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323B1 - 케이블 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323B1
KR101497323B1 KR20130106963A KR20130106963A KR101497323B1 KR 101497323 B1 KR101497323 B1 KR 101497323B1 KR 20130106963 A KR20130106963 A KR 20130106963A KR 20130106963 A KR20130106963 A KR 20130106963A KR 101497323 B1 KR101497323 B1 KR 10149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variable arm
cable
arm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림
고재천
김대영
김재우
박상은
손정희
오태권
박순욱
백승철
송준선
안유진
유정석
이해영
지창열
홍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65G9/008Rails or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lines, e.g. needles, rod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부재와 종방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로서,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몸체부에 연결되고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암, 가변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 및 몸체부에 연결되고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고, 가변암은 몸체부와 연결되는 가변암 고정부와 가변암 고정부에 지지되어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가변암 가변부와 가변암 가변부에 연결되고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는 가변암 걸이부를 포함하고, 높이 조절부는 가변암 고정부와 연결되는 캠부재를 포함하며, 가변암 가변부가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신장하는 경우에는 캠부재가 회전하여 가변암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가변암 걸이부가 횡방향 부재에 방해 받지 않고 전진할 수 있도록 하고,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횡방향 부재를 지나간 후에는 캠부재가 더 회전하여 가변암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횡방향 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하고,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횡방향 부재에 걸린 상태로 가변암이 수축하여 몸체부를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 장치{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의 신축 시에는 전기 공급이 필요한 위치마다 전선 케이블(이하 '케이블' 이라 함)이 연결되도록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또는 전로)가 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이다. 케이블 트레이 상에는 수 개의 케이블이 다발 상태로 포설된다.
선박의 경우에도 전원 공급 또는 장치간 연결을 위해 수많은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 상에 포설된다.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 시 내, 외부 곳곳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작업과 케이블 트레이에 다수의 케이블을 포설(Laying)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이 때 케이블 트레이는 다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에 포설되는 케이블은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선종에 따라서는 수십만 미터 이상 케이블이 포설되기도 하며, 그 무게만 해도 수만톤이 넘을 수 있다.
이처럼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종래의 케이블 포설 방법은 케이블을 포설하기 전에 케이블의 일단에 로프를 연결하고, 케이블 트레이 상에서 로프를 윈치(Winch)에 까지 이동한 후, 윈치를 이용하여 로프를 감아들여 간접적으로 로프와 연결된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로프를 윈치에 연결하는 과정이라는 별도의 작업 공정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윈치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에 허용범위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거나 케이블 트레이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푸셔(Push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푸셔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윈치와 푸셔에 불구하고 큰 힘을 요구하는 구역 또는 이러한 장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협소 공간에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케이블 포설은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협소 공간 또는 케이블 트레이가 다단으로 설치되는 구역 등에서는 수작업을 통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9068호(2011. 02. 2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손쉽게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케이블을 포설하기 전에 로프를 연결하던 작업을 삭제하여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동화 장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변암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하지 않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부재와 상기 종방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로서,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암; 상기 가변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가변암 고정부와, 상기 가변암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가변암 가변부와, 상기 가변암 가변부에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는 가변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가변암 고정부와 연결되는 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암 가변부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신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캠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가변암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에 방해 받지 않고 전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상기 횡방향 부재를 지나간 후에는 상기 캠부재가 더 회전하여 상기 가변암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상기 횡방향 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상기 횡방향 부재에 걸린 상태로 상기 가변암이 수축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롤러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와 상기 종방향 부재의 상부 절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는 너비가 상이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가변부는 상기 측부 가이드 롤러가 상기 종방향 부재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가변암 가변부 또는 가변암 걸이부와 상기 캠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변암 가변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캠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암은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암은 복수로 마련되고,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2군의 가변암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변암 중에서 일 군의 가변암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다른 군의 가변암보다 상기 횡방향 부재 사이의 거리만큼 전진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암은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암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길이가 가변되는 동안에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경사진 상기 횡방향 부재에 대응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윈치로 로프를 당기지 않고서도 동력에 의해 케이블을 견인하여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협소 구간 등에서도 손쉽게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케이블을 당김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캠부재를 이용하여 가변암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변암이 신장할 때 렁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 6은 가변암이 렁을 지나간 모습을, 도 7은 가변암이 렁을 건 모습을, 도 8은 케이블 포설 장치가 당겨진 모습을, 도 9는 가변암이 신장되면서 캠부재가 시작 위치로 돌아오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곡부에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견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는 일 군의 가변암이 렁에 걸린 모습을, 도 16은 타 군의 가변암이 렁에 걸린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부재(11)와 종방향 부재(11)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12)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10)(Cable Tray)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0)는 케이블(C)이 포설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방향 부재인 측면 레일(11)과 횡방향 부재인 렁(Rung, 12)을 포함한다. 측면 레일(11)은 상·하로 절곡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상부에 절곡된 부분은 상부 절곡부(11-1), 하부에 절곡된 부분을 하부 절곡부(11-2)라 한다. 측면 레일(11)은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C)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렁(12)은 측면 레일(11)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어 케이블(C)이 포설되는 가상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렁(12)에는 케이블(C)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한 롤러(Roller, 미도시)를 설치하거나, 케이블(C)을 묶음 단위로 묶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미도시) 등을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0)는 곡선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장애물 등을 피해 케이블(C)을 설치하기 위해 상부나 하부로 구부러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층의 케이블 트레이(10)가 배치되어 협소 공간에 많은 수의 케이블(C)을 포설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10)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와, 케이블 트레이(10)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암(120)과, 가변암(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150)와, 케이블(C)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케이블(C)을 견인한 채로 케이블 트레이(10) 상에서 케이블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C)을 포설한다. 몸체부(110)는 가변암(120)과 가이드부(130)와 견인부(140)를 지지할 수 있는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가이드부(130)를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부(130)는 몸체부(110)가 케이블의 포설 방향으로 케이블 트레이(1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 트레이(10)를 따라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도 3에는 몸체부(110)가 렁(12) 상부에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가이드부(130)가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렁(12)과 접촉하여 몸체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가이드부(130)의 일 실시예로 측면 레일(11)의 상부 절곡부(11-1)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131)와 측면 레일(11)의 외측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132)를 도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 레일(11)의 내측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우징(111)에 가이드부(130)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하우징(111) 내부의 고정된 부분(예를 들면, 뒤에서 설명할 가변암 고정부, 121)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케이블 트레이(10)의 너비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다양한 너비의 케이블 트레이(10)에 설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0)와 몸체부(11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가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가변부(133)는 삽입구조 또는 탄성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조는 분리된 두 부재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 나사결합 또는 핀결합 등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탄성구조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 롤러(131, 132)를 측면 레일(11)이나 렁(12)에 밀착하기 위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력의 방향은 측면 레일(11)과 가이드 롤러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가이드 롤러가 측면 레일(11)의 외측면에 이동하는 경우에는 길이 가변부(133)로 인장 스프링을 이용하여 본체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인장력에 대한 반발력)이 작용하고, 측면 레일(11)의 내측면에 이동하는 경우에는 길이 가변부(133)로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여 본체 반대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압축력에 대한 반발력)이 작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가변암(120)을 설명하도록 한다.
가변암(120)은 몸체부(110)와 연결되어 케이블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가변암(120)의 길이 가변 수단으로 실린더(Cylinder) 방식,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방식, 스크류와 너트(Screw and Nut)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링크(Link)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120)은 실린더 방식을 이용한다.
가변암(120)은 몸체부(110)와 연결되는 가변암 고정부(121), 가변암 고정부(121)에 지지되어 케이블 트레이(10)의 포설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가변암 가변부(122), 및 가변암 가변부(1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변암 걸이부(123,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120)은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 방식을 이용하므로, 가변암 고정부(121)는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을, 가변암 가변부(122)는 플런저(Plunger) 또는 피스톤(Piston)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1단의 실린더를 도시하였지만 가변되는 길이에 따라 2단 이상의 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높이 조절부(150)는 가변암 고정부(121)와 몸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가변암 고정부(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50)는 회전하는 캠(Cam) 일 수 있고, 회전하는 링크(link) 일 수 있으며, 길이가 가변 가능한 탄성체 또는 실린더(Cylinder) 등 일 수 있다.
높이 조절부(150)는 가변암 고정부(121)와 연결되고 축(121a)을 중심으로 가변암 고정부(121)를 회전시켜 가변암(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변암 고정부(121)의 회전축(121a)은 하우징(111)에 마련되는 축 지지부재(11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150)는 가변암 고정부(121)와 연결되는 캠부재(151)를 포함한다.
캠부재(151)는 가변암 고정부(121)와 연결되는 일 축(151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일 단이 하우징(111)이 지지되고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회전함에 따라 가변암 고정부(121)와 하우징(111) 사이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캠부재(151)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면과 상이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150)는 가변암 가변부(122) 또는 가변암 걸이부(123)와 캠부재(151) 사이에 연결되어 가변암 가변부(122)의 위치 변화에 따라 캠부재(151)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연결부재(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52)는 가변암 가변부(122)의 신장에 따라 인장력을 받으며, 이 인장력을 캠부재(151)에 전달하여 캠부재를(1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52)는 신축성(Flexible)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변암 가변부(122)의 가변 길이와 캠부재(151)의 회전 변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도 둘 사이의 힘을 매개할 수 있다.
연결부재(152)의 일 단은 가변암 가변부(122)에 마련되는 고정부재(152a)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 단은 캠부재(151)에 마련되는 고정부재(152b)에 연결될 수 있다. 가변암 가변부(122)가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연결부재(152)는 인장력을 받아 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며, 인장되는 데 사용된 힘을 제외한 힘을 캠부재(151)에 전달하여 캠부재(1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높이 조절부(150)는 캠부재(15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대 방향이란, 가변암 가변부(122)가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캠부재(151)가 회전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탄성부재(153)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일 축(151a)에 고정되고 일 단은 하우징(11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53a)에, 타 단은 캠부재(151)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53b)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캠부재(151)가 회전함에 따라 탄성부재(153)는 원위치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을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연결부재(152)에 의한 회전력이 저장된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캠부재(151)는 가변암 가변부(122)가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원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계속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연결부재(152)가 연결되는 고정부재(152b)와 탄성부재(153)가 지지되는 지지부재(153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별개의 부재로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설치된 모습을, 도 6은 가변암(120)이 렁(12)을 지나간 모습을, 도 7은 가변암(120)이 렁(12)을 건 모습을, 도 8은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당겨진 모습을, 도 9는 가변암(120)이 신장되면서 캠부재(151)가 시작 위치로 돌아오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가변암(120)은 일 방향, 즉 전진 방향으로 길이 신축이 가능하다. 또한, 가변암 걸이부(123)는 렁(12)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변암(120)이 케이블 트레이(10)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 신장한다면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가변암(120)이 신장되는 경우에는 가변암 걸이부(123)의 아랫 단부를 렁(12)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올려야 하여야 하며, 가변암(120)이 수축되는 경우에는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을 걸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내려야 한다.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가변암(120)의 길이 신축 움직임과 높이 조절부(150)의 가변암(120) 높이 조절 움직임이 연계적으로 동작하여 렁(12)을 당김으로써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가변암(120)이 신장할 때에는 렁(12)에 걸리지 않으면서도 수축할 때에는 렁(12)에 걸릴 수 있는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처음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며, 캠부재(151)에는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고, 가변암 고정부(121)의 높이는 낮은 상태이다. 가변암 가변부(122)가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재(152)를 통해 캠부재(151)에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도 6의 상태가 된다.
도 6은 가변암(120)이 당기고자 하는 렁(12)을 지나간 상태를 도시한다. 캠부재(151)가 회전함에 따라 가변암 고정부(121)가 캠부재(151)의 비대칭 형상에 의해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변암 고정부(121)의 회전에 따라 가변암(120)의 높이가 높아져 렁(12)에 간섭되지 않고 지나갈 수 있다. 도 6은 가변암(120)이 가장 높게 들어 올려진 상태이다.
도 7은 가변암(120)이 걸고자 목표하는 렁(12)을 건 모습을 나타낸다. 연결부재(152)의 인장력이 캠부재(151)를 더 회전시키면 가변암(120)의 높이는 낮아져서 렁(12)을 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을 건 상태에서는 가변암 걸이부(123)의 절곡된 부분(123a)이 렁(12)의 하단을 지지하게 되어 가변암(120)이 캠부재(151)의 역회전에 의해 다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도 5에서 도 7까지 진행하는 동안 토션(Torsion)이 작용하고, 이는 탄성력으로 저장되게 된다.
도 8은 가변암(120)이 수축하면서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당겨진 모습을 나타낸다. 가변암(120)이 수축함에 따라 연결부재(152)에 작용하는 장력은 줄어들고, 캠부재(151)는 탄성부재(153)에 의해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가변암 가변부(123)가 렁(12)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가변암(120)의 높이 변위는 발생하지 않고 가변암 고정부(121)와 연결된 캠부재(151) 역시 역회전을 할 수 없다.
도 9는 가변암(120)이 신장하면서 캠부재(151)가 시작 위치로 돌아온 모습을 나타낸다. 가변암 가변부(122)가 신장하여 렁(12)으로부터 이탈되면 캠부재(151)를 구속하고 있던 힘이 사라져, 캠부재(151)는 탄성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역회전 하게 된다. 따라서, 캠부재(151)는 연결부재(152)의 인장력을 받을 준비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도 9는 도 5와 같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9의 사이클(Cycle)을 반복하면서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10)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변암 걸이부(123)는 렁(12)에 걸리기 위해 가변암(120)에 대하여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ㄷ'자로 절곡된 형상을 도시하였지만 절곡된 각도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ㄷ'자로 절곡되는 경우 가변암 걸이부(123)에서 렁(12)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가변암 걸이부(123)의 두 절곡부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렁(12)이 삽입됨으로써 상, 하 방향으로 렁(12)이 이탈할 수 없게 된다. 'ㄷ'자 가변암 걸이부(123)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10)가 상향으로 경사진 경우(수직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를 포함)에도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변암 걸이부(123)의 내측에는 마찰부재(미도시)가 부착되어 렁(12)과 접촉할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는 2개의 가변암(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두 가변암(120)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2개의 가변암(120)이 전진하여 렁(12)에 걸린 후에 가변암(120)의 수축량만큼 포설 방향으로 전진하고, 다시 2개의 가변암(120)이 전진하여 렁(12)에 걸릴 때까지 휴지기를 갖게 된다. 이와 달리, 1개의 가변암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가변암(120)이 마련되는 경우 두 가변암(120)이 번갈아 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 즉, 1개의 가변암이 전진하여 렁(12)에 걸린 후에 가변암의 수축량만큼 포설 방향으로 전진하고, 이어서 다른 가변암이 전진할 수 있다. 이 때, 1개의 가변암이 수축하는 동안에 다른 가변암이 신장된다면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이동하지 않는 휴지기를 줄일 수 있어서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2개의 가변암(120)이 동시에 이동할 것인지, 교번적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가변암(120)이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 속도가 느린 반면에 큰 힘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블(C)이 무겁거나 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이 큰 경우에는 2개의 가변암(120)이 동시에 움직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 밖에 케이블(C)이 가볍거나 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이 작은 경우에는 2개의 가변암(120)이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변경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가변암(120)은 렁(12)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가 렁(12)을 인식한 경우에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걸릴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더 이상의 가변암(120)의 신장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거리만큼만 가변암(120)이 신장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의 사용으로 렁(12)과 렁(12) 사이의 거리가 다른 케이블 트레이(10)에 케이블 포설 장치(100)를 적용할 때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를 렁(12)과 렁(12)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와 비교하여 렁(12)과 렁(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센서는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를 고려하여 렁(12)의 개수를 셀 수 있다. 즉, 가변암(120)의 신장 길이가 3개의 렁(12)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경우에 센서는 2개의 렁(12)을 인식한 후 가변암 걸이부(123)가 렁(12)에 걸릴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에서도 이동 가능하다. 평면을 이동하던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가변암(120)은 케이블 트레이(10)에 수평 방향으로 일 방향 운동하기 때문에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에서는 다음 렁(12)에 가변암 걸이부(123)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130)가 측면 레일(11)에 지지되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10)로부터 이탈하지는 않는다.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에서는 센서가 다음 렁(12)을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오류로서 인식하고 발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에 오류를 알리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상향으로 굽은 케이블 트레이(10)뿐만 아니라 렁(12)의 설치가 오류나거나 장애물이 있는 케이블 트레이(10)에서도 발신부를 통해 외부에 오류를 알리는 신호를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1)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200)는 곡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10)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가변암(220)이 높이 변화를 위해 회전 축(221a)을 중심으로 몸체부(2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음은 앞에서 살핀 바와 같다. 이와 동시에 가변암(220)은 또 다른 회전축(212b)에 의해 몸체부(210)에 대하여 측면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가변암(220)의 회전을 위해 몸체부(210)와 가변암(220)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지지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도 10을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120)과 높이 조절부(150)가 하우징(111)에 결합 지지되었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220)과 높이 조절부(250)는 회전 지지판(212)에 결합된다. 회전 지지판(212)는 가변암(220)과 하우징(211) 사이에 개재되고 하우징(211)과 축(212b)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변암 고정부(221)는 회전 지지판(212)에 마련되는 회전축 지지부재(212a)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221a)과 축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탄성부재(253)는 회전 지지판(212)에 마련되는 지지부재(253a)와 캠부재(250)에 마련되는 지지부재(253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판(212)은 하우징(211)과 축(212b) 결합하여 케이블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하우징(211) 상의 회전 지지판(212)을 지지하면서도 둘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는 롤러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200)가 곡부에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케이블 트레이(10)의 곡부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12-1)과 렁(12-2) 사이의 간격이 케이블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상이하다. 즉, 곡률 중심에서 가까운 쪽(A)에서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간격이 가깝고, 곡률 중심에서 먼 쪽(B)에서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간격이 멀다. 또한, 렁(12-1)과 렁(12-2)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일정 각을 형성한 채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200)는 측면 레일(1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하기 때문에, 곡부에서도 케이블 트레이(1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이하 곡부에서의 동작 효율을 최대화 하기 위한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가변암(220-1, 220-2)은 각각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가 주는 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곡부에서는 각각의 가변암(220-1, 220-2)의 신장 방향에 있어서 다음 렁(12-2)까지의 거리가 상이하므로 다음 렁(12-2)에 가변암 걸이부(223)가 걸릴 때까지 가변암(220-1, 220-2)이 신장하는 거리가 상이하다. 즉, 각각의 센서가 렁(12-2)을 인식하여 독립적으로 가변암(220-1, 220-2)을 동작시키므로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포설 장치(200)는 곡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포설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가변암(2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곡부에서 가변암 걸이부(223)가 렁(12)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가변암(220)이 렁(12)의 각도에 맞도록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변암 고정부(221)는 몸체부(210)와 축(224)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 될 수 있다. 가변암(220)이 렁(12)의 각도에 맞도록 회전함으로써 가변암 걸이부(223)가 렁(12)에 밀착하여 파지되고, 렁(12)에 수직 방향으로 가변암(220)의 수축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동작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도 13은 견인부(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견인부(140)는 몸체부(110)와 연결되어 케이블(C)을 견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견인부(140)는 몸체부(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과 같이 별도의 장치로서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고로 설명하면, 견인부(140)는 케이블(C)에 밀착하여 빠지지 않도록 그립(Grip)하는 밀착부재(142)와, 다수의 케이블(C)을 다발로 포설하기 위하여 복수의 밀착부재(142)를 동시에 몸체부(110)에 연결할 수 있는 다발 견인부재(141)와, 견인부(14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재(142)는 속이 빈 메쉬(Mesh) 형상을 할 수 있다. 밀착부재(142)의 빈 공간에 케이블(C)을 삽입한 후 당기면, 밀착부재(142)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단면은 축소된다. 따라서 내입되어 있는 케이블(C)을 단단히 조일 수(Tighten) 있게 된다. 다발 견인부재(141)는 복수의 케이블(C)을 다발로 포설하기 위하여 밀착부재(142)와 연결되는 제1 연결고리(145)가 다수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고리(145)는 케이블 트레이(10)에 포설되기 쉽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밀착부재(142)에는 제1 연결고리(145)와 연결되기 위한 제2 연결고리(14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고리(145)와 제2 연결고리(146)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케이블(C)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발 견인부재(141)는 회전부재(143)를 매개하여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110)가 케이블 트레이(10)를 이동하면서 다발 견인부재(141)와 연결되는 부분에 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 회전부재(143)는 360도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다발 견인부재(141)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3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가변암(320)은 렁(12) 방향(케이블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변암(320)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2 그룹(321, 3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렁(12)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가변암(320)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가변암(321-1, 321-2)과 다른 그룹의 가변암(322)은 서로 번갈아 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변암(320) 중에서 일 군의 가변암(321-1, 321-2)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다른 군의 가변암(322)보다 렁(12) 사이의 거리만큼 전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군의 가변암(321-1, 321-2)에 의해 몸체부(21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만큼이다. 이 때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는 이웃하는 렁(12-1)과 렁(12-2) 사이의 거리일 수 있으며, 가변암(320)의 신장 길이에 따라 몇 개의 렁(12)을 건너 뛴 렁(12-1)과 렁(12-3) 사이의 거리일 수도 있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300)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는 일 군의 가변암(321)이 렁(12-1)에 걸린 모습을, 도 16은 타 군의 가변암(322)이 렁(12-2)에 걸린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일 군의 가변암(321)이 렁(12-1)에 걸린 채 수축하여 몸체부(310)가 전진한 후에는 다른 군의 가변암(322)이 렁(12-2)에 걸리거나 걸릴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케이블 포설 장치(300)의 이동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2개의 가변암(120)을 이용하였으나, 도 1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300)는 3개의 가변암(320)을 이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300)는 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가변암(321)과 중앙에 위치하는 가변암(322)이 서로 교번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 포설 장치(300)는 도 15와 같이 외곽에 위치하는 가변암(321)이 전진하여 렁(12-1)에 걸린 후에 가변암(321)의 수축량만큼 포설 방향으로 전진하고, 이어서 도 16과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가변암(322)이 전진할 수 있다. 이 때, 외곽에 위치하는 가변암(321)이 수축하는 동안에 중앙에 위치하는 가변암(322)이 전진한다면 케이블 포설 장치(300)가 이동하지 않는 휴지기를 줄일 수 있어서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개의 가변암(120)이 교번적으로 이동하는 것과 비교할 때, 3개의 가변암(320)을 이용하는 경우 가변암(320)이 수축하면서 몸체부(310)를 당기는 힘의 균형이 몸체부(310)의 중심에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은 가이드부(1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승 방향으로 케이블 트레이(10)가 놓인 경우에 극대화된다.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를 이동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의 모습을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300)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향으로 경사진 경우에는 케이블 포설 장치의 무게 때문에 떨어지려는 힘이 항상 작용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암(320)과 같이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가변암을 포함하고 'ㄷ'자 형상의 가변암 걸이부(323)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경사진 케이블 트레이를 이동할 수 있다. 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가변암(321)이 전진한 후 렁을 걸어서 몸체부(310)가 이동하는 동안에 몸체부(310)는 무게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앙에 위치하는 가변암(322)이 전진하는 동안에 케이블 포설 장치(300)가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트레이, 11: 측면 레일,
12: 렁, 100: 케이블 포설 장치,
110: 몸체부, 111: 하우징,
120: 가변암, 121: 가변암 고정부,
122: 가변암 가변부, 123: 가변암 걸이부,
130: 가이드부, 131: 상부 가이드 롤러,
132: 측부 가이드 롤러, 133: 길이 가변부,
140: 견인부, 141: 다발 견인부재,
142: 밀착부재, 143: 회전부재,
144: 견인부 연결고리, 145: 제1 연결고리,
146: 제2 연결고리, 150: 높이 조절부,
151: 캠부재, 152: 연결부재,
153: 탄성부재, 200: 케이블 포설 장치,
210: 몸체부, 212: 회전 지지판,
213: 회전 롤러, 220: 가변암,
250: 높이 조절부, 251: 캠부재,
252: 연결부재, 253: 탄성부재,
300: 케이블 포설 장치, 320: 가변암,

Claims (17)

  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종방향 부재와 상기 종방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로서,
    케이블 트레이 상을 이동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일 측에 상기 횡방향 부재를 걸 수 있도록 가변암 걸이부를 포함하는 가변암;
    상기 가변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가변암과 연결되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가변암 고정부와 상기 가변암 고정부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가변암 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암 걸이부는 상기 가변암 가변부에 연결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 가변부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신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캠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가변암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상기 횡방향 부재에 방해 받지 않고 전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상기 횡방향 부재를 지나간 후에는 상기 캠부재가 더 회전하여 상기 가변암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상기 횡방향 부재에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변암 걸이부가 목표하는 상기 횡방향 부재에 걸린 상태로 상기 가변암이 수축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포설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상기 몸체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가이드 롤러인 케이블 포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와 상기 종방향 부재의 상부 절곡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는 너비가 상이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종방향 부재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측부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가변부는 상기 측부 가이드 롤러가 상기 종방향 부재에 밀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가변암 가변부 또는 가변암 걸이부와 상기 캠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가변암 가변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케이블 포설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캠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은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길이 가변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은 복수로 마련되고,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2군의 가변암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변암 중에서 일 군의 가변암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다른 군의 가변암보다 상기 횡방향 부재 사이의 거리만큼 전진하여 배치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은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길이가 가변되는 동안에 상기 횡방향 부재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암은 상기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경사진 상기 횡방향 부재에 대응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30106963A 2013-09-06 2013-09-06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49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963A KR101497323B1 (ko) 2013-09-06 2013-09-06 케이블 포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963A KR101497323B1 (ko) 2013-09-06 2013-09-06 케이블 포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323B1 true KR101497323B1 (ko) 2015-03-02

Family

ID=530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963A KR101497323B1 (ko) 2013-09-06 2013-09-06 케이블 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3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259A (zh) * 2016-09-07 2017-12-29 姜红梅 变压器生产厂房电线线槽自动布线器
CN114465161A (zh) * 2022-01-14 2022-05-10 贵阳中安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电缆拉伸的安装装置以及安装方法
CN114498445A (zh) * 2022-01-21 2022-05-13 中国能源建设集团浙江火电建设有限公司 桥架电缆敷设小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39A (ko) * 1996-10-31 1998-07-25 강병호 다단스텝 전진장치
KR20000017657U (ko) * 1999-03-02 2000-10-05 김종만 기중장치를 부설한 굴삭기
KR20090010439U (ko) * 2008-04-10 2009-10-14 심효일 다발 전선 포설기
JP2012071915A (ja) * 2010-09-28 2012-04-12 Shimizu Corp クライミング工法およびクライミ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39A (ko) * 1996-10-31 1998-07-25 강병호 다단스텝 전진장치
KR20000017657U (ko) * 1999-03-02 2000-10-05 김종만 기중장치를 부설한 굴삭기
KR20090010439U (ko) * 2008-04-10 2009-10-14 심효일 다발 전선 포설기
JP2012071915A (ja) * 2010-09-28 2012-04-12 Shimizu Corp クライミング工法およびクライミン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259A (zh) * 2016-09-07 2017-12-29 姜红梅 变压器生产厂房电线线槽自动布线器
CN108123403A (zh) * 2016-09-07 2018-06-05 姜红梅 电力变压器生产厂房线槽自动布线器
CN114465161A (zh) * 2022-01-14 2022-05-10 贵阳中安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电缆拉伸的安装装置以及安装方法
CN114498445A (zh) * 2022-01-21 2022-05-13 中国能源建设集团浙江火电建设有限公司 桥架电缆敷设小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4764A1 (en) Gripping cable hanger and method of using
KR101454627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20170338638A1 (en) Locking cable hanger and method of using
KR101497323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9751716B2 (en) Cable guide device for multi-diameter cables
EP3099885B1 (en) Conveyor apparatus
KR20150012683A (ko) 케이블 포설 장치
RU2595227C2 (ru) Способ и 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тклонения направляющего каната
US9184574B2 (en) Cable pulling system
KR101505795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WO2015113899A2 (en) Conveyor apparatus
CN104505779A (zh) 拖链可调式穿线槽
US9376148B2 (en) Caterpillar for cable mobile robot and cable mobile robot using the same
KR101486212B1 (ko)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KR200464796Y1 (ko) 무대구동장치
CN208932461U (zh) 油汀散热片定位缓存装置及具有其的输送系统
EP3194321A1 (en) Hoisting device
US10302525B2 (en) Test device for carrying out load test on a flexible elongated test object
KR101672204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152934B1 (ko)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 조절장치
CN203455531U (zh) 光缆紧线器
CN210884737U (zh) 线缆收放装置
KR20150020968A (ko) 케이블 포설 장치 운영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1672193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8006954B2 (en) Adjustable cable pu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