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938A - 다용도 표지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표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938A
KR20120034938A KR1020100096336A KR20100096336A KR20120034938A KR 20120034938 A KR20120034938 A KR 20120034938A KR 1020100096336 A KR1020100096336 A KR 1020100096336A KR 20100096336 A KR20100096336 A KR 20100096336A KR 20120034938 A KR20120034938 A KR 2012003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connecting rod
indicator
present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722B1 (ko
Inventor
정영미
Original Assignee
정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미 filed Critical 정영미
Priority to KR102010009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7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등의 중앙선이나 차선 변경선 혹은, 분리대 등과 같은 각종 표지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다용도 표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수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연결대; 그리고, 상기 연결대의 끝단을 인접된 여타 지주대 혹은, 상기 여타 지주대에 구비되는 연결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표지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용도 표지기{multipurpose indicator}
본 발명은 도로 등의 중앙선이나 차선 변경선 혹은, 분리대 등과 같은 각종 표지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다용도 표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용 표지기는 운전이나 보행시 운전자 및 보행자의 이동을 유도하여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도로용 표지기는 사용 용도나 설치 장소 및 설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방호벽, 시선 유도봉(차선규제봉), 펜스, 블럭, 도로 표지병, 반사경, 칼라콘 등이 이에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도로용 표지기 중 시선 유도봉은 도로 등의 중앙선이나 차선 변경선 혹은, 분리대 등과 같이 운전자 등에게 차선의 위치를 안내하여 사고의 위험이 방지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제공되며, 통상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는 폴(pole)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시선 유도봉의 둘레면에는 야간 식별을 위한 반사지가 부착됨으로써, 야간 운전시 운전자가 해당 시선 유도봉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사고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시선 유도봉 등의 도로용 표지기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어야만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한 도로용 표지기는 서로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하기가 어려웠던 문제점을 가진다.
더욱이, 시선 유도봉의 경우 단순한 지주대로의 구성으로만 제공될 뿐 다른 목적으로의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물론, 최근에는 상기한 시선 유도봉 서로 간에 별도의 걸이대 혹은, 휀스의 설치를 통해 차량 혹은,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도록 사용되고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별도의 걸이대 혹은, 휀스는 두 시선 유도봉에만 설치될 수 있을 뿐 상기 걸이대 혹은, 휀스가 설치된 시선 유도봉에 또 다른 걸이대나 휀스를 추가로 설치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운반시 상기 걸이대 혹은, 휀스의 부피로 인한 포장 공간의 추가적인 확보가 필요하여 물류비의 증가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별도의 걸이대 혹은, 휀스의 경우 두 시선 유도봉 간의 간격이 정확히 일정하여야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며, 부피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다용도 표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표지기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수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연결대; 그리고, 상기 연결대의 끝단을 인접된 여타 지주대 혹은, 상기 여타 지주대에 구비되는 연결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은 상기 지주대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위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의 일단은 상기 수납 공간 내의 상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은 상기 지주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대의 내부로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연결대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대는 상기 이탈 방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대와 이에 인접된 여타 지주대 혹은, 상기 여타 지주대에 구비되는 연결대 간의 대향면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자성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여타 지주대의 연결대 끝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대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되는 요입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다단식 인출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는 각 표지기의 지주대 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가 지주대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다용도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는 상기 연결대가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면서 필요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연결대를 포함한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한 물류비의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는 상기 연결대가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 지주대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연결대의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의 연결대 인출 및 신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가 복수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각 상황별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의 연결대 인출 및 신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가 복수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황별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다용도 표지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개되는 다용도 표지기는 시선 유도봉임을 그 예로 설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시선 유도봉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표지기가 될 수도 있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는 크게 지주대(110)와, 연결대(210) 및 결합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지주대(110)는 표지기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폴(pole)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지주대(110)에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납 공간(111)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 공간(111)이 상기 지주대(110)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위에 요입되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수납 공간(111)이 상기 지주대(110)의 둘레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요입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대(210)는 해당 표지기를 여타의 인접된 표지기와 연결시키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즉, 상기한 연결대(210)는 두 표지기 간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두 표지기 사이를 통한 보행이나 통행을 차단함과 더불어 두 표지기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결대(210)가 상기 지주대(110)의 수납 공간(111)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연결대(210)의 일단은 상기 수납 공간(111) 내의 상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111) 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상기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결대(210)가 다단식 인출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연결대(210)가 수납 공간(111)에 비해 더욱 길게 인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111)의 크기는 최소화하면서도 각 표지기 간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한 연결대(210)를 이용한 각 표지기 간이 연결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는 해당 표지기의 연결대(210)와 여타 표지기의 지주대(110) 혹은, 상기 여타 표지기에 구비되는 연결대(210) 간을 결합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결합부가 여타 표지기의 연결대(210) 끝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대(110)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되는 요입홈(310)임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요입홈(310)과 상기 연결대(210)의 끝단은 서로 간의 직경이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서로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원치않게 탈거됨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연결대(210)의 끝단 둘레면에는 걸림돌기(21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11)에 대응되는 걸림홈(311)을 요입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대(210)가 그의 결합 방향(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탈거됨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의 사용 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를 중앙선이나 차선 변경선 혹은, 분리대 등과 같이 운전자 등에게 차선의 위치를 안내하는 시선 유도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대(210)를 지주대(110)의 수납 공간(111) 내에 수납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각 다용도 표지기는 각각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간의 간격이 모두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아도 된다.
만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를 보행이나 차량 등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지주대(110)의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연결대(210)를 인출함과 더불어 외부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해당 연결대(210)의 끝단을 인접된 다용도 표지기의 지주대(110)에 형성된 요입홈(310) 내에 요입시킨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연결대(210)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110)의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신장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며, 상기한 신장 거리는 두 지주대(110)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이는, 상기 연결대(210)가 텔레스코픽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각 다용도 표지기들 사이로는 상기 연결대(210)가 가로막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해당 부위로의 보행이나 통행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연결대(210)의 끝단에 걸림돌기(2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3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11)에 대응되는 걸림홈(311)이 요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대(210)의 끝단이 상기 요입홈(310) 내부로 요입될 경우 상기 걸림돌기(211)는 상기 걸림홈(311)에 걸려 상기 연결대(210)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지주대(110)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111)이 상기 지주대(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대(110) 내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연결대(210)는 상기 수납 공간(111) 내에 수직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됨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는 평상시 연결대(210)가 지주대(110) 내에 숨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대(210)가 지주대(110) 내의 수납 공간(111)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인접된 여타 표지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 연결대(210)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수납 공간(11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230)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대(210)는 상기 이탈 방지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연결대(210)의 과도한 인출로 인한 지주대(110)로부터의 탈거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인접된 여타 표지기와의 연결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의 각 구성요소 중 결합부는 전술된 요입홈(310) 내로의 끼움 구조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한 결합부는 연결대(210)의 끝단과 이에 인접된 여타 표지기의 지주대(110) 혹은, 상기 여타 표지기를 구성하는 연결대(210) 간의 대향면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자력 부착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표지기의 경우 첨부된 도 12와 같이 연결대(210)의 끝단에 자성체(321)를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연결대(210)의 끝단이 요입되는 요입홈(310) 내에는 대응되는 극의 자성체 혹은, 금속판(322)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대(210)가 상기 요입홈(310)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 원치않는 탈거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표지기의 경우에는 첨부된 도 13과 같이 각 표지기를 구성하는 연결대(210)의 끝단에 서로 상대되는 극 간이 대향되도록 자성체(321)를 설치함으로써 두 연결대(210) 간이 연결되었을 경우 원치않는 분리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표지기는 각 표지기의 지주대(110) 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210)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다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한 연결대(210)는 상기 지주대(110)의 수납 공간(111) 내에 수납되면서 필요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한 물류비의 저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10. 지주대 111. 수납 공간
210. 연결대 211. 걸림돌기
230. 이탈 방지부 310. 요입홈
311. 걸림홈 321. 자성체

Claims (6)

  1.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수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연결대; 그리고,
    상기 연결대의 끝단을 인접된 여타 지주대 혹은, 상기 여타 지주대에 구비되는 연결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표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은 상기 지주대의 둘레면 중 어느 한 부위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의 일단은 상기 수납 공간 내의 상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거나 혹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표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수납 공간은 상기 지주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대의 내부로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연결대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대는 상기 이탈 방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표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대와 이에 인접된 여타 지주대 혹은, 상기 여타 지주대에 구비되는 연결대 간의 대향면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자성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표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여타 지주대의 연결대 끝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대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되는 요입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표지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다단식 인출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표지기.
KR1020100096336A 2010-10-04 2010-10-04 다용도 표지기 KR101263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36A KR101263722B1 (ko) 2010-10-04 2010-10-04 다용도 표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336A KR101263722B1 (ko) 2010-10-04 2010-10-04 다용도 표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938A true KR20120034938A (ko) 2012-04-13
KR101263722B1 KR101263722B1 (ko) 2013-05-13

Family

ID=4613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336A KR101263722B1 (ko) 2010-10-04 2010-10-04 다용도 표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314A (ko) * 2017-07-26 2019-02-11 주식회사 현대백화점 천장에 방화셔터가 설치된 통로의 진입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2929B2 (ja) * 2000-06-07 2009-08-12 名古屋電機工業株式会社 通行規制用遮断棒の開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475689B1 (ko) * 2002-10-10 2005-03-10 박복식 주차관리장치
KR100709108B1 (ko) * 2005-08-11 2007-04-18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의 무단횡단 방지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314A (ko) * 2017-07-26 2019-02-11 주식회사 현대백화점 천장에 방화셔터가 설치된 통로의 진입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722B1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5601B2 (en) Concrete block, particularly access-denial bollard, with additional functionalities
US10900180B2 (en) Collapsible sign
KR101263722B1 (ko) 다용도 표지기
KR101764501B1 (ko) 가변형 차량 안전 삼각대
US9334614B1 (en) Traffic barrier delineator apparatus
US20190047467A1 (en) Vehicle emergency safety device using selfie stick
US20130222147A1 (en) Portable warning system
US20130236247A1 (en) Area Delineator
KR102110959B1 (ko)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KR101383399B1 (ko) 맨홀 출입을 위한 휴대용 안전표식장치
CN101636777B (zh) 旗帜支撑系统
CN209368712U (zh) 附着式交通标志牌
US20180141491A1 (en) Vehicle emergency safety device using selfie stick
CN205205737U (zh) 道路安全防护栏
KR20160082184A (ko) 휴대용 도로용 지주
KR102433539B1 (ko) 랜턴 기능을 갖는 가변형 교통 유도장치
US20220235526A1 (en) Portable lighted barrier
KR102390544B1 (ko) 휴대용 안전 표시장치
KR200441976Y1 (ko) 신호봉 지지대
CN218027327U (zh) 一种便于安装的交通设施指示牌
KR200458706Y1 (ko) 다용도 표지기
KR200495245Y1 (ko) 도로용 안내걸개
KR200277752Y1 (ko) 공사표시장치
KR101617397B1 (ko) 휴대용 비상표지판
KR102612341B1 (ko) 지주용 현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