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707A -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707A
KR20120035707A KR1020100097398A KR20100097398A KR20120035707A KR 20120035707 A KR20120035707 A KR 20120035707A KR 1020100097398 A KR1020100097398 A KR 1020100097398A KR 20100097398 A KR20100097398 A KR 20100097398A KR 20120035707 A KR20120035707 A KR 2012003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transparent conductive
metal
conductive film
metal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묵
정우석
황치선
조경익
김상희
박장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나노신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나노신소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707A/ko
Publication of KR2012003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3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6Oxides of zinc, germanium, cadmium, indium, tin, thallium or bismu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23C14/3414Metallurgical or chemical aspects of target preparation, e.g. casting, powder metallu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86Gallium oxides, gallates, indium oxides, indates, thallium oxides, thallat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zinc gal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93Tin oxides, stannat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indium tin oxide [IT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산화인듐, (b) 산화주석, 및 (c) Zr, Ce, Ca, Ga, Gd, Er, Eu 및 Tb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M)을 함유하고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로서, 상기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은 미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 대비 이온 반경비가 1.2~1.7 : 1 범위인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산화인듐주석 타켓으로부터 형성된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인듐주석의 결정 성장을 억제시키는 도펀트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모폴로지를 갖는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제공하여 높은 광투과율과 낮은 표면저항을 갖는 투명 도전성 박막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TRANSPARENT CONDUTIVE LAYER FOR AN ELECTRODE AND THE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시광 파장 (450~750nm) 영역에서 높은 광투과율과 낮은 표면저항 (< 20 ohm/Sq.)을 가지는 투명도전성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표시장치 분야의 발전으로 인하여, 액정표시장치, 전기발광표시장치, 전계방출디스플레이 등이 가전제품 혹은 사무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들 표시장치는 투명 도전막으로 인듐주석 산화물 (Indium Tin Oxide; 이하 'ITO'라 칭함)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ITO 막은 투명성, 도전성 (비저항: 2×10 -4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판과의 밀착성, 에칭용액에 의한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ITO 박막의 제조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이 있다.
스퍼터링법은 일반적으로 약 10pa 이하의 가스압력 하에서 기판을 양극으로 하고, 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산화물 투명 전도막의 스퍼터링 타겟을 음극으로 하여, 이들 사이에서 글로우 방전을 일으켜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방전시 발생되는 아르곤 플라즈마 중의 아르곤 양이온이 음극의 스퍼터링 타겟에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서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지는 입자들이 기판 위에 쌓이게 되어 막을 형성하게 된다. 스퍼터링법은 시간과 전압 등의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수 옹스트롱(Å)의 박막으로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 (㎛)의 후막까지 매우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스퍼터링법은 타겟의 조성과 생성된 막의 조성이 동일하다는 장점이 있다. 스퍼터링법은 일반적으로 아르곤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방법에 따라 고주파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고주파 스퍼터링법과 DC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DC 스퍼터링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ITO와 같은 산화물 투명 도전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스퍼터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는 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구성 금속의 합금 타겟 (In-Sn 합금)을 사용하여 아르곤과 산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하에서 막을 형성하는 반응 스퍼터링법이며, 두번째는 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구성 금속의 산화물로 제조된 산화물 소결체 (In-Sn-O 소결체)를 사용하여 아르곤과 산소의 혼합 가스 내에서 막을 형성하는 반응 스퍼터링법이다. 합금 타겟을 사용하는 첫번째 방법은, 성막하고자 하는 투명 도전막 중의 산소 성분이 모두 분위기 가스의 산소로부터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산소 가스 유량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 결과 분위기 가스 중의 산소 가스량의 변동을 작게 유지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첫번째 방법은 성막속도 또는 제조된 막의 특성 (비저항 및 투과율)이 분위기 가스 중에 유입된 산소에 매우 의존적이므로, 균일한 두께와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는 투명 도전막을 재현성 있게 제조하기가 어렵다. 이에 비해 산화물 타겟을 사용하는 두번째 제조방법은, 막에 공급되는 산소의 일부가 타겟 자체에서 공급되며, 단지 산소 부족량만이 산소 가스로부터 제공된다. 따라서 두번째 방법은 합금 타겟을 사용하는 첫번째 방법에 비해 분위기 가스 중의 산소 가스량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균일한 두께와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는 투명 도전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점으로 인해, 산화물 소결체를 타겟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산업적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다.
한편 발광 디바이스나 태양전지의 투명전극으로, ITO, ZnO계, SnO2계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재료는 400~800 nm의 가시광 파장 영역 중, 700~800 nm, 380~350 nm 영역에서 높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반면, 500~600nm 영역에서는 플라즈몬 현상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투과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표면저항이 낮을 뿐만 아니라, 투과도의 중심이 되는 550 nm 전후에서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도전막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산화인듐주석 (ITO)의 결정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이온반경이 조절된 도펀트 물질을 사용하면, ITO 타겟의 모폴로지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광투과도와 전기화학 특성이 모두 우수한 도전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산화인듐주석 타겟으로부터 형성되어,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광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산화인듐, (b) 산화주석, 및 (c) Zr, Ce, Ca, Ga, Gd, Er, Eu 및 Tb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M)을 함유하고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로서, 상기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은 미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 대비 이온 반경비가 1.2~1.7 : 1 범위인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산화인듐주석 타켓으로부터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금속산화물의 함량은 타겟의 중량 대비 0.1 내지 10 원자%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세륨, 산화칼슘, 산화지르코니아 및 산화갈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도전막의 광 투과율은 85~92%이며, 면 저항값이 10~40 ohm/sq.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투명 도전막의 광투과율은 500 nm 광 영역에서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은, 전술한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산소와 아르곤 증착가스로 사용하여 제조하되, 상기 산소가스 분압이 0 내지 1% 범위로 혼합된 아르곤 가스 분위기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은 평판디스플레이의 정보전달 장치, 면광원 조명장치, 터치패널 등의 정보전달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화인듐주석 타겟은 불순물의 고용이 잘 이루어진 단일 조성의 금속 산화물이므로, 타겟의 저항이 낮아 DC 스퍼터링이 가능하고, 저온에서 비정질 또는 나노 결정질 박막을 성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증착하여 형성된 산화인듐주석계 투명 도전막은, 450~750nm 파장에서 높은 광투과율과 낮은 표면저항 (< 20 ohm/Sq.)을 나타내므로,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정질 형태의 투명 도전막은 비저항이 낮고 광투과율이 우수하며, 약산에서 에칭이 가능하여 에칭 가공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산화인듐주석 투명 도전막은 상기 비정질 박막을 열처리하여 결정화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투명 도전막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상온(RT)에서 증착하여 형성된 투명 도전성 박막의 산소분압 변화에 따른 광투과도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이용하여 형성된 실시예 1의 투명 도전성 박막에 대한 X선 회절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투명 도전성 박막을 열처리하여 형성된 결정질 투명 도전성 박막의 X-선 회절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투명 도전성 박막을 열처리한 후 형성된 결정질 투명 도전성 박막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산화인듐주석 타겟>
본 발명에서는 산화인듐주석 (ITO) 타겟의 구성성분으로, 인듐(In)이나 주석(Sn) 보다 이온 반경이 큰 금속(M)을 함유하는 산화물 형태이면서, 이미 환원처리를 거쳐 얻어진 도펀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환원처리'는 금속산화물에 포함된 산소 성분을 일부 잃어버리도록 하는 일체의 처리공정을 의미한다. 일례로, 수소나 불활성가스 분위기하에서 금속 산화물을 고온 열처리하는 공정이거나, 또는 thermal carbon reducing atmosphere (TCRA) 환원방법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TCRA 환원방법은 활성탄이 들어있는 퍼니스 내부의 알루미나 박스에 세륨 산화물 분말을 넣고 고온에서 1 내지 6시간 정도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금속 산화물의 환원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온도 범위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 1000℃ 내지 1600℃ 범위일 수 있다.
금속을 함유하는 산화물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이러한 금속 산화물을 환원처리하는 경우 약간의 변화로 인해 구조변형이 유발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산화물을 환원처리하면, 금속 산화물에 포함된 산소가 일부 제거되거나, 또는 제거된 산소결합을 보충하기 위해 금속산화물들이 새로운 화학결합을 형성하면서 하나의 산소를 나누어 갖는 일종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산소 제거나 새로운 화학결합 형성은 종래 금속산화물이 갖는 고유한 화학구조 보다 느슨해지거나 또는 비틀어진 구조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금속(M)과 산소 사이의 인력(引力)이 감소하여 금속(M)의 이온반경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은 미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 대비 이온 반경비(ratio)가 1.2~1.7 배, 바람직하게는 1.3~1.5배 정도로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원처리된 도펀트 물질은 인듐이나 주석 보다 이온반경이 크도록 조절되었으므로, 소결 공정시 ITO의 결정이 크게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여 금속산화물 소결체 타겟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모폴로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펀트 물질 자체의 전도성으로 인해, 도펀트 물질 사용에 따른 산화인듐주석 타겟의 전도도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으로는 인듐이나 주석보다 이온 반경이 큰 금속(M)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금속(M)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Zr, Ce, Ca, Ga, Gd, Er, Eu, 또는 Tb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 또는 1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듐이나 주석 보다 이온반경이 큰 금속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인듐이나 주석보다 이온반경이 작은 금속 또한 환원처리에 의해 이온반경이 크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이들 금속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바람직한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ZrO2, CaO, CeO2, Ga2O3, Er2O3, Eu2O3, Gd2O3, Tb4O7 또는 이들의 1종 이상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의 함량은 산화인듐주석 타겟의 중량 대비 0.1 내지 10 원자%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 범위보다 작은 경우, 도펀트 첨가에 따른 결정성 특성이 미미하여 투과도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투과도의 저하 뿐만 아니라 전도도 특성 감소가 초래되어 투명 도전성 박막으로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인듐이나 주석에 비해 이온반경이 큰 금속(M)의 이온반경은, 환원처리 이후 이온 반경이 더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 내 금속(M)과 인듐의 이온반경 차이는 20~7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범위이다. 참고로 인듐 (In)과 주석 (Sn)의 이온반경은 각각 0.081 nm, 0.071 nm 이며, 미처리된 세륨의 이온반경은 0.097 nm이고, 환원처리된 세륨산화물의 세륨 이온반경은 0.128 nm 이다. 일례로, TCRA 환원방법에 의해 환원처리된 세륨 산화물은 일산화탄소(CO) 분위기하에서 환원되므로 Ce2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퍼터링 타겟에서, 산화인듐주석 결정의 최대 입경은 0.3 ㎛ 내지 1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산화인듐주석은 결정입경이 작아, 투명 전도성 막을 형성시 타겟 표면에서 발생하는 노쥴 생성이 억제되어 양호한 안정성으로 스퍼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화인듐주석 타겟의 밀도는 95% 이상 이며, 벌크 저항은 1 x 10-3 ohm c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환원처리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제조할 수 있다.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들면, 산화인듐 분말, 산화주석 분말, 및 전술한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준비한 후 밀링하고 건조하여 분쇄하는 공정, 상기 분쇄물을 성형하는 공정 및 상기 성형물을 소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화인듐이나 산화주석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성분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이들은 In2O3 이나 SnO2 일 수 있다.
상기 산화인듐 분말과 산화주석 분말은 혼합되기 이전에 입자 크기가 수 ㎛ 이하로 분쇄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때 산화인듐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1 ㎛ 범위이고, 산화주석의 평균입경은 1 내지 5㎛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산화인듐과 산화주석의 질량비는 90 : 10 ~ 91 : 9 범위일 수 있다. 이들과 혼합되는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 분말은 평균 입경이 1 내지 10 ㎛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분말들을 혼합시, 필요에 따라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바인더, 분산제, 소포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는 분쇄된 원료입자가 용액 내에서 장시간 동안 고르게 안정된 분산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자가 미세하게 분쇄되기 위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사용 가능한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시트르산 등의 카르복실기가 붙은 유기산 계열, 폴리아크릴산 (PAA) 또는 그의 염,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상기 분산제는 슬러리 내 분말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는 슬러리를 분말로 건조시킨 후 성형하는 과정에서 성형체의 성형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다.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고분자 등이 있다. 상기 바인더의 사용량은 슬러리 내 분말 대비 0.01 내지 5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소포제는 슬러리 내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실리콘유, 옥틸알콜, 붕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의 사용량은 슬러리 내 분말 대비 0.001 내지 0.01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산화인듐 분말, 산화주석 분말,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 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준비된 슬러리를 밀링하고 건조하여 건조분말을 준비한다.
이때 밀링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볼밀, 비드밀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밀링을 통하여 얻어진 슬러리의 점도는 100 cps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링을 거친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 등을 이용하여 분무건조함으로써 건조분말을 얻는다.
이후 상기 건조분말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성형체로 제조하는 성형단계를 거친다. 상기 성형체 제조시, 공정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냉간 정수압 프레스 (cold isostatic press, CIP)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성형단계 이후에는 소결단계를 거쳐 산화인듐주석 소결체가 제조된다. 상기 소결단계는 산소가스 분위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 또는 산소와 불활성가스 혼합 분위기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결단계는 산소 가스, 불활성가스 분위기 하에서 1000~1650℃ 범위로 진행되거나, 또는 상기 성형물을 산소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가압조건 하에서 900~1600℃ 범위로 소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가압 조건은 CIP를 사용하여 2 내지 3 ton/cm2 범위일 수 있다.
제조된 소결체는 일정한 크기, 형태로 가공하여 냉각용 금속판 또는 백킹 플레이트 (backing plate)에 붙여 스퍼터링 타겟으로 이용된다.
<투명 도전성 전도막>
본 발명은 전술한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사용하여 증착된 투명 도전막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증착 분위기에 따라 성분의 미차가 발생할 수는 있으나, 전술한 산화인듐주석 타겟을 스퍼터링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상기 타겟과 조성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투명성이 우수하고 도전성도 높은(저항율이 작은) 도전막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산화인듐, 산화주석,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산화물의 함량은 타겟의 중량 대비 0.1 내지 10 원자%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환원처리된 금속 산화물은 미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 대비 이온 반경비가 1.2~1.7 : 1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 타겟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투명 도전막은 비정질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막을 형성하는 기판의 온도는 실온 내지 200 ℃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비정질 형태의 투명 도전막은 에칭 잔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투명 도전막의 결정성이 우수하므로, 500 내지 600 nm 영역, 바람직하게는 550 nm 전후에서 높은 광투과율이 발휘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형태의 투명 도전막은, 막을 형성한 이후 200 내지 350℃ 범위의 온도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결정화할 수 있다.
이때 비정질 또는 결정질 막의 형성 여부는, X선 회절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의 광 투과율은 85~92%이며, 면 저항값이 10~40 ohm/sq. 범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의 광투과율은 500 내지 600 nm 광 영역에서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도전막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산화인듐주석 스퍼터팅 타겟을 장착한 후 진공조 내에서 산소와 아르곤 가스를 80 sccm의 속도로 공급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판 및 스퍼터링 장치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가스는 산소와 아르곤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소가스 분압이 0 내지 1% 범위로 혼합된 아르곤 가스 분위기하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투명 도전막은 증착 가스로 사용되는 산소 가스의 농도에 상관없이 550 nm 전후에서 90% 이상의 높은 광투과율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도 1 참조). 이러한 산소가스 분압의 비의존성으로 인해, 제조방법의 간편성과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유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득되는 투명 도전막은, 파장 550nm 전후의 광영역에서 광선 투과율이 약 90% 정도로 투명성이 우수하고 높은 전도성을 가지므로, 유기 전기발광소자의 전자 주입층과 접속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투명 전도막은 높은 투명성 및 전도성이 요구되는 액정 표시소자 또는 유기전기 발광표시소자 등의 각종 표시장치의 투명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CD, PDP, OLED, LED 등의 평판디스플레이 등의 정보전달 장치; OLED, LED 등의 면광원 조명장치 터치패널; 및/또는 이를 이용하는 정보전달 장치에도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산화인듐주석 투명 도전막과 그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일 뿐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평균 입경이 1~10 ㎛ 범위인 세륨 산화물 분말을 thermal carbon reducing atmosphere (TCRA)의 환원방법을 사용하여 환원처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활성탄이 들어있는 퍼니스 내부의 알루미나 박스에 세륨 산화물 분말을 넣고 1000~1600℃ 정도의 고온에서 2시간 정도 열처리하였다.
실시예 1
평균 입경이 1 ㎛ 이하인 산화인듐 (In2O3) 분말과 평균 입경이 3 ㎛ 이하인 산화주석 (SnO2) 분말을 9:1의 중량 비율로 배합하였다. 다음으로 전체 분말에 대해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세륨 산화물 분말을 슬러리 탱크(Slurry Tank)에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준비하였다. 순수한 물과 분산체 및 바인더 성분을 상기 혼합 분말에 첨가하고 경질 지르코니아 볼밀을 이용하여 습식 밀링을 행하였다. 밀링 및 혼합 시간을 1시간으로 하고 평균 슬러리 입도가 1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전술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를 이용하여 건조된 과립분말의 형태로 만들고, 100~500 MPa의 높은 압력으로 냉간 정수압 프레스로 성형하였다. 이어서, 성형체를 에어 분위기 하에서 1000~1600℃의 고온으로 1시간 동안 소결하여 도펀트가 함유된 스퍼터링용 산화인듐주석계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소결체의 스퍼터링 면을 연마기로 연마하였으며, 인듐 금속파우더를 사용하여 구리배킹 플레이트를 접합시켜 박막 평가가 가능한 소결체 타겟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결체 타겟을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에 장착한 후 상온에서 산소가 1% 혼합된 아르곤 가스를 투입하여 유리 기판 상에 두께 150 nm의 투명 도전막을 제작하였다. 상기 투명 도전막이 부착된 유리 기판에 대해 300~800 nm의 광파장 영역에서 광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90%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 참조).
실시예 2
산소가 1% 혼합된 아르곤 가스 대신 산소가 5% 혼합된 아르곤 가스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투명 도전막을 제조하였다. 300~800 nm의 광파장 영역에서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산소 분압에 상관없이 90%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 참조).
실시예 3
산소가 1% 혼합된 아르곤 가스 대신 산소가 10% 혼합된 아르곤 가스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투명 도전막을 제조하였다. 300~800 nm의 광파장 영역에서 광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산소 분압에 상관없이 90%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 참조).
실험예 1. 투명 도전막의 결정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X선 회절 (XRD)을 이용하여 산소 분압에 따른 박막의 결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박막과 상기 실시예 1의 박막을 열처리한 것을 각각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열처리되지 않은 실시예 1의 비정질 박막과 열처리된 결정질 박막 모두 산화인듐주석의 특성 피크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3 참조). 이때 열처리되지 않은 실시예 1의 박막은 비정질 형태이므로 산화인듐주석의 특성 피크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도 2 참조), 이에 비해 열처리된 박막은 비정질상이 모두 결정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3 참조).
한편 열처리된 실시예 1의 박막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Hall measurement 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박막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표 1 참조).
Sample Sheet Resistance
(ohm/sq.)
Mobility
(cm2/V)
Carrier concentration
(cm-3)
실시예 1 17.96 5.61 4.130 x 1021
ITO 22.27 21.8 8.570 x 10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a) 산화인듐,
    (b) 산화주석, 및
    (c) Zr, Ce, Ca, Ga, Gd, Er, Eu 및 Tb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M)을 함유하고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로서, 상기 환원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은 미처리된 금속산화물의 금속(M) 대비 이온 반경비가 1.2~1.7 : 1 범위인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산화인듐주석 타켓으로부터 형성된 투명 도전막.
KR1020100097398A 2010-10-06 2010-10-06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35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398A KR20120035707A (ko) 2010-10-06 2010-10-06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398A KR20120035707A (ko) 2010-10-06 2010-10-06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707A true KR20120035707A (ko) 2012-04-16

Family

ID=4613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398A KR20120035707A (ko) 2010-10-06 2010-10-06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7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946B1 (ko) 스퍼터링 타겟, 투명 도전막 및 터치 패널용 투명 전극
JP3906766B2 (ja) 酸化物焼結体
JP4760154B2 (ja) 酸化物焼結体、酸化物透明導電膜、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07034749A1 (ja) 酸化物材料、及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KR20120051656A (ko) 산화물 소결물체와 그 제조 방법, 타겟 및 투명 도전막
KR20100029780A (ko) 산화물 소결물체와 그 제조 방법, 타겟, 및 그것을 이용해 얻어지는 투명 도전막 및 투명 도전성 기재
JPWO2007034733A1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透明導電膜及び透明電極
JP2007063649A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透明導電膜
KR20070088246A (ko) 투명도전막 제조용 소결체 타겟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투명도전막 및 이 도전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투명도전성 기재
JPWO2007066490A1 (ja) 酸化ガリウム−酸化亜鉛系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透明導電膜の形成方法及び透明導電膜
KR20040038794A (ko) 산화물 소결체 및 스퍼터링 타킷, 산화물 투명 전극막의제조방법
TW201006781A (en) Gallium oxide-tin oxide based oxide sintered body and oxide film
CN105565798A (zh) 氧化锌靶材的制备方法及氧化锌薄膜的制备方法
JP2011184715A (ja) 酸化亜鉛系透明導電膜形成材料、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ターゲット、および酸化亜鉛系透明導電膜の形成方法
KR20120062341A (ko) 산화인듐아연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4422B1 (ko) 투명 도전막 제조용의 산화물 소결체
KR20110133449A (ko) 투명도전막, 투명도전막용 타겟 및 투명도전막용 타겟의 제조방법
CN111943649B (zh) 一种用于蒸镀的烧结体及其制备方法
KR20120035707A (ko) 전극용 투명 도전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35706A (ko) 투명전극용 산화인듐주석 스퍼터링 타겟
KR101056948B1 (ko)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비정질 산화물막용 금속산화물 타겟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6364A (ko) 산화인듐아연 스퍼터링 타겟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4021374A1 (ja) 酸化物焼結体およびそれを加工したタブレット
JP2012148937A (ja) 導電性複合酸化物、酸化亜鉛系焼結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ターゲット
KR20090113573A (ko) 산화 인듐 주석 타겟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