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839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839A
KR20120038839A KR1020100100519A KR20100100519A KR20120038839A KR 20120038839 A KR20120038839 A KR 20120038839A KR 1020100100519 A KR1020100100519 A KR 1020100100519A KR 20100100519 A KR20100100519 A KR 20100100519A KR 20120038839 A KR20120038839 A KR 20120038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ver
fluid discharge
discharge pat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890B1 (ko
Inventor
용석필
Original Assignee
용석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석필 filed Critical 용석필
Priority to KR102010010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8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1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3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manually adjusted while the damper is fully retracted or extended in a non-operational mode by rotating mechanical means that have engaged between the piston and one end of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6Adjustment of valve bias or pre-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유체 압력을 이용한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압과정에서 유체의 이동경로를 개선함에 따라 유체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체크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밀폐효율 및 작동과정에서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커버와 비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조절다이얼을 통해 유체이동량을 조절함에 따라 유체 이동량 조절 과정에서 발생되는 커버 내벽면의 마모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다이얼의 유체배출로 구조를 개선하여 유체배출량 조절범위를 기존에 비해 넓힐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정밀한 완충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기{SHOCK ABSORBER}
본 발명은 내부의 유체압력을 이용해 외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을 완화시키는 실린더형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충장치는 생산라인에서 생산품의 이동 중 생산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거나 운동기구의 중량제어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실린더 구조, 즉 커버 내에 오일과 같이 점성이 큰 유체가 수용되고 커버로부터 실린더로드가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구조에서 외부로부터 피스톤로드에 힘이 가해졌을 때 피스톤로드가 눌려지는 과정에서 내부의 유체이동에 의한 압력변화로 인해 피스톤로드의 이동속도가 감소되면서 완충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완충기는 적용분야에 따라 완충력이 달리 설정되어야 하는데, 예를들어 큰 하중이 실린더로드에 가해지는 생산라인에서는 그만큼 내부의 유체의 압력변화가 서서히 진행되도록 하여 큰 완충력을 얻도록 해야 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이 실린더로드에 가해지는 생산라인에서는 내부의 유체압력변화가 빨리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종래기술 중 조절다이얼을 회전시켜 배출구 구조 변화에 의해 오일통과량이 변화되어 완충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조절다이얼의 외주면이 커버의 내벽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시 조절다이얼과 커버가 마모되어 마모된 틈새를 통해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편심구간의 형성구간이 약 180도로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통과량 조절범위가 크지 못해, 그만큼 완충력의 미세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유체가 조절다이얼을 통과하는 과정 및 체크밸브에 의해 이동이 제어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유체가 조절다이얼을 통과하는 과정 및 체크밸브의 개폐과정에서 발생되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에 비해 완충력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고 커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완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일측이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체회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엔드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유체회수로와 연결되는 제1유체압축공간이 형성된 이너튜브, 상기 이너튜브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체압축공간과 연결되는 제1유체압축공간을 갖는 피스톤, 상기 이너튜브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 상기 제1유체압축공간과 연결되는 제1유체배출로 및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연결되는 제2유체배출로를 갖는 로드커버, 그리고 상기 로드커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연결되는 유체수용공간 및 상기 유체수용공간과 상기 제2유체배출로를 연결하는 제3유체배출로를 갖는 조절다이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다이얼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상기 유체수용공간은 상호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상기 제2유체배출로는 상하 수평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유체배출로는 상기 조절다이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끝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유체배출로는 상기 조절다이얼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끝쪽으로 갈수록 깊이가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유체배출로의 양단부 간 각도는 상기 조절다이얼의 중심을 기준으로 270도 내지 350도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튜브 외주면과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유체배출로 및 상기 유체회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유체이동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회수로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크밸브는 유체회수로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과 유체회수로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체압축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제2유체압축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볼 및 상기 개폐볼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피스톤의 압축에 의해 이동되는 유체가 수직연결구조의 제1유체배출로와 유체수용공간 및 제2유체배출로를 지남과 동시에 조절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이동량이 조절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유체이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체크밸브의 개폐판이 개폐과정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판과 엔드커버 간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커버와 접촉 설치된 로드커버가 회전되지 않고 별도의 조절다이얼이 회전되기 때문에 커버의 마모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2유체배출구가 조절다이얼 둘레를 따라 33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폭 또는 깊이, 아니면 폭과 깊이가 동시에 변화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유체통과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 는 반대쪽 방향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3은 조절다이얼 중 제2유체배출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4는 제2유체배출구의 깊이변화를 나타낸 개략도
도5및 도6은 외부하중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눌려지면서 내부 유체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완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커버(100)와 엔드커버(200), 제1체크밸브(300), 이너튜브(400), 어큐뮬레이터(500), 이터튜브 가이드(600), 피스톤(700), 피스톤로드(800), 제2체크벨브(900), 로드커버(1000) 및 조절다이얼(1100)을 포함한다.
먼저 커버(100)는 완충기의 외부 케이스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중공관 구조, 즉 양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엔드커버(200)과의 결합을 위한 제1나사부(120)가 형성되고 타단부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로드커버(1000)와의 결합을 위한 제2나사부(13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100)에는 엔드커버(200)가 설치된다.
엔드커버(200)는 커버(100)의 캡 역할 및 압축해제 과정에서 유체의 회수 경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원형판재 형태의 엔드캡(210) 일측면 중앙에 돌출로드(220)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엔드커버(200)는 돌출로드(220)가 커버(100)의 설치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엔드캡(210)의 제3나사부(212)가 커버(100)의 제1나사부(120)에 나사 체결되어 커버 단부를 막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돌출로드(220)단부에는 유체회수로(230)가 형성되는데, 유체회수로(230)는 돌출로드(220)단부 중앙에 형성된 유체배출공(232) 및 상기 유체배출공(232)과 연결된 상태로 돌출로드(220) 외주면에 형성된 유체유입공(2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엔드커버(200)에는 제1체크밸브(300)가 설치된다.
제1체크밸브(300)는 압축 및 압축해제과정에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개폐판(310)과 제1탄성부재(330) 및 완충부재(320) 포함한다.
개폐판(310)은 유체배출공(232)의 실질적인 개폐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유체배출공(232) 입구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완충부재(320)는 개폐판(310)의 개폐과정에서 돌출로드(220)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오일링 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개폐판(310)중 유체배출공(232)을 바라보는 면 상에 위치된다.
이때 완충부재(320)는 유체배출공(2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개폐판(310)이 유체배출공(232)을 막았을 때 유체배출공(232)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테두리 상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330)는 개폐판(310)의 개폐과정에서 안정적인 작동 및 추가적인 완충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코일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엔드커버(200) 및 제1체크밸브(300)가 설치된 커버에는 이너튜브(400)가 더 설치된다.
이너튜브(400)는 유체의 수용 및 최초 압축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단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제1유체압축공간(41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너튜브(400)는 일단부에 엔드커버(200)의 돌출로드(220)가 삽입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제1체크밸브(300)가 개방되었을 때 유체회수로(230)와 제1유체압축공간(41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이너튜브(400)가 설치된 커버(100)에는 어큐뮬레이터(500)(accumulator)가 설치된다.
어큐뮬레이터(500)는 후술하는 유체의 압축과정에서 이동된 유체가 임시 저장되는 기능 및 압축해제 시 유체의 공급기능을 하는 것으로 역시 단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너튜브(400)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 즉 이너튜브(400)가 내부에 삽입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어큐뮬레이터(500)의 외경은 커버(100)의 내경보다 작게 제작되어 어큐뮬레이터(500) 외주면과 커버(100) 내주면 사이에 제1유체이동로(140)가 형성된다.
이렇게 어큐뮬레이터(500)와 연결된 이너튜브(400)에는 이너튜브가이드(600)가 더 설치된다.
이너튜브가이드(600)는 압축과정에서 유체가 후술하는 로드커버(1000)의 제1유체배출로(1050)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 링형태이고 이너튜브(400)의 타단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이너튜브가이드(600) 까지 설치된 이너튜브(400)에는 피스톤(700)이 설치된다.
피스톤은 유체의 실질적인 압축기능을 하는 것으로, 외경이 이너튜브(400)의 제1유체압축공간(4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 블록 형태이고 일측면에는 결합홈(710)이 형성되며 반대쪽 면에는 결합홈(710)과 연결되는 유체유입구(7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700)의 외주면 상에는 압축과정에서 유체의 불필요한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오일링(730)이 이너튜브(400)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피스톤(700)에는 피스톤로드(800)가 연결된다.
피스톤로드(800)는 외부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부분으로, 단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부가 커버 중 엔드커버(200)가 설치된 쪽과 반대되는 단부에 삽입된 후 단부가 피스톤(700)의 결합홈(710)에 나사 체결된다.
이때 피스톤로드(800) 중 피스톤(700)과 연결된 단부에는 홈 형태의 제2유체압축공간(810)이 형성되어 피스톤(700)의 유체유입구(720)와 연통되며 피스톤로드(800) 외주면에는 유체배출공(820)이 제2유체압축공간(810)과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800)는 이너튜브(4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어 피스톤로드(800) 외주면과 이너튜브(400)외주면 사이에는 제2유체이동로(420)가 형성된다.
이러한 피스톤로드(800)에는 제2체크밸브(900)가 설치된다.
제2체크밸브(900)는 압축과정에서 제1유체압축공간(410)으로부터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경로 확보 및 압축해제 과정에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개폐볼(910)과 제2탄성부재(920)를 포함한다.
개폐볼(910)은 제2유체압축공간(810)의 실질적인 개폐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볼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유체압축공간(810)내에 위치되어 피스톤(700)의 유체유입구(720)를 차단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탄성부재(920)는 개폐볼(910)의 자동복귀 및 이동거리 제어를 위한 것으로, 제1탄성부재(330)와 마찬가지로 코일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유체압축공간(810)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개폐볼(910)과 접촉되고 타단부는 제2유체압축공간(810) 내벽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100)에는 로드커버(1000)가 설치된다.
로드커버(1000)는 제2유체압축공간(810)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를 후술하는 조절다이얼(1100)로 유도함과 동시에 유체의 최종배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커버의 제2나사부(130)에 나사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800)가 로드커버(1000)의 관통구(1010)를 관통한 상태로 이너튜브(400)내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로드커버(1000) 일측에는 이너튜브가이드(600)가 끼워지는 삽입홈(1020)이 형성되어 이너튜브 가이드(600)와 결합 설치되며 상부에는 설치홈(1030)이 피스톤로드(800)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설치홈(1030)의 하단 일측에는 제2유체이동로(420)와 연결되는 제1유체배출로(1050)가 연결되고, 설치홈(1030) 상단 일측에는 제1유체이동로(420)와 연결되는 제2유체배출로(1040)가 제1유체배출로(1050)와 수평 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로드커버(1000)에는 조절다이얼(1100)이 설치된다.
조절다이얼(1100)은 유체의 실질적인 배출량 조절기능을 갖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단순 봉 형태이고 내부에는 유체수용공간(1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회전레버(1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절다이얼(1100)은 설치홈(10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 중 유체수용공간(1110) 상측에는 제1유체배출로(1050)와 연결된 제3유체배출로(1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제2유체배출로(1040)와 연결된 제4유체배출로(113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유체배출로(1120)는 단순 원형 구멍 형태인 제4유체배출로(1130)와 달리 조절다이얼(1100) 외주면 둘레를 따라 레일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3유체배출로(1120)의 형성길이는 조절다이얼(1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약 270도 내지 350도 각도 범위를 갖도록 형성된다.
만일 270도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3유체배출로의 폭 또는 깊이가 급현하게 되므로 정밀한 유량 제어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35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압이 집중되는 상황이 반복됨으로써 제2유체배출로 주변의 파손이 쉽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3유체배출로(1120)는 어느 쪽 끝으로 갈수록 폭(w)과 깊이(h)가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폭과 깊이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줄어들거나 폭과 깊이가 함께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조절다이얼(1100)은 설치홈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조절다이얼(1100)의 회전과정에서 제1유체배출로(1050)와 일치되는 제3유체배출로(1120)의 폭(w) 및 깊이(h)가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유체의 통과량도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완충기 중 이너튜브(400)의 제1유체압축공간(410)에는 오일과 같은 유체가 채워진다.
그리고 조절다이얼(1100) 중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외부에서 조절다이얼(1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레버(1200)가 결합된다.
이때 회전레버(1200)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볼트 단부가 조절다이얼 표면을 가압한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로드(800)에 가압하중이 가해지면 [도 4] 과 같이 피스톤로드(800)가 눌려지면서 피스톤(700)이 직선이동한다.
이렇게 피스톤(70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유체압축공간(410)내 유체가 가압됨에 따라 개폐판(310)이 이동하여 유체배출공(232)을 차단함에 따라 유체가 유체배출공(232)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때 이때 완충부재에 의해 개폐판(310)과 돌출로드(220)간 직접적인 충돌이 방지되므로 충돌로 인한 소음이 방지된다.
이렇게 개폐판(310)이 이동함에 따라 제1탄성부재(330)가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제1유체압축공간(410)내 유체는 피스톤(700)의 유체유입구(720)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폐볼(910)이 뒤쪽으로 이동되면서 유체유입구(720)가 개방되고 개폐볼(910)의 이동에 의해 제2탄성부재(920)가 압축된다.
이렇게 유체유입구(720)가 개방됨에 따라 유체가 유체유입구(720)를 통해 제2유체압축공간으로 유입된 후, 제2유체이동로(420)를 따라 이동하다가 로드커버(1000)의 제1유체배출로(1050)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조절다이얼(1100)의 제3유체배출로(1120)를 통해 유체수용공간(1110)으로 유입된다.
그 후 유체는 제4유체배출로(1130)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제2유체배출로(1040)를 따라 이동한 후 제1유체이동로(140)로 이동되어 어큐뮬레이터(500)에 함침 된다.
이렇게 피스톤로드(800)가 눌려지는 순간 이너튜브(400) 내부에서는 유체압력에 의해 피스톤로드(800)의 가압력과 대응되는 대응력이 발생되고, 유체가 제1 내지 제4배출로(1050)(1040)(1120)(113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대응력이 서서히 줄어듬에 따라 피스톤로드(800)의 이동속도가 서서히 줄어들면서 완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1내지 제4유체배출로상호 수직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연결됨에 따라 기존 유체통과 과정에서 발생되던 소음이 방지된다.
만약 완충력의 늘리고자 할 경우, 즉 제4유체배출로(1130)의 오일 배출량을 줄이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회전레버(1200)를 돌리면 조절다이얼(1100)이 회전되면서 제1유체배출로(1050)와 연통된 제3유체배출로(1120)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오일이 제3유체배출로(1120)를 통해 배출되는 속도가 저하되므로 그만큼 완충력이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완충력을 줄이고자 할 경우 회전레버(1200)를 반대로 돌리면 조절다이얼(1100)이 반대로 회전되면서 제1유체배출로(1050)와 연통된 제3유체배출로(1120)의 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그만큼 제3유체배출로(1120)로 오일이 빨리 빠져나가므로 그만큼 완충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제3유체배출로(1120)의 형성구간이 기존에 비해 훨씬 긴 270도 내지 350도 구간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기존에 비해 오일통과양의 조절범위가 넓어지므로, 그만큼 완충력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유체 이동량을 조절 함에 있어 로드커버(1000)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의 조절다이얼(1100)이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절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발생되던 커버(100)의 마모현상도 방지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의 하중이 반대쪽으로 작용되어 피스톤로드가 외부로 인출되면 피스톤(700)이 반대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제1유체압축공간(410)의 압력이 줄어듬에 따라 어큐뮬레이터(500)에 함침되어 있는 유체가 배출되면서 유체회수로(230)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체회수로(230)로 유입된 유체압력에 의해 개폐판(310)이 반대로 이동하여 유체배출구(232)를 개방하게 됨에 따라 유체가 유체배출구(232)를 통해 배출되어 다시 제1유체압축공간(410)에 채워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커버 110: 설치공간
120: 제1나사부 130 : 제2나사부
200 : 엔드커버 210 : 엔드캡
220 : 돌출로드 212 : 제3나사부
230 : 유체회수로 234 : 유체유입공
232 : 유체배출공 300 : 제1체크밸브
310 : 개폐판 320 : 완충부재
330 : 제1탄성부재 400 : 이너튜브
410 : 제1유체압축공간 500 : 어큐뮬레이터
600 : 이터튜브 가이드 140 : 제1유체이동로
700 : 피스톤 710 : 결합홈
720 : 유체유입구 730 : 오일링
800 : 피스톤로드 810 : 제2유체압축공간
820 : 유체배출공 420 : 제2유체이동로
900 : 제2체크밸브 910 : 개폐볼
920 : 제2탄성부재 1000 : 로드커버
1010 : 관통구 1020 : 삽입홈
1030 : 설치홈 1050 : 제1유체배출로
1040 : 제2유체배출로 1100 : 조절다이얼
1110 : 유체수용공간 1120 : 제3유체배출로
1130 : 제4유체배출로 1200 : 조절다이얼

Claims (11)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체회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엔드커버,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회수로와 연결되는 제1유체압축공간을 갖는 이너튜브,
    상기 이너튜브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유체압축공간과 연결된 제1유체압축공간을 갖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튜브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로드,
    상기 제1유체압축공간과 연결되는 제1유체배출로 및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연결되는 제2유체배출로를 갖는 로드커버, 그리고
    상기 로드커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연결되는 유체수용공간 및 상기 유체수용공간과 상기 제2유체배출로를 연결하는 제3유체배출로를 갖는 조절다이얼
    을 포함하는 완충기.
  2. 제1항에서,
    상기 조절다이얼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3. 제1항에서,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상기 유체수용공간은 상호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완충기.
  4. 제3항에서,
    상기 제1유체배출로와 상기 제2유체배출로는 상하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완충기.
  5. 제1 항에서,
    상기 제3유체배출로는,
    상기 조절다이얼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끝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완충기.
  6. 제1항에서,
    상기 제3유체배출로는,
    상기 조절다이얼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끝쪽으로 갈수록 깊이가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완충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제3유체배출로의 양단부 간 각도는 상기 조절다이얼의 중심을 기준으로 270도 내지 350도 인 완충기.
  8. 제1항에서,
    상기 이너튜브 외주면과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9. 제8항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유체배출로 및 상기 유체회수로와 연결되어 있는 유체이동로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10. 제9항에서,
    상기 유체회수로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체크밸브는 유체회수로를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과 유체회수로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11. 제8항 또는 제 10항에서,
    상기 제2유체압축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제2유체압축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볼 및 상기 개폐볼에 연결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KR1020100100519A 2010-10-14 2010-10-14 완충기 KR101197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19A KR101197890B1 (ko) 2010-10-14 2010-10-14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19A KR101197890B1 (ko) 2010-10-14 2010-10-14 완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39A true KR20120038839A (ko) 2012-04-24
KR101197890B1 KR101197890B1 (ko) 2012-11-05

Family

ID=4613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519A KR101197890B1 (ko) 2010-10-14 2010-10-14 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83A (ko) * 2020-08-11 2022-02-18 용정현 속도 조절용 댐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91B1 (ko) 2012-12-20 2014-11-21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완충기
KR102217380B1 (ko) * 2019-11-15 2021-02-18 주식회사 노아 엑츄에이션 배관 지지용 안정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305Y1 (ko) 2003-01-24 2003-04-21 용석필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실린더형 완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83A (ko) * 2020-08-11 2022-02-18 용정현 속도 조절용 댐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890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629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sensitive suspension damping
US10294859B2 (en) Length-adjustable connecting rod
RU2408804C2 (ru) Амортизатор
CN105020203B (zh) 一种内置气动缓冲装置的高速气缸
RU2608985C2 (ru) Двухштоковый амортизатор
KR101197890B1 (ko) 완충기
KR20160119820A (ko) 실린더 장치
US20090065316A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bicycle front fork
US7003847B2 (en) Door closer
US20170370437A1 (en) A variable damping shock absorber
CN211778711U (zh) 一种可控减震器
CN109654086A (zh) 一种高频受载液压缸
CN109778674A (zh) 一种无极调节间隙式粘滞阻尼器及其使用方法
CN1280555C (zh) 减震器
CN105179561A (zh) 单活塞行程感应式阻力变化阻尼结构
KR20020049528A (ko) 쇽업소버
CN205954905U (zh) 拉索幕墙减震保护器
CN108547826A (zh) 一种内置气液混合缓冲伸出型高速气缸
CN203176453U (zh) 一种用于止回阀的缓闭装置
KR100766853B1 (ko) 차고 조절용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 및 그 가공방법
WO2014050204A1 (ja) ドアクローザ
CN202220898U (zh) 用于阀门的液压缓冲装置
CN214943448U (zh) 一种液压缓冲门轴
KR101263325B1 (ko) 완충기
CN207245461U (zh) 闭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