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003A -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003A
KR20120036003A KR1020100097644A KR20100097644A KR20120036003A KR 20120036003 A KR20120036003 A KR 20120036003A KR 1020100097644 A KR1020100097644 A KR 1020100097644A KR 20100097644 A KR20100097644 A KR 20100097644A KR 20120036003 A KR20120036003 A KR 2012003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lane
width
dual
vari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063B1 (ko
Inventor
황영수
송기영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0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에 설치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각각의 레인의 폭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선형 이동 가이드(LM Guide); 선형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제1 가변부재와 제2 가변부재 의하여 각각 폭이 조절되는 제1 가변 레인과 제2 가변 레인; 및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각각의 가변 부재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Structure for Regulating the Width of Lane in Dual Lane Conveyor}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에 설치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각각의 레인의 폭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표면 실장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X-Y 갠트리(gantry), 부품 흡착 장치, 컨베이어 및 부품 공급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품 흡착 장치가 부착된 X-Y 갠트리는 베이스 프레임에 조립되어 부품 흡착 장치의 X-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부품 흡착 장치는 부품 공급 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부품을 기판에 실장하고 그리고 기판은 컨베이어에 의하여 부품실장 작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실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 대의 부품실장기에 동시에 2매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이송될 수 있는 듀얼 컨베이어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듀얼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1 레인에 해당하는 프런트 레인과 제2 레인에 해당하는 리어 레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폭의 기판이 이송될 수 있도록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 조절 장치가 듀얼 컨베이어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다.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프런트 레인은 프런트 고정 부재와 프런트 가동 부재로 이루어지고, 리어 레인은 리어 고정 부재와 리어 가동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가동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동 부재의 이동을 위하여 리드 스크루, 스크루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 구동 드라이버 및 컨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듀얼 컨베이어 시스템의 경우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의 폭은 동일한 폭으로 동시에 조절되므로 프런트 레인과 리어 레인을 통하여 동일한 폭을 가진 기판이 이송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조절되어야 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이 배출되는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면서 어느 하나의 레인 폭 조정에 오류가 발생되면 다른 하나의 레인 폭 조정에 대해서도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공지의 듀얼 레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레인 폭 조절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레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각각의 레인 폭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선형 이동 가이드(LM Guide); 선형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각각의 제1 가변부재와 제2 가변부재 의하여 각각 폭이 조절되는 제1 가변 레인과 제2 가변 레인; 및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각각의 가변 부재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송 수단은 벨트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가변 부재는 각각의 구동 모터에 연결된 각각의 가변 풀리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가변부재 또는 제2 가변 부재는 고정된 이송 수단에 대한 위치 이동에 의하여 선형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는 제1 레인과 제2 레인의 폭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서로 다른 폭을 가진 기판의 이송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는 벨트 및 풀리 방식이 적용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폭 조절 구조의 실시 예가 적용된 듀얼 레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시도, 평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폭 조절 구조의 실시 예가 적용된 듀얼 레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시도, 평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의하여 지지되는 선형 이동 가이드(LM Guide)(14),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각각의 제1 가변부재(12a, 12b)와 제2 가변부재(13a, 13b)에 의하여 폭이 조절되는 제1 가변 레인(12)과 제2 가변 레인(13) 및 구동 모터(M1, M2, 17c)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15c, 16c)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다른 구성요소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일정 면적을 가진 평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적절한 지지 수단에 의하여 예를 들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형상, 구조 또는 지지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위쪽 면에 선형 이동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LM 가이드)(14)가 설치될 수 있다. 선형 이동 가이드(14)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14a, 14b)이 설치될 수 있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선형 이동 가이드(14)는 한 쌍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 또는 구조로 선형 이동 가이드(14)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변 레인(12)과 제2 가변 레인(13)은 각각 한 쌍의 제1 가변 부재(12a, 12b)와 제2 가변 부재(13a, 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는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되어 상대적인 폭이 조절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변 부재(12a, 12b)는 제1 이동부재(12a)와 제1 조정부재(12b)로 그리고 한 쌍의 제2 가변 부재(13a, 13b)는 제2 이동부재(13a)와 제2 조정부재(13b)로 각각 이루어지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이송 수단(15c, 16c)을 따라 또는 이송 수단(15c, 16c)의 회전에 의하여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2a)와 제1 조정부재(12b)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 이동부재(12a)와 제2 조정부재(13b)도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변 레인(12)과 제2 가변 레인(13)도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가변 부재(12a, 12b, 13a, 13b)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 모터(17c, M1, M2)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17c, M1, M2)에 가변 풀리(15a, 16a, 18a)가 연결되어 이송 수단(15c, 16c)에 대한 위치가 이동되거나 또는 이송 수단(15c, 16c)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가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구동 모터(17c, M1, M2)와 그에 연결된 가변 풀리(15a, 16a, 18a)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이동부재(12a)는 좌측의 구동 모터(17c)에 의하여, 제2 이동 부재(13a)는 우측의 구동 모터(17c)에 의하여, 제1 조정부재(12b)는 중앙 좌측의 구동 모터(M1)에 의하여 그리고 제2 조정부재(13b)는 중앙 우측의 구동 모터(M1)의 작동에 의하여 각각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는 각각의 구동 모터(17c, M1, M2)의 구동에 의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변 부재(12a, 12b, 13a, 13b)의 서로 독립적인 이동은 제1 가변 레인(12)과 제2 가변 레인(13)의 폭이 동일하도록 조절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구동 모터(17c, M1, M2)의 회전력은 가변 풀리(15a, 16a, 18a)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가변 풀리(15a, 16a, 18a)와 이송 수단(15c, 16c)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예를 들어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가 정해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 수단(15c, 16c)은 벨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가변 풀리(15a, 16a, 18a)는 이송 수단(15c, 16c)을 따라 고정 위치가 이동되거나 (18a의 경우) 또는 이송 수단(15c, 16c)을 회전시킬 수 있다(15a, 16a에 해당). 다른 한편으로 이송 수단(15c, 16c)의 고정 또는 회전을 위하여 가변 풀리(15a, 16a)의 맞은 편에 고정 풀리(15b, 16b)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이동부재(12a)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 모터(17c)에 연결된 제1 가변 풀리(15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벨트와 같은 제1 이송 수단(15c)이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이동부재(13a)의 이동을 위하여 우측의 구동 모터(17c)에 연결된 제2 가변 풀리(16a)에 제1 이송 수단(15c)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제2 이송 수단(16c)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조정부재(12b)의 이동을 위하여 다른 구동 모터(M1)에 연결된 가변 풀리(18a)에 제1 이송 수단(15c)이 연결되고 그리고 제2 조정부재(12b)의 이동을 위하여 다른 구동 모터(M2)에 연결된 다른 가변 풀리(18a)에 제2 이송 수단(16c)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이송수단(15c)의 고정 또는 회전을 위하여 셔틀 벨트 픽서(shuttle belt fixer)(17a, 17b)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이동부재(13a)가 제2 이송 수단(16c)의 고정 또는 회전을 위하여 마찬가지로 셔틀 벨트 픽서(17a, 17b)가 설치될 수 있다. 셔틀 벨트 픽서(17a, 17b)는 이송 수단(15c, 16c)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 수단(15c, 16c)이 고정될 필요가 있다면 잠금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이송 수단(15c, 16c)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달리 이송 수단(15c, 16c)이 회전이 되어야 한다면 잠금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풀게 되어 이송 수단(15c, 16c)이 가변 풀리(15a, 16a)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셔틀 벨트 픽서(17a, 17b)는 이와 같이 이송 수단(15c, 16c)이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송 수단(15c, 16c)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면 구동 모터(17c)의 작동에 의하여 제1 가변 풀리(15a) 또는 제2 가변 풀리(16a)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12a) 또는 제2 이동부재(13a)가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 모터(17c)의 설치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동 모터(17c)는 제1 이동부재(12a) 또는 제2 이동부재(13a)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거나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동부재(12a) 또는 제2 이동부재(13a)는 이송 수단(15c, 16c)의 회전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조정부재(12b) 또는 제2 조정부재(13a)는 이송 수단(15c, 16c)이 고정되면 이송 수단(15c, 16c)에 대한 이동에 의하여 또는 이송 수단(15c, 16c)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 모터(M1)에 연결된 가변 풀리(18a)는 랙(rack)과 피니언(pinion)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풀리(18a)의 양쪽으로 텐션 베어링과 같은 장력 수단(18b)이 설치되어 벨트와 같은 이송 수단(15c 또는 16c)이 일정한 크기의 장력을 가지면서 가변 풀리(18a)에 맞물릴 수 있다. 이송 수단(15c, 16c)은 셔틀 벨트 픽서(17a, 17b)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한편 가변 풀리(18a)와 접하는 면에 장력 수단(18b)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마찰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M1 또는 M2)가 작동되어 가변 풀리(18a)가 회전하게 되면 가변 풀리(18a)는 이송 수단(15c 또는 16c)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변 풀리(18a)의 이동과 함께 제1 조정부재(12b) 또는 제2 조정부재(13b)도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 수단(15c 또는 16c)가 고정된 경우 이송 수단(15c 또는 16c)는 랙(rack)과 같은 기능을 그리고 가변 풀리(18a)는 피니언(pinion)과 같은 기능을 가지게 되어 이송 수단(15c 또는 16c)를 따라 이동되거나 이송 수단(15c 또는 16c)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도 1c에 제시된 가변 풀리(18a)의 이송 수단(15c 또는 16c)에 대한 이동은 예시적인 것으로 가변 풀리(18a)는 다양한 매개 수단을 통하여 구동 모터(M1 또는 M2)에 연결되어 이송 수단(15c, 16c)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서 특정 구동 모터(17c, M1, M2)에 결합된 가변 풀리(15a, 16a, 18a)와 가변 풀리(15a, 16a)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 수단(15c, 16c)에 대하여 또는 이송 수단(15c, 16c)을 따라 이동되는 가변 풀리(18a)에 대하여 설명이 되었다. 그러나 구동 모터(17c, M1, M2)에 대한 가변 풀리(15a, 16a, 18a)의 결합 및 그에 따른 가변 부재(12a, 12b, 13a, 13b)의 이동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 가변 부재(12a, 12b, 13a, 13b)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시된 실시 예와 달리 제1 이동부재(12a)가 이송 수단(15c)를 따라 이동되고 제1 조정부재(12b)가 이송 수단(15c)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는 이동을 위한 구동 모터(17c, M1, M2)와 가변 풀리(15a, 16a, 18a)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모터(17c, M1, M2)의 작동에 의하여 각각의 가변 풀리(15a, 16a, 18a)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는 서로 독립적으로 선형 이동 가이드(1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부재(12a)의 이동을 위하여 좌측의 구동 모터(17c)가 작동되면 중앙 좌측의 구동 모터(M1)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이동부재(12a)의 이동이 어려운 경우 제1 조정 부재(12b)의 이동을 위하여 중앙 좌측의 구동 모터(M1)가 작동될 수 있다. 제2 가변 레일(13)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변 레일(13)은 제1 가변 레일(12)과 다른 폭을 가지도록 제2 이동부재(13a) 또는 제2 조정부재(13b)가 각각의 구동 모터(M2 또는 17c)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는 임의의 가변 부재((12a, 12b, 13a, 13b)에 의하여 레인의 폭이 조절 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1 가변 레일(12)과 제2 가변 레일(13)이 서로 다른 폭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의 작용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도 1a, 도 1b 및 도 1c의 실시 예에서 제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것은 동일한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장치의 기능에 대하여 별도로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도 1a, 도 1b 및 도 1c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품 실장을 위한 인쇄회로기판(P)이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한 쪽으로부터 공급이 되면 제1 가변 레인의 제1 이동부재(12a)와 제1 조정부재(12b)는 인쇄회로기판(P)의 폭에 대응되도록 폭(W)이 조절되어야 하고 제2 가변 레인의 제2 이동부재(13a)와 제2 조정부재(12b)도 마찬가지로 폭(W)이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제1 가변 레인과 제2 가변 레인에 공급되는 인쇄회로기판(P)의 폭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폭은 미리 결정이 되어 입력이 되어 있거나 또는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고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이에 따라 가변 부재의 이동 정도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구동 모터의 구동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조정부재(12b)와 제2 조정부재(13b)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 모터(M1, M2)에 작동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모터(M1, M2)의 작동에 의하여 가변 풀리(18a: 도 1c 참조)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 수단(15c, 16c)에 대한 위치 이동에 의하여 제1 조정 부재(12b)와 제2 조정 부재(13b)가 선형 이동 가이드(14a, 14b)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 모터(M1, M2)가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정부재(12b)와 제2 조정부재(13b)는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이동부재(12a)와 제2 이동부재(13a)의 이동을 위하여 다른 구동 모터(17c: 도 1c 참조)에 작동 신호가 전달되어 작동이 개시되고 이에 따라 가변 풀리(15a, 16b)가 회전하게 된다. 가변 풀리(15a, 16b)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 수단(15c, 16c)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12a)와 제2 이동부재(13b)가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제1 이동부재(12a)와 제1 조정부재(12b)의 이동에 의하여 제1 가변레인의 폭(W)이 인쇄회로기판(P)의 폭에 대응되도록 조절되고 마찬가지로 제2 가변레인의 폭(W)이 다른 인쇄회로기판(P)의 폭에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위에서 제1 이동부재(12a)와 제1 조정부재(12b)가 모두 이동되어 제1 가변레일의 폭이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었다. 그러나 반드시 제1 이동부재(12a)와 제1 조정부재(12b)가 모두 이동될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하나의 가변 부재(12a 또는 12b)만이 이동되어 제1 가변레일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제2 가변레인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에 제시된 실시 예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각각의 가변부재(12a, 12b, 13a, 13b)의 이동에 의하여 제1 가변레인 또는 제2 가변레일의 폭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은 공급 위치에 상관없이 듀얼 컨베이어에 의한 인쇄회로기판(P)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서로 다른 폭은 가진 인쇄회로기판(P)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을 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는 제1 레인과 제2 레인의 폭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서로 다른 기판의 이송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는 벨트 및 풀리 방식이 적용되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베이스 플레이트 14, 14a, 14b: 선형 이동 가이드
12: 제1 가변 레인 13: 제2 가변 레인
12a: 제1 이동부재 12b: 제1 조정부재
13a: 제2 이동부재 13b: 제2 조정부재
M1, M2, 17c: 구동 모터 15c, 16c: 이송 수단
15a, 16a, 18a: 가변 풀리 17a, 17b: 셔틀 벨트 픽서
18b: 장력 수단 P: 인쇄회로기판

Claims (4)

  1.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하여 지지되는 선형 이동 가이드(LM Guide);
    선형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각각의 제1 가변부재와 제2 가변부재 의하여 각각 폭이 조절되는 제1 가변 레인과 제2 가변 레인; 및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각각의 가변 부재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 수단은 벨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가변 부재는 각각의 구동 모터에 연결된 각각의 가변 풀리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가변부재 또는 제2 가변부재는 고정된 이송 수단에 대한 위치 이동에 의하여 선형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KR1020100097644A 2010-10-07 2010-10-07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KR101156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644A KR101156063B1 (ko) 2010-10-07 2010-10-07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644A KR101156063B1 (ko) 2010-10-07 2010-10-07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03A true KR20120036003A (ko) 2012-04-17
KR101156063B1 KR101156063B1 (ko) 2012-06-19

Family

ID=4613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644A KR101156063B1 (ko) 2010-10-07 2010-10-07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0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570B1 (ko) * 2013-01-04 2014-05-19 에스브이에스 주식회사 기판공급장치
KR20170084605A (ko) * 2016-01-12 2017-07-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장치
KR20230029245A (ko) * 2021-08-24 2023-03-03 (주) 에스에스피 폭 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레인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25A (ko) 2019-12-18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595B1 (ko) * 2006-12-28 2012-07-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실장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쇄회로기판 이송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570B1 (ko) * 2013-01-04 2014-05-19 에스브이에스 주식회사 기판공급장치
KR20170084605A (ko) * 2016-01-12 2017-07-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장치
KR20230029245A (ko) * 2021-08-24 2023-03-03 (주) 에스에스피 폭 조절기능을 갖는 다중 레인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063B1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595B1 (ko) 부품실장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쇄회로기판 이송방법
US6769534B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inted circuit board
JP4656334B2 (ja) アライメント装置
KR101156063B1 (ko)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US9844170B2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KR100530743B1 (ko) 부품실장장치
JP4860966B2 (ja) 露光パターンの転写方法及び露光装置
KR20190079520A (ko) 기판 반전장치
JP4826149B2 (ja) 長ストローク移動可能なアライメントステージ
KR102433592B1 (ko)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장치
JP4872634B2 (ja) 接着剤塗布機ユニット
JP4853262B2 (ja) 接着剤塗布機ユニット
JP5689646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20100101428A (ko) 틸팅 기능을 갖는 xy 이송 모듈 및 이를 갖는 부품 실장기
WO2023162167A1 (ja) 搬送路切換装置、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路切換方法
KR20170010491A (ko) 소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팅 장치
KR100432784B1 (ko) 수직형 노광 장비의 마스크 정렬 장치
KR20130136901A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KR20240037755A (ko) 3d 조절 방식의 부품 마운터
CN106526883A (zh) 一种用于调整光学元件位置的装置
WO2023162165A1 (ja) 搬送路切換装置、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路切換方法
JP4262162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KR0131255Y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JP4881965B2 (ja) 液晶露光装置
KR100841291B1 (ko) 노광장치에서의 스테이지 이송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