격 경쟁력 향상 및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조립식 고정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고정 단자대{Assembling fixed terminal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접속을 위한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본체의 일측면 양측 하부에는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타측면 양측 하부에는 결합턱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정대의 벽면 양측에는 결합턱을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 2고정대의 벽면 양측에는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를 요구되는 만큼 연속해서 조립?설치할 수 있는 고정 단자대를 제공함으로써, 단자대의 종류를 감소시켜 구비되는 금형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작비 절감은 물론 제품의 가격 경쟁력 향상 및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조립식 고정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단자대는 다수의 전선이 각각 연결되어 차단기 또는 각종 콘센트와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단자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태의 단자대(1)를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단자대(1)의 상부에 다수의 접속단자(3)를 장착시킨 일체형 단자대를 배전반에 설치한 후 각각의 접속단자(3)에 전선을 연결, 고정시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일체형 단자대는 사용 용도에 따라 2 내지 10개의 접속단자(3)가 장착된 단자대(1)를 각각 생산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라 각기 다른 금형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고, 불량이 발생할 경우 단자대(1)를 모두 폐기해야 하므로 자원이 낭비되어 경제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폐기되는 단자대가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본체의 일측면 양측 하부에는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타측면 양측 하부에는 결합턱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고정대의 벽면 양측에는 결합턱을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 2고정대의 벽면 양측에는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를 요구되는 만큼 연속해서 조립?설치할 수 있는 고정 단자대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에 의해 다양한 형태 즉, 상기 본체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접속단자의 수를 필요한 만큼 증가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본체가 결합된 본체의 양측에 제 1 및 제 2고정대를 각각 결합시켜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배전반의 패널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가 매우 간편하며, 제작비 절감은 물론 제품의 가격 경쟁력 향상 및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조립식 고정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 사이에 접지단자가 설치되고, 일측면 양측 하부에는 각각 결합홈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타측면 양측 하부에는 각각 결합턱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벽면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턱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배전반의 패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통공된 제 1고정대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벽면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홈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배전반의 패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통공된 제 2고정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홈의 양측에 걸림홈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결합턱의 양측에는 걸림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와 제 1 및 제 2고정대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턱의 상단에 후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2고정대의 결합홈의 상단에는 상기 후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턱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와 제 2고정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고정 단자대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에 의해 다양한 형태 즉, 상기 본체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접속단자의 수를 필요한 만큼 증가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본체가 결합된 본체의 양측에 제 1 및 제 2고정대를 각각 결합시켜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배전반의 패널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가 매우 간편하며, 제작비 절감은 물론 제품의 가격 경쟁력 향상 및 생산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단자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고정 단자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고정 단자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고정 단자대(10)는 본체(100)와 제 1 및 제 2단자(200)(3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하되, 상부에는 격벽(102)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02) 사이에는 접속단자(104)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면 양측 하부에는 각각 결합홈(110)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타측면 양측 하부에는 각각 결합턱(120)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1 ~ 4개의 접속단자(104)가 장착된 각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104)의 수와 비례하게 본체(100) 상부에 다수의 격벽(10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고정대(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과 결합되고, 배전반(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을 소정 형태로 사출 성형하되, 일측의 벽면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턱(210)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배전반의 패널과 체결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체결공(220)을 통공시켜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고정대(30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과 결합되고, 배전반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을 소정 형태로 사출 성형하되, 타측의 벽면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홈(310)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배전반의 패널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320)을 통공시켜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홈(110)(310)의 양측에 걸림홈(112)(312)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결합턱(120)(210)의 양측에는 걸림돌기(122)(212)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제 1 및 제 2고정대(200)(300)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턱(120)의 상단에 후크(124)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2고정대(300)의 결합홈(310)의 상단에는 상기 후크(124)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턱(314)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제 2고정대(30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식 고정 단자대의 조립 및 설치는 먼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10)에 상기 제 1고정대(200)의 벽면에 형성된 결합턱(210)을 긴밀하게 끼워 삽입하면 상기 결합홈(110)과 결합턱(210)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홈(112)과 걸림돌기(212)가 서로 맞물려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턱(120)을 상기 제 2고정대(300)의 벽면에 형성된 결합홈(310)에 긴밀하게 끼워 삽입하면 상기 결합턱(120)과 결합홈(310)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돌기(122)와 걸림홈(312)이 서로 맞물려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의 단자대(10)가 조립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단자대(10)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대(200)(300)에 형성된 체결공(220)(320)을 통해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배전반의 패널에 고정시켜 접속단자(104)에 전선을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 장착된 접속단자(104)의 수를 증가시켜야 할 경우에는 상기 제 2고정대(3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되는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110)에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턱(120)을 끼워 고정시킨 다음 별도로 구비된 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턱(120)을 분리된 상기 제 2고정대(300)의 벽면에 형성된 결합홈(310)에 끼워 긴밀하게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접속단자(104)가 필요한 만큼의 본체(100)를 연속적으로 끼워 고정시켜 단자대(10)를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턱(120)의 상단에 후크(124)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2고정대(300)의 결합홈(310)의 상단에는 상기 후크(124)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턱(314)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제 2고정대(30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대(200) (300)에 형성된 체결공(220)(320)을 통해 나사로 배전반의 패널에 고정시켜 접속단자(104)에 전선을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본체 102 : 격벽
104 : 접속단자 110, 310 : 결합홈
112, 312 : 걸림홈 120, 210 : 결합턱
122, 212 : 걸림돌기 124 : 후크
200 : 제 1고정부 300 : 제 2고정부
314 : 고정턱 220, 320 : 체결공

Claims (4)

  1. 상부에는 격벽(10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02) 사이에 접지단자(104)가 설치되고, 일측면 양측 하부에는 각각 결합홈(110)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타측면 양측 하부에는 각각 결합턱(120)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벽면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턱(210)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배전반의 패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220)이 통공된 제 1고정대(200)와;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벽면 양측 하부에 각각 결합홈(310)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배전반의 패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320)이 통공된 제 2고정대(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정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0)(310)의 양측에 걸림홈(112)(312)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결합턱(120)(210)의 양측에는 걸림돌기(122)(212)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제 1 및 제 2고정대(200)(300)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정 단자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턱(120)의 상단에 후크(124)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 2고정대(300)의 결합홈(310)의 상단에는 상기 후크(124)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턱(314)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제 2고정대(30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정 단자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1 ~ 4개의 접속단자(104)가 장착된 각각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접속단자(104)의 수와 비례하게 본체(100) 상부에 다수의 격벽(10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정 단자대.
KR1020100106366A 2010-10-28 2010-10-28 조립식 고정 단자대 KR10115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66A KR101153392B1 (ko) 2010-10-28 2010-10-28 조립식 고정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66A KR101153392B1 (ko) 2010-10-28 2010-10-28 조립식 고정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45A true KR20120044845A (ko) 2012-05-08
KR101153392B1 KR101153392B1 (ko) 2012-06-07

Family

ID=4626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366A KR101153392B1 (ko) 2010-10-28 2010-10-28 조립식 고정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00B1 (ko) 2019-11-27 2021-04-05 우용성 우수 유입 방지형 단자대
KR20240015265A (ko) 2022-07-27 2024-02-05 우용성 조립 구조 개선형 단자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634A (ja) * 1998-12-30 2000-07-18 Osada:Kk 端子盤
KR200346975Y1 (ko) 2003-12-24 2004-04-08 주식회사 오토닉스 제어계측기기용 다목적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392B1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4348B2 (en) Modular system for plug connector modules, plug connector unit and modular housing frames for same
KR100910100B1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US8723038B2 (en) Plate metal member, bus bar, and electrical junction box having the bus bar
RU2583042C2 (ru) Модульная клеммная колодка
US9324531B2 (en) Fuse unit
CN102630138B (zh) 电连接盒
US7813110B1 (en) Electrical enclosures having configurable panel layouts
KR101153392B1 (ko) 조립식 고정 단자대
KR101864020B1 (ko)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KR20150008812A (ko) 차량용 전기 센터
KR101212056B1 (ko) 전원분배유니트
KR101551908B1 (ko) 배전반 버킷의 부스바 커넥터용 콘택트
JP5514013B2 (ja) 分岐ブレーカ取付台
KR101768080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단자대
US9019716B2 (en) Plate member, bus bar and electric junction box having the bus bar
CN108539693B (zh) 母线组合式铜排固定安装结构
KR102528616B1 (ko)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CN217768789U (zh) 一种中性端子组件及断路器配电箱
CN103683144B (zh) 布线板以及具有该布线板的电气连接箱
KR101146498B1 (ko) 배터리분배유니트
CN201594630U (zh) 电连接器
KR20090094999A (ko) 차량용박스
JP6366533B2 (ja) 分電盤
KR101701153B1 (ko)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CN204947115U (zh) 变频器及端子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