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055A -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Google Patents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0055A KR20120040055A KR1020100101579A KR20100101579A KR20120040055A KR 20120040055 A KR20120040055 A KR 20120040055A KR 1020100101579 A KR1020100101579 A KR 1020100101579A KR 20100101579 A KR20100101579 A KR 20100101579A KR 20120040055 A KR20120040055 A KR 201200400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loor impact
- impact sound
- sound
- insulating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14—Sound-absorbing elements with non-planar face, e.g. curved, egg-crate 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해 발포시킨 제품을 사용하고, 고발포를 시킬수록 동탄성계수의 저감 및 생산비용이 절감되는데 동탄성계수를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는,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는,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해 발포시킨 제품을 사용하고, 고발포를 시킬수록 동탄성계수의 저감 및 생산비용이 절감되는데 동탄성계수를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차음재는 시이트 모양으로 가공되어서 자동차, 철도차량, 빌딩 등의 바닥면이나 벽면 등에 부설되거나, 강판, 부직포, 콘크리이트 패널, 목판 등에 맞붙이는 복합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차음재의 차음효과에는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차음의 질량법칙이 적용되므로 비중이 큰 충전제를 가공성이 좋은 결합재용 수지에 높은 비율로 혼합하여 차음재의 면밀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아파트나 빌라 등의 다층으로 축조되는 공동주택 건축물에는 층간에 발생하는 충격이나 소음이 하층 또는 상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으로부터 각 거주자의 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층간 소음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이 일반화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건물의 바닥구조는 중량 및 경량의 충격음에 대하여 차음구조 및 재료를 통한 소음 저감을 필요로 할 때 뜬바닥 구조로 설계하거나 차음시트 등을 삽입하여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경략충격음의 경우 많은 시공사례와 연구를 통하여 볼 때, 일반적인 방진 구조만으로도 상당히 충격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중량충격음의 경우 이러한 구조만으로는 충격력의 특성상 차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부분의 차음구조로는 뜬바닥 구조를 통해 이를 차단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과거의 구조보다 차음 성능면에서 약간의 우수성을 보이고 있지만, 거실, 안방 등에서는 뜬 바닥 자체가 일체로 크게 진동하여 마치 북처럼 울리는 현상이 발생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동을 제거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늘리는 것이 거론 되고 있지만 이는 시공상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추어 볼 때 비현실적이며, 슬래브의 두께를 늘린다고 해서 중량 충격음을 차단하는 효과는 거의 없다.
그리고, 동탄성계수가 낮을수록 차음성능은 향상되지만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탄성계수가 높을수록 내구성은 향상되지만 차음성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는, EPS(Expanded Polystyrene),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소재를 발포시켜 동탄성계수의 저감을 통해 차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는, 동탄성계수가 저감 되도록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는,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판재는, 외면을 덮는 핫멜트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핫멜트층은, EVA(Ethylene Vinyl Acetate)재로 이루어진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골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산과 산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보강재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 다수 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보강핀은, 상기 판재의 크기가 가로 200 세로 200㎜의 넓이일 때, 1 내지 12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재는, 동탄성 계수가 2.5M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요철부 외부에서 상기 판재 내부로 삽입되되, 다수 개의 열을 이루고 수평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동탄성 계수가 2.5MN/㎥ 이하인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되,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 다수 개를 갖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핀은, 상기 판재의 크기가 0.04㎡의 넓이일 때, 1 내지 12개가 사용된다.
그리고,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로 된 차음재는, 상기 차음재에 가력을 가하기 전과 후의 두께차이인 잔류변형율이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포된 판 형태를 갖고,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된 다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판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핫멜트재;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골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산과 산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 다수 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보강핀은, 상기 판재의 크기가 0.04㎡의 넓이일 때, 1 내지 12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는, EPS(Expanded Polystyrene),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소재를 발포시켜 동탄성계수의 저감을 통해 차음성능을 향상시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는, 동탄성계수가 저감된 상태에서도 내구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그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바닥 충격음의 저감을 위해 고 발포 된 판 형태의 판재(100)에 요철부(20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요철부(200)에 핀 형태의 보강재(300)를 다수 개 설치함으로써, 통탄성 계수가 저감 되도록 하여 차음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특히, 요철부(200), 보강재(300)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바닥의 충격음 저감을 위한 차음재로써,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100)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판재(100)는, EPS(Expanded Polystyrene),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소재를 발포시켜 완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판재(100)를 고발포 시킬수록 동탄성계수(MN/㎥)는 저감 되고, 생산비용은 절감되게 된다.
또한, 동탄성계수가 낮을수록 차음성능은 향상되지만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300)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100)는 판 형태를 갖고, 판 형태의 판재(100)의 일면에는 다수 개의 골(210)과 산(220)이 형성된 요철부(200)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요철부(200)는, 상기 골(210)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산(220)과 산(220)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부(200)에는, 핀 형태의 보강핀(310)이 다수 개 형성되는 보강재(300)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골(210)의 깊이(d)가 1㎜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골(210)의 깊이(d)가 8㎜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판재(100)의 제조시 제조작업이 어렵게 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0)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310) 다수 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핀(310)의 직경이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보강재(300)를 제조하는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재(300)는, 상기 판재(100)에 삽입되어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을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300)로 사용되는 상기 보강핀(310)은, 상기 요철부(200)의 산(220) 외부에서 상기 판재(100) 내부로 삽입되되, 다수 개의 열을 이루고 수평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발포된 상기 판재(100) 외면에는, 핫멜트층(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핫멜트층(110)은, EVA재의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핫멜트층(110)에 사용되는 재료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PUR(폴리우레탄 레진) 등도 사용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판재(100) 수평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200)는, 다수 개의 산(210)과 골(220)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요철부(200)는, 상기 골(210)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산(220)과 산(220)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판재(100)와 상기 요철부(200)의 외면은, 상기 핫멜트층(110)으로 감싸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핫멜트(110)로 감싸진 상기 요철부(200)에는, 상기 보강재(300)가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재(300)는, 상기 요철부(20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요철부(200)는, 굴곡을 갖되 상 방향으로 솟아오른 부분은 산(220)이고, 하 방향으로 파인 부분은 골(210)이 된다.
이러한, 상기 요철부(200)의 산(220)과 골(210)은, 상기 판재(100)의 일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300)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310) 다수 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판(310)은, 상기 판재(100)의 크기가 가로 200 세로 200㎜의 넓이를 갖을 때, 1 내지 12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살펴보면, 판 형태로 된 상기 판재(100)는, 동탄성 계수가 2.5M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판재(100)를 고발포 시킬수록 동탄성계수(MN/㎥)는 저감 되고, 생산비용은 절감되게 된다.
또한, 동탄성계수가 낮을수록 차음성능은 향상되지만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300)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300)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310)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강재(300)는,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핀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보강핀(310)의 사용 갯 수 역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 갯 수를 조절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보강핀(31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상기 요철부(200)의 골(2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300)와 판재(100)의 외면에는, 핫멜트층(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핫멜트층(110)은, EVA재로 이루어진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핫멜트층(110)은, 상기 보강재(300)와 함께,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는 해석될 수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명 재인 상기 판재(100)에 요철부(200)와 핫멜트층(110) 및 보강재(300)가 형성되도록 하여, 잔류변형 보강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하기에 게시된 표 1은, 상기 판재(100)를 1kgf(25㎏/㎡)의 압력판으로 2분 동안 가압한 후 높이인 가력전의 두께(dL)와, 8kgf(200㎏/㎡)인 정사각형의 압력판으로 상기 판재(100)를 15초 동안 가압한 후, 192kgf(4,800㎏/㎡)의 추가 압력으로 5분 동안 추가압력을 가한 후, 압력을 제거한 채로 5분 동안 방치한 후의 상기 판재(100)의 대각선 양방향을 측정한 높이인 가력후의 높이(dB)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잔류변형율(%)은, 가력전과 후의 상기 판재(100) 두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다양한 상기 판재(100) 시료는, 상기 요철부(200)의 골(210)과 산(220)의 골 깊이(d)와 골 간격(w)을 다양하게 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판재(100)를 가력하여 잔류변형율(%)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어서, 표1에서는 상기 판재(100)의 동 탄성 계수(MN/㎥), 가력전후 측정높이(㎜)와 잔류변형율(%)을 알 수 있다.
골간격(w)/골깊이(d) | 동탄성계수 (MN/㎥) |
측정값(㎜) | 잔류 변형률 | 판 정 | |
가력전의두께(dL) | 가력후의높이(dB) | ||||
25 / 2 | 2.4 | 38.0 | 30.3 | 20.4% | 부적합 |
25 / 5 | 2.2 | 34.2 | 26.2 | 23.5% | 부적합 |
30 / 5 | 2.2 | 34.2 | 26.2 | 22.1% | 부적합 |
30 / 2 | 2.4 | 35.7 | 29.2 | 18.1% | 부적합 |
30 / 3 | 2.2 | 35.2 | 28.0 | 20.5% | 부적합 |
30 / 3 보강재 | 2.4 | 36.1 | 33.0 | 8.6% | 적합 |
상기 표 1 을 참조하면, 상기 요철부(200) 골(210)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골(210)과 골(210)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 이면서 상기 보강재(300)가 형성됨으로써, 동탄성계수(MN/㎥) 는 유지하면서도 잔류변형율(%)이 10% 이하가 되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보강재(300)가 설치된 상기 판재(100)는, 동탄성계수(MN/㎥) 는 유지하면서도 잔류변형율(%)이 10% 이하가 되어 차음성능이 향상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발포된 판 형태를 갖는 판재(100)에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된 다수 개의 삽입홈(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홈(120)에는, 상기 삽입홈(120)과 대응되게 형성된 핫멜트재(130)가 삽입된다.
더불어, 상기 핫멜트재(130)는, 상기 판재(100)의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핫멜트재(130)는, EVA재의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핫멜트재(130)에 사용되는 재료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PUR(폴리우레탄 레진) 등도 사용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어서, 상기 판재(100)는, EPS(Expanded Polystyrene),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소재를 발포시켜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100)를 고발포 시킬수록 동탄성계수(MN/㎥)는 저감 되고, 생산비용은 절감되게 된다.
또한, 동탄성계수가 낮을수록 차음성능은 향상되지만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300)가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재(300)는,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되, 상기 핫멜트재(130)를 뚫고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홈(120)에는, 상기 핫멜트재(130)와 보강재(300)가 상호 밀착된 채로 삽입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보강재(300)와 핫멜트재(130)는,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상기 삽입홈(120)에 각각 또는 동시에 삽입되어도 무관하다.
특히, 상기 삽입홈(120)은, 상기 보강재(300)와 핫멜트재(13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재(300)와 핫멜트재(130)가 원활하게 삽입된다면 그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상기 보강재(300)와 핫멜트재(130)는, 열경화성 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홈(120)의 깊이는 상기 판재(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100)는 판 형태를 갖고, 판 형태의 판재(100)의 일면에는 다수 개의 골(210)과 산(220)이 형성된 요철부(200)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요철부(200)는, 상기 골(210)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산(220)과 산(220)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부(200)에는, 핀 형태의 보강핀(310)이 다수 개 형성되는 보강재(300)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골(210)의 깊이(d)가 1㎜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골(210)의 깊이(d)가 8㎜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판재(100)의 제조시 제조작업이 어렵게 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0)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310) 다수 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핀(310)의 직경이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보강재(300)를 제조하는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재(300)는, 상기 판재(100)에 삽입되어 상기 판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을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300)로 사용되는 상기 보강핀(310)은, 상기 요철부(200)의 산(220) 외부에서 상기 판재(100)의 삽입홈(120) 내부로 삽입되되, 다수 개의 열을 이루고 수평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판재 110 : 핫멜트층
120 : 삽입홈 130 : 핫멜트재
200 : 요철부 210 : 산
220 : 골
300 : 보강재 310 : 보강핀
120 : 삽입홈 130 : 핫멜트재
200 : 요철부 210 : 산
220 : 골
300 : 보강재 310 : 보강핀
Claims (14)
-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외면을 덮는 핫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층은,
EVA(Ethylene Vinyl Acetate)재로 이루어진 핫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골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산과 산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 다수 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핀은,
상기 판재의 크기가 0.04㎡의 넓이일 때, 1 내지 12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동탄성 계수가 2.5M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요철부 외부에서 상기 판재 내부로 삽입되되, 다수 개의 열을 이루고 수평방향 및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동탄성 계수가 2.5MN/㎥ 이하인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되,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 다수 개를 갖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핀은,
상기 판재의 크기가 0.04㎡의 넓이일 때, 1 내지 12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발포된 판 형태의 판재;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로 된 차음재는,
상기 차음재에 가력을 가하기 전과 후의 두께차이인 잔류변형율이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발포된 판 형태를 갖고,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된 다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판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핫멜트재;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골과 산을 포함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에 다수 개가 삽입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골의 깊이(d)가 1 내지 8㎜이고, 산과 산 사이의 간격(w)은 8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직경이 10㎜ 이하인 보강핀 다수 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핀은,
상기 판재의 크기가 0.04㎡의 넓이일 때, 1 내지 12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579A KR20120040055A (ko) | 2010-10-18 | 2010-10-18 |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579A KR20120040055A (ko) | 2010-10-18 | 2010-10-18 |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0055A true KR20120040055A (ko) | 2012-04-26 |
Family
ID=4614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1579A KR20120040055A (ko) | 2010-10-18 | 2010-10-18 |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005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0148B1 (ko) * | 2023-06-15 | 2024-03-22 | 주식회사 케이디에프 | 건축용 바닥재 |
-
2010
- 2010-10-18 KR KR1020100101579A patent/KR2012004005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0148B1 (ko) * | 2023-06-15 | 2024-03-22 | 주식회사 케이디에프 | 건축용 바닥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9476B1 (ko) | 차음 바닥 구조 및 차음 바닥 구성재 그리고 바닥 충격음의 저감 방법 | |
KR102403744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CN101571002B (zh) | 缓冲材料和具有该缓冲材料的吸音板 | |
KR101479167B1 (ko) |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
KR102404851B1 (ko) | 목질 바닥판재 | |
KR100723970B1 (ko) | 충격흡수용 차음재 | |
KR100718698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120040055A (ko) | 바닥충격음 저감 차음재 | |
KR101428590B1 (ko) |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1373091B1 (ko) | 바닥 충격음 저감용 층간 차음재 | |
KR100756415B1 (ko) |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 |
KR101423219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섬유구조체 및 그 이용방법 | |
KR200423540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1783688B1 (ko) | 공동주택용 현관 바닥의 소음방지 구조 | |
KR20150066951A (ko) | 층간 진동 소음 흡수 블록 | |
KR20100046842A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0806728B1 (ko) |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 |
KR102338176B1 (ko) |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 |
CN115262913A (zh) | 地板镶板 | |
KR100977168B1 (ko) |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 |
KR200452855Y1 (ko) |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 |
KR100927358B1 (ko) |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 |
KR200315770Y1 (ko) | 건물의 바닥충격 방음판넬 | |
CN215563725U (zh) | 一种建筑隔声结构及其隔声垫 | |
JPH035570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