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198A - 차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198A
KR20120036198A KR1020100097943A KR20100097943A KR20120036198A KR 20120036198 A KR20120036198 A KR 20120036198A KR 1020100097943 A KR1020100097943 A KR 1020100097943A KR 20100097943 A KR20100097943 A KR 20100097943A KR 20120036198 A KR20120036198 A KR 20120036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ooling module
module support
vehic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6198A/ko
Publication of KR2012003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2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preassembled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로어멤버와 사이드멤버를 형성하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 이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상측에 형성되는 어퍼멤버, 및 이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어퍼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캐리어의 하측과 측부위를 이루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상측에 어퍼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램프서포트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어퍼멤버와 램프서포트멤버를 쉽게 교체 가능하여 금형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리어{CARRIE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하측과 측부위를 이루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상측에 어퍼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램프서포트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어퍼멤버와 램프서포트멤버를 쉽게 교체 가능하여 금형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차실이나 엔진룸 혹은 트렁크 실이나 펜더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 차체는 또한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차체와 중심차체 및 후방차체로 구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방차체에는 헤드램프, 라디에이터, 콘덴서, 범퍼 등이 조립되기 위한 캐리어(carrier)가 형성되는데, 캐리어에는 헤드램프, 라디에이터, 콘덴서, 범퍼 등과 차체 패널을 하나로 조립하여 현장에서 조립능률을 향상시키고, 조립대상 부품수를 감소시켜 조립 시간을 단축하며, 제품의 조립 정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인 FEM(Front End Module)이 적용된다.
그리고, 캐리어의 상부멤버에는 후드(Hood)가 고정되도록 래치(Latch)가 조립되어지는데, 여기에는 자동차의 엔진룸을 개방하기 위해 후드를 열고 닫을 때 발생하는 후드의 동적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된다.
또한, 후드를 고정시키는 래치는 수직래치(Vertical latch)와 수평래치(Horizontal latch)로 나뉘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차량용 캐리어는 사출물 금형에 인서트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하는 방식으로서, 플랫폼 공용화가 불가하고, 디자인 변경 대응에 대처할 수 없으며, 인서트 사출 후 변형이 심해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를 지지하기 위해 캐리어의 하측과 측부위를 이루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상측에 어퍼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쿨링모듈서포트멤버에 헤드램프 장착용 램프서포트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어퍼멤버와 램프서포트멤버를 쉽게 교체 가능하여 금형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래치에 가해지는 힘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도록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어퍼멤버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쿨링서포트멤버에 램프서포트멤버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램프서포트멤버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는: 로어멤버와 사이드멤버를 형성하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상측에 형성되는 어퍼멤버, 및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상기 어퍼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양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양측으로 연통되는 제 1연통홀을 통공한 리브, 상기 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어퍼멤버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연통홀과 일치되는 제 2연통홀을 통공한 삽입홈부, 및 상기 제 1연통홀과 상기 제 2연통홀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상기 어퍼멤버를 체결하는 체결스크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상기 어퍼멤버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램프서포트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는 상기 램프서포트멤버를 지지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플랜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는 종래 기술과 달리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를 지지하기 위해 캐리어의 하측과 측부위를 이루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상측에 어퍼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 쿨링모듈서포트멤버에 헤드램프 장착용 램프서포트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어퍼멤버와 램프서포트멤버를 쉽게 교체 가능하여 금형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래치에 가해지는 힘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도록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어퍼멤버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쿨링서포트멤버에 램프서포트멤버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램프서포트멤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10)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 어퍼멤버(30) 및 결합부(40)를 포함한다.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는 라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와 인터쿨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여 지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로어멤버와 사이드멤버로 이루어진다. 물론,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어퍼멤버(30)는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의 상측을 고정하기 위해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의 상측에 형성된다. 특히, 어퍼멤버(30)는 차량용 후드(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는 래치(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고정하기 위해 래치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어퍼멤버(30)는 차량용 후드를 지지한다.
한편, 차량의 페이스 리프트(FACE LIFT) 모델 변경시,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는 그대로 유지되나, 어퍼멤버(30)는 교체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는 호환성을 가지도록 어퍼멤버(30)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부(40)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와 어퍼멤버(3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어퍼멤버(30)가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로부터 분리 가능함으로써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의 호환성이 가능하게 된다.
일례로, 결합부(40)는 리브(42), 삽입홈부(44) 및 체결스크류부재(46)를 포함한다.
리브(42)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의 양측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리브(42)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리브(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리브(42)는 양측으로 연통되는 제 1연통홀(41)을 통공한다. 이 제 1연통홀(41)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삽입홈부(44)는 리브(42)를 수용하도록 어퍼멤버(30)에 형성된다.
즉, 삽입홈부(44)는 리브(42)를 삽입하기 위해 어퍼멤버(30) 양측에 함몰 형성된다.
삽입홈부(44)는 제 1연통홀(41)과 일치되는 제 2연통홀(43)을 통공한다.
그래서, 리브(42)가 삽입홈부(44)에 삽입되면, 제 1연통홀(41)과 제 2연통홀(43)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체결스크류부재(46)는 제 1연통홀(41)과 제 2연통홀(43)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체결스크류부재(46)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한 기계체결요소로 적용한다.
따라서, 체결스크류부재(46)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와 어퍼멤버(30)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어퍼멤버(30)가 결합부(40)에 의해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에 견고하게 지지 고정됨에 따라 어퍼멤버(30)는 차량용 후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부(40)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와 어퍼멤버(3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램프서포트멤버(50)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램프서포트멤버(50)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와 어퍼멤버(30) 및 램프서포트멤버(50)는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램프서포트멤버(50)는 결합부(40)의 체결스크류부재(46)에 함께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램프서포트멤버(50)가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모델 변경시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의 호환성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램프서포트멤버(50)는 체결스크류부재(46)에 의해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에 어퍼멤버(30)와 함께 결합됨과 동시에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에 단독으로 결합되어 결속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
특히, 램프서포트멤버(50)는 일측이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에 연결된 채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휘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 그래서, 램프서포트멤버(50)는 충분히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쿨링모듈서포트멤버(20)는 램프서포트멤버(50)를 지지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플랜지(22)를 형성한다.
플랜지(22)는 램프서포트멤버(50)의 후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플랜지(22)와 램프서포트멤버(50)는 체결부재(2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캐리어 20: 쿨링모듈서포트멤버
22: 플랜지 30: 어퍼멤버
40: 결합부 42: 리브
44: 삽입홈부 46: 체결스크류부재
50: 램프서포트멤버

Claims (4)

  1. 로어멤버와 사이드멤버를 형성하는 쿨링모듈서포트멤버;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상측에 형성되는 어퍼멤버; 및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상기 어퍼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의 양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양측으로 연통되는 제 1연통홀을 통공한 리브;
    상기 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어퍼멤버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연통홀과 일치되는 제 2연통홀을 통공한 삽입홈부; 및
    상기 제 1연통홀과 상기 제 2연통홀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상기 어퍼멤버를 체결하는 체결스크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와 상기 어퍼멤버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램프서포트멤버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서포트멤버는 상기 램프서포트멤버를 지지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KR1020100097943A 2010-10-07 2010-10-07 차량용 캐리어 KR20120036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943A KR20120036198A (ko) 2010-10-07 2010-10-07 차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943A KR20120036198A (ko) 2010-10-07 2010-10-07 차량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198A true KR20120036198A (ko) 2012-04-17

Family

ID=4613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943A KR20120036198A (ko) 2010-10-07 2010-10-07 차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61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07A (ko) * 2014-09-24 2016-04-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07A (ko) * 2014-09-24 2016-04-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0789B (zh) 车辆前部结构
US7497289B2 (en) Structure of carrier
KR100577814B1 (ko) 자동차의 프런트엔드모듈(FEM;front endmodule)상부판넬의 수평래치 결합구조
US20070182211A1 (en) Carrier for front end module of vehicle
CN105460080B (zh) 车辆用载体架
WO2018161695A1 (zh) 汽车的车身
CN103909974B (zh) 可拆开的定位和加强结构以及拆卸车辆的前端总成的方法
ES2547116T3 (es) Unidad frontal de vehículo de motor
KR20120036198A (ko) 차량용 캐리어
KR101282651B1 (ko) Fem캐리어의 장착구조
KR101781921B1 (ko) 차량용 캐리어
CN201597542U (zh) 装有保险杠的汽车
KR10134452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27334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CN215971767U (zh) 一种前端骨架总成
KR101501905B1 (ko)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CN216101989U (zh) 一种具有后保险杠安装功能的后尾灯结构及汽车
CN217893102U (zh) 一种车体护板后连接结构
CN208760564U (zh) 前保险杠的安装结构
CN102874185B (zh) 一种新型汽车可拆卸隔舱护板
CN217396386U (zh) 仪表板总成及具有其的车辆
CN217778770U (zh) 前端模块以及车辆
KR20130103868A (ko) 차량용 쿨링모듈
KR101251881B1 (ko) 차량의 프런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CN218198520U (zh) 汽车框架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