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465A -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465A
KR20120036465A KR1020100098162A KR20100098162A KR20120036465A KR 20120036465 A KR20120036465 A KR 20120036465A KR 1020100098162 A KR1020100098162 A KR 1020100098162A KR 20100098162 A KR20100098162 A KR 20100098162A KR 20120036465 A KR20120036465 A KR 2012003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late
film
insulating film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295B1 (ko
Inventor
이진용
Original Assignee
서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숙 filed Critical 서경숙
Priority to KR1020100098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2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IH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판재(1)를 원하는 용기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성형된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연마 처리하는 성형 단계(S1)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전기 절연막(15)을 형성한 후,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의 전기 절연막(15)을 제거하여 순수 알루미늄이 노출되도록 하는 절연막 형성 단계(S2)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을 형성하는 1차 표면처리 단계(S3)와; 상기 용기 본체(10)에 형성된 전기 절연막(15)을 제거하는 1차 후처리 단계(S4)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IH 판(20)을 압착하여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이 형성된 순수 알루미늄에 상기 IH 판(20)이 부착되도록 하는 전열판 부착 단계(S5)와; 상기 IH 판(20)에 전기 절연막(25)을 형성한 후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바닥면(13) 일부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2피막(17)을 형성하는 2차 표면처리 단계(S6)와; 상기 IH 판(20)의 전기 절연막(25)을 제거하고 버핑 처리하는 2차 후처리 단계(S7)와; 상기 용기 본체(10)에 손잡이를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만드는 조립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기 절연막이 제거되어 순수 알루미늄만 남아 있는 부위에 IH 판이 부착되므로 전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기 절연막 위에 IH 판을 부착했을 때에 비해 열 전도율이 향상되고, IH 판에는 전해 피막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해 피막으로 인한 IH 판의 부식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IH 판이 부착되는 순수 알루미늄에 전해 피막이 형성되어 순수 알루미늄의 부식이 방지된다.

Description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Induction 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IH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H 판이 부착되는 부위에는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전열 효과가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IH 판의 외면에는 전해 피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IH 판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이 인가되어 자장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자장이 유도되고, 이 자장이 미치는 영역에 있는 금속체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말한다.
상기한 인덕션 렌지는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를 방지할 수 있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렌지는 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불꽃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그릴에 신체부위가 접촉되어도 화상을 입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한 인덕션 렌지에서는 불꽃을 이용하는 통상의 조리용기를 사용할 수 없으며, 상기 인덕션 렌지에서 발생하는 자장에 의해 자기 유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릴에 닿는 부분인 바닥면이 전도체로 형성된 조리용기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를 IH 조리용기라 한다. 상기 IH 조리용기는 자장의 유도를 위하여 바닥면이 철(Fe)성분을 함유한 금속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즉, 인덕션 렌지에서는 고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과의 자기감응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만 사용할 수 있고, 조리용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나 석기 및 도자기 종류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는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인덕션 렌지에서 냄비나 후라이팬, 주전자 및 압력밥솥과 같은 조리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철 성분을 함유한 금속판(이하 'IH 판' 이라 한다)을 부착하고 있으며, 이러한 형식의 IH 조리용기는 비철금속과 철계금속의 이종재질의 접합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IH 조리용기에서 사용되는 이종 재질의 접합 방식으로는 이종 재질간 용접이 보편적이나, 간편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조리용기의 제작에 이용되는 다이캐스팅 방식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즉, 용접 방식을 이용할 경우 그 생산량에 한계가 있어 비용이 상승하고,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조리용기를 생산할 경우에는 이종 재질의 용기본체와 IH 판을 일체화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일체화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IH 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IH 판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버(Burr) 또는 구멍 주위에 형성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IH 판을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압착하여 일체화하는 방식이 연구되었다. 이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IH 판이 용기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알루미늄재 조리용기는 공기 중에서 산화하여 산화막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의 특성을 고려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전해 처리를 통한 경질 또는 연질의 피막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피막은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알루미늄을 대기로부터 분리하여 알루미늄에 산화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알루미늄재 용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전체에 피막을 형성한 상태에서 바닥판에 IH 판을 부착하게 되면, IH 판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바닥판의 피막에 압력이 가해져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이 크랙이 IH 판이 설치되지 않은 바닥판의 바깥쪽으로부터 IH 판 방향으로 진행되어 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알루미늄재 용기 본체에 IH 판을 직접 부착한 후 전해 처리를 함으로써 피막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IH 판에도 피막이 형성되어 IH 판을 부식시키는 요인이 되며 장기 사용시 피막과 IH 판이 떨어져 나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제품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문양을 형성하거나 페인트를 도포하는 경우가 있고, 전해 피막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전기 절연막을 형성한 상태로 전해 처리를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에 전기 절연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IH 판을 부착하게 되면, 전기 절연막으로 인해 IH 판으로부터 용기 본체로 전달되는 열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열 전도율이 불완전하고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해 처리를 위해 형성하는 전기 절연막 위에 IH 판을 부착하지 않고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알루미늄에 IH 판이 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IH 판에는 전해 피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고 IH 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IH 판이 부착되는 부위에서 노출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부식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내부면과 외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특정한 문양이 형성되어 제품의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용기 본체 중 무늬가 형성되는 부분과 다른 부분의 피막층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미감이 더욱 향상되도록한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판재를 원하는 용기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성형된 용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연마 처리하는 성형 단계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전기 절연막을 형성한 후, IH 판이 부착될 부위의 전기 절연막을 제거하여 순수 알루미늄이 노출되도록 하는 절연막 형성 단계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면과 외부면 및 IH 판이 부착될 부위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을 형성하는 1차 표면처리 단계와;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전기 절연막을 제거하는 1차 후처리 단계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IH 판을 압착하여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이 형성된 순수 알루미늄에 상기 IH 판이 부착되도록 하는 전열판 부착 단계와; 상기 IH 판에 전기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면과 외부면 및 바닥면 일부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2피막을 형성하는 2차 표면처리 단계와; 상기 IH 판의 전기 절연막을 제거하고 버핑 처리하는 2차 후처리 단계와; 상기 용기 본체에 손잡이를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만드는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절연막 형성단계는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면과 내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무늬가 형성되도록 특정 문양 형태의 전기 절연막을 추가로 부착하는 문양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1차 표면처리 단계에서 형성된 제1피막과 상기 2차 표면처리 단계에서 형성된 제2피막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기 절연막은 페인트를 코팅하거나 전기 절연용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전기 절연막이 제거되어 순수 알루미늄만 남아 있는 부위에 IH 판이 부착되므로 전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기 절연막 위에 IH 판을 부착했을 때에 비해 열 전도율이 향상되고, IH 판에는 전해 피막이 형성되지 않아 전해 피막으로 인한 IH 판의 부식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IH 판이 부착되는 순수 알루미늄에 전해 피막이 형성되어 순수 알루미늄의 부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내부면과 외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다른 부분과 구별되는 특정 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완제품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해 처리 방식의 1차 표면처리에 따른 제1피막과 전해 처리 방식의 2차 표면처리에 따른 제2피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1종의 피막만 있는 부위와 2종의 피막이 모두 있는 부위가 대비되어 제품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중 1차 표면처리 단계 직전의 용기 본체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중 1차 표면처리 후 전기 절연막을 제거하고 IH 판을 부착한 상태의 용기 본체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 중 2차 표면처리 후 전기 절연막을 제거한 상태의 용기 본체가 도시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 판재(1)를 원하는 용기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성형된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연마 처리하는 성형 단계(S1)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페인트를 코팅하거나 전기 절연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전기 절연막(15)을 형성한 후,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의 전기 절연막(15)을 제거하여 순수 알루미늄이 노출되도록 하는 절연막 형성 단계(S2)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을 형성하는 1차 표면처리 단계(S3)와; 상기 용기 본체(10)에 형성된 전기 절연막(15)을 제거하는 1차 후처리 단계(S4)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IH 판(20)을 압착하여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이 형성된 순수 알루미늄에 상기 IH 판(20)이 부착되도록 하는 전열판 부착 단계(S5)와; 상기 IH 판(20)에 전기 절연막(25)을 형성한 후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바닥면(13) 일부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2피막(17)을 형성하는 2차 표면처리 단계(S6)와; 상기 IH 판(20)의 전기 절연막(25)을 제거하고 버핑 처리하는 2차 후처리 단계(S7)와; 상기 용기 본체(10)에 손잡이를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만드는 조립 단계(S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막 형성단계(S2)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부면(12)과 내부면(11) 중 적어도 일면에 무늬가 형성되도록 특정 문양 형태의 전기 절연막(18)을 추가로 부착하는 문양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때,상기 1차 표면처리 단계(S3)에서 형성된 제1피막(16)과 상기 2차 표면처리 단계(S6)에서 형성된 제2피막(17)은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IH 판이 부착되는 순수 알루미늄에는 전해 피막을 형성하고 IH 판에는 전해 피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먼저, 알루미늄 판재(1)를 원하는 용기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고, 성형된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샌딩이나 블래스팅 방식을 통해 연마 처리한다. 물론, 프레스 가공을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판재(1)에 도포되는 유지 등을 제거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어,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페인트를 코팅하거나 전기 절연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전기 절연막(15)을 형성한 후,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의 전기 절연막(15)을 제거하여 순수 알루미늄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부면(12)과 내부면(11) 중 적어도 일면에 무늬가 형성되도록 특정 문양 형태의 전기 절연막(18)을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를 전해조에 투입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한 후 건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이 형성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상기 제1피막(16)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과 외부면 및 IH 판 부착 부위의 알루미늄 소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전기 절연막(15)(18)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피막(16)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13)의 일부와 무늬 형성부의 알루미늄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IH 판(20)을 압착하여 순수 알루미늄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이 형성된 IH 판 부착 부위(14)에 상기 IH 판(20)을 부착하게 되며, 이 상태의 용기 본체(10)의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IH 판(20)에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전기 절연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전기 절연막(25)을 형성한 후, 상기 용기 본체(10)를 전해조에 투입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바닥면(13) 일부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2피막(17)이 형성된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 및 외부면(12)에는 제1피막(16)과 제2피막(17)이 모두 형성되지만,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 일부 및 무늬 형성부에는 상기 제2피막(17)만 형성되므로, 제품의 외관에 대한 미감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제1피막(16)과 제2피막(17)의 조성을 다르게 하면, 상기 제1피막(16)과 제2피막(17)이 모두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 및 외부면(12)과 상기 제2피막(17)만 형성된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 일부 및 무늬 형성부가 뚜렷하게 대비되어 전체적인 미감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2차 표면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IH 판(20)의 전기 절연막(25)을 제거하고 버핑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에 손잡이를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만들게 된다.
지금까지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에 제1피막(16)과 제2피막(17)이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을 일부 변경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에 1종의 피막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1차 표면처리 전에 전기 절연막(15)을 형성할 때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에 대하여 전기 절연막(15)을 형성하고, 상기 IH 판 부착 부위(14)의 전기 절연막(15)만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에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늬 형성부의 전기 절연막을 특정 문양의 형태로 제거하여야 한다.
이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 및 외부면(12)에는 상기 제2피막(17)만 형성되고, 바닥면(13)의 IH 판 부착 부위(14)에는 상기 제1피막(16)만 형성되며, 상기 무늬 형성부에는 제1피막(16)과 제2피막(17)이 모두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알루미늄 판재
10: 용기 본체
11: 내부면
12: 외부면
13: 바닥면
14: IH 판 부착 부위
15: 전기 절연막
16: 제1피막
17: 제2피막
18: 전기 절연막
20: IH 판
25: 전기 절연막

Claims (4)

  1. 알루미늄 판재(1)를 원하는 용기의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한 후 성형된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연마 처리하는 성형 단계(S1)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전기 절연막(15)을 형성한 후,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의 전기 절연막(15)을 제거하여 순수 알루미늄이 노출되도록 하는 절연막 형성 단계(S2)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IH 판이 부착될 부위(14)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을 형성하는 1차 표면처리 단계(S3)와;
    상기 용기 본체(10)에 형성된 전기 절연막(15)을 제거하는 1차 후처리 단계(S4)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3)에 IH 판(20)을 압착하여 연질 또는 경질의 제1피막(16)이 형성된 순수 알루미늄에 상기 IH 판(20)이 부착되도록 하는 전열판 부착 단계(S5)와;
    상기 IH 판(20)에 전기 절연막(25)을 형성한 후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전체를 전해 처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면(11)과 외부면(12) 및 바닥면(13) 일부에 연질 또는 경질의 제2피막(17)을 형성하는 2차 표면처리 단계(S6)와;
    상기 IH 판(20)의 전기 절연막(25)을 제거하고 버핑 처리하는 2차 후처리 단계(S7)와;
    상기 용기 본체(10)에 손잡이를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만드는 조립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형성단계(S2)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부면(12)과 내부면(11) 중 적어도 일면에 무늬가 형성되도록 특정 문양 형태의 전기 절연막(18)을 추가로 부착하는 문양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표면처리 단계(S3)에서 형성된 제1피막(16)과 상기 2차 표면처리 단계(S6)에서 형성된 제2피막(17)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막(15)(25)은 페인트를 코팅하거나 전기 절연용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00098162A 2010-10-08 2010-10-08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17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162A KR101176295B1 (ko) 2010-10-08 2010-10-08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162A KR101176295B1 (ko) 2010-10-08 2010-10-08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465A true KR20120036465A (ko) 2012-04-18
KR101176295B1 KR101176295B1 (ko) 2012-08-22

Family

ID=4613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162A KR101176295B1 (ko) 2010-10-08 2010-10-08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39B1 (ko) * 2012-08-23 2014-04-07 이명덕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60103736A (ko) * 2015-02-25 2016-09-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가열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07B1 (ko) 2012-09-07 2012-11-27 주식회사 홈스타 전열판 부착 알루미늄 조리용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630U (ja) 2006-08-23 2006-11-02 ▲チョル▼煥 趙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KR101028419B1 (ko) 2008-08-14 2011-04-13 주식회사 이룸쿡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20100068727A (ko) 2008-12-15 2010-06-24 이원철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39B1 (ko) * 2012-08-23 2014-04-07 이명덕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60103736A (ko) * 2015-02-25 2016-09-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가열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295B1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3543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76295B1 (ko)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275669B1 (ko) 인덕션 히팅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1862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JP4047878B2 (ja) 電子誘導加熱炊飯器用内釜
JP2012200346A (ja) 調理釜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した加熱調理器用調理釜
CN111227654A (zh) 一种石墨烯内胆、石墨烯内胆的制备方法及电磁炊具
KR100913118B1 (ko) 조리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0913119B1 (ko) 조리용기와 그 제조방법
WO2005115207A1 (en) Cooking utensil for induction range
KR20070047263A (ko)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KR20160115877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2539B1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60115104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7652B1 (ko) 인덕션 렌지의 밥솥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용기
KR100838470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내솥
TWM274905U (en) Metal pot with magnetic conduction layer
JP6806654B2 (ja) 調理鍋
KR101205307B1 (ko) 전열판 부착 알루미늄 조리용기 제조방법
JP2002178071A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KR20220032975A (ko)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0490693Y1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용 전열판
KR102285491B1 (ko)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70077433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