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077A - 차량용 기판블록 - Google Patents
차량용 기판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4077A KR20120044077A KR1020100105478A KR20100105478A KR20120044077A KR 20120044077 A KR20120044077 A KR 20120044077A KR 1020100105478 A KR1020100105478 A KR 1020100105478A KR 20100105478 A KR20100105478 A KR 20100105478A KR 20120044077 A KR20120044077 A KR 201200440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nted circuit
- circuit board
- circuit region
- housing
- bo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기판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판블록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 일측에는 제1커넥터부(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과 상기 제1커넥터부(16)를 덮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인쇄회로기판(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천정과 마주보는 제1회로영역(31),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일측 내면과 마주보는 제2회로영역(32) 그리고 상기 제1회로영역(31)과 제2회로영역(32)을 구획하고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곡부(33)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메탈코어만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회로영역(32)과 마주보게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센터보드(4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31)에는 상기 제1커넥터부(16)가 설치되고, 상기 제2회로영역(32)에는 제2커넥터부(52)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몸체(12)의 하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블록이 경박단소화되고 부품수가 줄어들며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기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형 회로기판을 내장하여 차량에서 필요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기판블록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는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과 제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과 제어 등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션박스, 조인트박스, 배터리박스 등의 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내부에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과 회로기판 등이 집적되어 구성된다.
최근에 하나의 박스 내부나 별도로 박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로 만들어진 기판블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기판블록은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박스와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판블록은 내부에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데, 이들 인쇄회로기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전선이나 점퍼핀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판블록은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커지고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면서, 하우징의 외부에서 삽입되는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터미널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야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부품과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터미널의 형상이 일반적인 것과는 달리 직각으로 절곡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터미널이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은 기존의 터미널과는 형상이 상이하므로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기판블록은 각각의 인쇄회로기판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하우징의 하면에 서로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밖에 없어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에서 대전류 회로패턴을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되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대전류 회로패턴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인쇄회로기판의 길이가 길어져 전체 기판블록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이 각각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고정용 부품이 필요하고, 특히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상대 위치를 다양하게 되도록 할 수 없는 어려움이 또한 있다.
그리고, 기판블록에서 인쇄회로기판 주변에 많은 부품을 설치하게 되면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블록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기판블록의 크기를 경박단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범용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기판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판블록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의 위치를 제1회로영역과의 연결을 위한 것과 제2회로영역과의 연결을 위한 것을 서로 달리하여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대전류 회로패턴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구획되어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된 인쇄회로기판에는 내부에 메탈코어가 구비되므로 인쇄회로기판 내에서 열이 보다 골고루 퍼져 일부 영역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절곡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금속재질인 메탈코어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영역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에 각각 결합되게 제1회로영역장착부와 제2회로영역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의 반대면에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가 형성되는 센터보드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향해 선단이 향하는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2회로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향해 선단이 향하는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몸체와 하우징커버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우징몸체는 내부에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2회로영역, 센터보드 및 제2인쇄회로기판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는 하우징몸체의 상단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과 상기 제1커넥터부를 덮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을 차폐한다.
상기 하우징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된 부품결합단자가 내부에 위치되는 부품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측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커버의 양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된다.
상기 센터보드의 제1회로영역장착부, 제2회로영역장착부 및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각각 상기 제1회로영역, 제2회로영역 및 제2인쇄회로기판이 지지되는 장착편이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와 제2회로영역장착부는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 사이의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에서 돌출되어 곡면장착편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의 반대면에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제1커넥터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차폐하는 하우징커버로 구성되는 하우징과,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절곡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내부에 금속재질인 메탈코어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2회로영역이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영역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의 사이에 위치되어 간격을 확보하는 센터보드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2회로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선단이 향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터보드에는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각각 장착되는 제1회로영역장착부와 제2회로영역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의 반대면에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보드의 제1회로영역장착부, 제2회로영역장착부 및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각각 상기 제1회로영역, 제2회로영역 및 제2인쇄회로기판이 지지되는 장착편이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단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된 부품결합단자가 내부에 위치되는 부품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측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커버의 양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절곡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실질적으로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 역할을 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숫자를 줄일 수 있고, 이들을 연결하는 부품과 고정하는 부품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기판블록을 경박단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기존에 나와 있는 일반적인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기판블록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된 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제1커넥터부와 제2커넥터부의 위치를 달리하므로 대전류 회로패턴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구획되어 구비되고 이들 회로영역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하우징의 형상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의 형상에 맞게 상기 회로영역 사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쇄회로기판은 내부에 메탈코어가 구비된 것이므로, 인쇄회로기판 내에서 열이 보다 골고루 퍼질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특정 위치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내구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특히, 장착편의 형상을 얇은 판형상으로 만들었으므로, 센터보드와 인쇄회로기판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이 최소화되면서 열발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 센터보드, 커넥터부 및 제2인쇄회로기판을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 조립라인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조립라인에서의 조립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인쇄회로기판, 제2인쇄회로기판, 센터보드 및 제2커넥터부가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진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센터보드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인쇄회로기판, 제2인쇄회로기판, 센터보드 및 제2커넥터부가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진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센터보드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판블록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 외에도 다른 부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하지만, 최소한 상기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가 구비되어 하우징(10)이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2)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4)을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2회로영역()과 제2인쇄회로기판()이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일측에는 제1커넥터부(16)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커넥터부(16)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입구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하부로 내부공간(14)이 개방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 외면과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커버(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8)는 본 실시예에서 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부와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후단을 포함하는 거의 대부분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그 내부가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설치부(22)가 하우징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부품설치부(22)에는 본 실시예에서 퓨즈(22')들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부품설치부(22)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설치부(22)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는 경사면(2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3)은 상기 부품설치부(22)에서 시작해서 하우징커버(20)의 양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23)이 하우징커버(20)의 양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짐에 의해 상기 부품설치부(22)의 양측면을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설치부(22)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상기 하우징커버(20)를 상기 하우징몸체(1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체결돌기(18)에 걸어져 하우징커버(20)와 하우징몸체(12)가 결합되게 하는 체결걸이(2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2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양측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통공형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 양측면에는 각각 스페이서돌부(26)가 하우징커버(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외면에서 하우징커버(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일 많이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는 기판블록이 박스에 장착되는 경우 박스의 내부공간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의 표면이 박스의 내부공간에 밀착됨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돌부(26)보다 상대적으로 요입된 요홈부(26')가 된다. 상기 요홈부(26')는 상기 스페이서돌부(26) 사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장착후크(28)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후크(28)는 상기 요홈부(26')의 내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일단부가 요홈부(26')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20)의 내면에 연결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장착후크(28)에는 걸이턱(2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장착후크(28)의 선단부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스의 내부공간 내면에 걸어져 기판블록이 박스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장착후크(28)의 선단부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보다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내부에 메탈코어가 들어 있다. 상기 메탈코어는 금속판으로서 예를 들면 동판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탈코어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내부에서 골격을 형성하면서 전원공급을 위한 일종의 회로패턴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골격을 형성하는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과 회로패턴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내면 천정과 마주보는 제1회로영역(31)과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일측 내면과 마주보는 제2회로영역(32)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31)과 제2회로영역(32)의 사이에는 절곡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33)는 상기 메탈코어가 외부로 그대로 드러난 영역이다. 즉, 메탈코어만으로 구성되는 부분이어서, 상기 절곡부(33)는 원하는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곡부(33)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제1회로영역(31)과 제2회로영역(32)이 그 가상의 연장면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31)에는 상기 부품장착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퓨즈(22')의 레그와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퓨즈결합단자(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퓨즈결합단자(34)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천정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회로영역(31)에서 상기 퓨즈결합단자(34)가 설치된 반대면에는 제1커넥터부단자(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부단자(36)는 상기 퓨즈결합단자(34)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부(16)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회로영역(32)에는 점퍼핀(38)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점퍼핀(3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쇄회로기판(50)과 제1인쇄회로기판(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점퍼핀(38)은 일단부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인쇄회로기판(50)에 연결된다.
센터보드(40)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쇄회로기판(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회로영역(32)과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센터보드(4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1회로영역(3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제1회로영역장착부(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4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장착편(41')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41')은 얇은 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편(41')은 본 실시예에서 거의 대부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41)와 직교하게 제2회로영역장착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42)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4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도 장착편(42')이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42')은 제2회로영역장착부(42) 전체를 둘러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장착편(42')은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41)에서 연장되어서는 절곡부안착편(42")이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안착편(42")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절곡부(33)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33)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의 곡면이 상기 절곡부안착편(42")에 형성된다.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42)의 반대면은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가 된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장착된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도 장착편(4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43') 역시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 형성되거나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서는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 형성되는 것 보다는 어느 정도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센터보드(40)의 각 장착부(41,42,43)에 형성되는 장착편(41',42',43')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장착편(41',42',43')이 얇은 판형상으로 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0,50)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로 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30,50)의 표면을 활용하는 면이나 방열의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센터보드(40)의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에는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장착된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50)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많은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50)은 주로 제어를 위한 것으로, 제어를 위해 필요한 부품인 각종 칩들이 장착된다. 참고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4) 하부로 선단이 개구되게 제2커넥터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넥터부(52)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4)하부로 선단이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몸체(12)를 하부에서 보면 상기 제2커넥터부(52)가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커넥터부(16)는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다. 즉, 상기 제1커넥터부(16)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1회로영역(31)에 그 제1커넥터부단자(3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부단자(36)와 관련된 상기 제1회로영역(31) 상의 회로패턴의 길이(L)(도 3참고)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도면부호 54는 제2커넥터부(52)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부단자(54)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을 조립하고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기판블록을 구성하는 제1인쇄회로기판(30), 센터보드(40), 제2인쇄회로기판(50) 및 제2커넥터부단자(54)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져 조립라인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센터보드(40)에 제1인쇄회로기판(30)이나 제2인쇄회로기판(50)을 장착하고 상기 점퍼핀(38)의 일단부를 결합한 후에 제2인쇄회로기판(50)이나 제1인쇄회로기판(30)을 센터보드(4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센터보드(40)에는 다른 부품(도면부호 부여 않음), 즉 전해콘덴서가 미리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30,50)은 센터보드(40)에 형성된 구조물에 의해 가조립된 상태에서, 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센터보드(4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에는 상기 제2커넥터부(52)가 실장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커넥터부(52)는 다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마치 다수개의 커넥터가 일체로 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조립체로 만들어진 부분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4)에 상기 제2회로영역(32), 센터보드(40) 및 제2인쇄회로기판(3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회로영역(31)에 있는 제1커넥터부단자(36)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제1커넥터부(16)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몸체(12)에 상기 하우징커버(20)가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1회로영역(31)이 차폐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에 상기 하우징커버(20)가 결합되는 것은 상기 체결걸이(24)에 상기 체결돌기(18)가 걸어짐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2)와 상기 하우징커버(2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퓨즈결합단자(34)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부품장착부(22) 내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퓨즈(22')가 상기 부품장착부(22)에 장착되면 상기 퓨즈(22')의 레그는 상기 상기 퓨즈결합단자(34)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가 결합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블록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부품장착부(22)에는 상기 퓨즈(22')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16)와 제2커넥터부(52)에는 각각 대응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들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기판블록은 박스 내의 장착공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상기 기판블록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부(16)와 제2커넥터부(52)에 각각 대응되는 커넥터를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박스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박스에 장착한 후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기판블록이 박스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스페이서돌부(26)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돌부(26)의 사이에 있는 장착후크(28)가 상기 박스의 장착공간 내에 있는 걸이구조에 걸어져 기판블록이 박스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후크(28)는 상기 박스의 장착공간 내에 있는 걸이구조에 안내되어 탄성변형되다가 걸이턱(28')이 걸이구조를 통과하면 원형으로 복원되어 걸이구조에 걸이턱(28')이 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블록을 박스의 장착공간에서 분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착후크(28)를 탄성변형시켜 요홈부(26')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여 걸이턱(28')이 걸이구조에서 분리되어 약간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장착후크(28)를 탄성변형시켜 걸이구조에서 걸이턱(28')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부품장착부(22)를 손가락으로 잡으면 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2)의 주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는 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상기 부품장착부(22)가 더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작업자가 쉽게 손가락으로 상기 부품장착부(22)를 잡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과 제2인쇄회로기판(50)에서는 동작중에 열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과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센터보드(40)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열의 발생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내부에 메탈코어가 들어 있어, 인쇄회로기판(30)의 특정 위치에서 발생된 열이 메탈코어 전체로 균일하게 퍼질 수 있어 상대적으로 평균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보드(40)의 장착편(41',42',43')들은 얇은 판상이고 각각의 장착부(41,42,43) 가장자리를 둘러 간헐적으로 형성되므로 인쇄회로기판(30,50)이 직접 센터보드(40)와 닿는 면적이 최소로 되어 인쇄회로기판(30,50)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잘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편(41',42',43')들과 인쇄회로기판(30,50)들의 사이에는 도 4에 빗금친 영역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영역들이 있어 공기의 유동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30,50)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회로영역(32)과 제2인쇄회로기판(50)은 본 실시예에서 점퍼핀(38)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 점퍼핀(38) 대신에 전선이나 플레시블 케이블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하우징몸체
14: 내부공간 16: 제1커넥터부
18: 체결돌기 20: 하우징커버
22: 부품장착부 22': 퓨즈
23: 경사면 24: 체결걸이
26: 스페이서돌부 26': 요홈부
28: 장착후크 30: 제1인쇄회로기판
31: 제1회로영역 32: 제2회로영역
33: 절곡부 34: 퓨즈결합단자
36: 제1커넥터부단자 38: 점퍼핀
40: 센터보드 41: 제1회로영역장착부
42: 제2회로영역장착부 43: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
41',42',43': 장착편 42": 곡면장착편
50: 제2인쇄회로기판 52: 제2커넥터부
54: 제2커넥터부단자
14: 내부공간 16: 제1커넥터부
18: 체결돌기 20: 하우징커버
22: 부품장착부 22': 퓨즈
23: 경사면 24: 체결걸이
26: 스페이서돌부 26': 요홈부
28: 장착후크 30: 제1인쇄회로기판
31: 제1회로영역 32: 제2회로영역
33: 절곡부 34: 퓨즈결합단자
36: 제1커넥터부단자 38: 점퍼핀
40: 센터보드 41: 제1회로영역장착부
42: 제2회로영역장착부 43: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
41',42',43': 장착편 42": 곡면장착편
50: 제2인쇄회로기판 52: 제2커넥터부
54: 제2커넥터부단자
Claims (12)
-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절곡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금속재질인 메탈코어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영역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에 각각 결합되게 제1회로영역장착부와 제2회로영역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의 반대면에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가 형성되는 센터보드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향해 선단이 향하는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2회로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향해 선단이 향하는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몸체와 하우징커버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우징몸체는 내부에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2회로영역, 센터보드 및 제2인쇄회로기판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는 하우징몸체의 상단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과 상기 제1커넥터부를 덮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을 차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된 부품결합단자가 내부에 위치되는 부품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측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커버의 양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드의 제1회로영역장착부, 제2회로영역장착부 및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각각 상기 제1회로영역, 제2회로영역 및 제2인쇄회로기판이 지지되는 장착편이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와 제2회로영역장착부는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 사이의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에서 돌출되어 곡면장착편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의 반대면에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제1커넥터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차폐하는 하우징커버로 구성되는 하우징과,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절곡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내부에 금속재질인 메탈코어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2회로영역이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영역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의 사이에 위치되어 간격을 확보하는 센터보드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커넥터부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2회로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선단이 향하며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드에는 상기 제1회로영역과 제2회로영역이 각각 장착되는 제1회로영역장착부와 제2회로영역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의 반대면에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재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드의 제1회로영역장착부, 제2회로영역장착부 및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각각 상기 제1회로영역, 제2회로영역 및 제2인쇄회로기판이 지지되는 장착편이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단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제1회로영역에 설치된 부품결합단자가 내부에 위치되는 부품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측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커버의 양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478A KR101146497B1 (ko) | 2010-10-27 | 2010-10-27 | 차량용 기판블록 |
DE112011103608.6T DE112011103608B4 (de) | 2010-10-25 | 2011-06-07 | Leiterplattenblock für Fahrzeuge |
US13/879,235 US9179560B2 (en) | 2010-10-25 | 2011-06-07 | Board block for vehicles |
PCT/KR2011/004158 WO2012057427A1 (ko) | 2010-10-25 | 2011-06-07 | 차량용 기판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478A KR101146497B1 (ko) | 2010-10-27 | 2010-10-27 | 차량용 기판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077A true KR20120044077A (ko) | 2012-05-07 |
KR101146497B1 KR101146497B1 (ko) | 2012-05-16 |
Family
ID=4626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5478A KR101146497B1 (ko) | 2010-10-25 | 2010-10-27 | 차량용 기판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649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78378B2 (en) | 2012-07-04 | 2015-07-07 | Hyundai Motor Company | Heat emission device for junction box printed circuit board |
KR20180051950A (ko) * | 2016-11-09 | 2018-05-17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전자 제어 장치 |
KR20200043785A (ko) * | 2018-10-18 | 2020-04-2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8646Y1 (ko) | 2003-10-27 | 2004-01-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보조기판의 설치구조 |
KR200453090Y1 (ko) * | 2006-04-22 | 2011-04-12 |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 전자 기기용 하우징 |
JP2008205402A (ja) | 2007-02-22 | 2008-09-04 | Fuji Xerox Co Ltd | 電子モジュール |
KR100955056B1 (ko) | 2008-04-18 | 2010-04-2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기판조립체 |
-
2010
- 2010-10-27 KR KR1020100105478A patent/KR1011464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78378B2 (en) | 2012-07-04 | 2015-07-07 | Hyundai Motor Company | Heat emission device for junction box printed circuit board |
KR20180051950A (ko) * | 2016-11-09 | 2018-05-17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전자 제어 장치 |
KR20200043785A (ko) * | 2018-10-18 | 2020-04-2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6497B1 (ko) | 2012-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64910B (zh) | 高频插座连接器、高频插头连接器及其组合结构 | |
TWI559619B (zh) | 連接器 | |
US9179560B2 (en) | Board block for vehicles | |
US20080139057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548308B2 (ja) | コネクタ | |
JP4166745B2 (ja) | パワーインレットソケット | |
CN108604787A (zh) | 电连接箱 | |
JP4637730B2 (ja) | ホルダ | |
KR101146497B1 (ko) | 차량용 기판블록 | |
JP3076010U (ja) | ターミナルベース及びターミナル構造 | |
US20110177723A1 (en) | Terminal block | |
US7247041B2 (en) | Land grid array connector | |
JP2004063390A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04063388A (ja) | 可動コンタクト整列部材付きコネクタ | |
EP3166183B1 (en) | Connector cover and connector assembly | |
KR20140136152A (ko) | 정션박스 | |
KR20120072704A (ko) | 차량용 기판블록 | |
KR20120059134A (ko) |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 기판블록 | |
US20230025672A1 (en) |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less space occupation | |
KR20130080239A (ko) |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 |
CN214315748U (zh) | 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 |
JP5888801B1 (ja) | 電気接続箱 | |
KR20120059133A (ko) |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
KR101748849B1 (ko) | 차량용 기판블록 | |
TW201926813A (zh) | 連接器組合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