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153B1 -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 Google Patents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153B1
KR101701153B1 KR1020150052715A KR20150052715A KR101701153B1 KR 101701153 B1 KR101701153 B1 KR 101701153B1 KR 1020150052715 A KR1020150052715 A KR 1020150052715A KR 20150052715 A KR20150052715 A KR 20150052715A KR 101701153 B1 KR101701153 B1 KR 10170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rame
groove
mold
conca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943A (ko
Inventor
박종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1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45Multiple circuits-breaker, e.g. for the purpose of dividing current or potential drop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는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이 조합된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제1몰드프레임;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이 조합된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제2몰드프레임; 및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가 서로 연접될 때 삽입홈부들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돌출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돌출부가 양측방으로 형성된 결합블록을 포함하여서, 복수의 몰드프레임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함으로써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ASSEMBLY OF MOLDED-FRAMES}
본 발명은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컨대 기중차단기에 사용되는 복수의 몰드프레임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함으로써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송전, 변전이나 전기회로 등에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혹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주로 저압기기용으로 사용된다.
일부 수요처에서는 표준으로 이용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전류 등급의 것을 요구하는데,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스위치들을 나란히 장착하고, 전류를 분배하기 위한 전극을 접속시키도록 설계된다.
이로 인해, 스위치들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의 크기가 크게 되는데, 성형된 복수의 몰드프레임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하나의 대형 프레임으로 조립하는 구성이 채택된다. 전형적으로, 몰드프레임들은 함께 볼트로 결합한다.
한편, 미국 특허 제4,884,047호에는 스페이서를 2개의 몰드프레임에 볼트결합한 다음 나머지 공간을 수지로 채움으로써, 몰드프레임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몰드프레임들의 결합 방식에서는, 스페이서를 삽입한 후 추가로 수지를 이용하여 접합시키게 되므로 수지의 성형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며,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시간도 소요되므로, 몰드프레임들을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지의 성형이 필요 없는 단순하고 신뢰할만한 결합구조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의 몰드프레임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함으로써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는,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이 조합된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제1몰드프레임;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이 조합된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제2몰드프레임; 상기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상기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가 서로 연접될 때 상기 삽입홈부들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돌출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돌출부가 양측방으로 형성된 결합블록;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제3몰드프레임; 및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제4몰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3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와 상기 제4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가 서로 연접될 때, 상기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상기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에 동시에 삽입된 결합블록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3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 및 상기 제4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와 동시에 형상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에서, 상기 제1몰드프레임과 상기 제2몰드프레임의 상면들 또는 하면들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 연접된 삽입홈부들에 동시에 삽입되어 몰드프레임들의 접촉방향으로 체결력을 가하는 결합블록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몰드프레임을 용이하게 상호 결합하여 조립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몰드프레임의 상면들 또는 하면들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의 결합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몰드프레임과 제2몰드프레임 사이의 결합관계를 이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이 조립된 후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몰드프레임과 제2몰드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몰드프레임과 제2몰드프레임 사이의 결합관계를 이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이 조립된 후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는,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11, 12)이 조합된 삽입홈부(15)를 구비하는 제1몰드프레임(10);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21, 22)이 조합된 삽입홈부(25)를 구비하는 제2몰드프레임(20); 및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가 서로 연접될 때 이들 삽입홈부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돌출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돌출부(51, 52)가 양측방으로 형성된 결합블록(50)을 포함하고 있다.
제1몰드프레임(10)의 삽입홈부(15)와 제2몰드프레임(20)의 삽입홈부(25)는 각각 몰드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홈(11, 12; 21, 22)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오목홈은 서로 홈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예컨대 22)에는 몰드프레임의 높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단차부(예컨대 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에는 걸림돌기(16; 26)가 해당 오목홈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몰드프레임(10)과 제2몰드프레임(20)이 접촉하면서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15)와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25)가 서로 연접하게 되면, 이들 몰드프레임의 사이에 소정 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게 된다.
결합블록(50)에는 돌출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돌출부(51, 52)가 삽입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다시 말해 양측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에 걸림돌기(16; 26)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56)이 해당 돌출부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에 단차부(24)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게 형상맞춤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단차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블록(50)이 전술한 삽입홀에, 즉 제1몰드프레임(10)의 삽입홈부(15)와 제2몰드프레임(20)의 삽입홈부(25)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결합블록의 돌출부의 일부가 형상맞춤되고,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결합블록의 돌출부의 다른 일부가 형상맞춤되어, 몰드프레임들의 접촉방향으로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결합블록(50)은 제1몰드프레임(10)과 제2몰드프레임(20)에 각각 고정나사(1)를 매개로 하여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몰드프레임과 제2몰드프레임은 서로에 대해 접촉방향(각 몰드프레임의 길이방향)뿐 아니라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추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몰드프레임(10)과 제2몰드프레임(20)의 일측 단부들에는 결합홈(17; 27)이 형성되고, 결합블록(50)은 이들 결합홈과 상응한 위치에 그 두께방향으로, 즉 두 몰드프레임의 접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나사공(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결합홈과 나사공을 결합나사(2)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몰드프레임들의 접촉방향으로 제공되는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는, 제1몰드프레임(10)과 제2몰드프레임(20)의 상면들 또는 하면들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에는 몰드프레임들의 하면에 결합플레이트(60)가 배치된 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 결합플레이트는 제1몰드프레임(10) 또는 제2몰드프레임(20)에 각각 예컨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고정구(3)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플레이트(60)에 의해서도 몰드프레임들의 접촉방향으로 제공되는 체결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게 되어,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의 결합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몰드프레임(10)과 결합플레이트(60) 사이 또는 제2몰드프레임(20)과 결합플레이트(60) 사이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해 몰드프레임과 결합플레이트의 측방으로 조립되는 보강판(70)이 더 구비되어도 된다. 이 보강판은 예컨대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4)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몰드프레임과 제2몰드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블록(50)의 일부는 제1몰드프레임(10)의 삽입홈부(15)와 제2몰드프레임(20)의 삽입홈부(25)에 동시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는,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31)이 구비되는 제3몰드프레임(30)과,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41)이 형성된 제4몰드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제3몰드프레임(30)과 제4몰드프레임(40)의 양측면 각각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부(34; 44)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에는 걸림돌기(36; 46)가 해당 오목홈 또는 단차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걸림돌기(36; 46)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56)이 결합블록의 해당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3몰드프레임(30)과 제4몰드프레임(40)이 접촉하면서 제3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와 제4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가 서로 연접하게 되면, 이들 몰드프레임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게 된다.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경우에 이들 삽입홀은 몰드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연통될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단절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블록(50)의 전술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홀 또는 삽입홀들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제3몰드프레임(30)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와 결합블록의 돌출부의 일부가 형상맞춤됨과 동시에, 제4몰드프레임(40)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와 결합블록의 돌출부의 다른 일부가 형상맞춤되어, 제3 및 제4몰드프레임의 접촉방향으로 체결력을 제공하게 된다.
더구나, 제3몰드프레임(30)과 제4몰드프레임(4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37; 47)을 통해 조립나사(5)를 매개로 하여 제1몰드프레임(10)과 제2몰드프레임(2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3몰드프레임과 제4몰드프레임은 서로에 대해 접촉방향(각 몰드프레임의 길이방향)뿐 아니라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에서는, 서로에 대해 접촉방향(각 몰드프레임의 길이방향)뿐 아니라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복수의 몰드프레임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대형 프레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은 복수의 몰드프레임으로 조립됨에도 우수한 결합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몰드프레임 15: 삽입홈부
20: 제2몰드프레임 25: 삽입홈부
30: 제3몰드프레임 40: 제4몰드프레임
50: 결합블록 60: 결합플레이트
70: 보강판

Claims (9)

  1.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이 조합된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제1몰드프레임;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홈깊이가 상이한 복수의 오목홈이 조합된 삽입홈부를 구비하는 제2몰드프레임;
    상기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상기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가 서로 연접될 때 상기 삽입홈부들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돌출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돌출부가 양측방으로 형성된 결합블록;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제3몰드프레임; 및
    양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가 형성된 제4몰드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3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와 상기 제4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가 서로 연접될 때, 상기 제1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와 상기 제2몰드프레임의 삽입홈부에 동시에 삽입된 결합블록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3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 및 상기 제4몰드프레임의 오목홈 또는 단차부와 동시에 형상맞춤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대응되는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제1몰드프레임과 상기 제2몰드프레임에 각각 고정나사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몰드프레임과 상기 제2몰드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결합홈과 상응한 위치에 몰드프레임들의 접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과 상기 나사공이 결합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몰드프레임과 상기 제2몰드프레임의 상면들 또는 하면들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몰드프레임과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측방으로 또는 상기 제2몰드프레임과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측방으로 조립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몰드프레임과 상기 제4몰드프레임은 각각 폭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조립나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몰드프레임과 상기 제2몰드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KR1020150052715A 2015-04-14 2015-04-14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KR10170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715A KR101701153B1 (ko) 2015-04-14 2015-04-14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715A KR101701153B1 (ko) 2015-04-14 2015-04-14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43A KR20160122943A (ko) 2016-10-25
KR101701153B1 true KR101701153B1 (ko) 2017-02-02

Family

ID=5744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715A KR101701153B1 (ko) 2015-04-14 2015-04-14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1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001A (en) * 1998-05-07 2000-05-16 Eaton Corporation High current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with poles interleaved and modules joined by interference fit of joining block in undercut grooves in molded cas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43A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0934B2 (en) Crossing bus support apparatus, connectors, systems, and assemblies and methods of installing same
CN109716594B (zh) 多部件保持框架、组装方法和装配方法
JP2004186006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及び該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製造方法
CN109075300B (zh) 外部连接母线保持结构
US20060240683A1 (en) Section for supporting electrical components
KR101701153B1 (ko) 몰드프레임 결합조립체
US10333287B2 (en) Clearance filling structure of accommodation box,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KR101864020B1 (ko)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KR101019904B1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CN107431292B (zh) 蜂房式组合件
KR101153392B1 (ko) 조립식 고정 단자대
JP2004328841A (ja) ブスバー間の位置決め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4055383B2 (ja) 電気接続箱
RU2390866C2 (ru) Рама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US11545713B2 (en) Housing having at least one first and one second housing part
JP3989319B2 (ja) 電極取付構造
KR20190001060U (ko)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JP5765074B2 (ja) 開閉機器
KR102528616B1 (ko) 인터락 프리 몰드를 이용한 통합형 분배기
KR102567485B1 (ko) 배터리용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2166B1 (ko) 커넥터
KR20190051129A (ko)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KR200484121Y1 (ko)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KR101202404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