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105A -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105A
KR20120043105A KR1020127006506A KR20127006506A KR20120043105A KR 20120043105 A KR20120043105 A KR 20120043105A KR 1020127006506 A KR1020127006506 A KR 1020127006506A KR 20127006506 A KR20127006506 A KR 20127006506A KR 20120043105 A KR20120043105 A KR 20120043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uttlecock
artificial feather
thi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요시다
마사오 오가와
유타카 토노무라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63B67/19Shuttlecocks with several feathers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우수한 비상 특성과 함께 높은 내구성을 구비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셔틀콕용 인공깃털은, 날개부와, 날개부에 접속된 축을 구비한다. 축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이다. 축에서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13)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14)가,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본체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ARTIFICIAL FEATHER FOR SHUTTLECOCK, BADMINTON SHUTTLEC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FEATHER AND THE BADMINTON SHUTTLECOCK}
본 발명은,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우수한 비상(飛翔) 특성 및 내구성을 갖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드민턴용 셔틀콕으로서, 그 깃털에 물새의 깃털을 이용한 것(천연 셔틀콕)과, 나일론 수지 등에 의해 인공적으로 제조된 깃털을 이용한 것(인공 셔틀콕)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천연 셔틀콕은, 그와 같은 천연의 깃털에 대해 일정한 품질의 것을 입수하는 것에 번거로움 등이 소요되기 때문에, 인공의 깃털을 이용한 셔틀콕 보다 고가이다. 또한, 근래 물새의 깃털의 공급국의 식량 사정의 변화나, 조류 인플루엔자의 유행에 기인하는 물새의 대량 처분 등에 의해, 물새의 깃털의 공급량이 격감하고 있고, 천연 셔틀콕은 점점 고가의 것으로 되어 오고 있다. 그 때문에, 염가이며 안정된 품질의 인공의 깃털을 이용한 셔틀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54-136060호 공보(특허 문헌 1), 일본 실공평2-29974호 공보(특허 문헌 2), 및 일본 특개2008-206970호 공보(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에서는, 인공 셔틀콕의 비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인공의 깃털의 축(단면이 거의 사각형 형상의 축)의 측면부터 돌출하도록 박육편을 배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인공 셔틀콕의 깃털의 축에 관해, 셔틀콕의 비상시에 있어서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당해 축의 단면 형상을 변형한 마름모형상으로 하고, 당해 마름모형의 장축이 인공의 깃털이 배치된 원주에 대해 경사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인공 셔틀콕의 인공의 깃털에 관해, 깃털이 되는 부직포를 축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매설한 상태로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개소54-13606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실공평2-2997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8-20697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에 나타낸 인공 셔틀콕에서는, 역시 천연의 깃털에 대해 인공깃털의 강도가 불충분하였다. 한편, 인공깃털의 축 형상은 셔틀콕의 비상 특성(특히 비상시의 회전 특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형상은 당해 비상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단지 인공깃털의 축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는 대응을 취하면, 셔틀콕 전체의 질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인공 셔틀콕의 비상 특성을 천연 셔틀콕과 동등한 것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환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비상 특성과 함께 높은 내구성을 구비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은, 날개부와, 날개부에 접속된 축을 구비한다. 축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이다. 축에서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가,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축의 단면 형상을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으로 함에 의해, 축의 총 질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축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박육부를 축의 본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셔틀콕의 비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인공깃털의 공기 저항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박육부는 본체부보다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축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인공깃털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인공깃털의 축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인공깃털의 공기 저항을 조정함에 의해, 우수한 비상 특성의 인공 셔틀콕을 구성하는 인공깃털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와, 당해 베이스 본체에 접속된,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의 깃털을 이용한 천연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특성을 구비함과 함께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인공 셔틀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제조 방법은, 축을 준비하는 공정과, 축에 날개부를 접속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축을 준비하는 공정은, 축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이 되는 축을 몰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과, 당해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을 행함에 의해 축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에서는, 축에서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보다 두께가 얇고,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박육부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이 금형에 형성되어 있다. 축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을 행함에 의해 박육부가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축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의 제조 방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셔틀콕용 인공깃털을 제조하는 공정과, 베이스 본체에 셔틀콕용 인공깃털을 접속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비상 특성과 함께 높은 내구성을 구비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셔틀콕의 윗면 모식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을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4는 도 3의 선분 Ⅳ-Ⅳ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5는 도 3의 선분 V-V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6은 도 3의 선분 Ⅵ-Ⅵ에서의 단면 모식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의 중사가 배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모식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인공깃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구성재 준비공정(S10)에 포함되는 축의 형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를 구성하는 인공깃털의 제 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를 구성하는 인공깃털의 제 2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를 구성하는 인공깃털의 제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를 구성하는 인공깃털의 제 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베이스 본체(2)에서 표면이 거의 평탄하게 성형된 고정용 표면부에 접속된 복수의 셔틀콕용의 인공깃털(3)과, 복수의 인공깃털(3)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끈모양(紐狀) 부재와, 복수의 인공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중사(中絲)(15)로 이루어진다. 복수(예를 들면 16장)의 인공깃털(3)은, 베이스 본체(2)의 고정용 표면부에서, 당해 고정용 표면부의 외주부에 따라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인공깃털(3)은, 끈모양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인공깃털(3)은, 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서로의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복수의 인공깃털(3)에 의해 형성되는 통형상체의 내경이 베이스 본체(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커진다) 배치되어 있다.
중사(15)는, 복수의 인공깃털(3)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작용하고 있다. 즉, 중사(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인공깃털(3)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을 구성하는 인공깃털(3)은, 날개부(5)와, 당해 날개부(5)에 접속된 축(7)으로 이루어진다. 축(7)은, 날개부(5)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된 날개축부(8)와, 날개부(5)의 거의 중앙부에서 날개부(5)에 접속된 고착축부(10)로 이루어진다. 날개축부(8)와 고착축부(10)는 동일선 형상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되고, 하나의 연속한 축(7)을 구성하고 있다. 축(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7)의 연재 방향에 거의 수직한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십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7)의 단면 형상에서는, 중심축부(11)로부터 도 4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도 4에서의 좌우 방향(또는 중심축부(11)를 중심으로 한 동심원의 원주 방향)에서의 두께)를 갖는 두꺼운 리브부(12a)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축부(11)로부터, 도 4의 좌우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도 4에서의 상하 방향(또는 중심축부(11)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의 원주 방향)에서의 두께)를 갖는 얇은 리브부(12b)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두꺼운 리브부(12a)는, 중심축부(11)로부터 각각 반대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얇은 리브부(12b)도, 중심축부(11)로부터 각각 반대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얇은 리브부(12b)는, 두꺼운 리브부(12a)의 연재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보다 상세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두꺼운 리브부(12a)와 얇은 리브부(12b)로 리브부(12)가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리브부(12)와 중심축부(11)로, 축(7)의 본체부(13)가 구성된다. 본체부(13)의 단면 형상은 이른바 십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얇은 리브부(12b)의 외주 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즉 본체부(13)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박육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14)의 두께는, 얇은 리브부(12b)의 상기 두께보다 더욱 얇게 되어 있다. 박육부(14)는, 얇은 리브부(12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육부(14)는, 당해 박육부(14)의 표면이, 얇은 리브부(12b)의 측면(도 4에서의 상방의 측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14)의 두께는, 예를 들면 0.03㎜ 이상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이상 0.07㎜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14)의 폭(W1, W3)은, 예를 들면 0.1㎜ 이상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3㎜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7)의 본체부(13)의 단면 형상을 거의 십자형상으로 함에 의해, 축(7)의 총 질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축(7)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박육부(14)를 축(7)의 본체부(13)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셔틀콕(1)의 비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인공깃털(3)의 공기 저항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박육부(14)는 본체부(13)보다 두께를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축(7)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인공깃털(3)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인공깃털(3)의 축(7)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인공깃털(3)의 공기 저항을 조정함에 의해, 우수한 비상 특성의 셔틀콕(1)을 구성하는 인공깃털(3)을 실현할 수 있다.
얇은 리브부(12b)가 늘어나는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축(7)의 폭(W)은, 박육부(14)의 폭(W1, W2)과 본체부(13)의 폭(W3)과의 합계이다. 그리고, 축(7)의 당해 폭(W)은, 두꺼운 리브부(12a)가 늘어나는 방향(도 4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축(7)의 폭(높이)(T)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4에서의 일방(좌측)의 박육부(14)의 폭(W1)과, 타방(우측)의 박육부(14)의 폭(W2)은 같은 값이라도 좋지만, 다른 값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박육부(14)는, 축(7)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적어도 외부에 노출하는 부분인 날개축부(8)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육부(14)는 편측(片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축(7)의 전체 길이가 아니라,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예를 들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날개부(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착축부(10)를 끼우도록 배치된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 및 이들의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93, 94)으로 이루어진다. 즉, 날개부(5)에서는,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이 고착축부(10)를 끼우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날개부(5)에서는, 발포체층(92)과 축고정층(91)을 서로 접속함과 함께 고착축부(10)와 이들의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을 접속 고정하기 위해, 접착층(93, 9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언급하면, 날개부(5)에서는, 셔틀콕(1)을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외주측에 위치한 발포체층(92)상에 접착층(93)이 적층되어 있다. 이 접착층(93)상에는, 당해 접착층(93) 및 발포체층(92)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고착축부(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착축부(10)상부터 접착층(93)상까지 연재되도록, 또한쪽의 접착층(9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착층(94)상에 축고정층(91)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공깃털(3)에서는, 발포체층(92)측(즉 셔틀콕(1)에서의 외주측)을 향하여, 축(7)이 휘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른 관점에서 언급하면, 축(7)은, 축고정층(91)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휘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인공깃털(3)이 축(7)의 연재 방향에어서 발포체층(92)측으로 휘여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날개부(5)의 표면에 따른 방향인 폭방향)에어서, 날개부(5)가 발포체층(92)측으로 휘여진 상태(즉 날개부(5)가 축고정층(91)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휘여진 상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축(7)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 인공깃털(3)이 휘여진 상태와, 상기한 바와 같이 날개부(5)가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어서 휘여진 상태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어도 좋고, 어느 한쪽의 휘어짐만이 발생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휘어짐은, 축(7)이나 날개부(5)의 구성 재료에 대해 열처리를 시행하는, 또는 축(7)이나 날개부(5)의 구성 재료를 최초부터 휘여진 상태로 형성한 등, 종래 주지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발포체층(9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의 발포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폴리에틸렌의 발포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9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지 발포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91)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 이외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부직포 등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93, 94)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수가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인공깃털(3)에서는,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으로서 폴리에틸렌 폼을 사용하고 있다. 이 폴리에틸렌 폼의 압출 방향은 도 3 및 도 5의 화살표(95)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화살표(95)로 나타내는 폴리에틸렌 폼의 압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축(7)이 날개부(5)와 접속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부(5)가 축(7)의 연재 방향에 따른 방향에 찢어진다는 부적합함의 발생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중사(15)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사(15)는, 인공깃털(3)의 축(7)의 주위를 주회(周回)함과 함께, 인접하는 인공깃털(3)에서 적층한 상태로 되어 있는 날개부(5)의 부분에서, 인접하는 인공깃털(3)의 날개부(5)가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통과하도록(즉 적층한 날개부(5)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날개부(5)가 적층한 부분에서, 적층한 날개부(5)의 사이를 중사(15)가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날개부(5)의 적층 순서가 셔틀콕(1)의 사용중에 교체된다는(예를 들면 라켓에 의한 타격의 충격에 의해 날개부(5)의 적층 순번이 교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중사(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형상으로 나열한 복수의 인공깃털(3)의 전부를 서로 고정하도록,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사(15)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바늘 등을 이용하여 봉제함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날개부(5)의 적층 순서가 셔틀콕(1)의 사용중에 교체된다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함에 의해,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셔틀콕(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주상에 배치된 중사(15)는, 그 꿰매기 시작하는 일방단부와 꿰매기 끝의 타방단부가 묶여지고, 남은 실의 부분은 매듭 부근에서 컷트되여 제거된다. 당해 매듭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함에 의해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층을 형성함에 의해, 셔틀콕(1)이 라켓에 의해 타격된 때에, 당해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사(15)는, 면이나 수지 등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제의 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사(15)는, 셔틀콕(1)의 중심(重心) 등에 영향을 극력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한 경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실로서는, 50번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실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중사(15)로서 사용한 실의 질량은 약 0.02g이 된다. 이 정도의 질량이라면, 셔틀콕(1)의 중심 위치에 약간의 영향은 있는 것이지만, 비상 특성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중사(15)의 배치에 관해서는, 베이스 본체(2)로부터의 거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 셔틀콕용의 인공깃털(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의 인공깃털(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공깃털(3)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구성재 준비공정(S10)을 실시한다. 이 공정(S10)에서는, 인공깃털(3)을 구성하는 축(7),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발포체층(92) 및 축고정층(91)을 구성하는 시트형상 재료, 접착층(93, 94)이 되어야 할 양면 테이프를 준비한다. 또한, 이들의 시트형상 부재 및 양면 테이프의 평면 형상은, 도 3에 도시한 날개부(5)의 사이즈보다도 크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폴리에틸렌의 발포체로서 시트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두께가 1.0㎜, 단위면적당 중량이 24g/㎡라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폼으로서 두께가 0.5㎜, 단위면적당 중량 20g/㎡라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93, 94)이 되는 양면 테이프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0g/㎡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축(7)의 제조 공정으로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금형 준비공정(S11)을 실시한다. 이 공정(S11)에서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에 의해 축(7)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준비한다. 여기서 준비하는 금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형과 하형으로 분할된 금형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금형 표면에는, 축(7)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오목부는, 축(7)의 본체부(13)를 형성하는 부분과, 당해 본체부(13)를 형성하는 부분의 외주부에서, 박육부(14)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성형 공정(S12)을 실시한다. 이 공정(S12)에서는, 우선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한 금형을, 사출성형기 등 금형의 내부(오목부)에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 세트한다(금형 세트 공정). 다음에, 수지 주입 공정을 실시한다. 즉, 금형에 마련된 수지의 주입구로부터, 금형 내부의 오목부에 수지를 주입한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결과, 금형 내부에서 축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의 오목부에는 박육부(14)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얻어진 축(7)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박육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성형 공정(S12)을 실시한다. 그 후, 금형 내부로부터 축(7)을 꺼낸다. 이 결과, 인공깃털(3)을 구성하는 축(7)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 공정(S20)을 실시한다. 이 공정(S20)에서는,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의 주(主)표면상에 접착층(93)이 되어야 할 양면 테이프를 부착한다. 그리고, 당해 양면 테이프의 위에 축(7)의 고착축부(10)를 배치한다. 또한, 그 위로부터, 고착축부(10)에 대향하는 면에 접착층(94)이 되어야 할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를 적층 배치하여 접합한다. 이 결과, 축(7)의 고착축부(10)를, 발포체층(92)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와 축고정층(91)이 되어야 할 시트형상 부재로 끼워서 고정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후처리 공정(S30)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날개부(5)가 되어야 할 적층 배치된 시트형상 부재의 불필요부(즉 날개부(5)가 되어야 할 부분 이외의 영역)를 절단 제거한다. 이 결과,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인공깃털(3)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인공깃털(3)에 대해, 예를 들면 발포체층(92)측부터 열을 가하는 등의 열처리를 행함에 의해, 발포체층(92) 등을 수축시킨다. 이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7) 및 날개부(5)가 휘여진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축(7) 및 날개부(5)가 휘여진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최초부터 휘여진 형상의 축(7)을 이용한다는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셔틀콕(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준비공정(S100)을 실시한다. 이 준비공정(S100)에서는, 셔틀콕(1)의 베이스 본체(2)(선단 부재) 및 상술한 인공깃털(3) 등, 셔틀콕(1)의 구성 부재를 준비한다.
베이스 본체(2)의 제조 방법은, 종래 공지의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베이스 본체(2)가 되어야 할 재료로서 코르크 등의 천연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2)의 재료로서 인공의 수지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베이스 본체(2)의 재료로서 인공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 주지의 임의의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베이스 본체(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 베이스 본체(2)가 되는 소재의 블록을 준비하고, 절삭 가공에 의해 개략 형상으로 한다. 이 때, 선단부의 반구형상 부분의 높이를 가미하여 가공을 행한다. 그리고, 다시 절삭 가공에 의해, 인공깃털(3)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을 형성한다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인공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 수지 발포체, 또는 EVA(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PVC(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공깃털(3)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도 8에 도시한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조립 공정(S200)을 실시한다. 당해 조립 공정(S200)에서는, 베이스 본체의 고정용 표면부에서의 삽입 구멍에 상술한 복수의 인공깃털(3)의 축(7)의 근원을 삽입 고정한다. 또한, 당해 복수의 인공깃털(3)을 서로 끈모양 부재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날개부의 겹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중사(15)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가 되도록 봉제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셔틀콕(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공깃털(3)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끈모양 부재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링형상 부재 등 임의의 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나 섬유 등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끈모양 부재로서 아라미드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사용하고, 당해 아라미드 섬유 또는 유리 섬유에 수지(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여, 당해 수지를 경화함으로써 FRP화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FRP화함에 의해, 고정부재의 강도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나 페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RP화를 위해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면, 고정부재를 축(7)과 고정하기 위한 가공에 있어서 가열 공정을 행하는 경우 등에, 동시에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고정부재의 FRP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의 실시의 형태를 구성하는 인공깃털의 제 1 내지 제 4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4는 각각 도 4에 대응한다.
도 11에 도시한 축을 구비하는 인공깃털는, 기본적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인공깃털(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축(7)의 본체부(13)의 단면 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축(7)의 본체부(13)는, 중심축부(11)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2개의 얇은 리브부(12b)가 늘어나는 한편, 중심축부(11)의 하측부터 한쪽으로만 두꺼운 리브부(12a)가 연재되어 있다. 또한, 얇은 리브부(12b)의 외주 단부에는 박육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른바 단면이 T자형상의 본체부(13)로 되어 있는 축을 이용한 인공깃털에 의해서도,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인공깃털(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축을 구비하는 인공깃털는, 기본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인공깃털(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중심축부(11)로부터 상방(얇은 리브부(12b)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 또는 두꺼운 리브부(12a)가 늘어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은 리브부(12)에 포함되는 돌출부(16)를 형성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축을 이용한 인공깃털에 의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어짐과 함께, 도 12의 상하 방향(두꺼운 리브부(12a) 및 돌출부(16)가 늘어나는 방향)에 있어서 축(7)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축을 구비하는 인공깃털는, 기본적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인공깃털(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축(7)의 본체부(13)의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박육부(14)의 폭(W1, W2)이 서로 다른 점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인공깃털과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한 축(7)의 본체부(13)의 도면중 좌측에 형성된 박육부(14)의 폭(W1)은, 도면 중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박육부(14)의 폭(W2)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인공깃털(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축의 중심축부(11)에서 보아 축(7)의 우측과 좌측에서 공기 저항의 차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깃털에서의 공기 저항 패턴의 변화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인공깃털(3)을 이용한 셔틀콕에서, 비상 특성의 제어 범위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축을 구비하는 인공깃털는, 기본적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인공깃털(3)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지만, 축(7)의 본체부(13)의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박육부(14)의 배치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인공깃털과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한 축(7)의 본체부(13)의 측면에 형성된 박육부(14)는, 얇은 리브부(12b)의 측면(도 14에서의 얇은 리브부(12b)의 평탄한 측면)과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다. 도 14에 도시한 축의 박육부(14)는, 상기 얇은 리브부(12b)의 측면과 단차를 통하여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인공깃털(3)과 동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일부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본원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이하에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3)은, 날개부(5)와, 날개부(5)에 접속된 축(7)을 구비한다.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예를 들면 도 4 참조)은 십자형상(도 4 참조) 또는 T자형상(도 11 참조)이다. 축(7)에서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13)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14)가,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본체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축(7)의 단면 형상을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으로 함에 의해, 축(7)의 총 질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축(7)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박육부(14)를 축(7)의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셔틀콕(1)의 비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인공깃털(3)의 공기 저항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박육부(14)는 본체부(13)보다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축(7)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인공깃털(3)의 질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인공깃털(3)의 축(7)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인공깃털(3)의 공기 저항을 조정함에 의해, 우수한 비상 특성의 인공 셔틀콕(1)을 구성하는 인공깃털(3)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3)에서, 본체부(13)는, 중심축부(11)와 당해 중심축부(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부(12)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복수의 리브부(12)는,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중심축부(11)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지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꺼운 리브부(12a)와, 당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얇은 리브부(12b)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박육부(14)는 얇은 리브부(12b)의 외주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두꺼운 리브부(12a)의 돌출 방향에서의 축(7)의 강성을 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박육부(14)가 돌출하는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에서는, 축(7)의 본체부(13)의 얇은 리브부(12b)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부(13)에 포함되는 모든 리브부(12)의 두께를 일률적으로 두껍게 하는 경우보다, 축(7)의 질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7)의 질량을 소정의 범위에 제한하면서, 박육부(14)가 돌출하는 방향(얇은 리브부(12b)가 돌출한 방향)에서의 축(7)의 폭(도 4에서의 폭(W))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3)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육부(14)는, 얇은 리브부(12b)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표면에 따라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공기에 대한 저항체라는 관점에서, 박육부(14)와 얇은 리브부(12b)를 연속한 일체의 저항체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14)를 형성하는 경우에, 얇은 리브부(12b)의 상기 표면에 따르지 않도록 당해 박육부(14)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예를 들면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박육부(14)를 갖는 축(7)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3)에서,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얇은 리브부(12b)의 돌출 방향에 따른 본체부(13)와 박육부(14)와의 합계 폭(W)은, 두꺼운 리브부(12a)의 돌출 방향에 따른 본체부(13)의 폭(도 4에서의 높이(T))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두꺼운 리브부(12a)의 돌출 방향(즉 축(7)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있는 방향)과 다른 방향(즉 얇은 리브부(12b)의 돌출 방향)에서, 축(7)의 공기 저항을 크게 하도록, 공기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축(7)의 실질적인 폭(W)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얇은 리브부(12b)의 돌출 방향에서의 폭(W)과 동등한 지름을 갖는 축을 이용하는 경우나, 얇은 리브부(12b)의 두께를 상기 두꺼운 리브부(12a)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하는 경우보다, 축(7)의 질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3)에서, 본체부(13)는, 중심축부(11)와 상기 중심축부(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부(12)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박육부(14)는, 도 4, 도 5, 도 11 내지 도 1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부(12)의 적어도 하나에서 중심축부(11)로부터 외측을 향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표면에 따라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박육부(14)를 복수의 리브부(12)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축(7)의 실질적인 폭(W)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결과, 셔틀콕(1)의 비상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인공깃털(3)의 공기 저항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3)에서,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박육부(14)가 형성된 리브부(12)의 돌출 방향에 따른 본체부(13)와 박육부(14)와의 합계 폭(W)은, 박육부(14)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리브부(12)의 돌출 방향에 따른 본체부(13)의 폭(도 4의 높이(T))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박육부(14)가 형성된 리브부(12)의 돌출 방향(예를 들면 도 4나 도 11 내지 도 13의 좌우 방향)에서, 축(7)의 공기 저항을 크게 하도록, 공기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축(7)의 실질적인 폭(W)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1)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당해 베이스 본체(2)에 접속된,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천연의 깃털을 이용한 천연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특성을 구비함과 함께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인공 셔틀콕(1)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제조 방법은, 축을 준비하는 공정(S10, S11, S12)과, 축에 날개부를 접속하는 공정(S20)을 구비한다. 축을 준비하는 공정(S10, S11, S12)은, 축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이 되는 축을 몰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S11)과, 당해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을 행함에 의해 축을 형성하는 공정(S12)을 포함한다.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S11)에서는, 축(7)에서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13)보다 두께가 얇고,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박육부(14)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이 금형에 형성되어 있다. 축을 형성하는 공정(S12)에서는, 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을 행함에 의해 박육부(14)가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축(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용 인공깃털(3)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의 제조 방법은,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를 준비하는 공정(S100)과,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셔틀콕용 인공깃털을 제조하는 공정(S100)과, 베이스 본체에 셔틀콕용 인공깃털을 접속하는 공정(S20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용 셔틀콕(1)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용 인공깃털 및 셔틀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내용)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공깃털을 이용한 셔틀콕과, 비교예로서의 셔틀콕 2종류를 준비하고, 원통의 하방에서 송풍기에 의해 공기를 흘려서, 셔틀콕을 부유 회전시키고, 무접촉 회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셔틀콕의 회전 속도(회전수)를 측정하였다.
(준비한 시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료로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인공깃털(3)을 이용한 셔틀콕을 준비하였다. 인공깃털(3)의 축(7)의 본체부(13)의 폭(W3)(도 4 참조)은 2.5㎜, 높이(T)는 2.5㎜, 두꺼운 리브부(12a)의 중앙부(중심축부(11)에서 본 지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의 두께에 관해, 도 4의 상측의 두꺼운 리브부(12a)에서의 중앙부의 두께는 0.8㎜, 도 4의 하측의 두꺼운 리브부(12a)의 중앙부의 두께는 0.55㎜, 얇은 리브부(12b)의 두께는 0.4㎜, 박육부(14)의 폭(W1, W2)은 각각 0.3㎜로 하였다. 또한, 박육부(14)의 두께는 0.05㎜라고 하였다.
또한, 인공깃털(3)의 날개부(5)를 구성하는 축고정층(91)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폼을 사용하고, 두께를 0.5㎜, 단위면적당 중량을 20g/㎡로 하였다. 또한, 발포체층(92)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폼을 이용하여, 두께를 1.0㎜, 단위면적당 중량을 24g/㎡로 하였다. 또한, 접착층(93, 94)으로서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양면 테이프의 특성으로서는, 두께 10㎛, 단위면적당 중량 10g/㎡라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공깃털을 이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의 셔틀콕을 준비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시료로서, 상기 실시예의 시료에 이용한 축과 같은 구성의 축으로부터, 박육부(14)를 깎아낸 가공을 끝낸 축을 이용하여 인공깃털(3)을 제조하였다. 가공을 끝낸 축 이외는, 상술한 실시예의 시료에 이용한 인공깃털(3)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교예로서의 인공깃털(3)을 이용하여, 실시예의 시료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셔틀콕을 준비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시료로서, 상술한 실시예의 시료에 이용한 축으로부터 박육부(14)를 제외한 구성의 축을 이용하여 인공깃털 및 셔틀콕을 준비하였다. 또한, 여기서 준비한 축에 관해서는, 사출성형에 이용하는 금형으로서, 실시예의 인공깃털에서의 축과는 다른 구성의 금형(즉, 박육부(14)를 위한 간극을 형성하지 않은 구성의 금형)을 이용하였다.
(결과)
각 시료의 셔틀콕에 관해, 원통의 하방에서 송풍기에 의해 공기를 7m/초로 흘려서, 셔틀콕을 부유 회전시키고, 무접촉 회전수 측정기를 이용하여 셔틀콕의 회전수를 측정하였다. 계측은, 각 시료마다 5개의 셔틀콕을 준비하고, 당해 5개의 평균 회전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의 시료에 관해서는 평균 회전수가 477rpm이였다. 또한, 셔틀콕의 비상의 궤적 등도, 천연 셔틀콕에 비교적 가까운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시료에 대해서는, 평균 회전수가 317rpm이고, 또한, 비교예 2의 시료에 대해서는, 평균 회전수가 252rpm이였다. 또한, 이와 같은 회전수의 차에 기인하여, 비교예의 셔틀콕의 비상시의 궤적은 실시예의 셔틀콕의 비상시의 궤적과 다르고, 또한 천연 셔틀콕의 비상시 궤적과도 달랐다. 또한, 회전수가 300rpm 미만에서는 셔틀콕이 비상중에 흔들리기 쉬워지고, 비행시 궤적이 안정되지 않는 경향이 보여졌다.
또한, 어느 시료도 금회의 시험중에는 형상의 무너짐 등 발생하는 일이 없고,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료가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냄과 함께, 비교적 천연의 셔틀콕에 가까운 비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물새의 깃털을 이용한 배드민튼용 셔틀콕과 동등한 비상 특성 및 내구성을 갖는, 인공깃털을 이용한 배드민턴용 셔틀콕에 유리하게 적용된다.
1 : 셔틀콕 2 : 베이스 본체
3 : 인공깃털 5 : 날개부
7 : 축 8 : 날개축부
10 : 고착축부 11 : 중심축부
12 : 리브부 12a : 두꺼운 리브부
12b : 얇은 리브부 13 : 본체부
14 : 박육부 15 : 중사
16 : 돌출부 91 : 축고정층
92 : 발포체층 93, 94 : 접착층
95 : 화살표

Claims (9)

  1. 날개부(5)와,
    상기 날개부(5)에 접속된 축(7)을 구비하고,
    상기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이고,
    상기 축(7)에서 상기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13)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14)가, 상기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본체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는, 중심축부(11)와 상기 중심축부(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브부(12)는, 상기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중심축부(11)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지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꺼운 리브부(12a)와, 상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얇은 리브부(12b)를 포함하고,
    상기 박육부(14)는 상기 얇은 리브부(12b)의 외주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14)는, 상기 얇은 리브부(12b)에서 상기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표면에 따라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상기 얇은 리브부(12b)의 돌출 방향에 따른 상기 본체부(13)와 상기 박육부(14)의 합계 폭(W)은, 상기 두꺼운 리브부(12a)의 돌출 방향에 따른 상기 본체부(13)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3)는, 중심축부(11)와 상기 중심축부(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복수의 리브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박육부(14)는, 상기 복수의 리브부(12)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중심축부(11)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표면에 따라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축(7)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상기 박육부(14)가 형성된 리브부(12)의 돌출 방향에 따른 상기 본체부(13)와 상기 박육부(14)의 합계 폭(W)은, 상기 박육부(14)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리브부(12)의 돌출 방향에 따른 상기 본체부(13)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
  7.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와,
    상기 베이스 본체(2)에 접속된, 제 1항에 기재된 셔틀콕용 인공깃털(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
  8. 축(7)을 준비하는 공정(S10, S11, S12)과,
    상기 축(7)에 날개부를 접속하는 공정(S20)을 구비하고,
    상기 축(7)을 준비하는 공정(S10, S11, S12)은,
    상기 축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이 되는 축을 몰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S11)과,
    상기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을 행함에 의해 상기 축을 형성하는 공정(S12)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S11)에서는, 상기 축(7)에서 상기 십자형상 또는 T자형상의 단면 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13)보다 두께가 얇고, 상기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박육부(14)를 형성하기 위한 간극이 상기 금형에 형성되고,
    상기 축을 형성하는 공정(S12)에서는, 상기 사출성형 또는 사출압축성형을 행함에 의해 상기 박육부(14)가 상기 본체부(1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축(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제조 방법.
  9. 반구형상의 베이스 본체(2)를 준비하는 공정(S100)과,
    제 8항에 기재된 셔틀콕용 인공깃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셔틀콕용 인공깃털(3)을 제조하는 공정(S100)과,
    상기 베이스 본체(2)에 상기 셔틀콕용 인공깃털(3)을 접속하는 공정(S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의 제조 방법.
KR1020127006506A 2009-08-18 2010-08-05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20120043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9139A JP5170459B2 (ja) 2009-08-18 2009-08-18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JP-P-2009-189139 2009-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105A true KR20120043105A (ko) 2012-05-03

Family

ID=4360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506A KR20120043105A (ko) 2009-08-18 2010-08-05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62997A4 (ko)
JP (1) JP5170459B2 (ko)
KR (1) KR20120043105A (ko)
CN (1) CN102625724A (ko)
WO (1) WO2011021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1633B2 (ja) * 2011-08-19 2016-06-29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シャトルコック及び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の製造方法
JPWO2013077183A1 (ja) * 2011-11-22 2015-04-27 株式会社ゴーセン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905132A (zh) * 2012-11-20 2018-11-30 戴见霖 加工天然羽毛的方法及系统
JP6161381B2 (ja) * 2013-04-22 2017-07-12 美津濃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
JP2015029845A (ja) 2013-08-06 2015-02-16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シャトルコック、及び、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
CN103933715A (zh) * 2014-04-04 2014-07-23 安徽华翎羽毛制品有限公司 一种嫁接式羽毛球的制造工艺
CN108042992B (zh) * 2017-11-28 2020-05-19 安徽省蓝翔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羽毛球羽毛形状甄选系统
CN108014473B (zh) * 2017-11-28 2020-05-19 安徽省蓝翔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化羽毛形状模具选择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8388A (en) * 1963-06-25 1964-12-23 Carlton Tyre Saving Co Ltd A shuttlecock
JPS54136060U (ko) * 1979-01-30 1979-09-20
DK173581A (da) * 1981-04-15 1982-10-16 J E Rasmussen Kunstfjer til badmintonbolde
JPS6052865U (ja) * 1983-08-19 1985-04-13 劉 懋滉 バドミントン用のシャトルコック
JPH0229974U (ko) 1988-08-11 1990-02-26
GB2333970A (en) * 1998-02-10 1999-08-11 Dunlop Slazenger Group Ltd Shuttlecock
CN2858002Y (zh) * 2005-11-22 2007-01-17 张伯嘉 复合型羽毛球
JP4651051B2 (ja) 2007-02-02 2011-03-16 美津濃株式会社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2997A1 (en) 2012-06-13
JP2011036591A (ja) 2011-02-24
JP5170459B2 (ja) 2013-03-27
EP2462997A4 (en) 2013-05-22
WO2011021512A1 (ja) 2011-02-24
CN102625724A (zh)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3105A (ko) 셔틀콕용 인공깃털, 배드민턴용 셔틀콕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5661535B2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651051B2 (ja)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2338576B1 (en) Badminton shuttlecock
JP2010082160A (ja) 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およびシャトルコック用ベース本体
JP6161381B2 (ja) シャトルコック用人工羽根およびバドミントン用シャトルコック
TWI713740B (zh) 用於羽毛球之人造羽毛,及羽毛球
US11674398B2 (en) Reinforced blade
KR101357416B1 (ko) 셔틀콕용 인공 깃 및 배드민턴용 셔틀콕
KR102017374B1 (ko) 배드민턴용 셔틀콕
JP6329396B2 (ja) シャトルコック
EP2769754A1 (en) Shuttlecock
TWI730113B (zh) 羽毛球
JP5989035B2 (ja) シャトルコック
US11013969B2 (en) Hockey stick with nanofiber reinforcement
JP2011188751A (ja) 釣り竿
JP2021049096A (ja) バドミントン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