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673B1 -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673B1
KR101206673B1 KR1020100126230A KR20100126230A KR101206673B1 KR 101206673 B1 KR101206673 B1 KR 101206673B1 KR 1020100126230 A KR1020100126230 A KR 1020100126230A KR 20100126230 A KR20100126230 A KR 20100126230A KR 101206673 B1 KR101206673 B1 KR 10120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filter
connector
check valv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952A (ko
Inventor
박철민
정훈
허치행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6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를 구동하는 스프링이 유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체와의 접촉이 차단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터섬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를 갖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로와 유출로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체크밸브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체크밸브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체가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Connector and Filter assembly with spring outside of flow way}
본 발명은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를 구동하는 스프링이 유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체와의 접촉이 차단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기체나 액체와 같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수처리 필터 정수기나 이온수기와 같은 음용수 처리장치, 비데와 같은 생활용수 처리장치 등에 사용되거나, 반도체 제조공정을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의 제조공정에서 공정 처리용 용액의 여과를 위해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걸러진 이물질이 여재에 축적되어 여과 기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사용 조건에 따른 소정의 사용수명을 갖게 되고, 사용 수명이 다하면 교체를 요하게 된다. 그런데 원수 공급관, 처리수 배출관 등의 배관이 필터 모듈에 직접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연결된 배관을 분리 및 재결합해야 되므로 일반적인 사용자가 행하기에는 너무 불편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이에 따라, 배관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정설치하고, 이 커넥터에 간단한 방식으로 필터 섬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필터 교체시 편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필터 하우징을 커넥터에 결합함에 따라 입수구 또는 출수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필터 조립체는 오토 셧오프 밸브의 차단 동작을 위하여 스프링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프링이 유체의 유입구 또는 출수구 측에 유,출입되는 유체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이동되는 동안 스프링과의 접촉을 통하여 스프링의 소재를 이루는 금속 이물질이 유체에 혼입되고, 특히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프링이 부식되어 이물질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반도체 공정 등에 사용되는 케미칼 필터의 경우 오토 셧오프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금속 이물질의 발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오토 셧오프 밸브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토 셧오프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유로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컨슈머 필터는 물론 케미칼 필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이 유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체와의 접촉이 사전에 차단됨으로써 스프링 재질에 의한 오염 발생을 방지하여 필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터섬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를 갖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로와 유출로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체크밸브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체크밸브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체가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로 및 유출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중공의 안내관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크밸브는 하부측이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밀폐된 중공형의 연장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장관의 개방된 하부가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측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에 의해 상부 측이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배치되어 스프링의 일단과 접하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로를 차단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시 필터섬프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디스크는 상기 연장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를 갖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커넥터; 유체를 여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되어 상기 결합구의 일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섬프;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로와 유출로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 상기 체크밸브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용부 및 상기 체크밸브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체가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로 및 유출로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중공의 안내관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크밸브는 하부측이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밀폐된 중공형의 연장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장관의 개방된 하부가 상기 체크밸브의 상부측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에 의해 상부 측이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배치되어 스프링의 일단과 접하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로를 차단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시 필터섬프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디스크는 상기 연장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 셧오프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유로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컨슈머 필터는 물론 케미칼 필터에도 적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제약을 극복하여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이 유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체와의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여 스프링 재질에 의한 오염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필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커넥터와 필터섬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에서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1)(이하, '필터 조립체'라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1)는 배관에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커넥터(100)와 이 커넥터(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섬프(2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하우징(110)에 유체 공급관 및 유체 배출관과 각각 연결되는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구비되고, 하부 측에 상기 필터섬프(200)와 결합되는 결합구(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커넥터(100)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와 각각 연통되는 유입로(114) 및 유출로(115)가 서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로(114) 및 유출로(115)는 커넥터(100)의 내부 중앙부에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중공의 안내관(11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안내관(116)은 커넥터(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구(111)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필터섬프(20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100)의 내부공간은 상기 안내관(116)에 의해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안내관(116)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111)와 연통되는 유입로(11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안내관(116)의 외부는 상기 유출구(112)와 연통되는 유출로(115)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관(116)은 상기 커넥터(10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관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100)의 내부에 조립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합구(113)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로(114) 및 유출로(115) 중 하나 이상을 개폐시키는 체크밸브(1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유입로(114) 및 유출로(115)를 동시에 개폐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유입로(114)와 유출로(115) 중 어느 하나만-바람직하게는 유입로(114)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1)에서 상기 체크밸브(1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밸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입로(114)만을 개폐하는 밸브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즉, 상기 체크밸브(120)는 커넥터(100)의 내부-더욱 자세하게는 안내관(116) 및 수용부(S)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유입로(114)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제1디스크(121) 및 제2디스크(123)가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체(122)를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고 상기 제2디스크(123)에서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접촉부재(124)로 구비된다.
여기서, '디스크'라는 용어는 판면이 일정한 단면의 원판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외형상 원형을 유지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밝혀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디스크(121)는 상기 수용부(S) 내로 삽입배치되어 스프링(132)의 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디스크(123)는 안내관(116)의 상부측에 접하거나 분리되며, 상기 접촉부재(124)가 안내관(116)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체(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성길이(L)를 상기 유입구(111)의 관 직경(D)보다는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1디스크(121)가 상기 수용부(S)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섬프(200)와의 결합시 필터섬프(200)의 헤드부(220)와 접하게 되는 상기 접촉부재(124)는 상기 필터섬프(200)의 결합시 필터섬프(200)의 헤드부(220)와 접할 수 있도록 안내관(116)의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개방 상태에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관(116)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삽입 배치되어 유입로(114)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124)는 상기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로(114)로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125)로 구성되어 안내관(116) 내에 배치되는 접촉부재(124)의 전체부피를 줄이도록 함으로써 최대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더욱 자세하게는 안내관(116)의 상부단 측에는 상기 체크밸브(12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단턱부(117)가 구비된다. 즉, 상기 체크밸브(120)의 하방 이동시 상기 제2디스크(123)가 상기 단턱부(117)에 걸려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S)에 내장된 스프링(132)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체크밸브(120)의 제2디스크(123)가 상기 단턱부(117)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입로(114)의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디스크(123)의 외주면에 실링부재(139)를 구비하여 기밀성을 높여 줌으로써 체크밸브(12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유입로(114)의 차단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132)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120)를 하방으로 힘을 가하여 체크밸브(120)가 오토 셧오프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1디스크(121)와 접하도록 수용부(S) 내에 배치된다.
상기 수용부(S)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상기 체크밸브(12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관(131)에 의해 형성되며 제1디스크(121)가 삽입되는 하부측을 제외하고는 모두 밀폐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부(S)가 하우징(110)의 상부측에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밀폐된 중공형의 연장관(131)에 의해 형성되며, 수용부(S)는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와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수용부(S)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제1디스크(121)가 삽입되어 연장관(13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하부가 밀폐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용부(S)에 내장설치된 스프링(132)은 양단이 제1디스크(121)의 상부면과 수용부(S)의 밀폐된 상부단에 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디스크(121)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거나 복원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체크밸브(1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가하는 스프링(132)이 유로-자세하게는 유입구(111) 및 유입로(114)의 외부에 별도로 형성된 수용부(S)에 내장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스프링(132)과 유체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S)의 하부로 삽입되는 제1디스크(121)의 외주면에는 기밀성을 높여 상기 수용부(S)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138)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스프링(132)은 유체와의 접촉이 차단된 별도의 수용부(S)에 스프링(132)이 내장됨으로써 유체에 의한 스프링(132)의 부식을 완전히 차단하여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132)에서 유체와의 접촉을 통해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을 정수하는 컨슈머 필터 뿐만 아니라 정밀한 여과를 필요로 하는 케미칼 필터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섬프(200)와 커넥터(100)와의 결합시 필터섬프(200)-더욱 자세하게는 헤드부(220)에 의해 상기 접촉부재(124)가 상방으로 힘을 받아 상기 체크밸브(12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디스크(123)가 안내관(116)의 상부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됨으로써 유입구(111)와 유입로(114)가 서로 연통되어 유입로(114)를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필터섬프(200)가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체크밸브(12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수용부(S)에 내장된 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체크밸브(12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디스크(123)가 안내관(116)의 상부단과 접촉하여 상기 유입로(114)를 차단함으로써 차단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S)는 연장관(131)의 상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133)에 의해 상부측이 밀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32) 또는 체크밸브(120)가 파손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덮개부(133)를 연장관(131)으로부터 분리하여 스프링(132)이나 체크밸브(1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3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돌출부(134)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34)의 외주면에 스프링(132)의 단부가 삽입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S)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132)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섬프(200)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 섬프하우징(210)의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230)가 수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측이 상기 커넥터(100)의 결합구(113)와 체결되는 헤드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섬프하우징(210)의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230)가 수용된 구조는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부(220)는 필터섬프(200)와 커넥터(100)의 체결시 상기 체크밸브(120)-더욱 자세하게는 접촉부재(124)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100)의 내부에 구획형성된 유출로(115) 및 유입로(114)와 각각 연통되는 유입영역(221) 및 유출영역(222)이 형성되도록 내부에 동심을 이루는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드부(220)는 커넥터(100)의 결합구(113)와의 결합시 상방으로 돌출된 헤드부(220)가 상기 체크밸브(120)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폐쇄된 유입로(114)가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유입영역(221)은 유입로(114)와 연통되고 유출영역(222)은 유출로(115)와 각각 연통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커넥터(1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필터섬프(200) 측으로 이동되어 여과된 후 유출영역(222), 유출로(115) 및 유출구(112)를 통해 소정의 용처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구(113)와 헤드부(220)의 결합은 간단한 작업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구(113)의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헤드부(22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을 통해 나사체결이 될 수도 있다. 더불어, 결합구(113)와 헤드부(220)의 결합은 단순 압입 결합, 회전 결합 및 윙형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 : 필터 조립체
100 : 커넥터 110 : 하우징
111 : 유입구 112 : 유출구
113 : 결합구 114 : 유입로
115 : 유출로 116 : 안내관
117 : 단턱부 120 : 체크밸브
121 : 제1디스크 122 : 연결체
123 : 제2디스크 124 : 접촉부재
125 : 날개부 130 : 가압부
131 : 연장관 S : 수용부
132 : 스프링 133 : 덮개부
134 : 돌출부 138,139 : 실링부재
200 : 필터섬프 210 : 섬프하우징
220 : 헤드부 221 : 유입영역
222 : 유출영역 230 : 필터 카트리지

Claims (24)

  1. 필터섬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를 갖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로와 유출로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체크밸브;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체크밸브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의 연장관; 및
    상기 체크밸브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유입구의 직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로를 차단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시 필터섬프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디스크는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서만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이 유체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로 및 유출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중공의 안내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하부측이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상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13. 여과될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로 및 유출로를 갖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커넥터;
    유체를 여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되어 상기 결합구의 일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섬프;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에 따라 상기 유입로와 유출구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체크밸브;
    상기 커넥터의 일측으로부터 체크밸브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의 연장관; 및
    상기 체크밸브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로부터 하부측으로 상기 유입구의 직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로를 차단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필터섬프의 결합시 필터섬프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디스크는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서만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이 유체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로 및 유출로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중공의 안내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하부측이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16. 삭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상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일정높이 연장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필터 조립체.
KR1020100126230A 2010-12-10 2010-12-10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KR10120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230A KR101206673B1 (ko) 2010-12-10 2010-12-10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230A KR101206673B1 (ko) 2010-12-10 2010-12-10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952A KR20120064952A (ko) 2012-06-20
KR101206673B1 true KR101206673B1 (ko) 2012-11-29

Family

ID=4668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230A KR101206673B1 (ko) 2010-12-10 2010-12-10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1786A (zh) * 2018-12-06 2019-01-29 铜陵汇宇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流向控制功能的燃油滤清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7232A2 (en) 1997-12-19 1999-10-06 Chiara Perazzo Oil removing filter with associated pressure valve for compressed air supply systems
KR100933079B1 (ko) 2007-05-29 2009-12-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 카트리지 커넥터와 필터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7232A2 (en) 1997-12-19 1999-10-06 Chiara Perazzo Oil removing filter with associated pressure valve for compressed air supply systems
KR100933079B1 (ko) 2007-05-29 2009-12-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 카트리지 커넥터와 필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952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9902B2 (en) Liquid filtration filter cap
CN102272051B (zh) 液体过滤器设备
KR101318423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정수기
KR101609215B1 (ko) 필터 요소 및 필터
US7264718B2 (en) Flui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JP5557903B2 (ja) バイパス弁を有するフィルタ端部キャップアセンブリ
US20220176280A1 (en) Water filter
RU265750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и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EP2802399B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JP2018510764A (ja) 浄水カートリッジ用接続機構
JP5017912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101206673B1 (ko) 스프링이 유로 외부에 설치된 커넥터 및 필터 조립체
KR101206645B1 (ko)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KR101206642B1 (ko) 낙하방지부가 구비된 필터조립체
CN114405135B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KR20120038281A (ko) 필터섬프 체결용 커넥터
KR101763737B1 (ko) 필터캡 일체형 커버체가 구성된 케미컬 필터
KR20170119647A (ko)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용 정수필터
KR101206580B1 (ko) 스프링 없는 오토 셧오프 밸브를 구비한 필터 조립체
JP2014520659A (ja) フィルタ装置用フィルタエレメント
KR101206612B1 (ko) 필터섬프
KR20130003535A (ko) 필터장치
CN114405136B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CN210145644U (zh) 一种滤芯的逆止结构
KR20230094759A (ko) 유로전환가이드를 구비한 거꾸로 장착되는 정수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