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260A - 항행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항행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260A
KR20120036260A KR1020110094770A KR20110094770A KR20120036260A KR 20120036260 A KR20120036260 A KR 20120036260A KR 1020110094770 A KR1020110094770 A KR 1020110094770A KR 20110094770 A KR20110094770 A KR 20110094770A KR 20120036260 A KR20120036260 A KR 2012003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application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functio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325B1 (ko
Inventor
층-순 한
치아오-정 로
호우-이 우
Original Assignee
노바텍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0101841A external-priority patent/TW201215848A/zh
Application filed by 노바텍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바텍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3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멀티디미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복수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기 상의 내비게이션 키를 트리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상에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테이블 또는 복수의 기능 키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행 동작 방법{NAVIGATIONAL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항행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의성의 증대된 항행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디스플레이들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려고 할 때,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를 동작시키거나 선호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에 진입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원하는 기능을 찾고 구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의 서로 다른 레이어들에 위치하는 페이지들 사이에서 복잡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고, 상기 구성이 완료된 후에 이전에 표시된 컨텐츠들로 돌아가는 리바이스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설게는 사용자들에게 디스플레이의 동작상에 있어서 커다란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키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빠른 동작을 위한 멀티플(multiple) 기능 키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높은 편의성과 높은 동작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항행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navigational operation method)은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복수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기 상의 내비게이션 키를 트리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상에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테이블 또는 복수의 기능 키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navigational operation method)은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단계,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상에 내비게이션 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의 현재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테이블 또는 복수의 기능 키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출발점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빠른 동작을 위한 기능 테이블이나 다중 기능 키들을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키를 사용하여, 용자가 페이지를 스위칭하지 않고도 가능한 한 편리하게 선호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페이지들의 모든 종류의 다른 기능 용어들의 명칭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기능 테이블을 표시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키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빠른 동작을 위한 멀티플(multiple) 기능 키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고, 스위칭없이 단일 페이지 내에서 선호하는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는 항행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항행 동작 방법(navigational operation method)은 실질적으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S10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다중 동작 모드들 중 하나가 선택된다. 단계(S110)에서 상기 원격 제어기 상의 내비게이션 키를 트리거(trigger)시킨다. 단계(S120)에서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테이블 또는 다중 기능 키들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상에 표시된다. 상기 원격 제어기 상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키가 아닌 다른 키들이 트리거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에게 상기 원격 제어기 상에 편리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내비게이션 키가 존재함을 상기시키는 알림 메시지(리마인더)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항행 동작 방법은 실질적으로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S200)에서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터치된다.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터치된 후, 단계(S210)에서 내비게이션 키가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단계(S220)에서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의 현재의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테이블 또는 다중 기능 키들이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항행 동작 방법에서 언급된 상기 내비게이션 키들은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키가 트리거되었을 때,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 그룹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그룹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비디오 및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풀-모드(full-mode_ 또는 패널-모드(Panel-mode)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뷰(view) 기능 그룹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나머지 일부는 재생(playing), 잠시 멈춤(pausing), 종료(stopping) 또는 표시 스피드의 변경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플레이 기능 그룹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키가 트리거되었을 때,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 그룹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그룹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이미지를 감상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줌-인(zoom-in), 줌-아웃(zoom-out), 이전 이미지 또는 다음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감상 기능을 수행하는 뷰(view, 감상) 기능 그룹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다른 일부는 재생(playing), 잠시 멈춤(pausing), 종료(stopping) 또는 표시 스피드의 변경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이미지 감상과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 재생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표시 기능들을 수행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표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미지 감상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된 결과물이 사진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키가 트리거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중 기능 키들(131~140)을 표시한다. 상기 기능 키들(131~140) 각각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들은 이전 사진, 다음 사진, 줌-인, 줌-아웃, 음악 재생, 볼륨 조절, 정보, 옵션들, 내가 좋아하는 것들(my favorites) 및 선호하는 것들 설정(preference settings)이다. 상기 기능 키들(131~134)은 이미지 감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키들(135~138)은 비디오 및 오디오 감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키들(139~140)은 비디오 및 오디오 감상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사진을 감상하면서 복잡한 스위칭 없이 동일한 단일 페이지에서 상기 원하는 기능을 즉시 찾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비디오 및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된 결과물인 무비 프레임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키가 트리거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중 기능 키들(151~156)을 표시한다. 상기 기능 키들(151~156) 각각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들은 페이싱(pacing), 줌-인, 줌-아웃, 볼륨 조절, 정보 및 옵션들이다. 상기 기능 키들(151~154)은 비디오 및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제어 기능 그룹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키들(155~156)은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기능 그룹에 해당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무비 프레임을 감상하면서 복잡한 스위칭 없이 동일한 단일 페이지에서 상기 원하는 기능을 즉시 찾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페이지들의 모든 종류의 다른 기능 용어들의 명칭들을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5a 및 도 5b의 다른 페이지들의 모든 종류의 다른 기능 용어들의 명칭은 사용자의 필요와 디자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에서는 기능 테이블이 상기 다중 기능키들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텔레비전의 일반 표시 모드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키가 트리거되면, 텔레비전 채널 리스트와 같은 기능 테이블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페이지를 스위칭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선호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행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출발점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빠른 동작을 위한 기능 테이블이나 다중 기능 키들을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키를 사용하여, 용자가 페이지를 스위칭하지 않고도 가능한 한 편리하게 선호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높은 편리성과 높은 동작 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7)

  1.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navigational operation method)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복수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기 상의 내비게이션 키를 트리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상에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테이블 또는 복수의 기능 키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 그룹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그룹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나머지 일부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 상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키가 아닌 다른 키들이 트리거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에게 상기 내비게이션 키의 내비게이션 기능이 존재함을 상기시키는 알림 메시지(리마인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원격 제어기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
  5.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navigational operation method)으로서,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단계;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상에 내비게이션 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의 현재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 테이블 또는 복수의 기능 키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기능 그룹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2 기능 그룹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들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수행된 결과물이면,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일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상기 기능 테이블이나 상기 기능 키들의 나머지 일부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항행 동작 방법.
KR1020110094770A 2010-10-07 2011-09-20 항행 동작 방법 KR101318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078410P 2010-10-07 2010-10-07
US61/390,784 2010-10-07
TW100101841A TW201215848A (en) 2010-10-07 2011-01-18 Navigational operation method
TW100101841 2011-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260A true KR20120036260A (ko) 2012-04-17
KR101318325B1 KR101318325B1 (ko) 2013-10-16

Family

ID=4475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770A KR101318325B1 (ko) 2010-10-07 2011-09-20 항행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86653A1 (ko)
EP (1) EP2439955A1 (ko)
KR (1) KR101318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2494B (zh) * 2012-07-09 2015-04-21 Wistron Corp 頻道資訊提示方法及系統以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CN107704241B (zh) * 2017-09-26 2022-04-29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一种页面状态切换的显示方法和装置
CN110996042A (zh) * 2019-10-23 2020-04-10 安徽文香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6825B1 (en) * 1998-05-13 2002-11-05 Clemens Croy Hand-held video viewer and remote control device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20030121059A1 (en) * 2001-12-21 2003-06-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minder message to display
KR100528881B1 (ko) * 2003-09-15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간 바로가기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변환 방법
JP4158105B2 (ja) * 2003-09-25 2008-10-01 ソニー株式会社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US20060221059A1 (en) * 2005-04-01 2006-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s and method of inputting functions using display buttons
US7810043B2 (en) * 2005-07-27 2010-10-05 Microsoft Corporation Media user interface left/right navigation
KR20070062094A (ko) * 2005-12-12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Ui제공 장치 및 방법
WO2009031102A2 (en) * 2007-09-03 2009-03-12 Orca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 for quick navigation between recommendation sets in a tv content disco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9955A1 (en) 2012-04-11
US20120086653A1 (en) 2012-04-12
KR101318325B1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12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복수의 서브 화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681128B2 (en) Multimedia player and method of displaying on-screen menu
US8891935B2 (en) Multi-video rendering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JP2011511598A (ja) Tv用のお気に入りgui
CN106471818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50138239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0825889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20140014457A (ko) 상태 바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JP5323660B2 (ja) スクロール表示装置
EP1681617B1 (en) Method of selecting an element from a list by moving a graphics distinc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US9264776B2 (en) Apparatus of rendering user interface for playing broadcast programs and the method thereof
JP2008042520A (ja) 放送受信記録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318325B1 (ko) 항행 동작 방법
US2015018127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536662B2 (en) Method for zapp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24069433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215848A (en) Navigational operation method
JP2008028785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6244502A (ja) クリック可能なオブジェクトを活性化す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及びその方法を提供する再生装置
WO2016092864A1 (ja)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WO2012068979A1 (zh) 一种实现手机多媒体节目预览的方法及装置
JP5345190B2 (ja) ナビゲーション動作方法
US20070260903A1 (en) Multimedia reprodu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06676B1 (ko)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WI522885B (zh) 螢幕顯示畫面的顯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