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616B1 -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 Google Patents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616B1
KR102528616B1 KR1020220065434A KR20220065434A KR102528616B1 KR 102528616 B1 KR102528616 B1 KR 102528616B1 KR 1020220065434 A KR1020220065434 A KR 1020220065434A KR 20220065434 A KR20220065434 A KR 20220065434A KR 102528616 B1 KR102528616 B1 KR 10252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interlock
molding
mold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조원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양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양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양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06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는, 제1기기가 연결되는 입력부와 제2,제3기기가 각각 연결되는 제1,제2분배부를 형성하고,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입력부에서 제1,제2분배부로 연결되고, 고전압을 공급하는 메인 버스바와,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입력부에서 제1,제2분배부로 연결되고,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한 쌍의 인터락 버스바와, 인터락 버스바가 하우징에 몰딩되기 전에 인터락 버스바의 변형에 의한 쇼트를 방지하도록 인터락 버스바에 미리 몰딩되는 프리 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INTERGRATED DISTRIBUTOR USING INTERLOCK PRE-MOLD}
본 발명은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형 분배기를 다수개의 메인 커넉터와 인터락 버스바를 일체로 몰딩함에 있어 인터락 버스바를 프리 몰드로 위치 및 형상을 미리 고정함으로써, 사출압력에 의해 인터락 버스바가 변형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서 점차적으로 일반차량,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커넥터, 인버터, 졍션박스등의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차량에 많은 수가 구비되어져 전기를 공급 및 분배하게 된다. 최근에는 다수개의 커넥터를 하나의 사출물인 통합형 분배기로 일체화하여 크기를 줄여 공간을 절약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한편, 통합형 분배기(INTERGRATED DISTRIBUTOR)는 커넥터를 입력측에서 출력측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메인 버스바와, 메인 버스바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전기자동차 등에서 차량 정비시 전원을 차단하여 고전압으로 부터 안전을 도모하는 인터락 버스바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통합형 분배기를 성형하는 데 있어, 다수개의 메인 버스바와 인터락 버스바를 함께 사출압력으로 일체로 몰딩하는 과정에서, 메인 버스바는 금형에 고정하기 용이하지만, 인터락 버스바는 금형에 고정이 어려워 위치를 대충 정한 상태에서 몰딩이 이루어짐으로써, 한 쌍의 인터락 버스바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양극과 음극간에 상호 접촉이 이루어져 향후 사용시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공개공보 제2021-0112666호(2021.09.15, 발명의 명칭: 인터락 커넥터 조립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통합형 분배기를 다수개의 메인 커넉터와 인터락 버스바를 일체로 몰딩함에 있어 인터락 버스바를 프리 몰드로 위치 및 형상을 미리 고정함으로써, 사출압력에 의해 인터락 버스바가 변형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는, 제1기기가 연결되는 입력부와 제2,제3기기가 각각 연결되는 제1,제2분배부를 형성하고,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제2분배부로 연결되고, 고전압을 공급하는 메인 버스바;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제2분배부로 연결되고,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한 쌍의 인터락 버스바; 및 상기 인터락 버스바가 상기 하우징에 몰딩되기 전에 인터락 버스바의 변형에 의한 쇼트를 방지하도록 상기 인터락 버스바에 미리 몰딩되는 프리 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버스바는, 상기 입력부에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입력 버스바; 상기 입력 버스바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 형성되는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제2분배부에 각각 배치되는 출력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결속부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에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 상기 제1,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를 상호 결속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부위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하우징에 몰딩되어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락 버스바는, 상기 입력부에 제1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분배부에 제2핀부가 배치되는 제1인터락 버스바; 상기 입력부에 제3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분배부에 제4핀부가 배치되는 제2인터락 버스바; 및 상기 제2분배부에 제5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분배부에 제6핀부가 배치되는 제3인터락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분배부에 접속되는 상기 제3기기에는 상기 제2인터락 버스바의 제4핀부와 상기 제3인터락 버스바의 제5핀부를 상호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여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안전작동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 몰딩부는, 상기 제1핀부와 상기 제3핀부가 상기 입력부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인터락 버스바와 상기 제2인터락 버스바의 진입측을 몰딩 고정하는 제1몰딩고정부; 상기 제1몰딩고정부와 설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2분배부에서 상기 제4핀부와 상기 제5핀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제2인터락 버스바 및 상기 제1,제3인터락 바스바를 상호 몰딩 고정하는 제2몰딩고정부; 및 상기 제2몰딩고정부와 설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2핀부와 상기 제6핀부가 상기 제1분배부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인터락 버스바와 상기 제3인터락 버스바의 출력측을 몰딩 고정하는 제3몰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몰딩고정부는, 상기 제1인터락 버스바에 몰딩되는 제1몰딩부; 상기 제2인터락 버스바에 몰딩되는 제2몰딩부; 상기 제2몰딩부와 설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3인터락 버스바에 몰딩되는 제3몰딩부; 상기 제1몰딩부와 상기 제2몰딩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몰딩부와 상기 제3몰딩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 몰딩부는 상기 프리 몰딩부를 상기 인터락 버스바에 미리 선행하여 몰딩한 후, 상기 하우징에 몰딩시 상기 하우징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위치고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는, 통합형 분배기를 다수개의 메인 커넉터와 인터락 버스바를 일체로 몰딩함에 있어 인터락 버스바를 프리 몰드로 위치 및 형상을 미리 고정함으로써, 사출압력에 의해 인터락 버스바가 변형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버스바를 다수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다수개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일체로 몰딩함으로써, 굵기가 두꺼운 메인 버스바의 굴곡 가공공정을 최소화하여 작업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메인 버스바와 인터락 버스바를 보인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입력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제2분배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제1분배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인터락 버스바와 프리 몰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인터락 버스바와 프리 몰딩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메인 버스바와 인터락 버스바를 보인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입력부에서 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제2분배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제1분배부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인터락 버스바와 프리 몰딩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에서, 인터락 버스바와 프리 몰딩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는, 하우징(100), 메인 버스바(200), 인터락 버스바(300) 및 프리 몰딩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제1기기(10)가 연결되는 입력부(110)와 제2,제3기기(20)(30)가 각각 연결되는 제1,제2분배부(120)(130)를 형성하고,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이다. 하우징(100)은 사출 성형에 의해 몰딩되는 구성으로서,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를 적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기기(10)에는 후술하는 메인 버스바(200)의 양극과 음극의 입력측 한 쌍과, 인터락 버스바(300) 중에서 제1인터락 버스바(310)의 제1핀부(312) 및 제2인터락 버스바(320)의 제3핀부(322)가 삽입되는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되어 입력측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버스바(200)는 하우징(100)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입력부(110)에서 제1,제2분배부(120)(130)로 연결되고, 고전압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메인 버스바(200)는 고전압을 견디도록 두꺼운 금속재질을 적용한다. 메인 버스바(200)는 도전성을 고려하여 동재질을 적용한다.
메인 버스바(100)는 입력부(110)에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입력 버스바(210)와, 입력 버스바(210)에 연결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 형성되는 연결 버스바(220)와, 연결 버스바(220)에 연결되고, 제1,제2분배부(120)(130)에 각각 배치되는 출력 버스바(230)를 포함한다.
입력 버스바(210)는 양극과 음극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입력부(110)의 형상으로 고려하여 설정 각도로 굴곡지게 연결된다. 연결 버스바(220)는 입력 버스바(210)의 입력측에 겹치게 배치되어 후술하는 결속부(240)를 통해 연결 버스바(210)와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출력 버스바(230)는 연결 버스바(220)의 출력측에 겹치게 배치되어 후술하는 결속부(240)를 통해 연결 버스바(210)와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입력 버스바(210)와 연결 버스바(220) 및 연결 버스바(220)와 출력 버스바(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결속부(240)를 이용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속부(240)는 입력 버스바(210)와 출력 버스바(230)에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242)와, 연결 버스바(2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244)과, 제1,제2관통홀(242)(24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부재(246)와, 볼트부재(246)에 체결되어 입력 버스바(210)와 연결 버스바(220) 및 연결 버스바(220)와 출력 버스바(230)를 상호 결속하는 너트부재(248)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246)는 너트부재(248)가 체결되는 부위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하우징(100)에 몰딩되어 매립 형성된다.
이로써, 입력 버스바(210), 연결버스바(220) 및 출력 버스바(230) 중 적어도 어느 일부를 몰딩하면서 너트부재(248)가 체결되는 부위만 노출되도록 볼트부재(246)를 몰딩함으로써, 몰딩이 이루어진 후에 외부에서 너트부재(248)를 체결하여 입력 버스바(210)와 연결 버스바(220) 및 연결 버스바(220)와 출력 버스바(230)를 연결부위를 결합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볼트부재(246)를 입력 버스바(210)와 출력 버스바(230)의 제1관통홀(242)에 끼우고, 연결 버스바(220)의 제2관통홀(244)에 끼운 후 너트부재(248)를 모두 체결한 상태에서 일체로 몰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터락 버스바(300)는 하우징(100)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입력부(110)에서 제1,제2분배부(120)(130)로 연결되고,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 쌍 구비된다. 인터락 버스바(300)는 예를 들어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를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에 적용하는 경우, 차량 점검을 위해 안전하게 전원을 일시 차단하고 점검함으로써, 고전압에 의해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구성이다.
인터락 버스바(300)는, 입력부(110)에 제1핀부(312)가 배치되고, 제1분배부(120)에 제2핀부(314)가 배치되는 제1인터락 버스바(310)와, 입력부(110)에 제3핀부(322)가 배치되고, 제2분배부(130)에 제4핀부(324)가 배치되는 제2인터락 버스바(320)와, 제2분배부(130)에 제5핀부(332)가 배치되고, 제1분배부(120)에 제6핀부(334)가 배치되는 제3인터락 버스바(330)를 포함한다.
제1인터락 버스바(310)은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로서, 제1인터락 버스바(310)은 양극인 경우, 제2인터락 버스바(320)와 제3인터락 버스바(330)는 음극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제2인터락 버스바(320)의 제4핀부(324)와 제3인터락 버스바(330)의 제5핀부(324)를 통해 후술하는 제2분배부(130)에 접속되는 제3기기(30)에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안전작동연결부(500)가 구비되어 점검 중 안전을 위해 인터락 버스바(300)의 연결을 안전작동연결부(500)를 통해 차단하여 사용자가 차량 점검시 고전압에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인터락 버스바(310)와 제2인터락 버스바(320)는 수평 상태의 제1핀부(312)와 제3핀부(322)에 대해 직각방향인 수직으로 전환하기 위해 굴곡 형성된 제1,제2방향전환부(316)(326)가 각각 구비된다.
제1방향전환부(316)는 제1핀부(312)에 대해 제1핀부(312)의 외측으로 굴곡 형성되고, 제2방향전환부(326)는 제3핀부(322)에서 제1핀부(312)의 반대방향으로 굴곡 형성된다. 제1인터락 버스바(310)와 제2인터락 버스바(320)는 제1방향전환부(316)와 제2방향전환부(326)에 의해 설정 간격 더 벌어진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후술하는 프리 몰딩부(400)의 프리 몰딩과 연계하거나 연계하지 않더라도 하우징(100)의 몰딩시 제1,제2인터락 버스바(320)간의 접촉에 의한 쇼트를 더 방지하게 해준다.
제1인터락 버스바(310)는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인 제4핀부(324)로 노출되기 위해 굴곡 형성된 제3방향전환부(328)가 구비된다. 제3방향전환부(328)는 방향전환의 용이성을 위해 일부 구간이 경사진 ㄷ자 형태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배부(130)에 접속되는 제3기기(30)에는 제2인터락 버스바(320)의 제4핀부(324)와 제3인터락 버스바(330)의 제5핀부(332)를 상호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여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안전작동연결부(500)가 구비된다.
안전작동연결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로 작용하는 제1인터락 버스바(310)에 대해, 다른 극으로 작용하는 제2인터락 버스바(320)와 제3인터락 버스바(330)의 연결을 안전작동연결부(500)를 통해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온/오프)함으로써, 차량 점검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프리 몰딩부(400)는 인터락 버스바(300)가 하우징(100)에 몰딩되기 전에 인터락 버스바(300)의 변형에 의한 쇼트를 방지하도록 인터락 버스바(300)에 미리 몰딩되는 구성이다. 프리 몰딩부(400)는 인터락 버스바(300)의 두께(일예로서 0.64mm)가 얇으므로 하우징(100) 몰딩시 휘어져셔 양극과 음극이 서로 붙어서 쇼트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우징(100)에서 몰딩하기 전에 미리 선행하여 인터락 버스바(300)을 프리 몰딩(pre-mold)하므로 인터락 버스바(300)의 양극과 음극간의 위치를 고정하여 쇼트를 방지하게 해줄 필요성이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프리 몰딩부(400)는, 제1핀부(312)와 제3핀부(322)가 입력부(110)에서 노출되도록 제1인터락 버스바(310)와 제2인터락 버스바(320)의 진입측을 몰딩 고정하는 제1몰딩고정부(410)와, 제1몰딩고정부(410)와 설정 간격 이격되고, 제2분배부(130)에서 제4핀부(324)와 제5핀부(332)가 노출되도록 제1,제2인터락 버스바(310)(320) 및 제1,제3인터락 바스바(310)(330)를 상호 몰딩 고정하는 제2몰딩고정부(420)와, 제2몰딩고정부(420)와 설정 간격 이격되고, 제2핀부(314)와 제6핀부(334)가 제1분배부(120)에서 노출되도록 제1인터락 버스바(310)와 제3인터락 버스바(330)의 출력측을 몰딩 고정하는 제3몰딩고정부(480)를 포함한다.
인터락 버스바(300)는 금속소재로 형성한다. 특히, 인터락 버스바(300)는 동재질의 합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제2,제3몰딩부(410)(420)(430)는 합성수지재를 적용하도록 한다. 특히, 제1,제2,제3몰딩부(410)(420)(430)는 연성이면서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재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1몰딩고정부(410)는 중간이 비어 있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몰딩고정부(42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3몰딩고정부(430)는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제2몰딩고정부(420)는, 제1인터락 버스바(310)에 몰딩되는 제1몰딩부(430)와, 제2인터락 버스바(320)에 몰딩되는 제2몰딩부(440)와, 제2몰딩부(440)와 설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제3인터락 버스바(330)에 몰딩되는 제3몰딩부(450)와, 제1몰딩부(430)와 제2몰딩부(440)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460)와, 제2몰딩부(440)와 제3몰딩부(450)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연결부(470)를 포함한다.
제1몰딩부(430)는 제1인터락 버스바(310)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제2몰딩부(440)는 제2인터락 버스바(320)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제3몰딩부(450)는 제3인터락 버스바(330)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1연결부(460)는 제1몰딩부(43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제2몰딩부(440)의 일측면을 연결함으로써, 제1인터락 버스바(310)와 제2인터락 버스바(320)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해준다.
다수개의 제2연결부(470)는 제1몰딩부(43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제3몰딩부(450)의 일측면을 연결함으로써, 제1인터락 버스바(310)와 제3인터락 버스바(330)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해준다.
제1몰딩부(430)에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제1인터락 버스바(310)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제1노출부(432)가 다수개 구비된다. 제2몰딩부(440)에는 일측으로 노출되어 제2인터락 버스바(320)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제2노출부(442)가 다수개 구비된다. 제3몰딩부(450)에는 양측으로 노출되어 제3인터락 버스바(330)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제3노출부(452)가 구비된다.
제1노출부(432)와 제2노출부(442)는 제1몰딩부(430)와 제2몰딩부(440)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3노출부(452)는 제3몰딩부(450)에서 제1,제2몰딩부(430)(440)의 제1,제2노출부(432)(44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 몰딩부(400)는 프리 몰딩부(400)를 제1인터락 버스바(310)에 미리 선행하여 몰딩한 후, 하우징(100)에 몰딩시 하우징(100)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위치고정돌기부(434)를 포함한다.
위치고정돌기부(434)는 프리 몰딩부(400)에서 제1인터락 버스바(310)에 몰딩되는 제2몰딩고정부(420)의 제1몰딩부(43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0)으로 성형되는 합성수지재에 걸려지면서 세팅된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는, 통합형 분배기를 다수개의 메인 커넉터와 인터락 버스바를 일체로 몰딩함에 있어 인터락 버스바를 프리 몰드로 위치 및 형상을 미리 고정함으로써, 사출압력에 의해 인터락 버스바가 변형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버스바를 다수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다수개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일체로 몰딩함으로써, 굵기가 두꺼운 메인 버스바의 굴곡 가공공정을 최소화하여 작업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제1기기 20: 제2기기
30: 제3기기 100: 하우징
110: 입력부 120: 제1분배부
130: 제2분배부 200: 메인 버스바
210: 입력 버스바 220: 연결 버스바
230: 출력 버스바 240: 결속부
242: 제1관통홀 244: 제2관통홀
246: 볼트부재 248: 너트부재
300: 인터락 버스바 310: 제1인터락 버스바
312: 제1핀부 314: 제2핀부
316: 제1방향전환부 320: 제2인터락 버스바
322: 제3핀부 324: 제4핀부
326: 제2방향전환부 328: 제3방향전환부
330: 제3인터락 버스바 332: 제5핀부
334: 제6핀부 400: 프리 몰딩부
410: 제1몰딩고정부 420: 제2몰딩고정부
430: 제1몰딩부 432: 제1노출부
434: 위치고정돌기부 440: 제2몰딩부
442: 제2노출부 450: 제3몰딩부
452: 제3노출부 460: 연결부
470: 제2연결부 480: 제3몰딩고정부
500: 안전작동연결부

Claims (10)

  1. 제1기기가 연결되는 입력부와 제2,제3기기가 각각 연결되는 제1,제2분배부를 형성하고,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제2분배부로 연결되고, 고전압을 공급하는 메인 버스바;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되어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제2분배부로 연결되고,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한 쌍의 인터락 버스바; 및
    상기 인터락 버스바가 상기 하우징에 몰딩되기 전에 인터락 버스바의 변형에 의한 쇼트를 방지하도록 상기 인터락 버스바에 미리 몰딩되는 프리 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바는,
    상기 입력부에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입력 버스바;
    상기 입력 버스바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몰딩 형성되는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제2분배부에 각각 배치되는 출력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결속부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에 관통 형성되는 제1관통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양측 단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2관통홀;
    상기 제1,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입력 버스바와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를 상호 결속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부위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하우징에 몰딩되어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버스바는,
    상기 입력부에 제1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분배부에 제2핀부가 배치되는 제1인터락 버스바;
    상기 입력부에 제3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분배부에 제4핀부가 배치되는 제2인터락 버스바; 및
    상기 제2분배부에 제5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분배부에 제6핀부가 배치되는 제3인터락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배부에 접속되는 상기 제3기기에는 상기 제2인터락 버스바의 제4핀부와 상기 제3인터락 버스바의 제5핀부를 상호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여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안전작동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몰딩부는,
    상기 제1핀부와 상기 제3핀부가 상기 입력부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인터락 버스바와 상기 제2인터락 버스바의 진입측을 몰딩 고정하는 제1몰딩고정부;
    상기 제1몰딩고정부와 설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2분배부에서 상기 제4핀부와 상기 제5핀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제2인터락 버스바 및 상기 제1,제3인터락 바스바를 상호 몰딩 고정하는 제2몰딩고정부; 및
    상기 제2몰딩고정부와 설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2핀부와 상기 제6핀부가 상기 제1분배부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인터락 버스바와 상기 제3인터락 버스바의 출력측을 몰딩 고정하는 제3몰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몰딩고정부는,
    상기 제1인터락 버스바에 몰딩되는 제1몰딩부;
    상기 제2인터락 버스바에 몰딩되는 제2몰딩부;
    상기 제2몰딩부와 설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3인터락 버스바에 몰딩되는 제3몰딩부;
    상기 제1몰딩부와 상기 제2몰딩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몰딩부와 상기 제3몰딩부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몰딩부는 상기 프리 몰딩부를 상기 인터락 버스바에 미리 선행하여 몰딩한 후, 상기 하우징에 몰딩시 상기 하우징에서 위치 고정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위치고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KR1020220065434A 2022-05-27 2022-05-27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KR10252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34A KR102528616B1 (ko) 2022-05-27 2022-05-27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34A KR102528616B1 (ko) 2022-05-27 2022-05-27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616B1 true KR102528616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434A KR102528616B1 (ko) 2022-05-27 2022-05-27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6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1614A (ja) * 2003-08-21 2005-03-17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30010810A (ko) * 2011-07-19 201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KR101501585B1 (ko) * 2014-02-17 2015-03-11 오경섭 전원자동차단기능이 있는 플러그장치
KR20170079582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200070815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퓨즈 통합형 정션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1614A (ja) * 2003-08-21 2005-03-17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30010810A (ko) * 2011-07-19 201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KR101501585B1 (ko) * 2014-02-17 2015-03-11 오경섭 전원자동차단기능이 있는 플러그장치
KR20170079582A (ko) *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200070815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퓨즈 통합형 정션 커넥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767018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6830482B2 (en) Fusible link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fusible link
KR101293956B1 (ko)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US6824430B2 (en) Fusible link unit
CN109792140B (zh) 电连接箱
CN102630138B (zh) 电连接盒
JP6300502B2 (ja) 電気分配センタ
US20130280928A1 (en) Power distribution box assembly
EP2862215B1 (en) Module de barre de distribution
KR20190057883A (ko) 정션 블록
US8414334B2 (en) Holder-mounting structure
KR102528616B1 (ko)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KR20150008812A (ko) 차량용 전기 센터
KR20140003871A (ko) 퓨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256748C (zh) 电磁保护和控制组件
JP2004328841A (ja) ブスバー間の位置決め構造及び電気接続箱
CN110912050B (zh) 电气连接箱及电气连接箱的制造方法
CN110277755B (zh) 电气接线箱
US20050133679A1 (en) Supporting device for busbars in cabinets for electrical switchboards
KR20120044845A (ko) 조립식 고정 단자대
KR100642527B1 (ko) 전기콘넥터의 제조방법
CN215453526U (zh) 配电箱、电池包以及电动汽车
WO2024127804A1 (ja) ヒューズ
KR200457362Y1 (ko) 배선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