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311A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311A
KR20120035311A KR1020100096741A KR20100096741A KR20120035311A KR 20120035311 A KR20120035311 A KR 20120035311A KR 1020100096741 A KR1020100096741 A KR 1020100096741A KR 20100096741 A KR20100096741 A KR 20100096741A KR 20120035311 A KR20120035311 A KR 20120035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antenna
antenna device
senso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311A/ko
Priority to US13/219,970 priority patent/US20120081254A1/en
Publication of KR2012003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전파 방사를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방사체가 전파를 방사하도록 스위칭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방사체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그 기능이 부가되면서 크기는 경박 단소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경박 단소화되어감에도 불구하고 요소들을 실장시키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은 여러 요소들이 실장되는 공간을 한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을 위하여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전류를 제공받아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클수록 안테나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확보하기란 어렵다. 더욱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취부하는 방법에 따라 방사 성능이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안테나 방사체에 근접하게 있는다면 방사 성능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把指]하는 위치에 따라 방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 방사체로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안테나 방사체를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견지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전파 방사를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방사체가 전파를 방사하도록 스위칭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견지로서, 본 발명은 가로, 세로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전파 방사를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을 가로 보기 또는 세로 보기로 피봇시키고 상기 피봇된 화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안테나 방사체를 선택하여 전파를 방사시키도록 스위칭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把指]하는 상황에 따라 방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 방사체로 변경할 수 있어 방사 성능을 저항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블럭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방사체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와, 상기 스피커(11)의 하부에 위치하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는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 어셈블리(13)와,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3) 하부에 위치하며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4)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2)는 수백만 화소를 갖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엘씨디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제공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12)는 보조적 또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3)를 대신하여 데이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10)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도시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파 방사를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된 상태에 따라 방사 성능을 확보하는 적절한 안테나 방사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20)는 적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21)와, 전파 방사를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22)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방사체가 전파를 방사하도록 스위칭 온시키는 제어부(23)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22)은 상기 제어부(23)로부터 스위칭 온 되면 상기 제어부(23) 또는 해당 급전원으로부터 급전되어 전파를 방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가 스위칭 오프한 안테나 방사체들(22)은 전파를 방사할 수 없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22)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감지 센서(2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을 감지한 후 회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회전 신호는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하겠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회전 감지 센서(21)가 제공한 회전 신호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어떻게 회전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2)는 해당 알로리즘을 구비하고, 상기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회전 신호 별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세로 또는 가로로 놓여졌다는 두 가지 상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세로 또는 가로로 놓여진 휴대용 단말기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안테나 방사체를 선택하여 스위칭 온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세로 또는 가로로 놓여진 휴대용 단말기를 좌우측 방향에서 움켜잡아 파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파지되는 부분과 이격된 안테나 방사체를 사용함이 방사 성능의 확보를 위해 유리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로, 세로 크기의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상기 회전 감지 센서(21)가 제공한 회전 신호에 따라 피봇(pivot)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세로에서 가로로 놓여지게 되면, 상기 화면 보기 또한 세로보기에서 가로보기로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피봇된 화면의 상측 또는 하측의 안테나 방사체를 스위칭 온할 수 있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위치에 따라 방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 전술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미 전술된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회전하여 가로로 놓여지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파선으로 도시된 상측 또는 하측의 안테나 방사체를 사용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회전하여 세로로 놓여지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파선으로 도신된 좌측 또는 우측의 안테나 방사체를 사용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把指]하는 위치에 따라 방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 방사체로 변경할 수 있어 방사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전파 방사를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
    상기 센서가 감지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 방사체가 전파를 방사하도록 스위칭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세로 또는 가로로 놓여졌는지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로 또는 가로로 놓여진 휴대용 단말기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안테나 방사체를 선택하여 스위칭 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의 내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은,
    절연성 캐리어;
    상기 절연선 캐리어에 부착된 소정 패턴의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좌측 또는 우측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 출력을 하고 세로, 가로 크기의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들은 상기 화면의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좌측 또는 하측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회전 신호에 따라 가로 보기 또는 세로 보기로 피봇(pivot)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봇된 화면의 상측 또는 하측의 안테나 방사체를 스위칭 온함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10. 가로, 세로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전파 방사를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방사체들;
    상기 센서가 감지한 회전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을 가로 보기 또는 세로 보기로 피봇시키고, 상기 피봇된 화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안테나 방사체를 선택하여 전파를 방사시키도록 스위칭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20100096741A 2010-10-05 2010-10-05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20035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41A KR20120035311A (ko) 2010-10-05 2010-10-05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13/219,970 US20120081254A1 (en) 2010-10-05 2011-08-29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41A KR20120035311A (ko) 2010-10-05 2010-10-05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311A true KR20120035311A (ko) 2012-04-16

Family

ID=4588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741A KR20120035311A (ko) 2010-10-05 2010-10-05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81254A1 (ko)
KR (1) KR201200353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2987B1 (en) * 2013-02-27 2019-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camera
KR20140115231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1487B2 (en) * 2003-01-29 2008-08-12 Bridgestone Corporation Tire-information administration system
JP4548196B2 (ja) * 2005-04-21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輪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タイヤ空気圧検出装置
JP3936956B2 (ja) * 2005-05-23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5601565B2 (ja) * 2007-09-13 2014-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波受信装置
JP5088256B2 (ja) * 2008-07-16 2012-12-0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無線機および携帯型無線機のアンテナエレメント選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1254A1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1579B (zh) 具有金属框架天线的电子设备
EP2629361B1 (en) Portable Terminal
EP249315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ntenna selection
WO2021129525A1 (zh) 天线电路、电子设备及天线性能的调整方法
KR101964651B1 (ko) 이동 단말기
TW201328206A (zh) 無線通訊裝置
JP5222716B2 (ja) 携帯端末
JP2007306347A (ja) 携帯端末
US10314186B2 (en) Conductive cover, housing assembly and terminal
US20120154226A1 (en) Single unit antenna for various functions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5039696A (ja) 携帯無線機
KR20070082308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가변형 안테나 장치
KR2012003531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05303856A (ja) 携帯型情報端末
JP2010239182A (ja) 携帯無線端末およびアンテナ選択方法
JP4754507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50936A (ja) 通信装置
JP2012182706A (ja) 携帯端末装置
US10141995B2 (en) Method for select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JP5318885B2 (ja) 携帯端末
JP2008182601A (ja) 携帯端末装置
EP1727290B1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KR101832968B1 (ko) 이동 단말기
JP2011082806A (ja) 通信端末
WO2008029442A1 (fr) Appareil de terminal de communication sans f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