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860A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860A
KR20120039860A KR1020100101300A KR20100101300A KR20120039860A KR 20120039860 A KR20120039860 A KR 20120039860A KR 1020100101300 A KR1020100101300 A KR 1020100101300A KR 20100101300 A KR20100101300 A KR 20100101300A KR 20120039860 A KR20120039860 A KR 2012003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weight
herbal medicin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김미선
최재환
진무현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10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860A/ko
Publication of KR2012003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8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항산화 효과, 세포 활성 효과,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알러지 반응이나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서 사람의 피부에 안전하다.

Description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erb extracts}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에 대한 항산화 효과, 보습효과 및 세포활성 효과를 갖는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조직 중 직접적으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인체의 내부와 외부환경 사이의 방어벽 역할을 하여 화학물질이나 자외선을 포함한 외부 환경오염 물질 및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함으로써 주위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그런데,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등에 피부가 노출되거나 스트레스, 질병 등의 요인으로 인해 체내의 자유라디칼이 활성화되면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촉진시켜 피부주름의 증가 등 피부노화 증상이 가속화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자유라디칼에 의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는 경우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그에 따른 피부노화 현상이 일어난다. 특히 단백질이 산화되는 경우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과다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에 지장을 준다. 또한 단백질 손상이 일어난 피부 세포는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세포의 대사활성이 저하되고, 이러한 기능적, 구조적 손상으로 주름이 생기게 되어 이들로 인해 피부노화가 더욱 촉진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는 한편,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OD), 비타민 E 유도체, 아스코르브산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의 항산화제를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얻어 보려는 노력이 많이 있었으나 피부 안전성 면에서나 화장료 배합시 안정성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피부 장벽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뿐만 아니라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방지하는 보호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유지될 수 있다. 표피의 각질층은 10 내지 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과잉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수분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은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로 알려져 있다. 각질세포층에는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10% 미만이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최근에는 환경이나 생활 패턴의 변화,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등의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 보습에 관한 문제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피부 보습을 위하여, 종래에는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나 NMF성분 또는 이들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천연 수용성 성분들을 사용하였는데, 보습력은 뛰어나지만 끈적이는 사용감이나 화장료의 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원료를 대체할 새로운 원료로서 한약재를 비롯한 천연물들이 주목받아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천연물들을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인 한약재를 이용하여 피부에 대한 항산화 효과, 세포활성 효과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150 여종의 한약재를 스크리닝하여 피부에 대한 항산화 효과, 보습효과 또는 세포활성 효과가 우수한 32종의 한약재를 선별하였고,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피부에 대한 항산화 효과, 보습 효과 또는 세포활성 효과 등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의 자유라디칼이 제거되는 항산화 효과가 발생하여 피부 노화를 상당히 방지할 수 있으며, 각질층을 포함하여 피부에 수분이 공급되고 오랜 시간 유지됨으로써 피부가 촉촉한 상태로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 세포가 활성화 될 수 있으며, 특히 섬유아세포가 활성화되어 피부 주름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2종의 한약재, 즉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32종의 한약재를 모두 혼합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여, 단일한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더욱 우수한 항산화 효과, 보습효과 및 세포활성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혼합 한약재는 상기 32종의 한약재, 즉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을 각각 1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 1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5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하게 동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혼합 한약재가 32종의 각각의 한약재를 동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항산화, 보습 및 세포활성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소엽(Perillae Herba)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의 잎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형개(Schizonepetae Herba)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한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의 지상부분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질려자(Tribuli Fructus)는 납가새과(Zygophyllaceae)에 속한 납가새(Tribulus terrestris L.)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산약(Dioscoreae Rhizoma)은 마과(Dioscoreaceae)에 속한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의 근경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백출(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백급(Bletillae Rhizoma)은 난초과(Orchidaceae)에 다년생 초본인 자란(Bletilla striata (THUNB.) Reichenbach fil.)의 덩이줄기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인삼(Ginseng Radix)은 오가과(Araliaceae)에 속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어성초(Houttuyniae Herba)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한 일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erg)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백렴(Ampelopsis Radix)은 포도과(Vitaceae)에 속한 가회톱(Ampelopsis japonica (THUNB.) Makino)의 괴근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과루근(Trichosanthis Radix)은 박과(Cucurbitaceae)에 속한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lowii Maxim.)의 괴근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곽향(Pogostemonis Herba)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광곽향(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 또는 배초향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의 전초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맥문동(Liriopis Tuber)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한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의 괴근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백작약(Paeoniae Radix alba)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한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관동화(Farfarae Flos)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관동(Tussilago farfara L.)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행인(Armeniacae Amarum Semen)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한 살구(Prunus armeniaca L. var. ansu MAXIM.)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백과(Ginkgo Semen)는 은행과(Ginkgoaceae)에 속한 은행나무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비파엽(Eriobotryae Folium)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한 비파나무의 잎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건강(Zingiberis Rhizoma)은 생강과에 속한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근경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회향(Foeniculi Fructus)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회향(Foeniculum vulgare MILL.)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정향(Caryophylli Flos)은 도금낭과(Myrtaceac)에 속한 정향수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육계(Cinnamomi Cortex)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한 육계(Cinnamomum cassia PRESL)의 수피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대조(Jujubae Fructus)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한 대추(Zizyphus jujube MILL. Var. inermis REHDER)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길경(Platycodi Radix)은 길경과(Campanulaceae)에 속한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생지황(Rehmanniae Radix)은 현삼과(Scrophularaceae)에 속하는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의 신선한 뿌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방풍(Ledebouriellae Radix)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방풍(Ledebouriella divaricata (TURCZ.) HIROE)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녹용(Cervi Pantotrichum Cornu)은 사슴과(Cervidae)에 속한 매화록이나 동속 근연동물의 골화되지 않은 뿔을 채취해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귤홍(Citri Pericarpium)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한 귤(Citrus unshiu MAKOVICH)의 성숙한 과실의 과피 안쪽에 있는 흰 부분을 제거하여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감초(Glycyrrhiza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감초(Glycyrrhiza glabra L.)의 뿌리 또는 줄기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복령(Poria)은 구멍쟁이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한 복령(Poria cocos (SCHW.) WOLF)의 균핵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황금(Scutellariae Radix)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중 상황버섯은 담자균류(Basidiomycetes) 진흙버섯과에 속한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을 건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상기 32종의 한약재를 모두 혼합한 혼합 한약재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일 수 있으며, 또는 32종의 각각의 한약재를 추출하여 얻은 32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모두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를 용매에 녹여 분리한 물질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한약재를 1회 이상 추출하여 한약재의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약재를 잘게 분쇄하고, 상기 분쇄물의 건조 중량 대비 5 내지 20배의 부피의 용매를 가하여,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 내지 100℃로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포로 여과하여 용매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물에 대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2회 이상 추출된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은 건조 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0.0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의 항산화 효과, 세포활성 효과 및 보습 효과를 실질적으로 기대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능, 세포증식 활성능, 수분 보유능이 현저히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알러지 반응이나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서 사람의 피부에 안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1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을 동량으로 혼합한 혼합 한약재 100g을 70% 에탄올 1L로 3시간 환류추출하여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였다. 그 결과 22g의 본 발명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2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을 물로 세척한 후 각각 잘게 세절하여 동량으로 혼합하여 혼합 한약재를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 한약재 1kg당 부틸렌글리콜 1.5kg와 정제수 3.5kg을 첨가해 2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4℃에서 4일간 숙성시키고, 0.4㎛의 크기의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 다시 0.2㎛ 필터로 여과시켰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3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을 물로 세척한 후 각각 잘게 세절하여 동량으로 혼합하여 혼합 한약재를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 한약재 1kg당 프로필렌 글리콜 20 mL와 정제수 80 mL를 첨가해 2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4℃에서 4일간 숙성시키고, 0.4㎛의 크기의 필터로 1차 여과한 후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 다시 0.2㎛ 필터로 여과시켰다. 그 결과 본 발명의 20%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되, 상기 혼합 한약재 1kg당 프로필렌 글리콜 40 mL와 정제수 60 mL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40%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고, 상기 혼합 한약재 1kg당 프로필렌 글리콜 60 mL와 정제수 40 mL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60%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세포독성 시험)
상기 수득한 실시예 2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안정성을 검증하고자 V79-4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배양하여 MTT 시험법[참고문헌: Mossma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SLS(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와 스쿠알란을 사용하였다.
시료 IC50 (%, 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05
스쿠알란 0.05
혼합 한약재 추출물 3.0
[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 - 50 %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IC50 값은 3.0%로서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600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안전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보다도 60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나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러지 평가(LLNA))
상기 수득한 실시예 3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서, 아세톤:올리브오일(4:1)을 사용하여 알러지 반응을 유발시키는 LLNA(local lymph node assay) 실험법을 실시하였다[참고문헌: Kimber, J Appl Toxicol 10, 173~180, 1990].
먼저, 20%, 40%, 60%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각각, 생쥐(Balb/c)의 양쪽 귀에 50 ㎕씩 3 일간 발라준 후, 쥐로부터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든 후, 방사성 동위원소 [3H]-메틸티미딘(methyl thymidine)을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β-신틸레이션 계수기(Beckman LS 6000 TA, USA)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의 dpm(disintegraion per minute) 및 증폭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 (중량%) 임파절세포 수
(세포/mL × 107)
dpm1
(평균)
S.I.2
(증폭도)
아세톤:올리브오일 (4:1) 1.70 2870 운반매개물
혼합한약재 추출물 20 1.71 2296 0.8
40 2.04 3157 1.1
60 3.23 4592 1.5
[주]1. dpm - [3H]-메틸티미딘이 세포내로 삽입되는 양
  2. S.I.(stimulation index) - 시료의 평균 dpm을 대조군의 평균 dpm으로 나눈 값
알러지 평가 결과는 대조군에 대한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 정도로 나타내며, 한 농도에서라도 시료의 증폭 정도(S.I.)가 3 이상이고,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경우 알러젠으로 간주하게 되는데,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증폭도(S.I.)가 2 이하로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자극성 시험)
상기 수득한 실시예 2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피부자극성 시험을 위하여 기니아 피그(Guinea Pig)를 이용한 첩포시험(Patch test)을 수행하였다[참고문헌: ① Draize, J.H.(1959), Dermal toxicity. Assoc. Food and Drug officials, US.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s in Food, Drugs and Cosmetics., 46-59, Texas State Dept of Health, Austin, Texas; ② Federal Register(1973), Method of testing primary irritant substances 38(187), 1500-1541]. 
먼저, 시료 도포 부위인 등의 털을 제거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24 시간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다. 그 다음, 시료 도포 부위를 설정(1.5 ㎝ × 1.5 ㎝)하여 상기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거즈를 적용한 후, 시료의 증발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형 재질의 박지로 밀봉하고, 탄력 붕대로 48 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그 다음, 폐쇄 첩포를 제거한 후 2 시간, 24 시간(첩포 후 48 시간, 72 시간)째 자극 정도를 판정하여 자극지수(PII: primary cutaneous irritation index)와 자극도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서 정제수와 거즈를 적용한 기니아 피그를 사용하였다.
구분 농도 (%) 자극지수(PII) 자극도
대조군 0.50 미세자극
혼합 한약재 추출물 0.5 0.52 미세자극
5.0 0.61 미세자극
50.0 0.84 미세자극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피부에 매우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유라디칼 소거능 시험)
상기 수득한 실시예 1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1,1-diphenyl-2-pycryl-hydrazyl(DPPH)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Blois, Nature 181, 1190, 1958).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 517 ㎚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라디칼이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DPPH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0.15 mM의 농도로 메틸 알코올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혼합 한약재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을 96-well 플레이트 각 웰에 100 ㎕씩 넣었다. 여기에 DPPH 용액을 100 ㎕씩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Micro plate reader(BioTek EL-340)를 이용하여 517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메틸 알코올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것의 흡광도가 대조군의 흡광도의 절반이 될 때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혼합 한약재 추출물 아스코르브산 메틸 알코올
IC50 0.0009 % 0.0005 % 0.0025 %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자유라디칼 제거제로 알려진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정도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매우 강력하게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세포증식 활성능 측정 1)
본 발명의 32종의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 및 실시예 1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함)에 대하여 농도 100㎍/mL에서 세포증식 활성 효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 환원법(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method)을 수행하고, 포르마잔 생성물(formazan product)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추출하여 57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비교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서 10% FBS(fetal bovine serum)을 넣은 배지를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서 FBS를 넣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였고, 실험 대조군으로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수학식 1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능력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의 세포증식 활성능(%)은 5 회 반복 시험하여 구하였다.
[수학식 1]
세포증식능 (%) = 각 시료군에서의 흡광도 / 대조군에서의 흡광도
추출물 농도 (㎍/mL) 세포증식 활성능 (%)
당귀 100 106.4
소엽 100 105.2
형개 100 104.8
질려자 100 103.5
산약 100 109.3
백출 100 108.4
백급 100 102.2
인삼 100 120.7
어성초 100 105.6
백렴 100 103.9
과루근 100 102.1
곽향 100 105.7
맥문동 100 111.6
백작약 100 113.7
관동화 100 104.2
행인 100 106.4
백과 100 105.3
비파엽 100 103.3
건강 100 108.9
회향 100 112.7
정향 100 113.8
육계 100 114.5
대조 100 107.1
길경 100 106.2
생지황 100 117.9
방풍 100 108.1
녹용 100 123.3
귤홍 100 110.8
감초 100 115.7
복령 100 107.6
황금 100 109.3
상황버섯 100 117.8
혼합 한약재 추출물 100 135.2
상기 표 5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32 종의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과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모두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활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32종의 단일 한약재 추출물 각각에 비해 세포활성 효과가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세포증식 활성능 측정 2)
상기 실험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함)에 대하여 다양한 농도(0.1 ㎍/mL, 1 ㎍/mL, 10 ㎍/mL, 100 ㎍/mL)에서 세포증식 활성 효능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6의 세포증식 활성능(%)은 5 회 반복 시험하여 구하였다.
추출물 농도(㎍/mL) 세포증식 활성능(%)
혼합 한약재 추출물 0.1 112.4
1 121.8
10 125.6
100 135.2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최소 처리 농도부터,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100%)에 비해 세포증식이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활성 효과가 탁월하면서 또한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 에센스 제조
실시예 2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제조하고, 비교예로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상세한 조성(중량%)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실시예 비교예
혼합 한약재 추출물 3 -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 0.22 0.22
글리세린 4 4
프로필렌글리콜 0.2 0.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밀납 0.5 0.5
세토스테아릴알콜 1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1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2)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 8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0.1
디메틸실록산 0.3 0.3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3) 3 3
스쿠알란 5 5
향료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주]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미국 비.에프.굿리치(B.F.Goodrich)사의 카보폴 941(Carbopol 941) 1 중량% 수용액
2.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 영국 아이시아이(ICI)사이 아라셀 60(Arlacel 60)
3.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 일본 니혼 고쿄 알코올(Nihon KoKyu Alcohol)사의 아이시이에이치(ICEH)
(수분 보유능 평가)
상기 표 7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센스의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센스를 각각 피부에 정량 도포한 후 각질층의 수분 보유량을 측정하고 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로는 피부수분함량 측정기(스킨 설피스 하이그로미터, skin surface hygrometer, 모델명: SKICON-200, 일본 IBS사 제품)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5℃,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센스를 각각 20명의 피시험자의 팔의 안쪽에 일정량(2 mg/㎠)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평가 전의 수분 보유능을 기준으로 1시간과 3시간 후의 수분 증가율(%)을 측정하여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분 증가율(%)
실시예 비교예
도포 전 0 0
도포 1시간 후 225 175
도포 3시간 후 198 161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에센스는 비교예의 에센스에 비해 도포 1시간 후 및 3시간 후에 수분 보유 증가율이 훨씬 높아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 화장수 제조
실시예 2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 1.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히알루론산 0.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중량%,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테르 0.1 중량%, 에탄올 5.0 중량%, 방부제 0.15 중량%, 적량의 향료, 적량의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에멀젼 제조
실시예 2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 2.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콜 0.8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1.0 중량%, 밀납 0.5 중량%, 스테아린산 0.5 중량%, 유동파라핀 7.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마카데미아오일 3.0 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중량%, 디메틸실록산 0.3 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 글리세린 4.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베타인 4.0 중량%, 카르복시폴리모 0.1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 방부제 0.25 중량%, 적량의 향료, 적량의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크림 제조
실시예 2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 3.0 중량%, 세토스테아릴알콜 3.0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0.5 중량%,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1.5 중량%, 밀납 0.5 중량%, 유동파라핀 8.0 중량%, 스쿠알란 7.0 중량%,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중량%, 정제호호바유 4.0 중량%, 디메틸실록산 0.3 중량%,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중량%,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중량%, 글리세린 6.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베타인 4.0 중량%, 잔탄검 0.06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 중량%, 방부제 0.25 중량%, 적량의 향료, 적량의 색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젤 제조
실시예2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 1.0 중량%, 글리세린 4.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에탄올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중량%, 카르복시폴리머 0.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0 중량%, 적량의 방부제, 적량의 향료 및 색소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젤을 제조하였다.

Claims (8)

  1.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소엽, 형개, 질려자, 산약, 백출, 백급, 인삼, 어성초, 백렴, 과루근, 곽향, 맥문동, 백작약, 관동화, 행인, 백과, 비파엽, 건강, 회향, 정향, 육계, 대조, 길경, 생지황, 방풍, 녹용, 귤홍, 감초, 복령, 황금 및 상황버섯은 동량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건조 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및 오일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보습용 또는 주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01300A 2010-10-18 2010-10-18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9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300A KR20120039860A (ko) 2010-10-18 2010-10-18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300A KR20120039860A (ko) 2010-10-18 2010-10-18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860A true KR20120039860A (ko) 2012-04-26

Family

ID=4613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300A KR20120039860A (ko) 2010-10-18 2010-10-18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860A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91B1 (ko) * 2014-05-29 2015-03-06 한솔생명과학(주)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450317A (zh) * 2014-12-02 2015-03-25 宁波高新区苗姑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白果组合物提取黄酮类化合物制备洁面皂的方法及应用
CN104984074A (zh) * 2015-07-29 2015-10-21 吴进泉 一种美容护肤制品及其生产方法与应用
KR20150121509A (ko) * 2014-04-21 2015-10-29 씨에스팩 주식회사 친환경 한방 소독제 조성물
KR20160137042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더삼점영 식물 추출물에서 얻은 Gelatinase 방해제를 사용한 여드름 환자 표피 피부 단백질 파손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0005B1 (ko) * 2016-05-10 201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9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2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23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62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4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25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1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38638A (ko) * 2016-10-07 2018-04-17 (주)스와니코코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4422A (ko) * 2021-02-08 2022-08-17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피부 온도 증가, 혈행개선 및 붓기 완화 효능을 갖는 스포츠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89539A (zh) * 2022-07-28 2022-09-23 鑫荣生物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紧肤植物提取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813814A (zh) * 2022-11-24 2023-03-21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促渗增效的美白组合物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509A (ko) * 2014-04-21 2015-10-29 씨에스팩 주식회사 친환경 한방 소독제 조성물
KR101498691B1 (ko) * 2014-05-29 2015-03-06 한솔생명과학(주)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450317A (zh) * 2014-12-02 2015-03-25 宁波高新区苗姑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白果组合物提取黄酮类化合物制备洁面皂的方法及应用
KR20160137042A (ko) * 2015-05-22 2016-11-30 주식회사 더삼점영 식물 추출물에서 얻은 Gelatinase 방해제를 사용한 여드름 환자 표피 피부 단백질 파손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4984074A (zh) * 2015-07-29 2015-10-21 吴进泉 一种美容护肤制品及其生产方法与应用
KR101710005B1 (ko) * 2016-05-10 201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2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23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3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4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62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25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1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38638A (ko) * 2016-10-07 2018-04-17 (주)스와니코코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4422A (ko) * 2021-02-08 2022-08-17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피부 온도 증가, 혈행개선 및 붓기 완화 효능을 갖는 스포츠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89539A (zh) * 2022-07-28 2022-09-23 鑫荣生物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紧肤植物提取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089539B (zh) * 2022-07-28 2024-05-31 鑫荣生物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紧肤植物提取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813814A (zh) * 2022-11-24 2023-03-21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促渗增效的美白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986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thima et al. General review on herbal cosmetics
CN110090191B (zh) 一种晒后修复组合物及其化妆品
JP2006206513A (ja) 皮膚外用剤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4784507A (zh) 一种具有多重美容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438925A (zh) 一种抗敏修复组合物及其应用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05878126A (zh) 一种石斛中药面膜
CN114983914A (zh) 一种美白护肤品的制备方法
KR101901670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5B1 (ko)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CN110664643A (zh) 一种具有多效美白作用的多肽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309911B (zh) 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7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48597B1 (ko) 세정력 및 두피 진정효과가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1235B1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13723B1 (ko) 상백피, 생강나무 및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68831B (zh) 用于皮肤化妆品的中草药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Deshmukh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Article on Herbal Cosme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