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14Y1 -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 Google Patents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14Y1
KR200497514Y1 KR2020220000379U KR20220000379U KR200497514Y1 KR 200497514 Y1 KR200497514 Y1 KR 200497514Y1 KR 2020220000379 U KR2020220000379 U KR 2020220000379U KR 20220000379 U KR20220000379 U KR 20220000379U KR 200497514 Y1 KR200497514 Y1 KR 200497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d
cable
rod
roller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655U (ko
Inventor
이은상
Original Assignee
이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상 filed Critical 이은상
Priority to KR2020220000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14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가 개시된다. 개시된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결합설치되는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가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고정로드를 따라 위치이동하여 케이블의 안내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고정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양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좌우 위치이동을 차단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rod type roller device for cable transfer}
본 고안은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고정설치되어 케이블 포설시 이송중인 케이블을 안내해 케이블의 이송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장 등의 산업체와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을 위해 수많은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선되며, 이러한 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배선 작업시 케이블의 포설, 또는 이송 작업을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별도로 시공한 후 케이블의 배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7044호는 케이블트레이의 크로스빔 사이에서 좌우측 사이드레일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수평하게 위치되는 롤러브래킷에 양단에 설치된 수직판에 롤러축의 양단을 지지하고, 롤러브래킷과 측면에서 중첩되는 케이블트레이의 좌우측 사이드레일 하단부에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를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서 행거핀을 설치하고, 행거핀에 걸리는 반원걸림턱을 갖는 로커암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릴리즈핸들이 형성된 행거를 힌지핀과 멈춤링에 의해 롤러브래킷의 양단에 설치된 중공축에 힌지결합하며, 엔드플레이트사이에 복수의 회전링이 개재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케이블받침롤러를 롤러축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포설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의 경우, 케이블트레이 포설장치의 결합을 위해 케이블트레이에 절개부를 가공해야만 하고, 행거, 케이블받침롤러, 엔드플레이트 등의 구성을 각각 별도로 결합하여 케이블트레이에 장착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고, 견고하게 결합시키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분리하기가 복잡하여 오히려 케이블 포설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케이블트레이의 폭 규격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는 여러 대의 케이블 테레이 포설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등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복수의 케이블받침롤러가 롤러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포설 케이블의 수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케이블받침롤러도 구성되어 있어 제품가격만 상승시키고 복수의 케이블받침롤러의 일부에서 고장이 발생되면 전체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7044호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고정설치되고, 케이블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케이블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위치조정가능하여 케이블의 포설위치를 쉽게 설정하여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의 다양한 폭에도 쉽고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호환성이 향상된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결합설치되는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가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고정로드를 따라 위치이동하여 케이블의 안내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고정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양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좌우 위치이동을 차단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로드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로드가 통과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양측부에 베이링 삽입홈이 구성되어 상기 베이링 삽입홈에 삽입된 볼베어링에 상기 고정로드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로드에 대해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각각은 상기 고정로드가 통과가능하도록 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에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볼트결합홀이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각각은 상기 볼트결합홀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가압고정하여 스토퍼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말단이 면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상기 고정로드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상기 고정로드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평면형상의 위치고정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단 각각에 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측면 장착수단; 및,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바닥 장착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는 고정로드가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케이블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고정로드에 위치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다양한 폭 사이즈에 대해서도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호환성이 좋고, 포설되는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의 폭방향 상에 용이하게 위치설정하여 포설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케이블의 포설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폭이 서로 다른 케이블 트레이에도 매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견고하게 케이블트레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설치 및 분리성이 매우 향상될 뿐 아니라,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양측 스토퍼를 한꺼번에 이송하면서 가이드롤러도 함께 위치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이드롤러에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안내되게 할 때, 각각의 케이블이 분리된 상태로 이송 안내되게 하여 포설시 케이블들의 엉킴없이 케이블들이 나란히 정렬되면서 포설이 이루어질 수 있어, 포설한 다음 각각의 케이블들을 별도로 분리하여 정렬시켜주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져 전체적인 케이블 포설 시간을 추가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를 나타낸 설치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토퍼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 장착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바닥 장착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케이블 분리수단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100)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100)는 고정로드(110), 가이드롤러(120), 한 쌍의 스토퍼(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로드(110)는 케이블 트레이(10)의 양측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도록 고정설치되어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100)를 케이블 트레이(100)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원형 봉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로드(110)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1)의 폭 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도면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110)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110)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로드(110)는 양단부(112)를 케이블 타이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측면 프레임(11)에 묶어서 고정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20)는 관통부(122)가 형성된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로드(110)가 관통되게 설치되어 고정로드(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케이블 포설시 이송되는 케이블이 가이드롤러(120)에 안내되어 케이블이 직접적으로 케이블트레이(10)에 접촉되지 않고 손상없이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한다.
가이드롤러(120)의 양측부에는 각각 베어링삽입홈(125)이 구성되고, 이 베이렁삽입홈(125)에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베어링(126)이 삽입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로드(110)는 양측 베어링(126)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며, 베어링(126)에 의해 가이드롤러(120)가 고정로드(11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롤러(120)는 고정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송되는 케이블의 이송위치를 쉽게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스토퍼(130)는 중공부(131)를 구비한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로드(110)가 관통되고, 고정로드(110)를 따라 위치이동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가이드롤러(120)의 양측단에 위치고정하여 가이드롤러(120)가 고정로드(110)를 따라 좌우 위치이동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켜 주도록 해준다.
스토퍼(130)는 일측부에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결합홀(134)이 구성되고, 이 볼트결합홀(125)에 나사체결되는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35)를 구비한다.
결합부재(135)를 조여줌으로써 결합부재(135)의 말단이 고정로드(110)의 외면을 가압하여 스토퍼(1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고정로드(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평면형상의 위치고정면(1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35)를 조여줄 경우, 결합부재(135)의 말단이 위치고정면(114)에 면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토퍼(130)가 결합로드(110)에 회전되지 않게 되고, 결합부재(135)의 말단과 결합로드(110)의 위치고정면(114)의 마찰면적이 높아져 스토퍼(130)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더욱 움직이지 않게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치고정면(114)에는 결합부재(135)의 말단이 위치고정면(114)에 밀착가압된 상태에서, 결합부재(135)가 위치고정면(114)을 따라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각각의 스토퍼(130)의 측단에는 밀착단(132)이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이 밀착단(132)이 베어링(126)의 내측 베어링회전부(126a)에 밀착되도록 스토퍼(130)를 위치고정함으로써, 가이드롤러(120)가 고정로드(12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고 고정로드(120)의 좌우이동은 스토퍼(130)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롤러(120)가 고정로드(120)의 길이구간에서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되면서 이송 케이블을 안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100)는 케이블 트레이(10)의 양측 측면프레임(11)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고정로드(110)에 대해 가이드롤러(120)가 좌우 위치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포설시 케이블 트레이(10)의 폭 방향 상의 케이블 이송위치를 쉽게 조정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케이블 이송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의 곡선구간에 설치되어 곡선구간에 이송되는 케이블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케이블 트레이(10)의 직선 구간 등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서는 고정로드(110)를 케이블트레이의 측면프레임(11) 상단에 배치하고, 측면프레임(11)과 고정로드(110)를 케이블 타이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묶어서 결합시키는 형태였으나, 제 2 실시 예에서는 고정로드(110)를 케이블트레이(10)에 보다 쉽고 간단하면서도 강하게 결합장착시킬 수 있도록 측면 장착수단(150)과 바닥 장착수단(160)이 더 구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 예와 차이가 있는 측면 장착수단(150)과 바닥 장착 수단(160)의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측면 장착수단(150)은 고정로드(110)의 양 단부(112)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프레임(11)의 상단에 형성된 절곡부(12)에 고정로드(110)를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측면 장착수단(150)은 좌우레일(151), 좌우이동캡(152), 제1이탈방지핀(153), 제1탄성부재(154), 끼움고정부재(1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좌우레일(151)은 고정로드(110)의 단부(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좌우 이동캡(152)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며 좌우 이동길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좌우 이동캡(152)은 일측이 개방된 수평배치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로드(110)의 단부(112)가 삽입되어 단부(112)를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이탈방지핀(153)은 좌우 이동캡(152)의 측부에 관통되도록 고정설치되어 내측단이 좌우 이동캡(152)의 내부로 돌출되고 좌우 레일(1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1이탈방지핀(153)은 좌우 이동캡(152)이 좌우 레일(151)을 따라 좌우 이동되게 하고, 고정로드(110)가 좌우 이동캡(152)에 최대로 인입된 상태에서 좌우 레일(151)의 내측단에 걸려 그 이상의 인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 고정로드(110)가 좌우 이동캡(152)에서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좌우 레일(151)의 외측단에 걸려 그 이상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제1탄성부재(154)은 좌우 이동캡(152)의 내부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캡(152)이 고정로드(110)에 대해 외력에 의해 축소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신장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끼움고정부재(155)는 좌우 이동캡(152)의 측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외측단에는 측면프레임(11)의 상단 절곡부(12)가 끼움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끼움홈부(156)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끼움고정부재(155)의 내측단에는 나사부(155a)가 구성되어 좌우 이동캡(152)의 외측단에 형성된 나사홈(152a)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고정로드(110)의 양측단에 각각 측면 장착수단(150)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양측의 좌우 이동캡(152)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밀어준 상태에서, 양측의 측면 프레임(11) 사이로 집어넣어준 다음, 외력을 제거하면, 제1탄성부재(154)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의 좌우 이동캡(152)이 고정로드(110)에 대해 신장하면서 양측의 끼움홈부(156)에 측면 프레임(11)의 상단 절곡부(12)가 끼움결합되고, 좌우 이동캡(152)과 함께 끼움고정부재(155)가 상단절곡부(12) 측으로 가압됨으로써 고정로드(110)가 양측의 측면프레임(11)의 상단 절곡부(12)에 고정장착될 수 있다.
바닥 장착수단(160)은, 회전부(161), 상하 지지바(162), 상하 이동캡(163), 제2이탈방지핀(164), 제2탄성부재(165), 후크부재(16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부(161)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로드(110)가 관통되어 고정로드(110)를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하 지지바(162)는 상단이 회전부(161)에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레일(162a)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하 이동캡(163)은 상부가 개방된 수직배치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며 상하 지지바(162)가 삽입되어 상하 지지바(162)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이탈방지핀(164)은 상하 이동캡(163)의 측부에 관통되도록 고정설치되어 내측단이 상하 이동캡(163)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하 레일(162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2이탈방지핀(164)은 상하 이동캡(163)이 상하 레일(162a)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하지지바(162)가 상하 이동캡(163)에 최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하 레일(162a)의 상단에 걸려 그 이상의 인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 상하 지지바(162)가 상하 이동캡(163)에서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레일(162a)의 하단에 걸려 그 이상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제2탄성부재(165)은 상하 이동캡(16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캡(163)이 상하 지지바(162)에 대해 외력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서 원 상태로 축소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후크부재(166)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 프레임(14)을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하 이동캡(163)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후크부재(166)에는 상단에 나사부(166a)가 구성되어 상하 이동캡(163)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홈(163a)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크부재(166)의 저면에는 후크부재(166)가 바닥 프레임(141)에 걸렸을 때, 바닥프레임(141)과 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실리콘 패드로 이루어진 밀착패드(167)가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고정로드(110)의 양측부에 각각 바닥 장착수단(150)이 구성되는 것이며, 바닥 장착수단(150)은 회전부(161)가 고정로드(110)를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므로 고정로드(110) 상에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하 이동캡(163)이 사하 지지바(162)에서 하부로 잡아 당겨 신장시킨 상태에서, 후크부재(166)를 바닥프레임(14)에 걸어준 다음 외력을 제거하면 제2탄성부재(165)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캡(163)가 상방으로 축소되어 후크부재(166)가 바닥프레임(14)을 당겨주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고정로드(110)가 바닥 프레임(11)에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한 쌍의 측면 장착수단(150)이 케이블 트레이(10)의 양측 측면 프레임(11)에 고정장착하고, 한 쌍의 바닥 장착수단(160)이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 프레임(14)에 고정장착하는 방식으로, 고정로드(110)를 케이블 트레이(10)에 장착시킬 수 있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는 제 2 실시 예에 비해 양측의 스토퍼(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롤러(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연결수단(17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연결수단(170)은 "ㄷ"자 형상을 갖는 연결프레임(171)으로 구성되어 양측의 스토퍼(130)를 연결하면서 가이드롤러(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양측의 스토퍼(130)를 한 꺼번에 고정로드(110) 상에서 좌우 이동시킬 수 있고 가이드롤러(120)에 의해 안내되는 이송 케이블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가이드롤러(1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연결수단(170)은 일측의 스토퍼(130)에 힌지부(172)가 고정설치되고, 연결프레임(171)의 일측단은 힌지부(1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연결프레임(171)의 타측단에는 걸림고리(174)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수단(170)은 타측의 스토퍼(130')에 걸림홈(175a)이 형성된 고정블록(175)이 결합구성되고, 연결프레임(171)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74)가 걸림홈(175a)에 삽입되어 타측의 스토퍼(13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연결수단(170)은 도 7의 점선과 같이 연결프레임(171)이 힌지부(172)에 대해 회전하여 가이드롤러(120)의 외측을 개방시키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설시 이송을 위한 케이블을 연결프레임(171)과 가이드롤러(120)의 사이공간을 넣어 가이드롤러(120) 상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가이드롤러(120) 상에 케이블을 배치되게 한 다음, 도 7의 실선과 같이 연결프레임(171)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74)를 고정블럭(175)의 걸림홈(175a)에 스냅결합방식으로 결합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프레임(171)이 양측의 스토퍼(130,130')에 연결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양측의 스토퍼(130,130') 각각의 결합부재(135)를 풀어준 다음, 연결프레임(171)을 잡고 고정로드(1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양측의 스토퍼(130,130')가 간격을 유지한채로 한꺼번에 이동될 수 있고, 이와 함께 가이드롤러(120)도 함께 위치이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양측의 스토퍼(130,130') 및 가이드롤러(120)를 고정로드(110) 상에서 위치이동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결합부재(135)를 조여 줌으로써, 가이드롤러(120)의 배치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실시 예는 제 3 실시 예에 비해 가이드롤러(120)에 이송안내되는 케이블의 복수일 경우, 여러 가닥의 케이블의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분리된 상태로 이송 안내가 이루어지게 하는 케이블 분리수단(18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분리수단(180)은 연결프레임(171)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각각의 케이블 분리수단(180)은 연결프레임(171)을 따라 위치조정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케이블 분리수단(18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연결프레임(171)이 관통설치되어 케이블분리수단(180)이 연결프레임(171)을 따라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하는 결합링(181)과, 이 결합링(18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설치되며 하단부에 핀결합홈(183a)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핀결합부재(183)와, 이 핀결합부재(183)에 끼움결합되며 말단부가 가이드롤러(1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롤러(120)에 의해 안내되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 중 이웃하는 두 케이블을 서로 분리시키는 케이블 분리핀(185)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 분리수단(180)을 연결프레임(171)에 간격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롤러(120)에 안내되어 이송되는 케이블(c)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이송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c)들끼리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인 포설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고정로드
114...위치고정면
120...가이드롤러
122...관통부
125...베어링 삽입홈
126...베어링
130,130'...스토퍼
131...중공부
132...밀착단
134...볼트결합홀
135...결합부재
150...측면 장착수단
151...좌우 레일
152...좌우 이동캡
153...제1이탈방지핀
154...제1탄성부재
155...끼움고정부재
156...끼움홈부
160...바닥장착수단
161...회전부
162...상하지지바
163...상하이동캡
164...제2이탈방지핀
165...제2탄성부재
166...후크부재
167...밀착패드
170...연결수단
171...연결프레임
172...힌지부
174...걸림고리
175...고정블럭
180...케이블 분리수단
181...결합링
183...핀결합부재
185...케이블 분리핀

Claims (5)

  1.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결합설치되는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가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고정로드를 따라 위치이동하여 케이블의 안내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고정로드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롤러의 양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좌우 위치이동을 차단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관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로드가 통과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양측부에 베이링 삽입홈이 구성되어 상기 베이링 삽입홈에 삽입된 볼베어링에 상기 고정로드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로드에 대해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각각은 상기 고정로드가 통과가능하도록 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에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볼트결합홀이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토퍼 각각은 상기 볼트결합홀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가압고정하여 스토퍼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재의 말단이 면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상기 고정로드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상기 고정로드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평면형상의 위치고정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단 각각에 측방으로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의 양측 측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측면 장착수단; 및,
    상기 고정로드의 양측부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로드를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바닥 장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KR2020220000379U 2022-02-07 2022-02-07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KR200497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79U KR200497514Y1 (ko) 2022-02-07 2022-02-07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79U KR200497514Y1 (ko) 2022-02-07 2022-02-07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55U KR20230001655U (ko) 2023-08-16
KR200497514Y1 true KR200497514Y1 (ko) 2023-11-30

Family

ID=8779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79U KR200497514Y1 (ko) 2022-02-07 2022-02-07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1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5B1 (ko) 2006-12-06 2007-02-22 동남정공(주) 케이블 트레이를 위한 케이블 설치기구
KR200492843Y1 (ko) 2020-06-05 2020-12-18 이은상 케이블 이송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044B1 (ko) 2011-10-25 2011-11-2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포설장치
KR20140002497U (ko) * 2012-10-19 2014-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가이드
KR200483981Y1 (ko) * 2013-03-25 2017-07-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변 휴대용 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5B1 (ko) 2006-12-06 2007-02-22 동남정공(주) 케이블 트레이를 위한 케이블 설치기구
KR200492843Y1 (ko) 2020-06-05 2020-12-18 이은상 케이블 이송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55U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975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곡선지지장치
EP2955804B1 (en) Mounting assembly for attaching a product to a cable tray
KR200497514Y1 (ko) 케이블 이송용 봉롤러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JP6308490B2 (ja) 鳥害防止具
KR20170092835A (ko) 수납 시스템
KR100312204B1 (ko) 케이블 당김구
KR20070073024A (ko) 케이블베어 처짐 방지 장치
KR101213686B1 (ko) 컨테이너용 가멘트 행어.
KR101311429B1 (ko) 케이블 행거
KR101497323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40002497U (ko) 케이블가이드
KR20090047791A (ko) 다도체용 콘덕터 훅
JPH034097Y2 (ko)
JP6446746B1 (ja) 架線敷設装置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KR102608060B1 (ko) 케이블 트레이 설치용 케이블 가이드 장치
JP2001028816A (ja) 単心電力ケーブル3条一括布設用曲がり部ガイド装置
CN216767448U (zh) 一种风机安装组件
KR101348175B1 (ko) 사이드 롤러를 구성한 배선용 케이블 트레이
CN219429477U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竖直吊装设备
AU2018202314B2 (en) A cable suspension
KR200369448Y1 (ko) 빨래 건조대의 빨래걸이봉 지지대
KR102253882B1 (ko)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KR200408951Y1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