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284A - 필터섬프 - Google Patents

필터섬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284A
KR20120038284A KR1020100099961A KR20100099961A KR20120038284A KR 20120038284 A KR20120038284 A KR 20120038284A KR 1020100099961 A KR1020100099961 A KR 1020100099961A KR 20100099961 A KR20100099961 A KR 20100099961A KR 20120038284 A KR20120038284 A KR 20120038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mp
filter
fluid
central conduit
filt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612B1 (ko
Inventor
문상옥
박철민
허치행
정훈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6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필터 섬프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여과부재가 내장되어 하나의 필터섬프를 통해 다양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하로 배치된 여과부재를 통과하는 유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구조를 개선한 이종의 여과부재가 구비된 필터섬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섬프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섬프하우징; 상기 섬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여과하는 복수 개의 여과부재; 및 상기 여과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섬프하우징 하부로 상기 유체를 전달하는 제2중앙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과부재는 서로 다른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섬프{Filter Sump}
본 발명은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필터 섬프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여과부재가 내장되어 하나의 필터섬프를 통해 다양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하로 배치된 여과부재를 통과하는 유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구조를 개선한 필터섬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기체나 액체와 같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수처리 필터 정수기나 이온수기와 같은 음용수 처리장치, 비데와 같은 생활용수 처리장치 등에 사용되거나, 반도체 제조공정을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의 제조공정에서 공정 처리용 용액의 여과를 위해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걸러진 이물질이 여과부재에 축적되어 여과 기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사용 조건에 따른 소정의 사용수명을 갖게 되고, 사용 수명이 다하면 교체를 요하게 된다. 그런데 원수 공급관, 처리수 배출관 등의 배관이 필터 모듈에 직접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연결된 배관을 분리 및 재결합해야 되므로 일반적인 사용자가 행하기에는 너무 불편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이에 따라, 배관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설치하고, 이 커넥터에 간단한 방식으로 필터 섬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필터 섬프의 교체시 편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필터 섬프를 커넥터에 결합함에 따라 입수구 또는 출수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필터 조립체는 오토 셧오프 밸브의 차단 동작을 위하여 스프링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소재를 이루는 금속 이물질이 유체에 혼입되고, 특히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프링이 부식되어 이물질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나의 필터 섬프 내에는 통상적으로 한 종류의 여과부재만이 내장되기 때문에 다양한 여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섬프를 연속적으로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다수의 필터를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되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필터 섬프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여과부재가 내장되어 하나의 필터섬프를 통해 다양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필터섬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된 여과부재를 통과하는 유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구조를 개선한 필터섬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섬프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섬프하우징; 상기 섬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여과하는 복수 개의 여과부재; 및 상기 여과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섬프하우징 하부로 상기 유체를 전달하는 제2중앙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과부재는 서로 다른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여과부재는 제1여과부재 및 제2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여과부재는 제2여과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여과부재는 플리티드 필터이고 제2여과부재는 카본블록필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섬프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섬프하우징; 상기 섬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여과부재; 및 상기 여과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섬프하우징 하부로 상기 유체를 전달하는 제2중앙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중앙도관 외부의 일부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제2중앙도관과 여과부재 사이에 상기 제2중앙도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유체이동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프하우징의 상부 측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소경부의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경부는 대경부의 내부에 지지리브를 매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중앙도관은 상기 소경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경부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상기 섬프하우징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부재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로를 갖도록 상기 섬프하우징과 제2중앙도관 사이에 삽입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경부는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에 상기 여과부재의 상부단 일측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재가 상기 제2중앙도관과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부재는 제1여과부재 및 제2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여과부재 및 제2여과부재의 사이에는 중공형의 구획부재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두 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부재의 내경부는 그 지름이 상기 제2중앙도관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경부에 제2중앙도관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와 상기 제2여과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프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제2여과부재의 하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섬프하우징의 바닥부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배치되는 하부서포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서포트는 상기 제2중앙도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고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중앙도관은 하부단이 상기 하부서포트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하부서포트와 제2중앙도관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필터 섬프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여과부재가 내장되어 하나의 필터섬프를 통해 다양한 여과기능이 이루어지므로 필터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된 여과부재를 통과하는 유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필터섬프 내로 유입된 모든 유체가 서로 다른 종류의 여과부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와 필터섬프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4는 커넥터와 필터섬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1)는 일실시예로써 각각의 사용처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관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커넥터(100)와 이 커넥터(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섬프(2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양측에 상기 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유입부(111) 및 배출부(112)가 구비되는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111) 및 배출부(112)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섬프(200)가 결합되는 섬프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유입부(111)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상기 섬프결합부(120)를 통해 상기 필터섬프(200) 측으로 유입되어 여과된 후 다시 상기 섬프결합부(120)로 회수되어 상기 배출부(112)를 통해 여과된 유체를 상기 배관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결합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부(112)와 연결되는 제1중앙도관(130)이 구비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유입부(111)를 통하여 유입된 여과될 유체와 필터섬프(200)에서 여과되어 배출부(112)를 통하여 배관으로 이송되는 여과된 유체가 서로 섞이지 않고 원활하게 상기 배출부(11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중앙도관(13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단이 밀폐된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개방된 상부가 하우징 커넥터(100)의 배출부(112)와 연결되도록 섬프결합부(120)의 내측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중앙도관(130)이 상기 섬프결합부(12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섬프결합부(120)의 내측면과 제1중앙도관(13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부는 상기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필터섬프(200) 측으로 이동되는 유체이동로(125)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이동로(125)는 필터섬프(200) 측으로 여과시킬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로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중앙도관(130)이 섬프결합부(120)의 중앙부가 아닌 좌측 또는 우측에 편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차단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중앙도관(130)의 하부측에는 유체가 중공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수공(131)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체이동로(125)를 통해 상기 필터섬프(200) 측으로 유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통수공(131)을 통해 제1중앙도관(130)의 내부를 거쳐 상기 배출부(112)를 통해 상기 배관으로 다시 재유입되게 된다.
상기 제1중앙도관(130)의 하부측에는 유입부(111)와 배출부(112)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체크밸브(140)가 삽입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크밸브(140)가 상기 제1중앙도관(13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유체이동로(125) 및 통수공(131)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체크밸브(140)는 중앙부가 상기 제1중앙도관(1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측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부(1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결합부(120)의 내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중간에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안착부(121)가 구비되어 상기 체크밸브(14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141)가 상기 안착부(121)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중앙도관(130)의 하부측에 형성된 통수공(131)은 상기 안착부(121)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크밸브(140)가 상기 제1중앙도관(130)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141)가 안착부(121)에 걸리게 되어 하부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141)의 하부면과 상기 안착부(121)의 상부면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제1중앙도관(130)의 외경과 섬프결합부(12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유체이동로(125)가 폐쇄되어 상기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더이상 필터섬프(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40)는 안착부의 측부(122)와 접하는 접촉부(14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촉부(142)에 실링부재(143)를 구비하여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140)의 하부측이 상기 통수공(131)을 밀폐하게 되어 상기 통수공(131)을 통해 제1중앙도관(13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배출부(112)를 통해 배관으로 이송되던 유체가 역류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섬프결합부(120)로부터 필터섬프(2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일어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체크밸브(140)가 상기 제1중앙도관(130)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141) 역시 상부로 이동되어 돌출부(141)의 하부면과 안착부(121)의 상부면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유체이동로(125)가 개방되어 유입부(111)에서 필터섬프(200) 측으로의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체크밸브(140)의 하부측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통수공(131) 역시 체크밸브(140)의 상방 이동을 통해 다시 개방되어 통수공(131)을 통한 배출부(112)로의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중앙도관(130)은 상부측의 외경이 하부측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비되어 그 길이중간에 단턱부(13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140)의 상향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이는, 상기 섬프결합부(120)로부터 필터섬프(20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체크밸브(140)는 상기 필터섬프(200)와 커넥터(100)와의 결합시 후술할 필터섬프(200)의 상부측 - 더욱 자세하게는 헤드부(230)의 소경부(232) 상부단에 의해서 상향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며, 분리시에는 상기 소경부(232)의 상부단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크밸브(140)를 밀어 올려지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140)는 유입부(11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술한 과정을 통해 유체이동로(125) 및 통수공(131)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중앙도관(130)의 길이중간에는 상부단이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스프링안착부(132)가 돌출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스프링안착부(132)의 밀폐단과 체크밸브(140)의 상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안착부(132)에 스프링(133)이 삽입배치되어 상기 체크밸브(140)가 탄성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필터섬프(200)의 분리시 체크밸브(140)가 상기 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중앙도관(130)을 따라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140)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41)와 안착부(121)의 밀착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유체이동로(125) 및 통수공(131)이 안정적으로 밀폐됨으로써 분리과정에서 유체가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필터섬프(200)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도록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섬프하우징(210)의 내부에 여재가 구비된 여과부재가 수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상기 커넥터(100)의 섬프결합부(1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헤드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230)는 필터섬프(200)와 커넥터(100)의 체결시 상기 체크밸브(140)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고, 상기 섬프결합부(120) 및 통수공(131)를 통해 각각 유입부(111) 및 배출부(112)와 연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동심을 이루는 중공형의 소경부(232)와 대경부(23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소경부(232)와 대경부(2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리브(233)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소경부(232)의 상부단은 상기 대경부(231)의 상부단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섬프결합부(120)와의 결합시 상기 소경부(232)의 상부단이 상기 체크밸브(140)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폐쇄된 통수공(131) 및 유체이동로(125)가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소경부(232)의 내부는 상기 통수공(131) 및 배출부(112)와 연통되고 상기 대경부(231)의 내부는 상기 유입부(111)와 연통되도록 하여 유체의 유출로와 유입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소경부(232)의 내부는 필터섬프(200)의 내부에서 여과된 유체를 통수공(131) 측으로 안내하여 배출부(112)를 통해 배관으로 이동시키는 유출로 역할을 하게되며, 상기 소경부(232)와 대경부(231) 사이의 공간은 상기 유체이동로(125) 및 유입부(111)와 연통되어 여과할 유체를 상기 필터섬프(200)의 내부로 안내하는 유입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140)의 길이중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44)가 구비되어 상기 섬프결합부(120)와 필터섬프(200)와의 결합시 상기 소경부(232)의 상부단이 상기 걸림돌기(144)에 밀착되어 체크밸브(140)를 밀어올리도록 한다.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헤드부(23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여과할 수 있도록 여과부재가 배치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필터섬프(200)는 일실시예로서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제1여과부재(221) 및 제2여과부재(222)가 상,하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여과부재(221) 및 제2여과부재(222)의 중앙부에는 상기 소경부(232)와 연통되고 하부단이 섬프하우징(210)의 바닥부에서 일정높이 이격 배치되도록 중공의 제2중앙도관(240)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여과부재(221) 및 제2여과부재(2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유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는 유체이동로(271,272,273,274)를 갖도록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내측면과 상기 제2중앙도관(240) 사이에 삽입배치된다.
즉, 상기 제1여과부재(221)의 외경과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271)(이하, 제2유체이동로라함), 제1여과부재(221)의 내경과 제2중앙도관(240)의 외경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272)(이하, '제3유체이동로라함), 제2여과부재(222)의 외경과 섬프하우징(210)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273)(이하, '제4유체이동로'라함) 및 제2여과부재(222)의 내경과 제2중앙도관(240)의 외경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275)(이하, '제5유체이동로'라함)를 갖도록 상기 제2중앙도관(240)과 제1,2여과부재(221,222) 및 섬프하우징(210)이 동심원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섬프(200)는 하나의 섬프하우징(210)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여과부재를 동시에 상,하로 적층배치시키고 헤드부(23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이동하면서 제1여과부재(221)와 제2여과부재(2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여과된 유체가 상기 제2중앙도관(24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헤드부(230)를 통해 커넥터(100) 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유체에 포함된 다양한 이물질 및 냄새 등을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시킬 유체를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필터섬프(200)에 순차적으로 통과시킬 필요 없이 하나의 섬프하우징(210)에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제1,2여과부재(221,2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하나의 필터섬프(200)로 다양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여과부재(221) 및 제2여과부재(222)로는 일실시예로 플리티드 필터와 카본블록 필터로 구비하여 플리티드 필터를 상부에 배치하고 카본블록 필터를 하부에 배치하여 유체가 상기 플리티드 필터에서 1차로 여과된 후 카본블록 필터에서 2차로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플리티드 필터와 카본블록 필터의 배치관계를 역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제1,2여과부재(221,222)로는 플리티드 필터와 카본블록 필터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필터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필터섬프(200)는 제1여과부재(221)와 제2여과부재(222) 사이에 중공형의 구획부재(250)를 삽입배치하고, 상기 제2중앙도관(240)의 하부측에는 하부서포트(260)를 삽입배치하여 상기 헤드부(230)의 대경부(231)를 통해 섬프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된 모든 유체가 제1여과부재(221)를 통과한 후 다시 제2여과부재(222)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부(230)의 대경부(2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2유체이동로(271)→제3유체이동로(272)→제5유체이동로(274)→제4유체이동로(273)를 거쳐 섬프하우징(210)의 하부로 이동한 후 상기 제2중앙도관(240)을 거쳐 상부로 이송된 후 소경부(232)를 통해 커넥터(10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부재(250)는 그 내경이 상기 제2중앙도관(240)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비되어 구획부재(250)의 내경과 제2중앙도관(240)의 외경 사이에 형성된 틈을 매개로 제3유체이동로(272) 및 제5유체이동로(274)가 연통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구획부재(250)의 외주면은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2유체이동로(271) 및 제4유체이동로(273)는 서로 차단되어 유체의 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2유체이동로(271)와 제4유체이동로의 차단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구획부재(250)의 외주면에 실링부재(252)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제2중앙도관(240)의 하부측에 삽입되는 하부서포트(260)는 상기 구획부재(250)와는 반대로 중앙부에 관통형성된 결합공(264)의 직경과 제2중앙도관(240)의 외경이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여 억지끼움함으로써 제5유체이동로(274)로 유입된 유체가 모두 제2여과부재(222)를 통과하여 제4유체이동로(273)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획부재(250)와 마찬가지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서포트(260)의 결합공(264)과 제2중앙도관(240)이 접촉되는 부분에 실링부재(274)를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서포트(26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262)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돌기(262)의 측단부가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서포트(260)는 하부서포트(260)와 섬프하우징(210)의 바닥부 사이에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바닥부로부터 일정높이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공간에 제2중앙도관(240)의 하부단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5유체이동로(274)에서 제2여과부재(222)를 통과하여 제4유체이동로(273) 측으로 이동된 유체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262)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이동된 후 제2중앙도관(24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섬프(200)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복수 개의 필터섬프(200)를 모두 통과하여 반복적으로 여과되는 절곡 유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여과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는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섬프(200) 내에서 제1,2여과부재(221,222)가 제2중앙도관(240)과 섬프하우징(210)의 내측면 사이에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유체이동로(271,272,273,274)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재(250)는 상,하부에 단턱구조를 형성하는 한편, 헤드부(230)의 소경부(232) 역시 하부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단턱부(234)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제1여과부재(221)의 하부단은 구획부재(250)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구조에 안착되고 상부단은 상기 소경부(232)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234)에 안착되어 제2여과부재(222)가 제2중앙도관(240)의 외경과 항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제2여과부재(222) 역시 상부단이 상기 구획부재(250)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구조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제2중앙도관(240)의 외경과 항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100)의 섬프결합부(120)에 상기 필터섬프(200)를 체결하는 방식은 나사결합, 단순 압입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섬프(200)의 상부 측-더욱 자세하게는 헤드부(230)의 대경부(231) 외주면에 제1나사부(236)를 형성하고 상기 섬프결합부(120)의 내측면에 상기 제1나사부(236)와 대응되도록 제2나사부(123)를 형성하여 상기 필터섬프(200)의 상부를 섬프결합부(120)의 내부로 삽입한 후 회전시켜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나사부(236)와 제2나사부(123)는 이중나사산 구조로 형성하여 체결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필터섬프(200)의 외부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깊이 절개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끌림방지홈(212)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취부시 필터섬프(200)가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100)와 필터섬프(200)의 결합을 나사결합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100)에 필터섬프(200)를 단순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프결합부(120)의 개방된 하부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낙하방지돌기(124)와 상기 필터섬프(200)의 상부측-더욱 자세하게는 헤드부(230)에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235)으로 이루어지는 낙하방지부가 구비되어 필터섬프(200)의 분리시 하방으로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낙하방지돌기(124) 및 걸림편(235)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방사산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낙하방지돌기(124)에 의해 형성된 홈부의 간격은 상기 걸림편(235)의 둘레길이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필터섬프(20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걸림편(235)이 낙하방지돌기(124)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는 필터섬프(200)의 상부와 커넥터(100)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는 낙하방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00)- 더욱 자세하게는 섬프결합부(120)로부터 필터섬프(200)의 분리시 상기 걸림편(235)이 낙하방지돌기(124)에 낙하하여 1차적으로 지지하여 필터섬프(200)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낙하방지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100)와 필터섬프(200)의 조립은 상기 걸림편(235)이 낙하방지돌기(124)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필터섬프(200)를 회전시켜 커넥터(10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필터섬프(200)의 분리시 필터섬프(200)를 회전시켜 상기 커넥터(100)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편(235)이 낙하방지돌기(124)에 임시적으로 지지시킨 후 필터섬프(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235)을 홈부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홈부를 통해 하방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 : 필터 조립체
100 : 커넥터 110 : 커넥터 하우징
111 : 유입부 112 : 배출부
120 : 섬프결합부 121 : 안착부
122 : 측부 123 : 제2나사부
124 : 낙하방지돌기 125 : 유체이동로
130 : 제1중앙도관 131 : 통수공
132 : 스프링안착부 133 : 스프링
134 : 단턱부 140 : 체크밸브
141 : 돌출부 142 : 접촉부
143 : 실링부재 144 : 걸림돌기
200 : 필터섬프 210 : 섬프하우징
212 : 미끌림방지홈 221 : 제1여과부재
222 : 제2여과부재 230 : 헤드부
231 : 대경부 232 : 소경부
233 : 지지리브 234 : 단턱부
235 : 걸림편 236 : 제1나사부
240 : 제2중앙도관 250 : 구획부재
252 : 실링부재 260 : 하부서포트
262 : 지지돌기 264 : 결합공
266 : 실링부재 271 : 유체이동로
272 : 유체이동로 273 : 유체이동로
274 : 유체이동로

Claims (10)

  1.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섬프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섬프하우징;
    상기 섬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여과부재;및
    상기 여과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섬프하우징 하부로 상기 유체를 전달하는 제2중앙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중앙도관 외부의 일부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제2중앙도관과 여과부재 사이에 상기 제2중앙도관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유체이동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2.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섬프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는 섬프하우징;
    상기 섬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를 여과하는 복수 개의 여과부재;및
    상기 여과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섬프하우징 하부로 상기 유체를 전달하는 제2중앙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과부재는 서로 다른 종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여과부재는 제1여과부재 및 제2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여과부재는 제2여과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여과부재는 플리티드 필터이고 제2여과부재는 카본블록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하우징의 상부 측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대경부와 소경부의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경부는 대경부의 내부에 지지리브를 매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앙도관은 상기 소경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경부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상기 섬프하우징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부재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유체가 이동되는 유체이동로를 갖도록 상기 섬프하우징과 제2중앙도관 사이에 삽입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는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에 상기 여과부재의 상부단 일측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재가 상기 제2중앙도관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제1여과부재 및 제2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여과부재 및 제2여과부재의 사이에는 중공형의 구획부재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두 부분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의 내경부는 그 지름이 상기 제2중앙도관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경부에 제2중앙도관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여과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와 상기 제2여과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체이동로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하우징은 하부에 상기 제2여과부재의 하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섬프하우징의 바닥부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배치되는 하부서포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서포트는 상기 제2중앙도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고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앙도관은 하부단이 상기 하부서포트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하부서포트와 제2중앙도관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섬프.
KR1020100099961A 2010-10-13 2010-10-13 필터섬프 KR10120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961A KR101206612B1 (ko) 2010-10-13 2010-10-13 필터섬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961A KR101206612B1 (ko) 2010-10-13 2010-10-13 필터섬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284A true KR20120038284A (ko) 2012-04-23
KR101206612B1 KR101206612B1 (ko) 2012-11-29

Family

ID=4613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961A KR101206612B1 (ko) 2010-10-13 2010-10-13 필터섬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6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0906B2 (ja) 2006-02-17 2012-08-15 株式会社日本技術開発センター カートリッジ型浄水器及びこれに用いる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体
KR200433506Y1 (ko) 2006-09-07 2006-12-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KR100888647B1 (ko) 2007-10-08 2009-03-17 이수생 정수기용 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612B1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US6977039B2 (en) Flui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US8216463B1 (en) Refrigerator water filter cartridge with leakage indicator
KR101318423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정수기
US7909999B2 (en) Filter assembly
KR101572918B1 (ko) 필터 어셈블리
CA2630975C (en) Detachable rotational filter supporter
CN102272051B (zh) 液体过滤器设备
EP2988845B1 (en) Liquid filtratio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KR100668767B1 (ko) 자동 잠금 밸브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 커넥터 및 이를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KR101206645B1 (ko)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KR101206642B1 (ko) 낙하방지부가 구비된 필터조립체
KR20120038281A (ko) 필터섬프 체결용 커넥터
KR101206612B1 (ko) 필터섬프
KR20220074312A (ko) 수전용 정수장치
KR101964770B1 (ko) 잔수유출이 방지되는 정수필터
KR101206580B1 (ko)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KR100499804B1 (ko)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KR101206673B1 (ko)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KR101447907B1 (ko)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WO2022213309A1 (en) Filter cartridge and filter having same
KR102326205B1 (ko)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CN113149272B (zh) 一种滤芯以及具有该滤芯的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