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235B1 -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235B1
KR101561235B1 KR1020080107824A KR20080107824A KR101561235B1 KR 101561235 B1 KR101561235 B1 KR 101561235B1 KR 1020080107824 A KR1020080107824 A KR 1020080107824A KR 20080107824 A KR20080107824 A KR 20080107824A KR 101561235 B1 KR101561235 B1 KR 101561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bberellin
skin
cosmetic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592A (ko
Inventor
김선경
박성일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07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2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및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 소거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기질 분해에 관련된 자외선에 의한 MMP-1의 생합성을 감소시켜 타입 1 프로콜라젠의 생합성을 촉진시키고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지베렐린*지베렐린유사체*천궁추출물*당귀추출물*쑥추출물*생약추출물*노화방지*피부보습*화장료

Description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ibberellins and herbal extracts}
본 발명은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및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 소거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기질 분해에 관련된 자외선에 의한 MMP-1의 생합성을 감소시켜 타입 1 프로콜라젠의 생합성을 촉진시키고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 체내의 체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체온 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 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등의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시키게 된다. 특히, 각질세포가 차례차례로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세포가 때때로 이탈해가므로 표피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게 되는 각화과정이 순조롭지 못하면 비정상적인 각질세포가 생성되고 피부 표면에 쌓여 각질층이 두꺼워지게 되어 피부가 거칠어지고 칙칙해지며, 미세한 잔주름이 생기게 되고 결국 피부 노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 및 피부 기질의 분해에 관련한 자외선에 의한 MMP-1의 생합성을 통한 타입 1 프로콜라젠의 생합성 감소, 피부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의 분열 능력 저하도 피부 노화와 관련이 있다.
식물의 생장과 발아에 관련된 호르몬인 지베렐린, 자낭균류에 속하는 지베렐라 푸지쿠로이(Gibberella fujikuroi), 스파켈로마 마니호티콜라(Sphaceloma manihoticola) 등의 대사산물인 지베렐린 화합물족 및 상업적으로 합성이 가능한 지베렐린산은 현재까지 관속식물문과 선태식물문에 해당하는 식물체와 자낭균류 지베렐라 푸지쿠로이, 스파켈로마 마니호티콜라 등에서 동정한 110여종이 있다. 지베렐린은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로 지베렐린의 연구는 1809년 벼의 바까나에 병을 관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병은 자낭균류인 지베렐라 푸지쿠로이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1925년에 일본에서 그 물질의 기원이 확인되었으며, 식물의 생장과 종자의 발아, 줄기의 신장, 잎의 성장, 개화촉진 그리고 과육의 성숙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110여종의 지베렐린 유사체 중 상업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것은 A3 타입 이며 이러한 기원이 다른 유사체는 식물에서 지베렐린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요즘은 합성 지베렐린 대신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가 포함된 특정 종자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지베렐린을 처리한 것과 동등한 또는 그 이상의 발아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지기 시작했다.
지베렐린은 식물에서 종자가 발아를 시작하게 하는 최초의 호르몬이다. 배젖 또는 떡잎의 기관을 가지고 있는 피자식물문에 속하는 식물무리의 종자는 모체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발아를 막고 유리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휴면상태를 유지하는 수많은 기작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휴면상태는 식물의 발달과 세포 분열 등의 활동이 모두 정지되어 있지만 언제라도 다시 생명활동이 되살아날 수 있는 포텐셜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지베렐린은 이러한 휴면 상태를 깨고 발아를 시작하게 하는 호르몬이다. 종자 내의 배아가 습도와 온도 등의 외부 환경이 발아에 적합해졌을 때 지베렐린을 분비하여 호분층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전환시키고 발아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수 많은 효소와 물질들을 합성하게 한다. 이렇게 합성된 효소와 물질은 배젖으로 이동하여 활발하게 생장과 분열을 하는 배아세포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의 물질 중에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 보습 및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원료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및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각질형성세포의 성장촉진효과, 활성산소 소거 효과, MMP-1의 생합성을 감소시켜 타입 1 프로콜라젠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과, 노화방지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 탄력 개선 및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및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및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각질 형성 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 소거 효과, 피부 기질 분해에 관련된 자외선에 의한 MMP-1의 생합성을 감소시켜 타입 1 프로콜라젠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노화 방지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 형성세포 성장 촉진용 조성물, 피부 항산화 증진용 조성물, MMP-1의 생합성 감소를 통합 타입 1 프로콜라젠 생합성 촉진용 조성물, 피부 미백 증진용 조성물,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및 피부 보습 증진용 조성물로서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및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gibberellin)은 식물의 생장과 발아에 관련된 호르몬으로써, 식물에서 줄기의 생장, 과일의 발달 촉진 및 동면의 탈피 등에 관여하고 종자의 발아를 시작하게 하는 최초의 호르몬이다. 종자 내의 배아가 습도와 온도 등의 외부 환경이 발아에 적합해졌을 때 지베렐린을 분비하여 호분층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전환시키고 발아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수많은 효소와 물질들을 합성하게 한다. 이렇게 합성된 효소와 물질들은 배젖으로 이동하여 활발하게 생장과 분열을 하는 배아 세포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지베렐린은 통상적인 분리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 유사체는 식물 처리 시 식물의 길이 생장, 발아 등 지베렐린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 및 전구 단계의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지베렐린 유사체는 관속식물문 및 선태식물문에 해당하는 식물체에서 분리한 지베렐린 화합물족, 자낭균류의 대사산물인 지베렐린 화합물족 및 상업적으로 합성이 가능한 지베렐린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지베렐린 유사체의 구체적인 예는 GA1(지베렐린 A1), GA3, GA4, GA5, GA6, GA15, GA17, 지베렐린산, 지베렐린 메틸에스터, 안세리오겔 및 디테르펜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관속식물문 및 선태식물문에 해당하는 식물체는 쌀(Oryza Sativa L.), 벚나무(Prunus cerasus L.), 감귤류 과일(Citrus Fruits), 소네라티아 아페타라(Sonneratia apetala), 오이(Cucumis sativus), 붉은콩(Phaseolus Multiflorus), 덩굴성 양치식물(Lygodium microphyllum), 리고디움 레티쿨라툼(Lygodium reticulatum) 피스코미트렐라 파텐스(Physcomitrella patens)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자낭균류는 지베렐라 푸지쿠로이(Gibberella fujikuroi), 스파켈로마 마니호티콜라(Sphaceloma manihoticola), 붉은빵곰팡이(Neurospora spp.) 및 파에오스파에리아종(Phaeosphaeria sp.)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베렐린 및 지베렐린 유사체의 대표적인 화합물 구조식은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75890832-pat00001
또한, 상기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포함하고 있는 식물 추출물은 종자 자체에서 또는 종자를 자연적으로 또는 통상적인 발아 방법으로 발아시킨 발아 종자에서 분리한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말한다. 식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는 도인(복숭아종자) 추출물, 쌀 추출물, 보리 추출물, 오이씨 추출물 및 옥수수 추출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및 지베렐린 또는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2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사용감 및 제형의 안정도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천궁(Cnidium officinale)은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40~70㎝이고 향기가 나는 식물로서, 상처치료, 피부 재생 및 향균 작용을 한다. 또한,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나 미백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Umbeliferae)식물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면서 달다. 당귀는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과 피가 원활히 순환하도록 하는 활혈작용이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이 강 하다. 노화방지 및 장의 연동 운동을 조절하여 만성 변비를 제거하고 피부 진정, 소염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쑥(Artemisia asiatica)은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 지혈, 진통, 수렴, 지사, 소염, 이뇨 및 해열 등의 작용을 한다. 그리고 항산화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및 항염 작용을 하고 피부의 재생과 탄력성을 증진시켜 피부의 건강을 유지시킨다.
상기 천궁, 당귀 및 쑥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천궁, 당귀 및 쑥을 각각 건조 분쇄한 후 추출 용매를 넣고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추출 용매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2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사용감 및 제형의 안정도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별개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혼합한 생약 추출물에서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그 효과 및 화장료로서의 적용을 고려하여 1:1:1~10:1:1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각질 형성 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 소거 효과, 피부 기질 분해에 관련된 자외선에 의한 MMP-1의 생합성 감소를 통한 타입 1 프로콜라젠 생합성 촉진 효과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 형성세포 성장 촉진용 조성물, 피부 항산화 증진용 조성물, MMP-1의 생합성 감소를 통합 타입 1 프로콜라젠 생합성 촉진용 조성물, 피부 미백 증진용 조성물,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및 피부 보습 증진용 조성물로서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예로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 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및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또는 분무제 등과 같은 제형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각질형성세포 성장촉진(MTT assay) 효과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과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의 성장능에 미치는 효과를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지베렐린 A3와 지베렐린산은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에서 구입하고, 도인추출물은 바이오랜드사(Bioland,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바이오랜드사(Bioland, 대한민국)에서 구입하고 각 추출물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각질형성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 당 200㎕ 당 5*103 개 농도로 심어서 24시간 배양한 후,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추출물을 각각 0.001, 0.01 및 0.1%로 처리하고,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을 각각 10% 농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흡입하여 제거한 후, PBS로 1회 세척하고 MTT(Methylthiazolyl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0.5㎎/㎖)용액을 100㎕씩 세포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흡입하여 제거한 다음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 200㎕를 첨가하고, 쉐이커(shaker)에서 10분간 흔들어 준 후 ELISA 리더(reader)(DIbiotech, Korea)로 540㎚에서의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 무처리군과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무처리군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0% 10%
지베렐린 A3 0.001% 135 192
0.01% 136 243
0.1% 143 276
지베렐린산 0.001% 125 175
0.01% 126 198
0.1% 138 227
도인(복숭아종자)추출물 0.001% 148 188
0.01% 152 224
0.1% 162 250
무처리대조군 0% 100 12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은 모두 각질형성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 혼합액을 사용하면 각질형성세포 성장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성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각질형성세포의 분열을 촉진하는 효과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시험예 2] 활성산소 소거효과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 즉, 활성산소의 소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독일 암연구센터의 퓌세니그 박사(Dr. Fusenig)로부터 분양 받은 인간 각질세포 HaCaT 세포주(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로서 이를 형광측정용 96 웰 블랙 플레이트(well black plate)에 웰당 2.0*104개로 분주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BS 10%, Gibco,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 일간 배양한 후, 생약추출물의 혼합액 10%와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추출물을 각각 0.5, 0.25, 0.125, 0.0625 및 0.03125% 농도로 처리하였다.
다음, 시험시료를 넣고 24 시간 배양한 후 HCSS(HEPES-buffered control salt solution, Gibco, USA)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HCSS에 20μM로 준비된 DCFH-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USA)를 100㎕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0분간 배양하고 HCSS로 세척하였다. 각 시료 농도별로 처리된 HCSS를 100㎕ 가한 후 초기에 활성산소로 산화된 DCF(dichlorofluorescein)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nm, Em=530nm)로 측정하였다. 이후 UVB(30mJ/cm2)를 조사하고 처리직후(표 2) 및 처리 3시간 후(표 3)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nm, Em=530nm)로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 무처리군과 생약 추출물 혼합액의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농도(%)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0% 10%
지베렐린 A3 0.03125% 84.82 77.26
0.0625% 84.02 76.93
0.125% 82.11 74.22
0.25% 80.10 71.43
0.5% 79.95 70.84
지베렐린산 0.03125% 87.56 77.84
0.0625% 85.84 77.00
0.125% 84.09 74.93
0.25% 82.88 72.93
0.5% 80.04 72.32
도인(복숭아종자)추출물 0.03125% 88.03 80.82
0.0625% 86.37 79.87
0.125% 84.09 78.01
0.25% 82.46 76.93
0.5% 81.00 75.56
무처리대조군 0% 100 98
농도(%)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0% 10%
지베렐린 A3 0.03125% 79.93 70.83
0.0625% 77.29 65.96
0.125% 75.98 62.02
0.25% 72.79 60.21
0.5% 69.01 59.43
지베렐린산 0.03125% 81.11 71.19
0.0625% 79.43 69.01
0.125% 77.84 66.78
0.25% 73.07 62.59
0.5% 71.91 60.22
도인(복숭아종자)추출물 0.03125% 80.54 70.22
0.0625% 76.09 68.75
0.125% 73.35 65.97
0.25% 71.69 63.22
0.5% 70.12 61.23
무처리대조군 0% 100 92
상기 표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은 모두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 혼합액을 사용하면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더욱 증가하였고, 각각의 성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산소 생성의 억제 효과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시험예 3]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측정 방법으로 1,1-디페닐-2-피크릴-2-히드라질(1,1-Diphenyl-2-pycryl-Hydrazyl; DPPH)법을 사용하였으며, 1,1-디페닐-2-피크릴-2-히드라질 시약은 미국 시그마社(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 시약은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 존재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을 확인하는데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시험관적 방법이다.
DPPH 측정에 사용된 상기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을 5.0, 1.0, 0.1 및 0.01%의 농도로,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은 10% 농도로 96 well plate에 넣고, 5mM 에탄올 용액으로 제조된 DPPH를 총 부피가 200㎕가 되도록 하여 37℃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20nm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관찰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을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 100 - (B / A)100
A: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웰의 흡광도
B: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 웰의 흡광도
농도(%)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0% 10%
지베렐린 A3 0.01% 21.9 33.1
0.1% 36.7 54.2
1% 55.2 85.6
5% 83.0 97.2
지베렐린산 0.01% 10.8 29.8
0.1% 26.6 42.9
1% 54.2 75.2
5% 73.0 91.2
도인(복숭아종자)추출물 0.01% 15.3 26.6
0.1% 31.9 50.6
1% 59.3 79.1
5% 76.8 95.0
무처리대조군 0% 0 8.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은 모두 자유라디칼을 소거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 혼합액을 사용하면 자유라디칼을 소거하는 효과도 더욱 증가하였고, 각각의 성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시험예 4] 사람 세포주의 항산화 방어물질 활성증가효과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으로 150*150 culture plate에 6.0*106개로 분주하고 1일간 배양한 후,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을 5.0%, 1.0% 및 0.1% 농도로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은 10% 농도로 시험 시료에 처리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Life Technologues社) 배지를 사용하고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척용으로 1*PBS buffered saline(Sigma Co.)을 사용하였다. 시험시료를 넣고 1일간 배양한 후 UVB를 30mJ/cm2의 세기로 처리하고 37℃, 5% CO2조건에서 1일간 배양한 후 수확하여 항산화 방어인자 측정에 사용하였다. 측정하는 항산화 방어인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catalase) 및 글루타치온 (glutathione, GSH)이며, 그 측정방법으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는 McCord의 방법(J. Biol. Chem. 1969; 244: 6049-6055), 카탈라아제는 Budhuin의 방법(Biochem. J. 1964; 92: 179-184), 글루타치온은 Akerboom의 방법(Methods in Enzymology 1981; 77 : 373-38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항산화 방어인자 회복 효과는 UVB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의 활성을 100%로 환산하여 이 값과 비교한 활성을 %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농도%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0% 10%
SOD 카탈라아제 GSH SOD 카탈라아제 GSH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UVB 처리군 45.5 67.2 62.5 49.2 70.3 71.1
지베렐린 A3 0.1% 50.9 65.2 63.1 77.0 80.1 76.9
1% 68.3 72.1 79.2 90.6 91.2 89.3
5% 78.9 79.8 90.1 96.2 96.1 95.8
지베렐린산 0.1% 42.3 64.9 60.2 50.4 70.6 65.7
1% 65.4 71.1 73.1 77.0 76.4 79.2
5% 66.1 77.6 81.2 80.0 80.0 92.1
도인(복숭아종자)추출물 0.1% 45.6 67.8 61.9 53.0 69.9 72.2
1% 69.4 71.1 78.8 71.5 77.6 85.4
5% 72.6 77.3 88.6 83.2 79.5 94.0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은 모두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회복시켜줌으로써 항산화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 혼합액을 사용하면 항산화 방어인자의 활성을 회복시키는 효과도 더욱 증가하였고, 각각의 성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시험예 5] MMP-1 및 프로콜라젠 분석 (procollagen assay)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과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의 MMP-1의 생합성 감소 및 타입 1 프로콜라겐의 생합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MP-1 및 프로콜라겐 분석(procollagen assay)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정상표피의 지방층을 제거하고 잘게 잘라 콜라겐아제(collagenase)로 표피와 진피를 분리한 후, 표피와 진피조직을 각각 0.25% 트립신(trypsin) 용액에 넣고 37℃, 5% CO2 배양기에서 1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보텍스(vortex)를 시행하여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각각 유리시켰다. 유리된 세포를 모아 세척한 후 각질형성세포는 KGM(keratinocyte growth medium, Clonetics, USA)에 1*104cells/cm2 농도로 배양하였으며, 섬유아세포는 10% 우태아혈청(FBS)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70~80% 정도 자라면 1:3의 비율로 분주하여 계대 배양하였고, 3-4차 계대 배양한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MMP-1의 양을 측정하는 실험을 위해서 섬유아세포를 48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90% 이상 배양한 후 하루 동안 기아(starvation)상태로 하였다. 이후 PBS로 2회 세척한 다음 PBS를 100㎕씩 넣어준 상태에서 플레이트(plate)의 뚜껑을 열고 자외선 A(UVA filters가 장치된 Dermlight cube 401, UVAtec, USA)를 15J/cm2로 조사하였다. 조사 직후 다시 PBS로 1회 세척하고,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도인추출물 각각 0.001, 0.01% 및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10%가 포함된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DMEM을 넣어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 중에 유리된 MMP-1의 양을 MMP-1 인간 ELISA 시스템(human ELISA system) (RPN2610, Amersham Pharmacia Biotech, UK)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섬유아세포의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표 6). 이 때, 대조군으로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추출물 무처리군과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한편, 프로콜라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MMP-1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기아(starvation)상태로 자외선 조사 없이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도인추출물 각각 0.001, 0.01% 및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10%를 가하고, 24시간 후에 배지 중에 유리된 프로콜라겐의 양을 프로콜라겐 타입-1 C-펩타이드 EIA 키트(procollagen type-1 C-peptide EIA kit) (MK101,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표 7). 이 때, 대조군으로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추출물 무처리군과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농도(%)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0% 10%
지베렐린 A3 0.001% 70 65
0.01% 66 51
지베렐린산 0.001% 77 74
0.01% 72 61
도인(복숭아종자)추출물 0.001% 79 70
0.01% 66 54
무처리대조군 0% 100 99
농도(%)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0% 10%
지베렐린 A3 0.001% 107 135
0.01% 115 144
지베렐린산 0.001% 117 123
0.01% 125 135
도인(복숭아종자)추출물 0.001% 109 127
0.01% 125 137
무처리대조군 0% 100 103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은 모두 MMP-1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 혼합액을 사용하면 MMP-1억제 효과도 더욱 증가하였고, 각각의 성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MMP-1의 양이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및 도인 추출물은 모두 타입 1 프로콜라젠의 생합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 혼합액을 사용하면 타입 1 프로콜라젠의 생합성의 촉진 효과도 더욱 증가하였고, 각각의 성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성된 프로콜라젠의 양이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함량: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1. 비즈왁스 2 2 2 2 2 2 2 2
2. 스테아릴알코올 3 3 3 3 3 3 3 3
3. 스테아린산 8 8 8 8 8 8 8 8
4. 스쿠알렌 10 10 10 10 10 10 10 10
5.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3 3 3 3 3 3 3
6.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1 1 1 1 1 1 1 1
7.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8.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9. 프로필렌글리콜 4 4 4 4 4 4 4 4
10. 트리에틸아민 1 1 1 1 1 1 1 1
11.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2 0.2 0.2 0.2 0.2 0.2 0.2 0.2
1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3. 지베렐린 A3 5 - - - - - - -
14. 지베렐린산 - 5 - - - - - -
15. 도인추출물 - - 5 5 5 5 - -
16. 천궁추출물 - - - 5 - - - -
17. 당귀추출물 - - - - 5 - - -
18. 쑥추출물 - - - - - 5 - -
16.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을 혼합한 생약 추출물 10 10 10 - - - - 10
17. 카보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성분 1~7을 65~75℃로 가열 용해하여 유상파트를 제조하였다.
2) 성분 8~12를 65~75℃로 가열 용해하여 수상파트를 제조하였다.
3) 상기 2)를 교반하면서 상기 1) 및 성분 17을 서서히 첨가하고 7000~8000rpm에서 5분 동안 유화시켜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4) 45℃까지 냉각한 후 성분 13~16을 첨가하고 1500rpm에서 1분 동안 분산시켜 제조하였다.
[시험예 7] 주름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주름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0대 여성 140명을 각각 20명씩 7조로 나누어,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지정된 눈가 부위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 재질의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여 지정 부위의 주름의 상태를 화상분석기인 비지오미터(visiometer: SV6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 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8주 후의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 값에서 8주 전 파라미터 값을 뺀 수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즉, 이 값이 음수가 나올수록 주름 개선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R1 R2 R3 R4 R5
실시예1 -0.23 -0.20 -0.12 -0.09 -0.08
비교예1 0.28 0.26 0.22 0.04 0.03
비교예2 -0.10 -0.09 -0.05 -0.05 -0.03
R1: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들의 평균
R3: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 주름 등고선의 기선(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평균값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지베렐린 A3 및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은 모든 항목에서 큰 음수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8] 피부 장벽기능 회복효과
상기 실시예 1~3의 피부 장벽기능 회복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무모생쥐(hairless mouse)의 피부에 아세톤을 반복적으로 도포하여 장벽기능을 손상시킨 후, 표피수분 손실량(TEWL, transdermal water loss)을 servomed사(스웨덴) evaporimeter EP1으로 측정하여 4.0g/㎡/h에 도달하면,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를 5㎠ 면적에 도포하고 1, 2, 4 및 8시간 경과 후 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장벽 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통상의 지질혼합물(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의 2:1:1 혼합물)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초기 손상된 장벽 상태에서의 표피 수분 손실량을 100%으로 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시료 표피수분 손실량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8시간 후
실시예1 56 47 35 26
실시예2 69 60 48 39
실시예3 60 55 40 30
비교예1 89 80 76 72
비교예2 77 69 62 59
지질혼합물 64 44 37 25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보다 표피수분 손실량이 적었으며, 양성 대조군인 지질혼합물보다도 우수한 피부장벽기능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9] 인체에서의 보습효과 검정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녀 60명을 5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를 제공하고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2주 및 4주가 경과한 시점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TEWL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코니오미터(corneometer)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 Trans Epidermal Water Loss(TEWL) 측정 방법 >
원리: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량을 온도와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한다.
1. 환경조건: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측정자와 피검자외에 최소한의 인원만 남긴다. (가급적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2. TEWL probe를 피검자의 측정부위에 올려놓는다.
3. Probe를 측정부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피부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가볍게 올려놓고 지면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4.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의 TEWL수치가 일정해지는 값을 측정한다. (1~3분 소요)
5. Probe의 손잡이는 가급적 멀리 잡아서 측정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6. 면적당 시간당 증발하는 수분량(g/m2/h)을 계산한다.
하기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TEWL 변화값(수분 증발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코니오미터 측정방법 >
원리: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한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의 probe를 올려놓는다.
2. Probe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3. 측정부위를 달리 하여, 측정을 반복한다.
4. 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로 센서를 닦은 후에 다시 측정한다.
하기 도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지베렐린 A3, 지베렐린산 또는 도인 추출물과 함께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이 비교예 1~2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부에서의 수분량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로써 실시예 1~3의 보습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시험예 10] 사용성 평가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 녀 96명을 8개조로 나누고 각 조에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를 제공하여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4주 동안 사용하고 난 다음 사용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응답자 수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1 5 6 1 0
실시예2 4 7 3 0
실시예3 3 6 3 0
실시예4 2 4 6 0
실시예5 2 4 5 0
실시예6 2 5 5 0
비교예1 0 2 8 2
비교예2 1 3 7 1
상기 표 1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실시예 1~6을 바른 사람은 비교예 1~2를 바른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가 더 우수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현탁유액 화장수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현탁유액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
메칠파라벤
향료
세틸옥타노에이트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폴리실록산
초산토코페롤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지베렐린유사체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정제수
적량
적량
1.0
0.6
0.4
0.1
12.0
6.0
2.0
0.12
1.5
50
TO 100
[제형예 2] 에센스
하기 표 13의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
메칠파라벤
향료
세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스-16
콜레스-24/세테스-24
폴리실록산
초산토코페롤
에탄올
글리세린
산탄검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지베렐린유사체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정제수
적량
적량
1.0
0.5
0.2
0.4
0.1
6.0
15.0
0.07
4.0
0.12
6.0
50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14의 조성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
유동파라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밀납
폴리실록산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 E.O)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
세틸옥타노에이트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향료
에칠렌다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글리세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프로필렌글리콜
은행잎추출물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정제수
15.0
2.0
3.0
0.5
2.0
2.0
1.5
1.3
2.0
1.0
0.2
0.1
적량
0.02
5.0
0.10
2.0
6.0
10
TO 100
[제형예 4] 젤
하기 표 15의 조성으로 젤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
방부제
향료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틸옥타노에이트
글리세린
호호바왁스
디엘판텐놀
에탄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프로필렌글리콜
지베렐린유사체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정제수
적량
적량
1.5
1.0
5.0
3.0
1.0
7.0
0.6
3.0
3.0
50
TO 100
[제형예 8] 팩
하기 표 16의 조성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
메칠파라벤
향료
세틸옥타노에이트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폴리실록산
셀룰로오스검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지베렐린유사체
생약 추출물의 혼합액
정제수
적량
적량
1.0
0.6
0.2
0.2
6.0
5.0
3.0
15.0
3.0
20
TO 10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보습력을 경피수분손실(TEWL)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피부 수분량을 코니오미터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Claims (14)

  1.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지베렐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물이 혼합된 생약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지베렐린 유사체는 GA1(지베렐린 A1), GA3, GA4, GA5, GA6, GA15, GA17, 지베렐린산, 지베렐린 메틸에스터, 안세리오겔 및 디테르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용, 피부 미백용, 피부 노화 방지용, 또는 피부 보습용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베렐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또는 상기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이 도인추출물, 쌀 추출물, 보리추출물, 오이씨추출물 및 옥수수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지베렐린, 지베렐린 유사체, 지베렐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지베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에서 천궁추출물, 당귀추출물 및 쑥추출 물을 1:1:1~10: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80107824A 2008-10-31 2008-10-31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1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824A KR101561235B1 (ko) 2008-10-31 2008-10-31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824A KR101561235B1 (ko) 2008-10-31 2008-10-31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592A KR20100048592A (ko) 2010-05-11
KR101561235B1 true KR101561235B1 (ko) 2015-10-19

Family

ID=4227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824A KR101561235B1 (ko) 2008-10-31 2008-10-31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4158A (zh) * 2018-08-01 2018-10-30 广东省林业科学研究院 无瓣海桑果实在制备防治化学性肝损伤药物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2334A1 (en) * 2011-05-10 2012-11-14 Cutech S.R.L.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diterpenoic acids, e.g. gibberellic acids
CN103891578B (zh) * 2014-03-26 2017-02-01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一种非宜林滩涂乡土红树林防护林的构建和营造方法
KR101441986B1 (ko) * 2014-07-11 2014-09-24 주식회사 포이엔 농업용 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052A (ja) * 2001-01-15 2002-07-31 Hajime Ito 外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052A (ja) * 2001-01-15 2002-07-31 Hajime Ito 外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4158A (zh) * 2018-08-01 2018-10-30 广东省林业科学研究院 无瓣海桑果实在制备防治化学性肝损伤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592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61235B1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432225A (zh) 一种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73284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52548B1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5797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9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2215A (ko) 산딸기 열매의 추출방법 및 그 씨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