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591A -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 Google Patents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591A
KR20120037591A KR1020100099139A KR20100099139A KR20120037591A KR 20120037591 A KR20120037591 A KR 20120037591A KR 1020100099139 A KR1020100099139 A KR 1020100099139A KR 20100099139 A KR20100099139 A KR 20100099139A KR 20120037591 A KR20120037591 A KR 20120037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material
coil spring
hollow
rolling ji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918B1 (ko
Inventor
임만승
박진용
이수창
김종형
나준상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9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21D41/045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밀폐시켜 중공소재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 코일스프링의 수명 향상과 더불어 도장 불량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중공 코일 스프링의 대고객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를 로테이트 장치의 척에 고정시키는 단계(S10); 로테이트 장치의 롤링 지그를 척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 측으로 이동시켜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롤링 지그의 가공 홈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S11); 롤링 지그를 회전시켜 마찰열에 의해 가공 홈 내부로 삽입된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가열하는 단계(S12); 및 상기 롤링 지그의 회전마찰에 의해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가열되면 회전되는 롤링 지그를 중공소재 측으로 더 이동시켜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중공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열융착되어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밀폐시키는 단계(S1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Sealing method for end part of hollow material for coil spring}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마찰열에 의한 열융착 방법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경기술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서스펜션이나 엔진 밸브에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코일스프링은 통상적으로 환봉 형태의 소재를 필링 작업을 한 다음, 자분 탐상과정을 거쳐 가열한 후, 코일 스프링 형태로 성형한 다음, 소입 및 뜨임 과정을 거친 후, 1차 세팅과정 후에 쇼트피닝 처리한 다음 2차 세팅을 한 다음 전처리 과정 후에 도장 작업을 함으로써 그 제작이 완료된다.
도 1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6-0002271호에 개시된 중공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차량의 경량화는 물론 자재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코일 스프링(1)이 진동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공소재(2)를 사용하여 코일 스프링(1)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중공 코일스프링(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끝단부가 밀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코일링되어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전처리 과정 중에 중공 코일스프링(1)의 중공소재(2) 내부로 물이 침투되어 코일 스프링(1) 내부가 부식될 뿐만 아니라 중공소재(2)의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설치 후에 중공소재(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됨으로써 코일 스프링(1)의 내구 수명이 대폭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중공 코일스프링(1)은 상기 중공소재(2) 내부로 침투된 도장액이 끓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미 건조된 상태에서 도장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도장불량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밀폐시켜 중공소재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 코일스프링의 수명 향상과 더불어 도장 불량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중공 코일 스프링의 대고객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코일 스프링의 끝단부를 밀폐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를 로테이트 장치의 척에 고정시키는 단계(S10); 로테이트 장치의 롤링 지그를 척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 측으로 이동시켜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롤링 지그의 가공 홈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S11); 롤링 지그를 회전시켜 마찰열에 의해 가공 홈 내부로 삽입된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가열하는 단계(S12); 및 상기 롤링 지그의 회전마찰에 의해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가열되면 회전되는 롤링 지그를 중공소재 측으로 더 이동시켜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중공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열융착되어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밀폐시키는 단계(S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롤링 지그의 가공 홈은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반구형 형태로 열융착 시켜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링 지그에는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깔때기 형태로 축간 가공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가공 홈과 연통되는 축간 가공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밀폐방법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양측 끝단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킴으로써 열처리를 위하여 제작된 중공 코일스프링을 담금질 탱크 내부에 입수시키더라도 중공 형태의 코일 스프링 내부로 물이 침투되지 않아 코일 스프링 내부가 부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중공 코일스프링의 설치 후에 중공소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중공 코일스프링의 내구수명이 단축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으며, 중공 코일스프링을 담금질 탱크 내부에 입수시킬 시에 중공 형태로 형성된 중공 코일스프링 내부에 물이 침투되지 않음으로써 물이 미 건조된 상태에서 도장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도장불량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작된 중공 코일스프링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6-0002271호에 개시된 중공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은, 절단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를 로테이트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척(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로테이트 장치의 롤링 지그(11)를 척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의 끝단부가 롤링 지그(11)의 가공 홈(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S11)와, 상기 롤링 지그(1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되는 롤링 지그(11)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와의 마찰열에 의하여 상기 롤링 지그(11)의 가공 홈(110) 내부로 삽입된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가열하는 단계(S12)와, 상기 롤링 지그(11)의 회전마찰에 의해 중공소재(10)의 끝단부가 가열되면 상기 회전되는 롤링 지그(11)를 중공소재(10) 측으로 더 이동시켜 롤링 지그(11)의 가공 홈(11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롤링 지그(11)와의 회전마찰에 의하여 가열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의 끝단부가 상기 중공소재(10)의 중공부(100)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열융착되어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밀폐시키는 단계(S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링 지그(11)의 가공 홈(110)은 상기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반구형 형태로 열융착시켜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롤링 지그(11)의 가공 홈(110)을 반구형 형태로 형성하여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반구형 형태로 열융착시켜 밀폐시키는 이유는 중공부가 형성된 중공소재(10)의 중앙부가 중공소재(11)를 형성하는 벽체부(101) 보다 두껍게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롤링 지그(11)는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깔때기 형태로 축간 가공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가공 홈(110)과 연통되는 축간 가공 홈(1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에서는 롤링 지그(11)에 축간 가공 홈(111)을 더 형성함으로써 중공소재(10)의 직경이 20mm되어 밀폐시킬 중공소재(10)의 끝단부의 중공부(100) 직경이 크게 형성될 경우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대기 형태로 축간 가공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용 중공소재(10)의 끝단부의 수밀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를 로테이트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척(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킨 후 상기 로테이트 장치의 롤링 지그(11)를 척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 측으로 이동시켜 중공소재(10)의 끝단부가 롤링 지그(11)의 가공 홈(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롤링 지그(11)를 회전시켜 마찰열에 의해 가공 홈(110) 내부로 삽입된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가열한 후, 상기 롤링 지그(11)의 회전마찰에 의해 중공소재(10)의 끝단부가 가열되면 회전되는 롤링 지그(11)를 중공소재(10) 측으로 더 이동시켜 중공소재(10)의 끝단부가 중공부(100)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열융착되도록 하여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수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은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회전마찰에 의해 열융착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완벽하게 수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처리를 위하여 제작된 중공 코일스프링을 담금질 탱크 내부에 입수시킨다 하더라도 중공소재(10)의 끝단부를 통하여 중공소재(10) 내부로 물이 침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밀폐방법은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10)의 양측 끝단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킴으로써 열처리를 위하여 제작된 중공 코일스프링을 담금질 탱크 내부에 입수시키더라도 중공 형태의 코일 스프링 내부로 물이 침투되지 않아 코일 스프링 내부가 부식되지 않음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공 코일스프링을 담금질 탱크 내부에 입수시킬 시에 중공 형태로 형성된 중공 코일스프링 내부에 물이 침투되지 않음으로써 물이 미 건조된 상태에서 도장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도장불량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은 중공소재(10)의 끝단부가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중공 코일스프링의 설치 후에 중공소재(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중공 코일스프링의 내구수명이 단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은 중공 코일스프링의 내식성의 향상과 더불어 내구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장불량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작된 중공 코일스프링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중공소재 (11) : 롤링 지그
(100) : 중공부 (101) : 벽체부
(110) : 가공 홈 (111) : 축간 가공 홈

Claims (3)

  1. 중공 코일스프링의 끝단부를 밀폐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를 로테이트 장치의 척에 고정시키는 단계(S10);
    로테이트 장치의 롤링 지그를 척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 측으로 이동시켜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롤링 지그의 가공 홈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S11);
    롤링 지그를 회전시켜 마찰열에 의해 가공 홈 내부로 삽입된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가열하는 단계(S12); 및
    상기 롤링 지그의 회전마찰에 의해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가열되면 회전되는 롤링 지그를 중공소재 측으로 더 이동시켜 중공소재의 끝단부가 중공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열융착되어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밀폐시키는 단계(S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지그의 가공 홈은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반구형 형태로 열융착 시켜 밀폐시킬 수 있도록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지그에는 중공소재의 끝단부를 깔때기 형태로 축간 가공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가공 홈과 연통되는 축간 가공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KR1020100099139A 2010-10-12 2010-10-12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KR101219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139A KR101219918B1 (ko) 2010-10-12 2010-10-12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139A KR101219918B1 (ko) 2010-10-12 2010-10-12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591A true KR20120037591A (ko) 2012-04-20
KR101219918B1 KR101219918B1 (ko) 2013-01-08

Family

ID=4613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139A KR101219918B1 (ko) 2010-10-12 2010-10-12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9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7449A4 (en) * 2010-12-01 2015-07-15 Nhk Spring Co Ltd HOLLOW BUCKLE SP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PRING
KR101719151B1 (ko) 2016-03-18 2017-03-23 대원강업주식회사 중공 코일스프링 제조방법
KR20180116398A (ko) * 2016-03-30 2018-10-24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중공 스프링 부재
EP3438494A4 (en) * 2016-03-30 2019-11-27 NHK Spring Co., Ltd. HOLLOW SCREW SPRING AND SUSPENSION UNIT FOR ON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436A (ja) * 1999-07-27 2001-02-13 Koa Seisakusho:Kk 中空体の製造方法
JP2003200241A (ja) * 2001-12-27 2003-07-15 Tokico Ltd 管端のクロージング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4868972B2 (ja) * 2006-08-09 2012-02-0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クロージング加工装置及びクロージング加工方法
JP2010194608A (ja) * 2009-09-11 2010-09-09 Miyata:Kk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ハウジン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7449A4 (en) * 2010-12-01 2015-07-15 Nhk Spring Co Ltd HOLLOW BUCKLE SP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PRING
US9145941B2 (en) 2010-12-01 2015-09-29 Nhk Spring Co., Ltd. Hollow coil sp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19151B1 (ko) 2016-03-18 2017-03-23 대원강업주식회사 중공 코일스프링 제조방법
WO2017159935A1 (ko) * 2016-03-18 2017-09-21 대원강업 주식회사 중공 코일스프링 제조방법
KR20180116398A (ko) * 2016-03-30 2018-10-24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중공 스프링 부재
CN109154346A (zh) * 2016-03-30 2019-01-04 日本发条株式会社 中空弹簧构件
EP3438495A4 (en) * 2016-03-30 2019-11-27 NHK Spring Co., Ltd. HOLLOW SPRING ELEMENT
EP3438494A4 (en) * 2016-03-30 2019-11-27 NHK Spring Co., Ltd. HOLLOW SCREW SPRING AND SUSPENSION UNIT FOR ONE VEHICLE
US11254177B2 (en) 2016-03-30 2022-02-22 Nhk Spring Co., Ltd. Hollow coil spring and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US11685211B2 (en) 2016-03-30 2023-06-27 Nhk Spring Co., Ltd Hollow coil spring and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US11701943B2 (en) 2016-03-30 2023-07-18 Nhk Spr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low spr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918B1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918B1 (ko) 코일스프링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KR101219881B1 (ko) 스태빌라이저 바용 중공소재의 끝단부 밀폐방법
JP2014228143A (ja) パイプ補修用クランプ
WO2009085574A3 (en) Microwave antigen retrieval in non-aqueous solvents
CN104832745B (zh) 弧板式大口径pe管道带压修复结构及其修复方法
JP2015036584A (ja) 流体ラインのための壁貫通供給エレメント及び壁貫通供給装置
RU264192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способы создания электрофузи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JP2014040929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
JP2012042048A (ja) パイプ配列
CN211206184U (zh) 一种地热水温度压力和现场实时检测一体化的装置
CN103464963B (zh) 一种在线设备小孔堵漏方法
CN204755979U (zh) 球阀及空调器
KR20150098545A (ko) 부식 시험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CN103696448B (zh) 风机基础预应力构件的防腐结构及防腐方法、风机基础
JP2015175514A (ja) ソフトシール仕切弁
CN204116272U (zh) 对元素硫的垢下腐蚀进行测试的电化学设备
CN209012609U (zh) 一种耐蚀合金复合嵌入式马鞍形对焊三通
CN105698010A (zh) 一种冬季管网野外施工查漏方法
CN204330143U (zh) 测温探头用搪瓷盲管结构
CN204575404U (zh) 一种检测钢塑复合管耐腐蚀性的检测试件
KR101884530B1 (ko) 비닐 하우스 개폐기의 비닐 롤 파이프
CN103162059A (zh) 带压无毒介质管道泄漏施工方法
CN104278661A (zh) 一种景观坝面结构
JP2020153424A (ja) 補修具および補修方法
US10066770B2 (en) Weldless transfer tub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