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580B1 -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580B1
KR101206580B1 KR1020100126224A KR20100126224A KR101206580B1 KR 101206580 B1 KR101206580 B1 KR 101206580B1 KR 1020100126224 A KR1020100126224 A KR 1020100126224A KR 20100126224 A KR20100126224 A KR 20100126224A KR 101206580 B1 KR101206580 B1 KR 10120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ilter
connector
sump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947A (ko
Inventor
박철민
정훈
허치행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5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나 화학 용액 등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정화하는 데 사용되는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구비된 셧오프 밸브가 스프링 없이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어 유입로 및 유출로를 차단할 수 있는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결합구가 구비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고, 각각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가 형성되며,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섬프; 및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중 적어도 일측을 개방하도록 이동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 또는 분리시 밸브에 구비된 체결부가 상기 필터섬프에 구비된 피체결부와 직접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차단위치나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FILTER ASSEMBLY HAVING SPRINGLESS AUTO SHUT-OFF VALVE}
본 발명은 물이나 화학 용액 등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정화하는 데 사용되는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구비된 셧오프 밸브가 스프링 없이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어 유입로 및 유출로를 차단할 수 있는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나 이온수기와 같은 음용수 처리장치, 비데와 같은 생활용수 처리장치 등 다양한 수처리 장치에 공급수의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수처리 필터는 통상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여재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된 모듈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의 하우징에는 원수 공급관이 연결되는 입수구 및 처리수 배출관이 연결되는 출수구가 구비되어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재를 통해 여과시킨 후 출수구를 통해 배출하여 소정의 용처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필터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걸러진 이물질이 여재에 축적되어 여과 기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사용 조건에 따른 소정의 사용수명을 갖게 되고, 사용수명이 다하면 교체를 요하게 된다. 그런데, 원수 공급관, 처리수 배출관 등의 배관이 필터섬프에 직접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필터를 교체할 때 연결된 배관을 분리 및 재결합해야 하고, 이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행하기에는 너무 불편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이에 따라, 배관이 연결된 커넥터를 고정 설치하고, 이 커넥터에 간단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필터 조립체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필터 교체 시 편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필터 하우징을 커넥터에 결합함에 따라 입수구 또는 출수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는 통상 고정 설치되는 커넥터의 하부에 교체 가능한 필터섬프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의 양측에는 각각 급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필터섬프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입수구 또는 출수구를 개폐시키는 밸브가 설치된다. 이 밸브는 차단 위치를 유지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하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상기 필터섬프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가 구비되고, 상부에 커넥터의 결합구에 삽입되는 돌출된 헤드부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필터섬프을 커넥터에 체결하면 상기 헤드부에 의해 밸브가 가압되면서 상향 이동되어 개방 동작이 이루어지고, 필터섬프을 분리하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가 하향 이동되어 차단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필터 조립체는 오토 셧오프 밸브의 차단 동작을 위하여 스프링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스프링의 소재를 이루는 금속 이물질이 유체에 혼입되고, 특히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프링이 부식되어 이물질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반도체 제조공정을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의 제조공정에서도 공정 처리용 용액의 여과를 위해 필터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들에 의해 처리되는 케미칼 용액은 매우 높은 순도를 요하게 되는데, 상당수의 케미칼 용액은 금속에 대하여 강한 부식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케미칼 필터에 스프링 방식의 오토 셧오프 밸브를 사용할 수가 없었고, 이에 따라 케미칼 필터의 장착 구조가 복잡해지고, 교체 장착의 편의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셧오프 밸브가 스프링 없이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에 의한 스프링의 부식 및 이로 인한 이물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에 의해 유입로 및 유출로가 동시에 개폐됨으로써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필터섬프와 커넥터에 서로 대응되는 낙하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필터섬프와 커넥터와의 분리시 필터섬프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결합구가 구비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고, 각각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가 형성되며,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섬프; 및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중 적어도 일측을 개방하도록 이동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 또는 분리시 밸브에 구비된 체결부가 상기 필터섬프에 구비된 피체결부와 직접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차단위치나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피체결부는 상기 필터섬프의 헤드부에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체결부는 일정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체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체결부는 상기 커넥터와의 체결시 상기 밸브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필터섬프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섬프와 커넥터와의 결합 및 분리시 상기 유입로 및 유출로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측에 상기 유출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수공을 갖추어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결합구 내에 설치되는 밸브스템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 상기 밸브스템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스템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밸브의 상향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구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밸브시트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밸브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부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의 하향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섬프의 상부 및 상기 결합구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구의 개방된 하부측 및 필터섬프의 상부측에는 상기 필터섬프의 분리시 필터섬프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섬프를 임시적으로 지지하는 낙하방지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낙하방지부는 상기 결합구의 개방된 하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낙하방지돌기와 상기 필터섬프의 상부측에 상기 낙하방지돌기와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에 구비된 셧오프 밸브가 스프링 없이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에 의한 스프링의 부식 및 이로 인한 이물 혼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에 의해 유입로 및 유출로가 동시에 개폐됨으로써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필터섬프와 커넥터에 서로 대응되는 낙하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필터섬프와 커넥터와의 분리시 필터섬프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커넥터와 필터섬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에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에서 낙하방지부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에 따른 낙하방지부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100,100')(이하, '필터 조립체'라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00,100')는 배관에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커넥터(200)와 이 커넥터(2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섬프(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200)는 유체 공급관 및 유체 배출관과 각각 연결되는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와 연통되는 결합구(2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230)의 내측에는 유입구(210)와 유출구(220)를 개폐시키는 밸브(24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100,100')에서 상기 밸브(2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밸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입구(210)와 유출구(220) 중 어느 하나만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240)가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를 동시에 개폐하는 동시 개폐 밸브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즉, 상기 밸브(240)는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유출구(220)와 연통되도록 커넥터(200)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밸브스템(250)이 상기 밸브(240)의 중앙부에 삽입 배치되어 밸브(240)가 상기 밸브스템(25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밸브(240)의 이동위치에 의해 상기 유출구(220)와 연결된 배출 유로가 개폐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스템(250)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섬프(300)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후 커넥터(2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밸브스템(25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유출구(2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수공(252)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2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중간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밸브시트(232)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240)의 이동에 따라 밸브(240)의 일측-자세하게는 걸림돌부(242)가 상기 밸브시트(232)에 안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상기 유입구(210)로 유입된 유체가 필터섬프(300) 측으로 이동하는 유입 유로가 개폐된다.
한편, 상기 밸브스템(250)의 외주부 길이중간에는 상기 밸브(240)의 상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단턱부(254)가 구비된다. 이러한 단턱부(254)는 상기 밸브(24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하여 후술할 피체결부(316)와 체결부(244)가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피체결부(316)에 힘을 부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240)의 하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240)의 외주부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부(242)가 구비되어 밸브시트(232)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부(2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240)의 상부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밸브시트(232)의 일정부분과 서로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240)가 필터섬프(300)와의 결합을 통해 밸브스템(25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면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가 개방되어 유체의 유,출입이 자유로운 개방상태를 이루게 된다. 반대로 밸브(240)가 밸브스템(25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부(242)가 밸브시트(232)에 걸려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통수공(252)은 밸브(240)에 의해 폐쇄되고 결합구(230)의 내부는 걸림돌부(242)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부분으로 구획됨으로써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가 폐쇄되어 유체의 이동이 구속되는 차단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240)의 저면부 또는 외주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섬프(300)의 상부-더욱 자세하게는 피체결부(31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244)가 구비되어 커넥터(200)와 필터섬프(300)의 결합 및 분리시 상기 밸브(24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개방상태나 차단상태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체결부(244)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피체결부(316)와 체결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피체결부(316)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돌기 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240)의 외주면에 일정깊이 절개형성되는 환형의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필터섬프(300)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320)의 내부에 여재가 구비된 필터 카트리지(330)가 수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상기 커넥터(200)의 결합구(23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헤드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20)의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330)가 수용된 구조는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부(310)는 필터섬프(300)와 커넥터(200)의 체결 시 상기 밸브(240)를 밀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고, 상기 결합구(230)의 내부 및 통수공(252)을 통해 각각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와 연통될 수 있도록 내부에 동심을 이루어 상향 개방된 유입로(312)와 유출로(3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310)에는 상기 밸브(240)의 체결부(244)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체결부(316)가 구비된다. 이 피체결부(316)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체결부(244)와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244)와 대응되는 돌기 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내향 돌출된 후크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00,100')는 밸브(240)와 필터섬프(300)의 헤드부(310)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244) 및 피체결부(316)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필터섬프(300)의 수직위치에 따라 밸브(240) 역시 필터섬프(300)와 함께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되어 유체의 유입구(210) 및 유출구(220)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00,100')는 커넥터(200)와 필터섬프(300)의 결합 및 분리시 밸브(240)가 자동으로 개방위치 및 차단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섬프(300)의 헤드부(310) 외주면과 상기 커넥터(200)의 결합구(230)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234,318)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200)와 필터섬프(300)의 결합시 밸브(240)가 상향으로 이동된 후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00)와 필터섬프(300)와의 결합으로 커넥터(200)의 결합구(230)와 필터섬프(300)의 헤드부(310)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234,318)을 통한 나사결합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윙형, 단순 압입형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00,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섬프(300)를 커넥터(20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240)가 하향 이동된 차단 상태를 유지하여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필터섬프(300)를 커넥터(200)의 결합구(230)에 삽입하면 도 6a와 같이 상향 돌출된 헤드부(310)에 의해 상기 밸브(240)가 개방 위치로 상향 이동되어 결합구(230)를 통해 커넥터(200)의 유입구(210)가 필터섬프(300)의 유입로(312)와 연통되고, 밸브스템(250)의 통수공(252)을 통해 커넥터(200)의 유출구(220)가 필터섬프(300)의 유출로(314)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입로(312)를 거쳐 필터섬프(300) 내부의 필터 카트리지(330)를 통해 여과된 후 유출로(314)->통수공(252)->유출구(2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해 소정의 용처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필터섬프(300)가 커넥터(200)의 결합구(230)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밸브(240)가 상향된 위치에서 단턱부(254)에 의해 정지되면 헤드부(310)의 피체결부(316)가 가압력에 의해 밸브(240)의 체결부(244)에 탄성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밸브(240)의 상향 이동시 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로부터 밸브(240) 측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240)가 단턱부(254)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체결부(244) 및 피체결부(316)가 이동과정에서 체결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섬프(300)를 분리하기 위하여 하향 이동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10)에 결합된 밸브(240)가 체결부(244)와 피체결부(316)의 결합에 의해 함께 하향 이동되어 상기 밸브시트(232)에 밀착된 차단 위치에 정지되고, 힘을 가해 필터섬프(300)를 하향 이동시키면 헤드부(310)의 피체결부(316)가 밸브(240)의 체결부(244)로부터 이탈되어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필터섬프(300)와 커넥터(20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00,100')는 필터섬프(300)를 커넥터(200)에 결합함에 따라 밸브(240)의 자동 개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필터섬프(300)와 밸브(240)가 체결되어 필터섬프(300)와 밸브(240)가 함께 거동하게 되고, 필터섬프(300)를 분리함에 따라 밸브(240)의 자동 차단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밸브(240)의 차단 동작을 위한 스프링이 필요 없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커넥터(200)의 오토 셧오프 밸브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스프링을 이루는 물질의 혼입과 부식으로 인한 유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부식성 용액을 여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케미칼 필터에도 스프링이 없이 오토 셧오프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며, 오토 셧오프 기능을 위한 밸브의 장착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0)와 필터섬프(300)의 분리시 필터섬프(300)가 급격하게 낙하하여 필터섬프(3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낙하방지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230)의 개방된 하부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낙하방지돌기(236)와 상기 필터섬프(300)의 상부측-더욱 자세하게는 헤드부(310)에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319)으로 이루어지는 낙하방지부가 구비되어 필터섬프(300)의 분리시 하방으로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필터 조립체(100')의 내부구조 - 더욱 자세하게는 커넥터(200), 결합구(230) 및 필터섬프(300)의 내부구조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구조를 채용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낙하방지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낙하방지돌기(236) 및 걸림편(319)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방사산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낙하방지돌기(236)에 의해 형성된 홈부의 간격은 상기 걸림편(319)의 둘레길이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필터섬프(30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걸림편(319)이 낙하방지돌기(236)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00')는 필터섬프(300)의 상부와 커넥터(200)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는 낙하방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커넥터(200)- 더욱 자세하게는 결합구(230)로부터 필터섬프(300)의 분리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319)이 낙하방지돌기(236)에 낙하하여 1차적으로 지지하여 필터섬프(300)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낙하방지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200)와 필터섬프(300)의 조립은 상기 걸림편(319)이 낙하방지돌기(236)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필터섬프(300)를 회전시켜 커넥터(20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필터섬프(300)의 분리는 필터섬프(300)를 회전시켜 상기 커넥터(200)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편(319)이 낙하방지돌기(236)에 임시적으로 지지시킨 후 필터섬프(3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걸림편(319)을 홈부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홈부를 통해 하방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통한 등가물, 교체물 및 수정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100' : 필터조립체
200 : 커넥터
210 : 유입구 220 : 유출구
230 : 결합구 232 : 밸브시트
234 : 나사산 236 : 낙하방지돌기
240 : 밸브 242 : 걸림돌부
244 : 체결부 250 : 밸브스템
252 : 통수공 254 : 단턱부
300 : 필터섬프
310 : 헤드부 312 : 유입로
314 : 유출로 316 : 피체결부
318 : 나사산 319 : 걸림편
320 : 하우징 330 : 필터 카트리지

Claims (19)

  1.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결합구가 구비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고, 각각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가 형성되며,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된 필터섬프; 및
    상기 커넥터의 결합구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중 적어도 일측을 개방하도록 이동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섬프와 커넥터의 결합 또는 분리시 밸브에 구비된 체결부가 상기 필터섬프에 구비된 피체결부와 직접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차단위치나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피체결부는 상기 필터섬프의 헤드부에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는 일정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체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는 상기 커넥터와의 체결시 상기 밸브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필터섬프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섬프와 커넥터와의 결합 및 분리시 상기 유입로 및 유출로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하부 측에 상기 유출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수공을 갖추어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결합구 내에 설치되는 밸브스템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 상기 밸브스템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밸브의 상향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밸브시트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밸브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부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의 하향 위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섬프의 상부 및 상기 결합구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의 개방된 하부측 및 필터섬프의 상부측에는 상기 필터섬프의 분리시 필터섬프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섬프를 임시적으로 지지하는 낙하방지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부는 상기 결합구의 개방된 하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낙하방지돌기와 상기 필터섬프의 상부측에 상기 낙하방지돌기와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걸림편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00126224A 2010-12-10 2010-12-10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KR10120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224A KR101206580B1 (ko) 2010-12-10 2010-12-10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224A KR101206580B1 (ko) 2010-12-10 2010-12-10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947A KR20120064947A (ko) 2012-06-20
KR101206580B1 true KR101206580B1 (ko) 2012-11-29

Family

ID=4668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224A KR101206580B1 (ko) 2010-12-10 2010-12-10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8414B (zh) * 2018-12-20 2024-01-23 常州卡斯特铝精密铸造科技有限公司 新型拼接式适配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61Y1 (ko) 2002-08-30 2002-11-23 김찬구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100761025B1 (ko) * 2006-02-14 2007-10-04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개폐 커버에 의한 자동 잠금 밸브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61Y1 (ko) 2002-08-30 2002-11-23 김찬구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100761025B1 (ko) * 2006-02-14 2007-10-04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개폐 커버에 의한 자동 잠금 밸브를 구비한 필터 카트리지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947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18B1 (ko) 필터 어셈블리
KR100412929B1 (ko) 밸브 헤드와 카트리지를 포함한 필터 어셈블리
US11226046B2 (en) Fluid additive control valve
EP2988845B1 (en) Liquid filtratio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US20090321340A1 (en) Filter cartridge for use with a filter head assembly
KR100873665B1 (ko) 정수필터용 커넥터
JP6100052B2 (ja) 流体フィルタ
EP2543640B1 (en) Sealing structure
JP2012526238A (ja) バイパス弁を有するフィルタ端部キャップアセンブリ
EP2802399B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1206580B1 (ko)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JP2005103502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流体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ドレン用冶具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KR101206645B1 (ko)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KR200296361Y1 (ko)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101206642B1 (ko) 낙하방지부가 구비된 필터조립체
JP2013244453A (ja) 気液分離器
KR101206585B1 (ko) 낙하방지수단이 구비된 필터조립체
KR101964770B1 (ko) 잔수유출이 방지되는 정수필터
US11167228B2 (en) Point of entry water filter assembly
KR20120038281A (ko) 필터섬프 체결용 커넥터
KR20150002961U (ko) 정수 필터용 커넥터
KR101206612B1 (ko) 필터섬프
KR101206673B1 (ko)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JP2006082010A (ja) 流体濾過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