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007B1 -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007B1
KR101288007B1 KR1020100104745A KR20100104745A KR101288007B1 KR 101288007 B1 KR101288007 B1 KR 101288007B1 KR 1020100104745 A KR1020100104745 A KR 1020100104745A KR 20100104745 A KR20100104745 A KR 20100104745A KR 101288007 B1 KR101288007 B1 KR 10128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dvertisement
module
spatial information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439A (ko
Inventor
권찬오
Original Assignee
새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항업(주) filed Critical 새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10010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0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5/2723Insertion of virtual advertisement; Replacing advertisements physical present in the scene by virtual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고물을 저장하는 광고물DB(10); 광고물DB(10)를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20);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30);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40);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을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에 삽입해 합성하는 광고물 실행모듈(80); 및 광고물이 합성된 공간정보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모듈(6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Output system for space images having moving advertisement}
본 발명은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초의 지도 제작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후 도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도화기를 이용한 자동 도화작업을 통해 그 제작이 이루어졌다. 또한, 지도는 작업자가 직접 통행한 지역을 회상해 도화하면서 개략적으로 제작되다가, 각종 측량기술과 측정기술이 제작에 반영되면서 지도의 신뢰도와 정밀도가 보다 향상되었다. 이후 항공기술과 촬영기술이 지도제작에 추가 반영되었고, 이를 통해 지도는 항공촬영이미지를 배경으로 한 현실적인 모습으로 완성되었다.
한편, 온라인 통신 및 각종 가상현실 기술과 이러한 기술들의 응용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도 제작 특히 가상현실에 접목시킬 수 있는 도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가상현실의 배경이 될 수 있는 항공촬영이미지는 운행중인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하는 것이므로, 지상의 각종 구성물 특히 도심지의 고층건물들은 촬영 방향에 따라 기울어진 모습으로 보일 수밖에 없고, 이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를 배경으로 한 지도는 사실성이 다소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상 모습을 3차원 그래픽으로 직접 도화해서, 사용자가 어느 방향에서 지도를 보더라도 현실에서 볼 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가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3D 가상 이미지 수치지도(이하 '공간정보이미지)가 제시되었다.
상기 공간정보이미지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전산시스템 등으로 처리될 수 있고, 점차 그 이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종래 2차원 수치지도의 배경이미지를 대체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예측을 고려해 발명된 것으로, 공간정보이미지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식의 광고물 등을 사실적으로 합성해서 공간정보이미지에 대한 현실감을 높이고, 아울러 공간정보이미지를 접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물의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고물을 저장하는 광고물DB;
광고물DB를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
조정모듈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
광고물 검색모듈이 검색한 광고물을 이미지 검색모듈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에 삽입해 합성하는 광고물 실행모듈; 및
광고물이 합성된 공간정보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공간정보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형식의 광고물을 합성 출력해서 해당 광고정보이미지의 현실감이 높아지도록 하고, 일정 주기로 상기 광고물을 갱신하면서 광고물의 광고주는 현실세계의 실제 위치에서 광고물을 게시하는 효과 못지 않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출력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이 출력하는 공간정보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출력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상기 출력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은 광고물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물DB(10)와, 광고물DB(10)에서 광고물을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20)과,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30)와,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40)과,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과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합성해 출력하는 출력모듈(60)과, 사용자의 조작을 확인해서 관련 공간정보이미지의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하는 조정모듈(70)을 포함한다. 이에 추가하여,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 검색모듈(20)을 제어하는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공간정보이미지에 합성된 광고물의 이미지가 동작 가능하도록 독립해 처리하는 광고물 실행모듈(8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광고물DB(10)는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이고, 광고주가 제공하는 다양한 형식의 광고물을 저장한다. 여기서, 광고물은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일 수 있다.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임의 규칙 또는 무작위로 광고물DB(10)에서 광고물을 검색한다.
이미지DB(30)는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이고, 3D 입체영상으로 제작된 가상의 공간정보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실제 지상 모습과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점 방향에 상응하는 모습이 드러날 수 있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공간정보이미지와 그 제작 기술은 공지,공용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미지 검색모듈(40)은 임의 규칙(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에서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으로,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관련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한다.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출력모듈(60)로 전달되는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의 삽입지점 여부와 삽입지점 위치 등에 관한 삽입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삽입정보를 광고물 검색모듈(20)로 전달한다.
출력모듈(60)은 이미지 검색모듈(40)이 전달한 광고정보이미지와, 광고물 검색모듈(20)이 전달한 광고물을 합성해서, 사용자가 광고물이 합성된 광고정보이미지의 최종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출력한다.
조정모듈(70)은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면, 해당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이 내비게이션과 같은 동영상 형식의 공간정보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정모듈(70)은 현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정보이미지를 검색하도록 하는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할 것이다.
광고물 실행모듈(80)은 공간정보이미지에 삽입된 광고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광고물은 공간정보이미지와 독립된 레이어 형태로 출력되고, 설정된 내용에 따라 디스플레이어 상에 출력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광고물 실행모듈(80)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공간정보이미지와 광고물의 합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S10; 이미지 검색단계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을 이용해서, 확인하고자 하는 지역의 시각화된 지형 및 지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 과정은 통상적인 기술 수단을 통해 실행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키워드 입력창을 출력시키고, 키워드 입력창에 입력된 주소 또는 명칭 등의 키워드와 링크된 지도이미지를 검색하는 형태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모듈(70)은 키워드에 링크된 공간정보이미지를 이미지DB(30)에서 검색하라는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은 내비게이션과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통상적인 내비게이션 조작방식에 따라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을 입력하면, 통상적인 내비게이션의 경로탐색모듈(미도시함)은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대한 경로를 탐색하고, 조정모듈(70)은 상기 경로에 대한 공간정보이미지를 이미지DB(30)에서 연속적으로 검색하라는 검색정보를 이미지 검색모듈(40)로 전달할 것이다.
S30; 광고물 검색단계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이미지 검색과 더불어 특정 또는 임의 광고물을 광고물DB(10)에서 검색한다.
광고물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고, 순수한 광고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공익을 위한 홍보 내용 또는 기타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광고물DB(10)에서 검색하는 광고물은 무작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특정 규칙에 따라 그 검색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출력정보 확인모듈(50)로부터 삽입정보가 전달되면,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를 확인해서 사용자가 '어디를' 또는 '무엇을' 검색했는지 확인하고, 사용자가 어떤 취지로 검색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추정해 관련 광고물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예식장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주소 또는 명칭을 입력하면, 광고물 검색모듈(20)은 입력된 주소 또는 명칭이 어디인지를 확인한 후 광고물DB(10)에서 상기 예식장의 광고물을 검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이 온라인 통신 가능한 시스템에 구성되고, 상기 광고물에 상기 예식장의 웹사이트 정보가 링크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사용자가 출력되고 있는 상기 광고물을 클릭하면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할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지도검색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통한 로그인을 해야 하는 경우, 광고물 검색모듈(20)은 회원가입시 입력돼 개인정보DB(미도시함)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에게 광고효과가 높은 광고물을 검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광고물 검색모듈(20)은 디스플레이어가 출력하고 있는 공간정보이미지의 범위 내,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는 음식점 또는 오락시설 등의 기타 대상에 관한 광고물을 검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S40; 합성단계
광고물 실행모듈(80)은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을 독립된 레이어로 해서,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에 합성한다.
여기서, 도 3(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이 출력하는 공간정보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력모듈(60)은 검색된 공간정보이미지에 상관없이 광고물을 배치 합성해 출력할 수 있다. 즉, 공간정보이미지에 표현된 지형에서 광고물이 공중에 뜬 형태이거나 수면상에 부유하는 형태로 보이도록 해서, 상기 광고물이 자연스럽게 노출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모습으로 노출되는 광고물이 보다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해당 광고물이 비행기에 결합하거나(도 3(a)) 풍선에 결합한 모습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고(도 3(b)), 배에 결합한 모습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도 3(b)). 물론, 이러한 소품이미지는 공간정보이미지의 사실성을 보다 높이기 위한 장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에서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S50; 출력단계
출력모듈(60)은 광고물 실행모듈(80)이 합성한 공간정보이미지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로 최종 출력한다.
결국, 사용자는 출력모듈(60)이 출력하고 있는 공간정보이미지로부터 지형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주목되는 형상, 모양, 색채 등으로 이루어진 광고물을 불가피하게 확인하게 된다.
참고로, 출력모듈(60)은 공간정보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해서 별도의 디스플레이어(미도시함)를 통해 공간정보이미지 자체가 출력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광고물 실행모듈(80)은 공간정보이미지에 합성되는 광고물이 공간정보이미지와는 별도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고물은 비행기 또는 풍선 등과 같은 소품이미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광고물이 자체적으로 이동하는 모습은 자연스러울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이 주어진 광고물은 정지된 공간정보이미지와 대비해 주목될 수 있으므로, 광고효과 또한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광고물 실행모듈(80)은 공간정보이미지의 일지점에 광고물을 단순 삽입해 합성하지 않고, 광고물을 공간정보이미지와 분리된 레이어로 출력해서 무작위 또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
S60; 조정단계
계속해서, 조정모듈(70)은 사용자 또는 이미지 검색모듈(40)의 공간정보이미지 조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직접 행하는 조정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되고 있는 공간정보이미지의 Zoom-in/out 조정 작업으로, 상기 공간정보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광고물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때 출력모듈(60)은 LOD(원금감 처리; Level Of Detail) 기법 적용을 통해 광고물의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Zoom-out을 통해 광고물의 해상도가 낮아지면 사용자는 상기 광고물의 식별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에 적용되는 광고물은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해 통상적으로 적색 계열의 강한 색상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로, 공간정보이미지의 기본 배경 색상은 눈의 피로가 낮은 청녹색 계열일 수 있고, 이럴 경우 광고물 이미지의 색상은 상기 청녹색의 보색인 빨간색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간정보이미지 조정작업은 줌 조정뿐만 아니라 시점에 대한 조정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간정보이미지에 대한 시점을 조정함으로서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의 모습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변화 또한 공간정보이미지에 출력되는 대상과 내용들을 달리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에서, 공간정보이미지에 합성되는 광고물은 공간정보이미지와 분리돼 독립된 것이므로, 광고물의 모습을 상기 공간정보이미지의 원근감 조정과 시점 변화에 맞춰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간정보이미지에 대한 원근감 조정 또는 시점을 변화하더라도 광고물은 항시 일정한 모습으로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이를 통해 광고물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 효율이 향상될 것이다.
다음으로, 이미지 검색모듈(40)이 행하는 조정에 관해 설명한다.
이미지 검색모듈(40)이 행하는 조정은 내비게이션과 같이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의 중간 경로에 해당하는 공간정보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검색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어에 출력되는 공간정보이미지는 내비게이션이 장착된 차량의 이동에 따라 계속해 바뀌게 된다. 이때, 공간정보이미지에 합성된 광고물은 공간정보이미지의 변화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어를 기준으로 한 일지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광고물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출력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플로차트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시스템은 공간정보이미지에 표현된 내용을 확인해서 그 내용에 상응하는 광고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공간정보이미지를 분석하고, 광고물 삽입을 위한 삽입정보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삽입정보 확인단계(S20)를 진행한다.
S20; 삽입정보 확인단계
이미지 검색모듈(40)은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를 검색해서 해당 공간정보이미지의 출력을 준비하고,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광고물이 삽입될 지점의 여부 및 그 개수와 위치 등에 대한 삽입정보를 확인해 광고물 실행모듈(80)로 전달한다. 여기서, 광고물이 삽입될 지점이란, 사용자가 공간정보이미지를 보고 이해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는 지점이 될 수 있고, 상기 개수란 그 지점의 개수 등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도로가 형성되거나,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강, 바다 또는 산 등이 상기 지점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공간정보이미지에는 실제 지형과 마찬가지로 육지와 수면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사실감을 고려하여 광고물이 항공기 또는 풍선 등의 소품이미지에 결합한 것으로 표현한다면, 지형이미지가 육지인지 수면인지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것이나, 광고물을 배에 결합한 것으로 표현한다면, 역시 사실감을 고려해 수면으로 제한해야 한다.
따라서,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은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현재 출력될 공간정보이미지 내에 수면 여부와 상기 수면의 범위정보를 포함한 삽입정보를 확인한다.
광고물 실행모듈(80)은 상기 삽입정보를 전달받고, 공간정보이미지에서 수면에 관한 삽입정보가 미확인될 경우 배와 같은 소품이미지를 광고물 출력 내용에 배제하도록 하며, 수면에 관한 삽입정보가 확인될 경우엔 상기 소품이미지를 광고물 출력 내용에 고려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정보에는 배와 같은 소품이미지가 공간정보이미지 내에서 어느 범위 내로 한정될 수 있을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수면영역에 관한 정보가 삽입정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S40; 합성단계
광고물 실행모듈(80)은 광고물 검색모듈(20)이 전달한 광고물과,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서로 합성해 출력하도록 준비하되, 소품이미지를 활용할 경우 지정된 또는 임의 소품이미지를 광고물에 결합한다. 물론, 소품이미지가 배와 같이 수면에만 적용 가능할 경우, 상기 삽입정보에서 수면의 존재와 그 범위를 확인하고, 해당 소품이미지와 결합한 광고물이 상기 범위에만 출력하도록 준비한다.
10; 광고물DB 20; 광고물 검색모듈 30; 이미지DB
40; 이미지 검색모듈 50; 삽입정보 확인모듈 60; 출력모듈
70; 조정모듈 80; 광고물 실행모듈

Claims (5)

  1. 광고물을 저장하는 광고물DB(10);
    광고물DB(10)를 검색하는 광고물 검색모듈(20);
    공간정보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30);
    조정모듈(70)의 검색정보에 따라 이미지DB(30)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모듈(40);
    광고물 검색모듈(20)이 검색한 광고물을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에 삽입해 합성하고, 상기 광고물에 소품이미지를 결합하되, 삽입정보 확인모듈(50)의 삽입정보에 따라 상기 공간정보이미지에 수면 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소품이미지를 배 이미지로 선택해 결합하는 광고물 실행모듈(80);
    광고물이 합성된 공간정보이미지를 출력하되, 상기 광고물을 상기 공간정보이미지와 분리해 이동성을 갖도록 출력하는 출력모듈(60);
    이미지 검색모듈(40)이 검색한 공간정보이미지를 확인해서, 수면 이미지의 존재 여부가 확인된 삽입정보를 출력모듈(60)로 전달하는 삽입정보 확인모듈(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검색모듈(40)은 내비게이션의 경로탐색모듈이 탐색한 경로에 해당하는 공간정보이미지에 대한 검색정보를 조정모듈(70)로부터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5. 삭제
KR1020100104745A 2010-10-26 2010-10-26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KR10128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45A KR101288007B1 (ko) 2010-10-26 2010-10-26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45A KR101288007B1 (ko) 2010-10-26 2010-10-26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39A KR20120043439A (ko) 2012-05-04
KR101288007B1 true KR101288007B1 (ko) 2013-07-18

Family

ID=4626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745A KR101288007B1 (ko) 2010-10-26 2010-10-26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707A1 (ko) * 2016-07-29 2018-02-01 황문상 Vr영상광고 시스템 및 vr광고제작시스템
US10575067B2 (en) * 2017-01-04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 based augmented advertisement
KR102310483B1 (ko) * 2021-04-12 2021-10-08 삼부기술 주식회사 항공 이미지와 지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350A (ko) * 2007-09-18 2009-03-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바일 가상세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350A (ko) * 2007-09-18 2009-03-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바일 가상세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39A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8645B2 (ja) モバイル・ナビゲーション・ユニットのための高度3d視覚化システム及び方法
US9858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angle views of an object-of-interest from images in an image dataset
JP451182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ビュー円錐台に対応づけられたタイルのイメージデータをアクセス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582548B2 (ja) 実環境視像における仮想情報の表示方法
AU2010218137B2 (en) System and method of indicating transition between street level images
EP3170151B1 (en) Blending between street view and earth view
US832653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503106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 based information delivery using augmented reality
AU2015332046B2 (en) Street-level guidance via route path
CN102473324A (zh) 用于在真实环境中表示虚拟信息的方法
CN108474666A (zh) 用于在地图显示中定位用户的系统和方法
JP5797419B2 (ja) 地図情報処理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039630B2 (en) Information search/presentation system
CN104101348A (zh) 导航系统以及在导航系统上显示地图的方法
JP7267409B2 (ja) 2人以上のユーザを待ち合わせ場所に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1288007B1 (ko) 이동성 광고물을 갖는 공간정보이미지 출력시스템
JP4511825B2 (ja) 複数のイメージからマルチ分解能イメージを生成する方法
US2007001984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tant view image display method, and distant view image display program
US9734619B2 (en) 3-dimensional map view with background images
Mountain et al. Mixed reality (MR) interfaces for mobile information systems
KR101288002B1 (ko) 3차원 가상 수치지도 이미지 내 영상광고 합성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