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482A -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482A
KR20120042482A KR1020100104190A KR20100104190A KR20120042482A KR 20120042482 A KR20120042482 A KR 20120042482A KR 1020100104190 A KR1020100104190 A KR 1020100104190A KR 20100104190 A KR20100104190 A KR 20100104190A KR 20120042482 A KR20120042482 A KR 2012004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bar
main body
side wal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686B1 (ko
Inventor
황세인
Original Assignee
(주)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밴플러스 filed Critical (주)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10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6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8Portable pocket clothes-holders attachable to trees, walls, 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에 관한 것으로서, 다량의 의류를 개별 옷걸이에 각각 건 상태로 컨테이너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되는 가멘트 행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가 매달릴 수 있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본체바;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본체바를 구비함으로써, 의류를 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의류를 운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밀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A garment hanger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류를 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의류를 운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밀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의류를 컨테이너로 운송하는 경우에는, 의류의 구김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의류를 개별 옷걸이에 건 상태로 컨테이너에 수납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에는 상기 개별 옷걸이에 걸린 의류(2)를 컨테이너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되는 가멘트 행어(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멘트 행어(1)는, 복 수개 마련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과 타측벽(6)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가멘트 행어(1)에 복 수개의 매듭(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프(3)를 여러 개 묶어서 늘어뜨린 후, 상기 로프(3)의 매듭마다 의류(2)가 걸린 개별 옷걸이(미도시)를 걸면 의류(2)의 수납이 완료된다.
종래의 가멘트 행어(1)는, 일반적인 컨테이너 내부에 구비된 라싱링(미도시)에 후크부재(미도시)를 걸고 상기 후크부재에 앵글부재(미도시)를 매단 후, 상기 앵글부재에 설치되는데, 설치 공정이 복잡하여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강도가 약한 후크부재의 절단으로 인하여 의류(2)가 낙하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컨테이너 바닥으로부터 포스트부재(미도시)를 세우고 상기 포스트부재 위에 앵글부재를 고정한 후, 상기 앵글부재에 가멘트 행어(1)를 설치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식은 더 많은 부재의 사용이 필요하여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 시간도 더욱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한편, 상기 가멘트 행어(1)가 설치된 컨테이너를 일반적인 화물을 싣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내용적을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는 가멘트 행어(1) 및 관련구조물들에 의하여 간섭이 생기거나 화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가멘트 행어(1) 및 관련구조물들을 철거한 후 폐기처분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철거 공사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폐기되는 부재로 인하여 자원낭비도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류를 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의류를 운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밀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는, 다량의 의류를 개별 옷걸이에 각각 건 상태로 컨테이너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되는 가멘트 행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가 매달릴 수 있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본체바;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바는, 상기 밀착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바가 밀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킵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바는,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피봇 결합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되며, 상기 피봇 결합은, 상기 본체바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구 형상의 관절볼과, 상기 관절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관절볼을 연결하는 목부를 구비한 볼 노브;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관절볼을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켓부와, 상기 본체바가 상기 밀착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절개된 개구부를 가진 볼 노브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결합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볼 노브의 목부가 상기 볼 노브 브라켓의 개구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용위치에 있는 본체바가 비틀림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바가, 아래로 회전하여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바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비틀림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엔드부;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엔드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엔드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엔드부가 상기 본체바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본체바를 구비함으로써, 의류를 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고 의류를 운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를 밀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멘트 행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의 본체바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의 결합장치가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의 고정장치가 컨테이너의 타측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엔드부가 엔드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바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체바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에 있을 때, 고정장치 및 킵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의 본체바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의 결합장치가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다량의 의류(2)를 개별 옷걸이(미도시)에 각각 건 상태로 컨테이너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본체바(10)와, 결합장치(20)와, 고정장치(30)와, 킵 홀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바(10)는, 상기 옷걸이(미도시)가 매달릴 수 있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과 타측벽(6)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내부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의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사각 단면의 튜브 부재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본체바(10)의 사각 단면의 단변의 길이는 컨테이너에 형성된 홈부(7)의 깊이보다 짧고, 상기 본체바(10)의 사각 단면의 장변의 길이는 컨테이너에 형성된 홈부(7)의 너비보다 짧다.
상기 본체바(10)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본체바(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멘트 스토퍼(11)가 용접되어 있다.
상기 본체바(10)의 일단부 상면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 측면에는 후술할 볼 스토퍼(34)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장치(20)는, 상기 본체바(10)의 일단부를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피봇 결합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서, 볼 노브(21)와, 볼 노브 브라켓(22)을 구비한다.
상기 볼 노브(21)는,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관절볼(211)과, 목부(212)와, 고정부(213)를 구비한다.
상기 관절볼(211)은, 구 형상의 볼(ball)로서,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에 피봇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목부(212)는, 상기 관절볼(2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213)와 관절볼(211)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양 측면은 서로 나란한 평면이며, 상면과 하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하면이 라운딩 처리된 장방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고정부(213)는, 상기 본체바(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내부공(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바(10)의 관통공(12)을 관통하는 볼 노브 스톱 스크류(215)가 상기 고정부(213)에 형성된 고정공(21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바(10)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은, 상기 관절볼(211)을 피봇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ㄴ' 자형 부재로서, 양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과 탑레일(8)의 하면에 각각 용접된다.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은, 소켓부(221)와, 개구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소켓부(221)는, 상기 관절볼(211)을 피봇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구형 관절볼(211)이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관절볼(211)이 모든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면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222)는,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의 하면에 걸쳐서 절개된 부분으로서, 상기 볼 노브(21)의 목부(212)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측면 개구부(222)는, 상기 볼 노브(21)의 목부(212)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바(10)가 사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목부(21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측면 개구부(222)는, 상기 본체바(10)가 사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목부(212)가 상기 본체바(10)의 축 방향으로 비틀림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너비와 모양을 가진다.
상기 개구부(222)는, 상기 본체바(10)가 상기 밀착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목부(212)의 원활한 회전이동이 가능한 너비와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22)는, 상기 본체바(10)가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이탈하여 45도 정도 아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바(10)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비틀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목부(212)의 자유로운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한 너비와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장치(30)는,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6)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엔드부(31)와, 스톱 볼트(32)와, 엔드 브라켓(33)과, 볼 스토퍼(34)를 구비한다.
상기 엔드부(31)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에 형성된 내부공(1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엔드부(31)의 타단부에는, 상기 엔드 브라켓(33) 위에 올려지게 되는 지지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부(31)의 일단부 하면에는 상기 스톱 볼트(32)가 결합되는 나사공(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엔드부(31)의 일측면에는, 상기 볼 스토퍼(34)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인 노치부(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부(31)의 일단부 측면에는 상기 볼 스토퍼(34)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3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 볼트(32)는, 상기 돌출위치에 있는 엔드부(31)를 상기 본체바(10)에 고정하는 나사로서, 상기 본체바(10)의 가이드공(14)을 관통하여 상기 엔드부(31)의 나사공(31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 볼트(32)는, 상기 엔드부(31)가 상기 본체바(1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엔드 브라켓(33)은, 상기 엔드부(31)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U'자 형 부재로서, 상면은 상기 탑레일(8)의 하면에 용접되고, 일측면은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6)에 용접된다. 이 엔드 브라켓(33)은, 지지면(331)과, 측면부(33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면(331)은, 상기 엔드부(31)의 지지부(311)를 받쳐서 지지하는 수평부이며, 상기 측면부(332)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면(331)의 양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부분이다.
상기 볼 스토퍼(34)는, 상기 엔드부(31)의 걸림턱(314)에 걸릴 수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바(10)의 장착공(15)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바(10)의 내부공(13)으로 돌출되는 볼(ball) 부재로서, 상기 장착공(15)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볼 스토퍼(34)는, 상기 엔드부(31)가 상기 본체바(1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킵 홀더(40)는, 상기 본체바(10)가 밀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평판형 부재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형성된 홈부(7) 하단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용접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의류(2)를 상기 본체바(10)에 걸어 수납하기 위해서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바(10)를 사용위치에 이동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부(31)를 돌출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엔드부(31)의 지지부(311)가 상기 엔드 브라켓(33)의 지지면(331) 위에 올려져 지지되도록 한다. 그후, 상기 엔드부(31)가 상기 본체바(1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톱 볼트(32)를 단단히 조인다.
그 후, 상기 본체바(10)에, 복 수개의 매듭(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프(3)를 여러 개 묶어서 늘어뜨린 후, 상기 로프(3)의 매듭마다 의류(2)가 걸린 개별 옷걸이(미도시)를 걸면 의류(2)의 수납이 완료된다.
한편, 의류(2)를 수납하는 용도로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바(10)를 밀착위치로 이동시켜서 고정하게 되는데, 먼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 볼트(32)를 풀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부(31)를 수납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본체바(10)를 사용위치로부터 아래로 약 45도 정도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본체바(10)를 축 방향으로 90도 비틀어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밀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 아래로 회전시킨다.
상기 본체바(10)를 밀착위치 근처로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본체바(10)를 살짝 들어올린 후,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 및 엔드부(31)를 상기 킵 홀더(40)와 홈부(7) 사이의 공간에 삽입시킨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상기 관절볼(211)이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의 소켓부(221)로부터 이탈하여 살짝 들어 올려졌다가 다시 내려오게 된다.
한편, 상기 킵 홀더(40)와 홈부(7)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엔드부(31)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킵 홀더(40)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본체바(10)가 상기 일측벽(5)에 밀착된 밀착위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과 타측벽(6)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본체바(10)와,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6)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3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의류(2)를 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10)를 사용위치로 이동시켜 고정하고 의류(2)를 운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바(10)를 밀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형성된 홈부(7) 하단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용접된 킵 홀더(4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바(10)가 상기 밀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7)에 삽입된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운송 중에 컨테이너가 흔들리더라도 상기 본체바(10)는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하면이 라운딩 처리된 장방형 단면을 가진 목부(212)를 구비한 볼 노브(21)와, 상기 본체바(10)가 사용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목부(212)가 삽입되어 상기 본체바(10)의 축 방향으로 비틀림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기 개구부(2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바(1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비틀림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바(10)가 안정적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과 타측벽(6)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기 본체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본체바(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멘트 스토퍼(11)가 용접되어 있으므로, 운송 중에 컨테이너가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상기 옷걸이가 매달린 로프(3)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옷걸이에 걸린 의류(2)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운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구형 관절볼(211)을 구비한 볼 노브(21)와 소켓부(221)를 구비한 볼 노브 브라켓(22)을 포함하는 결합장치(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바(10)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피봇 결합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이, 사용위치와 밀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목부(212)의 원활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절개된 개구부(222)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바(10)가 상기 밀착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이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기 볼 노브 브라켓(22)이, 상기 본체바(10)가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이탈하여 45도 정도 아래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목부(212)의 자유로운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절개된 개구부(222)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바(10)를 축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바(10)가 밀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일측벽(5)의 홈부(7)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기 엔드부(31)가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본체바(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바(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폭을 가진 컨테이너에서도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6)에 마련된 볼 노브 브라켓(22)에 상기 엔드부(31)를 결합시키기 용이하며, 상기 본체바(10)를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5)에 마련된 킵 홀더(40)에 수납하기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기 돌출위치에 있는 엔드부(31)를 상기 본체바(10)에 고정하는 나사인 스톱 볼트(3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엔드부(31)가 상기 엔드 브라켓(33)에 지지된 상태에서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톱 볼트(32)가 상기 나사공(313)에 결합되어 있는 한 상기 엔드부(31)가 상기 본체바(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스톱 볼트(32)가 상기 엔드부(31)에 대한 1차적인 이탈방지장치로서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100)는, 상기 엔드부(31)의 걸림턱(314)에 걸릴 수 있는 볼 스토퍼(3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톱 볼트(32)가 상기 나사공(313)으로부터 빠져서 분실되더라도, 상기 엔드부(31)가 상기 본체바(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볼 스토퍼(34)가 상기 엔드부(31)에 대한 2차적인 이탈방지장치로서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바(10)가 1개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바(10)를 복수 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10 : 본체바
11 : 가멘트 스토퍼 12 : 관통공
13 : 내부공 14 : 가이드공
15 : 장착공 20 : 결합장치
21 : 볼 노브 22 : 볼 노브 브라켓
211 : 관절볼 212 : 목부
213 : 고정부 214 : 고정공
215 : 볼 노브 스톱 스크류 221 : 소켓부
222 : 개구부 30 : 고정장치
31 : 엔드부 32 : 스톱 볼트
33 : 엔드 브라켓 34 : 볼 스토퍼
311 : 지지부 312 : 노치부
313 : 나사공 314 : 걸림턱
331 : 지지면 332 : 측면부
40 : 킵 홀더 1 : 종래의 가멘트 행어
2 : 의류 3 : 로프
5 : 일측벽 6 : 타측벽
7 : 홈부 8 : 탑레일

Claims (8)

  1. 다량의 의류를 개별 옷걸이에 각각 건 상태로 컨테이너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되는 가멘트 행어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가 매달릴 수 있는 기다란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밀착위치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본체바;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를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는, 상기 밀착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가 밀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킵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는, 일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피봇 결합됨으로써 회전가능하게 되며,
    상기 피봇 결합은,
    상기 본체바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구 형상의 관절볼과, 상기 관절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 관절볼을 연결하는 목부를 구비한 볼 노브;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관절볼을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켓부와, 상기 본체바가 상기 밀착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절개된 개구부를 가진 볼 노브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결합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볼 노브의 목부가 상기 볼 노브 브라켓의 개구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사용위치에 있는 본체바가 비틀림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바가, 아래로 회전하여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바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비틀림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바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엔드부;
    상기 컨테이너의 타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엔드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엔드 브라켓;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엔드부가 상기 본체바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KR1020100104190A 2010-10-25 2010-10-25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KR10121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90A KR101213686B1 (ko) 2010-10-25 2010-10-25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90A KR101213686B1 (ko) 2010-10-25 2010-10-25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482A true KR20120042482A (ko) 2012-05-03
KR101213686B1 KR101213686B1 (ko) 2012-12-18

Family

ID=4626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190A KR101213686B1 (ko) 2010-10-25 2010-10-25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308A (zh) * 2015-12-09 2016-02-17 新昌县森尼雅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卫浴挂衣杆
KR102211223B1 (ko) * 2020-10-27 2021-02-02 이병열 의류 수납용 컨테이너 박스 및 의류 판매 사원의 긍정적 사고방식 마케팅 교육을 위한 역량 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류 매장 시스템
KR20210002009U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퍼시스 의류용 행어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632B1 (ko) 2002-08-27 2005-03-08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컨테이너 적재용 의류 수납 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308A (zh) * 2015-12-09 2016-02-17 新昌县森尼雅卫浴洁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卫浴挂衣杆
KR20210002009U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퍼시스 의류용 행어 어셈블리
KR102211223B1 (ko) * 2020-10-27 2021-02-02 이병열 의류 수납용 컨테이너 박스 및 의류 판매 사원의 긍정적 사고방식 마케팅 교육을 위한 역량 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류 매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686B1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686B1 (ko)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JP2007131394A (ja) 容器の搬送用吊り具
US6829836B1 (en)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with line level
CN212799363U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吊杆
US6520349B2 (en) Garment hanger caddy
KR20190086980A (ko) 수로관 운반용 클램프
US7350737B2 (en) Adjustable lead, cord, rope or sheet storage device
US20070017941A1 (en) Garment hanger
KR102416910B1 (ko) 수납 선반
JP7217697B2 (ja) 係止装置及びその鉤受け部材
JP2007312610A (ja) 鳥害防止具
CN209721250U (zh) 旋转式水管架
KR101340097B1 (ko) 중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장치
KR200497514Y1 (ko)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JP5368024B2 (ja) ハンガー
KR200233096Y1 (ko) 크레인용 훅의 스토퍼 구조
JP3197861U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KR200445483Y1 (ko) 호스 정리 장치
KR102653912B1 (ko) 밀폐공간 작업 및 구조용 클램프
CN208199297U (zh) 干燥剂悬挂装置
JP2989808B1 (ja) パイプ結束器
KR20130020382A (ko) 볼라드 권양용 지그
US11008194B1 (en) Portable rack for holding coils of windable material
JP3033703U (ja) ローラかんぬき形制鎖器
CN106219331A (zh) 便携式接地线收纳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