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419A -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419A
KR20120043419A KR1020100104717A KR20100104717A KR20120043419A KR 20120043419 A KR20120043419 A KR 20120043419A KR 1020100104717 A KR1020100104717 A KR 1020100104717A KR 20100104717 A KR20100104717 A KR 20100104717A KR 20120043419 A KR20120043419 A KR 2012004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dvertisement
module
information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002B1 (ko
Inventor
정경식
안재균
Original Assignee
새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항업(주) filed Critical 새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10010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0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고물을 저장하는 광고물DB(10); 공간정보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삽입정보에 따라 광고물DB(10)를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20);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30);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40);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이 삽입되도록 식별된 게시판의 존재 여부에 관한 상기 삽입정보를 광고물 검색모듈(20)로 전달하는 삽입정보 확인모듈(50); 및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을 상기 공간정보이미지의 식별된 게시판에 삽입해 합성 출력하는 출력모듈(6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Image synthesis system for 3D space image in the advertisemen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초의 지도 제작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후 도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도화기를 이용한 자동 도화작업을 통해 그 제작이 이루어졌다. 또한, 지도는 작업자가 직접 통행한 지역을 회상해 도화하면서 개략적으로 제작되다가, 각종 측량기술과 측정기술이 제작에 반영되면서 지도의 신뢰도와 정밀도가 보다 향상되었다. 이후 항공기술과 촬영기술이 지도제작에 추가 반영되었고, 이를 통해 지도는 항공촬영이미지를 배경으로 한 현실적인 모습으로 완성되었다.
한편, 온라인 통신 및 각종 가상현실 기술과 이러한 기술들의 응용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도 제작 특히 가상현실에 접목시킬 수 있는 도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가상현실의 배경이 될 수 있는 항공촬영이미지는 운행중인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하는 것이므로, 지상의 각종 구성물 특히 도심지의 고층건물들은 촬영 방향에 따라 기울어진 모습으로 보일 수밖에 없고, 이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를 배경으로 한 지도는 사실성이 다소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상 모습을 3차원 그래픽으로 직접 도화해서, 사용자가 어느 방향에서 지도를 보더라도 현실에서 볼 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가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3D 가상 이미지 수치지도(이하 '공간정보이미지)가 제시되었다.
상기 공간정보이미지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전산시스템 등으로 처리될 수 있고, 점차 그 이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종래 2차원 수치지도의 배경이미지를 대체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예측을 고려해 발명된 것으로, 공간정보이미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식의 광고물 등을 사실적으로 합성해서 공간정보이미지에 대한 현실감을 높이고, 아울러 공간정보이미지를 접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물의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고물을 저장하는 광고물DB;
공간정보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삽입정보에 따라 광고물DB를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
조정모듈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
이미지 검색모듈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이 삽입되도록 식별된 게시판의 존재 여부에 관한 상기 삽입정보를 광고물 검색모듈로 전달하는 삽입정보 확인모듈; 및
광고물 검색모듈이 검색한 광고물을 상기 공간정보이미지의 식별된 게시판에 삽입해 합성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공간정보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식의 광고물을 합성 출력해서 해당 광고정보이미지의 현실감이 높아지도록 하고, 일정 주기로 상기 광고물을 갱신하면서 광고물의 광고주는 현실세계의 실제 위치에서 광고물을 게시하는 효과 못지 않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합성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이 출력하는 공간정보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합성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은 광고물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물DB(10)와, 광고물DB(10)에서 광고물을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20)과,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30)와,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40)과,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 검색모듈(20)을 제어하는 삽입정보 확인모듈(50)과,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과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합성해 출력하는 출력모듈(60)과, 사용자의 조작을 확인해서 관련 공간정보이미지의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하는 조정모듈(70)을 포함한다.
광고물DB(10)는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이고, 광고주가 제공하는 다양한 형식의 광고물을 저장한다. 여기서, 광고물은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일 수 있다.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임의 규칙(삽입정보)에 따라 광고물DB(10)에서 광고물을 검색하는 것으로, 검색되는 광고물의 종류와 형식은 출력모듈(60)을 통해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미지DB(30)는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이고, 3D 입체영상으로 제작된 가상의 공간정보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실제 지상 모습과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점 방향에 상응하는 모습이 드러날 수 있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공간정보이미지와 그 제작 기술은 공지,공용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미지 검색모듈(40)은 임의 규칙(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에서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으로,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관련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한다.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출력모듈(60)로 전달되는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의 삽입지점 여부와 삽입지점 위치 등에 관한 삽입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삽입정보를 광고물 검색모듈(20)로 전달한다.
출력모듈(60)은 이미지 검색모듈(40)이 전달한 광고정보이미지와, 광고물 검색모듈(20)이 전달한 광고물을 합성해서, 사용자가 광고물이 합성된 광고정보이미지의 최종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출력한다.
조정모듈(70)은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면, 해당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이 내비게이션과 같은 동영상 형식의 공간정보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정모듈(70)은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도록 하는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공간정보이미지와 광고물의 합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S10; 이미지 검색단계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을 이용해서, 확인하고자 하는 지역의 시각화된 지형 및 지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 과정은 통상적인 기술 수단을 통해 실행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키워드 입력창을 출력시키고, 키워드 입력창에 입력된 주소 또는 명칭 등의 키워드와 링크된 지도이미지를 검색하는 형태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모듈(70)은 키워드에 링크된 공간정보이미지를 이미지DB(30)에서 검색하라는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은 내비게이션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통상적인 내비게이션 조작방식에 따라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입력하면, 통상적인 내비게이션의 경로탐색모듈(미도시함)은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대한 경로를 탐색하고, 조정모듈(70)은 상기 경로에 대한 공간정보이미지를 이미지DB(30)에서 연속적으로 검색하라는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할 것이다.
S20; 삽입정보 확인단계
이미지 검색모듈(40)은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를 검색해서 해당 공간정보이미지의 출력을 준비하고,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이 삽입될 지점의 여부 및 그 개수와 위치 등에 대한 삽입정보를 확인한다.
도 3(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이 출력하는 공간정보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제 도심지를 가상의 이미지로 표현한 공간정보이미지에도 상기 실제 도심지에 존재하는 게시판(도 3(b)의 원)의 가상이미지가 도시된다. 그러나, 공간정보이미지의 게시판에 게시될 내용은 실제 도심지의 게시판에 게시된 내용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공간정보이미지의 게시판에는 합성시스템의 광고물DB(10)에 저장된 광고물을 삽입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게시판은 실제 도심지에 존재하지 않아도 공간정보이미지에 도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공간정보이미지의 상기 게시판은 별도로 식별돼 관리되고,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에서 상기 게시판을 확인한다. 즉, 식별된 게시판의 여부와, 게시판이 당해 공간정보이미지에 존재할 경우 그 위치와, 상기 게시판의 개수 등에 관한 삽입정보가 삽입정보 확인모듈(50)에 의해 검색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삽입정보의 확인 결과, 공간정보이미지에 삽입정보가 미확인될 경우 광고물의 검색 절차를 중단하고, 삽입정보가 확인될 경우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해당 삽입정보를 광고물 검색모듈(20)로 전달해 다음 과정을 속행한다.
S30; 광고물 검색단계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상기 삽입정보에 따라 특정 또는 임의 광고물을 광고물DB(10)에서 검색한다.
광고물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고, 순수한 광고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공익을 위한 홍보 내용 또는 기타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광고물DB(10)에서 검색하는 광고물은 무작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특정 규칙에 따라 그 검색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출력정보 확인모듈(50)로부터 삽입정보가 전달되면,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를 확인해서 사용자가 '어디를' 또는 '무엇을' 검색했는지 확인하고, 사용자가 어떤 취지로 검색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추정해 관련 광고물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예식장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주소 또는 명칭을 입력하면,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입력된 주소 또는 명칭이 어디인지를 확인한 후 광고물DB(10)에서 상기 예식장의 광고물을 검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이 온라인 통신 가능한 시스템에 구성되고, 상기 광고물에 상기 예식장의 웹사이트 정보가 링크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사용자가 상기 게시판을 클릭하면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할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지도검색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통한 로그인을 해야 하는 경우, 광고물 검색모듈(20)은 회원가입시 입력돼 개인정보DB(미도시함)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에게 광고효과가 높은 광고물을 검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광고물 검색모듈(20)은 디스플레이어가 출력하고 있는 공간정보이미지의 범위 내,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는 음식점 또는 오락시설 등의 기타 대상에 관한 광고물을 검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S40; 합성단계
출력모듈(60)은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와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을 합성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간정보이미지에는 식별된 게시판이 구성되므로, 출력모듈(60)은 광고물 검색모듈(20)로부터 전달된 광고물 데이터를 상기 식별된 게시판에 적용해서, 자연스러운 공간정보이미지로 완성한다.
S50; 출력단계
출력모듈(60)은 광고물이 합성된 공간정보이미지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로 최종 출력한다.
결국, 사용자는 출력모듈(60)이 출력하고 있는 공간정보이미지로부터 지형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주목되는 형상, 모양, 색채 등으로 이루어진 광고물을 불가피하게 확인하게 된다.
참고로, 출력모듈(60)은 공간정보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해서 별도의 디스플레이어(미도시함)를 통해 공간정보이미지 자체가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S60; 조정단계
계속해서, 조정모듈(70)은 사용자 또는 이미지 검색모듈(40)의 공간정보이미지 조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직접 행하는 조정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3(a)과 같이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의 지형보다 넓은 범위의 지형을 확인하기 위해, 도 3(b)과 같이 Zoom-out 조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의 지형 범위는 넓어지게 되고, 그만큼 상기 지형은 원거리로 보이게 된다. 또한, 지형 범위가 넓어지므로, 더 많은 게시판이 확인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정이 있을 경우 이미지 검색단계(S10)부터 재작업이 진행된다.
공간정보이미지 조정작업은 줌 조정뿐만 아니라 시점에 대한 조정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간정보이미지에 대한 시점을 조정함으로서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의 모습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변화 또한 공간정보이미지에 출력되는 대상과 내용들을 달리하며, 게시판의 수와 보이는 방향 등을 달리하게 되므로, 이미지 검색단계(S10)부터 재작업이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모듈(60)은 LOD(원금감 처리; Level Of Detail) 기법 적용을 통해 게시판에 합성된 광고물의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간정보이미지에 포함된 광고물의 이미지는 원근 조정에 따라 해상도에 변화가 발생한다.
그런데, Zoom-out을 통해 광고물의 해상도가 낮아지면 사용자는 상기 광고물의 식별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에 적용되는 광고물은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 통상적으로 적색 계열의 강한 색상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로, 공간정보이미지의 기본 배경 색상은 눈의 피로가 낮은 청녹색 계열일 수 있고, 이럴 경우 광고물 이미지의 색상은 상기 청녹색의 보색인 빨간색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공간정보이미지를 보는 방향, 즉 시점에 변화가 있을 경우, 공간정보이미지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이미지와 게시판의 외곽 라인은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사각형상의 게시판을 정면에서 본다면 상기 게시판의 정사각형 모습이 그대로 출력될 것이나, 상기 게시판을 경사진 측방에서 본다면 좌우 변 간의 거리가 점차 좁아지면서 상기 정사각형상의 게시판은 직사각형상의 게시판으로 수정돼 보일 것이고, 원근까지 고려한다면 사다리꼴 형상으로 변형돼 보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게시판에 합성되는 광고물 또한 게시판의 변형에 따라 변형될 수밖에 없고, 이를 고려해 광고물의 이미지 또한 변형될 수밖에 없다. 물론, 출력모듈(60)은 공지,공용의 기술을 활용해 공간정보이미지의 변형 모습에 따라 광고물의 이미지를 변형한 후 합성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미지 검색모듈(40)이 행하는 조정에 관해 설명한다.
이미지 검색모듈(40)이 행하는 조정은 내비게이션과 같이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의 중간 경로에 해당하는 공간정보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검색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는 내비게이션이 장착된 차량의 이동에 따라 계속해 바뀌게 된다. 따라서, 공간정보이미지에 포함된 게시판의 위치와 개수 등은 지속적으로 바뀔 수 있고,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이것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정이 있을 경우 이미지 검색단계(S10)부터 재작업이 진행된다.
한편, 한 화면의 공간정보이미지에 둘 이상의 게시판이 존재한다면, 상기 게시판들에는 서로 다른 광고물이 삽입될 수도 있고, 동일한 광고물이 삽입될 수도 있다. 전자(前者)의 경우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삽입정보에 포함된 게시판의 개수에 상응하는 다양한 광고물을 광고물DB(10)에서 검색하고, 후자(後者)의 경우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삽입모듈에 포함된 게시판의 개수에 상관없이 하나의 광고물만을 광고물DB(10)에서 검색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이 내비게이션에 활용되는 것일 경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 사이에서 연속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의 게시판에는 모두 동일한 광고물을 삽입해서, 사용자가 도착지점까지 가는 동안 하나의 광고물을 지속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집중적인 광고를 통해 광고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것이다.
10; 광고물DB 20; 광고물 검색모듈 30; 이미지DB
40; 이미지 검색모듈 50; 삽입정보 확인모듈 60; 출력모듈
70; 조정모듈

Claims (4)

  1. 광고물을 저장하는 광고물DB(10);
    공간정보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삽입정보에 따라 광고물DB(10)를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20);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30);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40);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이 삽입되도록 식별된 게시판의 존재 여부에 관한 상기 삽입정보를 광고물 검색모듈(20)로 전달하는 삽입정보 확인모듈(50); 및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을 상기 공간정보이미지의 식별된 게시판에 삽입해 합성 출력하는 출력모듈(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물DB(10)는 광고물이 특정 검색정보에 링크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상기 검색정보에 링크된 광고물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물DB(10)는 광고물이 특정 개인정보에 링크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광고물 검색모듈(20)은 공간정보이미지의 검색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개인정보DB에서 검색해서, 상기 개인정보에 링크된 광고물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검색모듈(40)은 내비게이션의 경로탐색모듈이 탐색한 경로에 해당하는 공간정보이미지에 대한 검색정보를 조정모듈(70)로부터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KR1020100104717A 2010-10-26 2010-10-26 3차원 가상 수치지도 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KR10128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17A KR101288002B1 (ko) 2010-10-26 2010-10-26 3차원 가상 수치지도 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17A KR101288002B1 (ko) 2010-10-26 2010-10-26 3차원 가상 수치지도 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19A true KR20120043419A (ko) 2012-05-04
KR101288002B1 KR101288002B1 (ko) 2013-07-18

Family

ID=4626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717A KR101288002B1 (ko) 2010-10-26 2010-10-26 3차원 가상 수치지도 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0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219A (ja) 2001-11-29 2003-06-06 Nti:Kk 3次元地図情報検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002B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951B2 (en) Method for representing virtual information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CN108446310B (zh) 虚拟街景地图生成方法、装置和客户端设备
EP2507768B1 (e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real scene for military planning and operations
US20140285523A1 (en) Method for Integrating Virtual Object into Vehicle Displays
JP4253567B2 (ja) データオーサリング処理装置
EP24186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US10475224B2 (en) Reality-augment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080033641A1 (en) Method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tour of a geographic location
US201303180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Angle Views of an Object-of-Interest from Images in an Image Dataset
US20130314398A1 (en) Augmented reality using state plane coordinates
US201503106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 based information delivery using augmented reality
US20120256917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100156933A1 (en) Virtualized real world advertising system
US20120105440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5069644A (zh) 基于增强现实的购物客户端、服务器及系统
US11232636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oducing augmented reality
US201403132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50106879A (ko) 플렌옵틱 라이트 필드에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는 방법 및 기기
US20110242271A1 (en) Synthesizing Panoramic Three-Dimensional Images
KR101288007B1 (ko)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JP5766394B2 (ja) 立体画像地図
KR100521728B1 (ko) 비디오 지리 정보 시스템
KR101288002B1 (ko) 3차원 가상 수치지도 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US20170039287A1 (en) Method of transforming a 2d mobile search app into a 3d mobile search app
JP3114862B2 (ja) 相互利用型景観ラベリ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