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204B1 - 케이블 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204B1
KR101672204B1 KR1020140129897A KR20140129897A KR101672204B1 KR 101672204 B1 KR101672204 B1 KR 101672204B1 KR 1020140129897 A KR1020140129897 A KR 1020140129897A KR 20140129897 A KR20140129897 A KR 20140129897A KR 101672204 B1 KR101672204 B1 KR 101672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riving
hinge
rotation axis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108A (ko
Inventor
이상욱
이해영
고재천
김재우
김종필
백승철
오태권
유정석
이무림
김대영
박순욱
안유진
홍순용
김근식
박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 상에 설치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도록 마련되되 직선 궤적을 포함하도록 동작하는 구동암을 포함하고, 구동암은 일 측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그립부가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구동암이 동작하여 상기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어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 장치{APPARATUS FOR LAYING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 상에 설치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의 신축 시에는 전기 공급이 필요한 위치마다 전선 케이블(이하 "케이블" 이라 함)이 연결되도록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또는 전로)가 설치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구조물이다. 케이블 트레이 상에는 수 개의 케이블이 다발 상태로 포설된다.
선박의 경우에도 전원 공급 또는 장치간 연결을 위해 수많은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 상에 포설된다.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 시 내, 외부 곳곳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작업과 케이블 트레이에 다수의 케이블을 포설(Laying)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이 때 케이블 트레이는 다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에 포설되는 케이블은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선종에 따라서는 수십만 미터 이상 케이블이 포설되기도 하며, 그 무게만 해도 수만톤이 넘을 수 있다.
이처럼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케이블 포설 작업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윈치(Winch)와 푸셔(Pusher)가 사용된다. 그러나 케이블 포설을 위해 이들 장비만으로는 부족하여 큰 힘을 요구하는 구역 또는 이러한 장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협소 공간에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포설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케이블 포설은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협소 공간 또는 케이블 트레이가 다단으로 설치되는 구역 등에서는 수작업을 통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9068호(2011. 02. 2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손쉽게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동화 장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도록 마련되되 직선 궤적을 포함하도록 동작하는 구동암;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암은 일 측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암이 동작하여 상기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어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연결부재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2연결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연결부와 제3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힌지부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힌지부 사이의 거리가 더 먼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의 단부는 직선 궤적과 상기 직선 궤적의 양 끝을 연결하는 곡선 궤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암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힌지부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힌지부 사이의 거리가 더 멀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암은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암의 두 그립부는 상기 케이블의 양 측을 각각 지지하여 상기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1회전축의 연결은 웜과 웜기어 결합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웜기어와 치합하는 웜휠 형상으로 마련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암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상기 케이블이 포설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렁(Rung)과 끼움 결합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렁이 끼워지는 방향이 상이한 전방고정홈과 후방고정홈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구동부의 회전력을 그립부의 병진 운동으로 바꾸어 케이블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립부가 케이블을 감싸면서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케이블(C)을 그립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 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면서도 상부와 하부의 구동암을 동작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케이블의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는 이송유닛에 의해 작업인력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구동암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는 그립부가 케이블을 밀어내기 전의 초기 상태를, 도 6은 그립부가 케이블을 밀어내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 7은 그립부가 케이블을 밀어낸 후의 상태를, 도 8은 구동암이 초기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 9는 그립부가 케이블을 밀어내기 전의 초기 상태로 돌아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구동암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구동암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종방향 부재와 종방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10)(Cable Tray)를 따라 이동하여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0)는 케이블(C)이 포설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방향 부재인 측면 레일(11)과 횡방향 부재인 렁(Rung, 12)을 포함한다. 이하, 종방향 부재와 횡방향 부재라는 표현 대신 측면 레일(11)과 렁(12)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측면 레일(11)은 상·하로 절곡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상부에 절곡된 부분은 상부 절곡부(11-1), 하부에 절곡된 부분을 하부 절곡부(11-2)라 한다. 측면 레일(11)은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C)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렁(12)은 측면 레일(11) 사이를 연결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어 케이블(C)이 포설되는 가상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렁(12)에는 케이블(C)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기 위한 롤러(Roller, 미도시)를 설치하거나, 케이블(C)을 묶음 단위로 묶는 케이블 타이(Cable Tie, 미도시) 등을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0)는 곡선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장애물 등을 피해 케이블(C)을 설치하기 위해 상부나 하부로 구부러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층의 케이블 트레이(10)가 배치되어 협소 공간에 많은 수의 케이블(C)을 포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10) 상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케이블(C)을 포설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블(C)을 당기거나 밀어내어 케이블(C)을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구동암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와, 구동부(130)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케이블(C)을 밀거나 당기는 구동암(120)을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구동암(120)과 구동부(130)를 지지할 수 있는 하우징(111)과, 제1회전축(112)과, 제2회전축(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몸체부(110)의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 구동암(120)과 구동부(13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하우징이 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111)을 도시하였다.
제1회전축(112)과 제2회전축(113)은 일 측 또는 양 측이 하우징(111)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11)에 지지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거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하우징(111)의 일 측면이 개구되어 제1회전축(112)과 제2회전축(113)의 일 측만이 하우징(111)에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하우징(111)이 제1회전축(112)과 제2회전축(113)의 타 측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11)은 하부에 구동부(130) 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절곡부(111a)와 상부에 구동부(130) 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부 절곡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절곡부(111a)에는 몸체부(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절곡부(111b)는 하우징(111)에 지지되는 구동부(130) 등을 보호하는 커버로서 기능할 수 있다.
구동암(120)은 몸체부(110)와 연결되고 케이블(C)을 밀거나 당겨서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구동암(120)은 제1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연결부재(124)과, 제2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연결부재(125)와, 제1연결부재(124) 및 제2연결부재(125)와 각각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121)와, 연결부(121)의 일 측에 연결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는 그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24)의 일 측은 제1회전축(112)과 연결되고, 타 측은 제1힌지부(126)에 의해 연결부(12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125)의 일 측은 제2회전축(113)과 연결되고, 타 측은 제2힌지부(127)에 의해 연결부(12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1회전축(112)과 제1연결부재(124)는 몸체부(110)의 후방, 즉 케이블 포설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제2회전축(113)과 제2연결부재(125)는 몸체부(110)의 전방, 즉 케이블 포설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축(112)과 제1힌지부(126) 사이의 거리는 제2회전축(113)과 제2힌지부(127)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연결부재(124)가 원 운동 하는 동안 제2연결부재(125)는 진자 운동 하게 된다. 제1연결부재(124)와 제2연결부재(125)의 이와 같은 움직임은 그립부(123)의 이동 궤적을 결정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하도록 한다.
구동부(130)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구동부(130)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132)을 회전시키고, 구동축(132)은 웜기어(133)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부재(124)는 웜기어(133)와 치합하는 웜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30)에 동작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축(132)과 함께 웜기어(133)가 회전하고, 웜기어(133)와 치합하는 제1연결부재(124)가 제1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1회전축(112)은 하우징(111)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제1연결부재(124)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연결부재(124)의 형상은 웜휠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막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축(132)의 일 단에 웜휠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제1회전축(112)은 웜휠과 치합하여 회전하는 웜기어의 중심축일 수 있다. 이 때 제1회전축(112)과 함께 회전하도록 핀 등으로 고정되는 막대 형상의 제1연결부재(124)가 제1회전축(112)을 중심축으로 회전 운동 하게 된다.
제2연결부재(125)는 구동부(1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지 않고, 제1연결부재(124)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는 연결부(121)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연결부재(125)는 하우징(111)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113)과 제2힌지부(127)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제2회전축(113)과 제2힌지부(127)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2회전축(113)과 함께 회전하고, 제2회전축(113)이 하우징(111)에 대해 회전 운동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연결부재(125)의 형상은 원판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동암(120)은 연결부(121)의 전방에 연결되어 케이블(C)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마련되는 절곡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연결부(121)와 절곡부(1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별도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122)가 마련됨으로써 구동암(120)의 전체 길이는 짧아 질 수 있으며,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보다 컴팩트(Compact)해 질 수 있다.
구동암(120)은 제1연결부재(124)와 제2연결부재(125)에 각각 링크(Link)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동암(120)은 제1회전축(112)과 제2회전축(113)의 위치, 제2연결부재(123)와 제2연결부재(125)의 길이, 및/또는 제1힌지부(126)와 제2힌지부(127)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궤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구동암(120)은 절곡부(122)의 전방에 결합되는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도록 절곡부(122)의 단부가 병진 운동하는 궤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C)의 포설 반대 방향을 그립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곡선 궤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23)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C)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케이블(C)의 반경에 대응하는 반경을 갖는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그립부(123)의 접촉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찰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그립부(123)와 케이블(C)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면 구동암(120)을 통해 전달되는 힘이 케이블(C)에 고르게 분산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케이블(C)의 한 곳에 힘이 집중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립부(123)는 연결부(121) 또는 절곡부(122)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제3힌지부(12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21)의 각도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그립부(123)가 회전하면서 케이블(C)의 외주면을 계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동암(120)은 구동부(130)를 축으로 양 측에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축(132)과 함께 회전하는 웜기어(133)의 양 측에 각각 치합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재(124)과, 한 쌍의 제1연결부재(124)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121)와, 한 쌍의 연결부(121)와 하우징(111)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연결부재(125)와, 한 쌍의 연결부(121)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그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그립부(123)는 케이블(C)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123)의 내측면이 케이블(C)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굴곡지는 곡면으로 마련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케이블(C)이 그립부(123)로부터 이탈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130)를 축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구동암(120)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그립부(123)는 동시에 케이블(C)을 그립하고, 한 쌍의 구동암(120)이 동시에 동작하면서 케이블(C)을 당기거나 밀어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구동암(120)이 번갈아 가면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암(120)이 케이블(C)을 이동시키는 동안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암(120)이 다음 위치로 이동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암(120)이 케이블(C)로부터 이탈하여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암(120)이 케이블(C)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그립부(123)는 하나의 그립부(123) 만으로 케이블(C)을 쥘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구동암(120)이 번갈아 가면서 동작하는 경우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이동하지 않는 휴지기를 줄일 수 있어서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2개의 구동암(120)이 동시에 이동할 것인지, 교번적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개의 구동암(120)이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 속도가 느린 반면에 큰 힘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블(C)이 무겁거나 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이 큰 경우에는 2개의 구동암(120)이 동시에 움직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 밖에 케이블(C)이 가볍거나 케이블(C)에 가해지는 장력이 작은 경우에는 2개의 구동암(120)이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포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변경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부(140)는 몸체부(110)를 케이블 트레이(10)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부(110)를 렁(12)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몸체부(110)가 측면 레일(11) 상에 고정되거나, 케이블 트레이(10) 외부의 장소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렁(12)과 끼움 결합하도록 렁(12)의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141, 142)이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부(14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고정홈(141)과 후방에 마련되는 후방고정홈(142)을 포함하여 렁(12)의 삽입 방향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케이블(C)을 포설 방향으로 밀어 내는 힘을 가하기 때문에 포설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포설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렁(12)의 전방에 후방고정홈(142)을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는 고정부(140)와 케이블 트레이(10)와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끼움결합을 일 예로 들었지만, 이와 달리 볼트 또는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등 다양한 결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40)를 두 개 이상 마련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몸체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밀어내기 전의 초기 상태를, 도 6은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밀어내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 7은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밀어낸 후의 상태를, 도 8은 구동암(120)이 초기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 9는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밀어내기 전의 초기 상태로 돌아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밀어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도면을 순서대로 비교하면, 절곡부(122)의 단부, 즉 제3힌지부(128)가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병진운동 하면서 그립부(123)에 견고하게 지지된 케이블(C)이 그립부(123)와 함께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전진한 것을 알 수 있다.
구동부(130)가 동작하여 제1연결부재(12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암(120)의 연결부(121)를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연결부(121)가 이동하면서 제1힌지부(126)와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제2힌지부(127)가 케이블 포설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힌지부(127)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125)가 제2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결부(121)는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전방 이동함과 동시에 소정 각도 회전 운동을 병행하게 된다. 이는 제1힌지부(126)와 제2힌지부(127)의 높이가 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3힌지부(128)는 케이블 포설 방향으로 병진 운동만을 하게 된다. 제1힌지부(126)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121)의 각도가 변함과 동시에 제2힌지부(127)가 회전하여 제3힌지부(128)의 높이가 동일 높이를 유지하도록 연결부(121)의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3힌지부(128)가 회전하면서 연결부(121) 및 절곡부(122)의 각도가 변하는 것과 상관없이 그립부(123)는 케이블(C)과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그립한 초기 상태로, 케이블(C)의 위치는 a1으로 표시된다. 도 6은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밀어내고 있는 도중의 상태로, 케이블(C)의 위치는 a2로 표시된다. 도 7은 그립부(123)가 케이블(C)을 밀어내는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케이블(C)의 위치는 a3로 표시된다. 이 때, 케이블(C)은 그립부(123)가 병진 운동 하는 동안 케이블(C)이 이동한 거리(d)는 (d = a3 - a1) 로 계산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구동암(120)이 도 5에 도시된 초기 위치, 즉 다시 케이블(C)을 밀어낼 수 있는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동안 그립부(123)는 케이블(C)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그립부(123)는 케이블(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블(C)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와 동일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케이블(C) 만이 (a3 a1) 의 거리만큼 포설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도 5에서 도 9로 변하는 동안 제1연결부재(124)는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한다. 제1연결부재(124)가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그립부(123)는 초기 위치로 돌아오고, 제2연결부재(125)는 제1연결부재(124)의 회전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하여 진자 운동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구동암(120)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고정점은 몸체부(110)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112)과 제2회전축(113)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구동암(120)의 연결부(121)는 제1회전축(112)과 제1연결부재(124)에 의해 연결되고, 제2회전축(113)과 제2연결부재(125)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1연결부재(124)와 제2연결부재(125)의 회전에 구속되어 이동한다.
제1연결부재(124)는 제1회전축(1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원 운동하며, 제1힌지부(126)의 궤적은 도 10에 (a)로 표시하였다.
제2연결부재(125)는 연결부(121)의 이동에 구속되어 제2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피동적으로 회전 운동을 한다. 제1회전부재(124)가 구동부(130)와 연결되어 능동적으로 회전하는 것과 달리 제2회전부재(124)은 연결부(121)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제2연결부재(125)는 제2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진자 운동하게 되며, 제2힌지부(127)의 궤적은 도 10에 (b)로 표시하였다. 제2힌지부(127)는 제2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왕복하게 된다. 한편, 제1연결부재(124)가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제2연결부재(125)는 한 번 왕복하는 진자 운동을 한다.
제2연결부재(125)가 제1연결부재(124)와 마찬가지로 원 운동하지 않고 진자 운동하는 이유는 제1연결부재(124)의 길이보다 제2연결부재(125)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이다. 만일, 제1연결부재(124)의 길이와 제2연결부재(125)의 길이가 같다면, 두 제2연결부재(125)는 제1연결부재(124)와 같은 각속도로 원 운동할 것이다. 반대로, 제1연결부재(124)의 길이가 제2연결부재(125)의 길이보다 더 길다면, 구동암(120)은 계속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립부(123)는 연결부(121) 또는 절곡부(122)와 제3힌지부(128)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이동한다. 제3힌지부(128)의 이동 궤적은 도 10의 (c)와 (d)로 표시하였다. 궤적 (c)는 제3힌지부(128)가 직선 운동하는 것을, 궤적 (d)는 제3힌지부(128)가 케이블(C)로부터 멀어지도록 곡선 운동 하였다가 다시 케이블(C)을 향하도록 곡선 운동 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3힌지부(128)가 직선 운동하는 과정(궤적 c) 동안 그립부(123)는 케이블(C)을 밀어 낼 수 있다. 또한, 제3힌지부(128)가 곡선 운동하는 과정(궤적 d) 동안 그립부(123)는 케이블(C)을 밀어 내기 위한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곡선 궤적(d)은 직선 궤적(c)의 양 끝을 연결하며, 전체적인 제3힌지부(128)의 궤적은 알파벳 “D” 형상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1, 100-2)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두 개의 케이블 포설 장치(100-1, 100-2)가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이보다 많은 개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두 케이블 포설 장치(100-1, 100-2)는 서로 같은 동작을 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1)가 케이블(C)을 밀어내는 동안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1) 역시 같이 동작하여 케이블(C)을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보다 큰 힘으로 케이블(C)을 이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3, 100-4)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두 개의 케이블 포설 장치(100-3, 100-4)는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3)가 케이블(C)을 밀어내는 동안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4)는 케이블(C)을 밀어낼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1)가 케이블(C)을 밀어낼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100-1)는 케이블(C)을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보다 케이블(C)이 이송되지 않는 휴지기를 줄임으로써 케이블(C)의 이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5)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구동암(120-1)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케이블(C)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였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5)는 케이블(C)을 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5)는 제1연결부재(124)가 제2연결부재(125) 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립부(123) 역시 몸체부(1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10과 도 14를 비교하면, 제1연결부재(124)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다. 따라서 그립부(123)의 이동 방향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도 10에서 그립부(123)가 제1연결부재(124) 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C)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과 달리,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암(120-1)은 그립부(123)가 제1연결부재(124) 보다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C)을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5)의 구동암(120-1)은 구성의 배치 순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와 동일하고, 단지 배치 방향이 반대인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트레이, 11: 측면 레일,
12: 렁, 100: 케이블 포설 장치,
110: 몸체부, 111: 하우징,
112: 제1회전축, 113: 제2회전축,
120: 구동암, 121: 연결부,
122: 절곡부, 123: 그립부,
124: 제1연결부재, 125: 제2연결부재,
126: 제1힌지부, 127: 제2힌지부,
128: 제3힌지부, 130: 구동부,
131: 모터, 132: 구동축,
133: 웜기어, 140: 고정부,
141: 전방고정홈, 142: 후방고정홈,
143: 높이조절부.

Claims (13)

  1.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연결부재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도록 마련되되 직선 궤적을 포함하도록 동작하는 구동암;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암은 일 측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암이 동작하여 상기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어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 포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2연결부재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연결부와 제3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힌지부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힌지부 사이의 거리가 더 먼 케이블 포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의 단부는 직선 궤적과 상기 직선 궤적의 양 끝을 연결하는 곡선 궤적으로 동작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암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힌지부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힌지부 사이의 거리가 더 멀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9.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도록 마련되되 직선 궤적을 포함하도록 동작하는 구동암;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암은 일 측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상기 그립부가 상기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암이 동작하여 상기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내어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암은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암의 두 그립부는 상기 케이블의 양 측을 각각 지지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1회전축의 연결은 웜과 웜기어 결합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웜기어와 치합하는 웜휠 형상으로 마련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암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상기 케이블이 포설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렁(Rung)과 끼움 결합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렁이 끼워지는 방향이 상이한 전방고정홈과 후방고정홈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0140129897A 2014-09-29 2014-09-29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67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97A KR101672204B1 (ko) 2014-09-29 2014-09-29 케이블 포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97A KR101672204B1 (ko) 2014-09-29 2014-09-29 케이블 포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08A KR20160038108A (ko) 2016-04-07
KR101672204B1 true KR101672204B1 (ko) 2016-11-04

Family

ID=5578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897A KR101672204B1 (ko) 2014-09-29 2014-09-29 케이블 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10B1 (ko) * 2020-04-29 2021-01-1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옥외형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2279370B1 (ko) * 2020-09-24 2021-07-19 이성만 내진 검사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485A (ja) 2002-08-15 2004-04-30 Toenec Corp 架線装置及び架線方法
KR200454764Y1 (ko) *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444344B1 (ko) 2013-08-29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그리퍼 및 이를 갖춘 케이블 포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388B1 (ko) 2009-08-19 2011-1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
KR101122272B1 (ko) * 2010-03-23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485A (ja) 2002-08-15 2004-04-30 Toenec Corp 架線装置及び架線方法
KR200454764Y1 (ko) *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444344B1 (ko) 2013-08-29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그리퍼 및 이를 갖춘 케이블 포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08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1254B2 (ja) ロボットの線条体処理構造
JP4429938B2 (ja) 自走式架空電線検査装置
KR200441888Y1 (ko)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 조절장치
US11241820B2 (en) Machin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laying cables in a helix on the outer surface of a unit element of a fluid transport duct
EP3221096B1 (en) A cable-management system, a rotary joint and a robot
CN105692338A (zh) 能自由组装的电力线架设装置
KR101672204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JP2007127351A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用蒸気発生器のスケール除去装置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NO160774B (no) Anordning for haandtering av kabler eller fleksible roerledninger som passerer et omboeyningsorgan.
JP6875332B2 (ja) ロボット
KR102076579B1 (ko) 파이프용 와이어 권취장치
KR20150001385U (ko) 트레이 거치용 롤러기구
JP2004528189A (ja) 管内を移動可能なツールキャリッジ
JP6898841B2 (ja) 自走式電線点検装置
KR102404212B1 (ko) 케이블 벤딩 장치
KR102104514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케이블 가이드 구조물 및 그 장치
US104419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bending pipes for pipelines
US20200331502A1 (en) Vehicle for an electrical line
CN113597364B (zh) 具有线路引导装置的机器人臂
KR101672193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JPH06170779A (ja) 方向変換式フレキシブルアーム
JP6395161B2 (ja) 管路の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KR101631570B1 (ko) 자동 전선 포설용 그리퍼 장치
JP5863412B2 (ja) 超音波肉厚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